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과제 탐구> 과목의 인물 중심 수업 자료 개발 관련 연구

        이동근 ( Lee Dong G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4

        본 연구는 ‘<수학과제 탐구> 과목 관련 자료 개발 연구가 현장 지원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는 점’과 ‘자료 개발에 있어 수학 개념과 관련된 인물들의 지식 구성과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수업자료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및 ‘그동안의 <수학과제 탐구> 과목 자료 개발이 미비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장 교사들이 수업에 바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업자료를 개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료 개발 계획 수립, 자료 개발, 개발 자료에 대한 현장 교사 검증, 개발 자료에 대한 교과 전문가 검증, 검증 의견을 반영한 최종 자료 개발’의 절차를 거쳤다. 이에 과제 탐구 모형을 반영한 1차시 50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차시 분량의 수업 자료를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주를 기준으로 한 교육과정 계획표와 교사-학생 상호 작용이 제시된 수업 지도안 및 학생들이 수업 때 작성하여 제출하는 과제 개발서 양식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개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된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필요로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developed class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classes by fiel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is valuable as a field support study.', 'In material development, organizing data centering on the knowledge composition and inquiry activities of characters related to the mathematics concept can help develop class materials', and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subject data for <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 has been insufficient'. To this end,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dure of ‘establishing a data development plan, data development, verifying field teachers on development data, verifying subject experts on development data, and developing final data reflecting verification opinions.’ Therefore, based on the 1st 50 minutes reflecting the task exploration model, it was possible to develop class materials for the 3rd time. In this study, development data were presented with a 17-week curriculum plan, a class guidance plan that present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 task development form that students fill out and submit in class.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the developed data in mind to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pply the developed data to actual classes and analyze the results.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 수업을 위한 피드백 중심 수업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이동근,한창훈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1

        This study is a study that developed class materials that can apply Process-Focused Assessment to classes by paying attention to feedback us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s centered on teachers belonging to the same school in the field.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class materials applicable to actual classes. At this time, We thought about how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when applying course-based evaluation in school field classes.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ata development research by Lee & Ahn(2021). As for the procedure of data development itself, an evaluation plan was established by establishing a strategy to reconstruct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firm understanding based on curriculum analysis. Next, an evaluation task, a scoring standard table, and a preliminary feedback preparation table were developed. In addition, based on these development materials, a learning guidance plan that can predict scenes when applying actual classes was develop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value as a practical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providing a link between theory and field school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ed how the teacher would grasp when to provide feedback in performing rocess-Focused Assessment. Likewise, in providing feedback by teacher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in the data development how to prepare in advance and take clas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Finally,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can be improved in that the results of the 4th clas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esented in a form applicable to the class directly in the field. 본 연구는 현장의 동일교 소속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원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드백에 주목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자료를 개발한 연구이다. 특히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진행한 연구이다. 이때 학교 현장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할 때 어떻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인지 고민하였다. 이동근, 안상진(2021)의 자료 개발 연구의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으며, 자료 개발 자체의 절차는 교육과정 분석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재구성과 이해도 확인 전략을 수립하여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음으로 평가과제와 채점 기준표 및 사전 피드백 준비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개발 자료들에 근거하여 실제 수업적용 시의 장면을 예상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결과물로 함께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