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요소 도출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은택,차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이버대학교 학습자 관련 선행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으로분석하여 학습경험을 이루는 주요 요소와 관계를 구조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학습(자)’ 관련 논문 7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중심으로 보았으며 주요 키워드인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학습자, 온라인교육에 관해서는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결과 사이버대학+학습자 관련 연구의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본 결과 가중 연결성 부분에서는 학습성과, 실재감, 자기주도성, 만족도, 학업지속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의 상위 3개 키워드인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습자, 온라인교육을 대상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 에고 네트워크는 학습성과, 학업지속, 실재감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이버대학이 20살을 맞이하면서 성숙기로 돌입하고 있다. 그동안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양상도 다변화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다양성과 그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여 그들이 겪고 있는 학습 곤란함을 처방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이버대학 연구에 있어서 온라인교육의 특성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As a basic research for studying cyber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ly identify the main elements and relationships that make up the learning experienc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learners using the keyword network method. Metho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75 keyword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distance university', and 'learning'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ed on weighted connectivity, dominance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and the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main keywords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s, and online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network structure of cyber university + learner-related research, the keywords learning performance, sense of presence, self-direc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ation were analyzed as major keywords in the weighted connectivity section. As a result of ego network analysis targeting the top three keywords of weighted connectivity, power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 and online education, the cyber university ego network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learning performance, academic continuation, and sense of presence. Conclusions Cyber University is entering its maturity stage as it turns 20. The reality is that the pattern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have also diversified.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context of various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escribe the learning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studying cyber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must be kept in mind.

      • KCI등재

        사이버대학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실태분석 : 온 · 오프라인 매체를 중심으로

        김혜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08 e-비즈니스 연구 Vol.9 No.3

        Rapid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re requiring more aggressive actions to universities. Cyber universities started in 2001 in a rising competition when number of student applying for university was decreasing and we had excessive oversupply of university. Cyber universities had to not only develop for the lifelong education market but also inform people about the new medium of study which is on-line study in order to build the stable applying ratio of students. Futhermore, they had to raise up its recognition. That's why Cyber universities have performed the aggressive PR strategies using diverse media.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ect the marketability of Cyber universities through analysis of the educational market 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it was planned to show the effective medium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s of on and off advertising medium. The result of th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rket of Cyber universities have grown steadily for 7 years in a rising competition environment resulting from oversupply of university. This trend is likely to last. Secondly, Cyber university are doing very aggressive informing activities with diverse medium of media as much as they can. They prefer off-line mediums(63%) to on-line mediums(37%). According to this study, all that advertising they did seem to be cost-effective because 76% of entering students answer that they have seen the ad of a Cyber university at least once before applying. Finally, electric wave advertising such as outdoor-ad, radio and TV were more cost-effective among off-line mediums. And a free paper was more effective than a regular newspaper. That means those advertising spoke to the heart because most of applicants are office workers. The search-based advertising with a key-word was very cost-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banner advertising was not. And 33% of entering students of Cyber universities answered that they got to know about Cyber university and made a decision to apply for Cyber university with the diverse advertising. 급속한 대학교육 환경변화로 인해 적극적인 대학홍보의 필요성에 요구되고 있다. 대학지원자 수 감소, 대학의 공급초과현상이 이미 나타나기 시작한 2001년 개교한 사이버대학은 설립당시부터 이미 심화된 경쟁 환경 속에서 출발하였다. 사이버대학은 안정적인 입시지원율을 구축하기위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이라는 시장을 개척해야한다는 것과 온라인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매체에 대해 교육수요자에게 설득해야만 했고, 또 한편으로는 신설대학으로서의 대학 인지도를 높여야 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이버대학들은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쳐왔으며, 다양한 매체전략을 실행해 왔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 변화와 함께 우리나라 교육시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이버대학의 시장성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오프라인 광고홍보매체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해 매체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이버대학시장은 공급초과로 인해 심화된 경쟁 환경 속에서도 지난 7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러한 성장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이버대학들은 현재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하고 있으며, 온라인 광고매체(37%)보다는 오프라인 광고매체(63%)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온-오프라인 광고매체를 이용한 홍보활동에 대한 효과분석에서는 사이버대학입학생 중 76%가 적어도 한번 이상 특정 사이버대학의 광고를 본적이 있다고 응답해 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프라인 매체 중에서는 옥외광고를 비롯하여 라디오, TV와 같은 전파광고 등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쇄매체 중에서는 일간지 보다는 무가지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대부분이 직장인이라는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온라인 광고 중에서는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광고에 대한 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배너광고 등의 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이버대학의 입학생 중 33%가 광고홍보활동을 통해 사이버대학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이것이 입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해 사이버대학의 광고홍보활동은 입학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태조사 결과는 사이버대학의 광고홍보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매체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Analysis of Various Influences and Factors on Academic Persistence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Lee, Ho Seub,Lee Suk Yoel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8 No.10

        Since the establishment of cybe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in 2001, there have been high societal expectations for these new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However, as the dropout rate for cyber universities is higher than standard four-year universities, matters of quality control are increasingly becoming an issue.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student numbers in cyber universities. Of the four-year cyber universities that conferred bachelor's degrees in 2013 and 2014, 17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continuity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cyber universities’ offline study halls and study support facilities’ locations, the level of university recognition, the rate of expanding teacher facilities, scale of enrolled students, level of competitiveness for university entrance for freshmen students, cost of education per student, scholarships per student, and the proportion of lectures appointed to full-time faculty against the enrollment rate of new students, the proportion of standard high school graduates which indicates the academic continuity of the freshmen enrollment rate, and the enrollment rate of the entire student body and dropout rate.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for university entrance for first year students and the proportion of lectures appointed to full-time faculty are factors with a positive effect, with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for university entrance for first year student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Such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making when students select a univers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yber universities' enrollment and continued learning, suggesting that after enrollment, academic experience has a relatively small influence on continued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yber univers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eaching as well as increase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students for students to choose cyber universities. There is a need for these two policy directions to be promoted simultaneously to improve the relevancy of programs offered by and demanded of cyber universitie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 개발 연구

        정영란 ( Young Ran Joung ),서윤경 ( Youn Kyung Seo ),장은정 ( Eun 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준거로서 사이버대학의 성과분석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은 총 1 여년의 연구 기간 동안 1차 연구에서 8단계의 검토 및 검증 과정을 통해 결과중심의 성과분석 1차 모형이 도출되었고, 2차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교직원과 원격교육 전문가의 중요도 검증을 통해 체제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성과분석 2차 모형을 정립하였다.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2차 모형은 크게 투입, 과정, 결과 측면으로 구분된다. 첫째, 투입 측면은 학생 영역에서 입학목적, 학습동기 수준, 학습자의 사전 지식 및 기술 정도로, 대학 영역에서 설립자본금, 교직원 규모, 예산, 시설/설비로, 사회 영역에서 설치 법령, 설립 승인의 제도화, 재정적 지원, 대학평가의 제도화로 구분된다. 둘째, 과정 측면은 6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교육과정 영역에서 개설 전공/교양강좌 규모 등의 2개 요소로, 강좌개발 영역에서 강좌 개발 지침 및 절차 등의 3개 요소로, 강좌운영 영역에서 강좌 운영 지침 및 절차 등의 6개 요소로, 교수지원 영역에서 교수지원 조직 등의 3개 요소로, 학생지원 영역에서 학생지원 조직 등의 5개 요소로, 시스템 영역에서 학사행정시스템 등의 4개 요소로 구성되었다. 셋째, 결과 측면은 학생 영역에 개인목표 달성 정도, 학업성취도, 학업 태도 등의 10개 항목, 대학 영역에 교육목표 달성 정도, 재학생 규모, 입학 경쟁률 등의 9개 항목, 사회 영역에 원격대학의 설립목적 달성 정도, 원격대학의 특성화, 졸업생에 대한 사회적 평가 등의 6개 항목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이 사이버대학 질 관리 체제의 토대가 되어 결과중심의 산출에만 치중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과 과정 측면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평가 준거를 통해 체제적인 성과분석 모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s to identify what the outcome of cyber university is, and develop the outcome-analysis model as a evaluation criteria of cyber university`s educational outcome.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was developed in the first research and modified in the second research covering about a year period. In the first research, the first model which was mainly focused on the output of cyber university was developed being processed by 8 steps of review and examination. In the second research, the second model which was based on the systemic approach was developed by means of verification on the importance by the faculty of cyber universities and the experts of distance education.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is composed of three aspects; input, process and output. Firstly, the input aspect is divided into students, university and social sectors. Secondly, the process aspect is divided into six sectors; curriculum, course development, course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learner support, and system. Thirdly, the output aspect is divided into students, university and social sectors. The outcome-analysis model of cyber university would be a basi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cyber university so that it ultimately includes not only output aspect but also the input and process aspects which affect on the output.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which is composed of comprehensive criteria could be used as a systemic outcome-analysis model for cyber university.

      • KCI등재

        국내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교육 현황:미국 대학에서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류은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The online education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echnology enabled learning through PCs and mobile dev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led to the launch of the cyber university. Unlike the past, where the expectation was that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ould be difficult to train online because the applied part is centered, online education has been spreading in the areas of design, applied arts,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In particular, applied music educ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onlin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pplied music department at three cyber universities in two years. The cyber universities’ applied music department, which is spreading like this, needs to build a curriculum specialized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however, most of the universities operate offline education curriculum as it is, and there are few references and researches to improve it until now. Therefore, I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domestic cyber universities, and studied the curriculum of Kyunghee Cyber University,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 Seoul Digital University, Seoul Cyber University, and Sejong Cyber University, which are capable of awarding a bachelor’s degree. We further explore the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in America that domestic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can benchmark and make suggestions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Valley City State University has an 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e in each region, and it also takes offline classes for remote students as an integral part of the program, and is conducting effective blended learning in a blend of online and offline. Berklee College of Music, on the other hand, has been using 100% online lessons to take advantage of online classrooms that are not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It is necessary for the domestic universities to apply specialized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such as applying it to the domestic situation with reference to this. 인터넷과 테크놀로지 발달로 인해 탄생하게 된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PC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고, 사이버대학의 출범을 이끌었다. 실무적인 부분이 중심이 되는 예체능 계열은 온라인으로 교육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디자인, 응용예술, 체육, 음악 등의 분야의 온라인 교육도 확산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실용음악학과는 2년 사이에 세 개의 사이버대학교에 신설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실용음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렇게 확산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학과에서는 온라인 교육환경에 특화된 커리큘럼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는 오프라인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옮겨놓은 형태로 운영하는 대학들이 대부분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참고자료 및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국내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고, 그 중 4년제 학사학위 수여가 가능한 경희사이버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실용음악학과의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나아가 국내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미국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을 조사하고 비교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밸리시티주립대학교(Valley City State University)에서는 각 지역에 연계교육기관을 두고 원거리 학생들에게도 오프라인수업을 필수적으로 수강하게 하여 온·오프라인의 융합적 형태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버클리음악대학(Berklee College of Music)에서는 100% 온라인으로 수업을 운영하여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수업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이를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는 등의 특성화된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 및 오프라인대학 학습자들의 사이버 강좌에 대한 반응과 학업성취도 차이

        김현숙 ( Hyun Sook Kim ),박은영 ( Eun Young Park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1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4 No.3

        These days, more and more students in offline universities take courses in cyber universities. While there are needs to differentiate the classes according to the students` backgrou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difference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offlin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yber clas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articip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sponses to class contents and management in two different groups. Offline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cyber university students, but they tend to focus on their final grades only while the latter use the online bulletin board as a pla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yber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satisfaction than offline university students. Offline university students are not accustomed to the administration of cyber classes. Though the results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classe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on and offline university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cyber classes for offlin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managed ta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 가이드라인 개발

        강수민(Soo-Min Kang), 이지은(Ji-Eun Lee), 서희정(Hee-Jeong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사이버대학이 평생학습의 주요 교육기관으로 성장함에 따라 사이버대학 수업의 맥락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개발에 대한 현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중 강의교안에 주목하였고,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방법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은 총 7단계의 절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오프라인 대학과 다른 사이버대학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정의에 기반 한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분석과 개발, 검증의 단계로 나누어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직원과 심층면담을 통해 강의교안 개발과 활용, 핵심 요소 등을 점검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3가지 설계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가이드라인의 지침으로 삼았다. 가이드라인은 수업의 서론과 본론, 결론에 필요한 요소와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의 기대효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실무진과 A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검증을 통해 최종 도출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실무진 심층면담을 통해 A 사이버대학의 강의교안 개발 현황과 제공의 필요성, 교수자의 강의 스타일과 교수학습요소의 관련성,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 사이버대학의 우수 강의교안 사례 분석을 통해 강의교안 설계가 도입-본론-결론의 큰 프레임을 기초로 과목별 특성과 내용, 강사 및 교수 설계자의 의도, 구현 전략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의교안 개발 가이드라인의 교수학습요소와 프레임 도출의 근거가 될 수 있도록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의 설계 전략 3가지를 도출했다. 셋째, 수업의 도입과 본론, 결론의 각 영역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그 정의,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대하여 사이버대학과 온라인 강의를 주로 활용하는 평생교육기관에 주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As cyber university grow into a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 for lifelong learn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ele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nsiders the context of cyber university cla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urse content among the supporting ele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reveal practical ways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s adult learner through guidelines. Metho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guidelines was carried out in seven steps. First,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offline universities and other cyber universities, and a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Next, the guideline content was organized into stages of analysis,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A Cyber University staff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plans and key elemen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ree design strategies were establish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and main body of the class, the necessary elements and writing methods for the conclusion, and the expected outcome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se guidelines were ultimately validated by the staff and instructors at A Cyber Univers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findings emerged.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it was discover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course plan development and the need for provision at A Cyber University were related to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teaching-learning elements, and the necessity for guideline development strategies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dditionally, an analysis of exemplary lecture plans from A Cyber University revealed that the lecture plan design could be compo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each subject, the intentions of the lecturer and instructional designer, and the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overall structure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Second, three strategies for designing lecture plans aimed at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were derived,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nd framework for the lecture plan development guidelines. Third, the final guideline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elements to be included in each area of the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class, their definitions, writing methods, and expected effects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mainly utilize cyber universities and online lectur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이버대학 GUI의 시각적 특징연구

        김진영(주저자) ( Jin Young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9 No.-

        지금까지 대학은 ‘교육’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가 되어왔다. 오랜 기간 대학의 순위평가에 기반한 암묵적인 선택요인이 쉽게 바뀌지 않고 행동적인 충성도가 지속된다는 측면에서 개별대학에 대한 인식이나 지각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부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버 상에서의 대학은 같은 조건이라는 장점과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여러 사이버 대학들은 교육 품질을 개선하려는 본연의 역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학교에 대한 애착을 강하게 갖게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은 통폐합의 과정 내에서 그동안 구축해놓은 브랜드를 활용해야하며, 스마트시대를 맞아 사이버대학은 브랜드서비스의 특징이나 장단점을 분석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이버대학의 개념과 유형, 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고 브랜드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관점에서의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내용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로 분류한 후 그 하위 요소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모(母)대학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의 연장선상의 이미지와 미래비전과 스마트환경의 교육특성을 부각시키는 이미지로 최적화 시키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사례분석의 대상은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원격대학종합평가1)의 종합부문에서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된경희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로 하였다. Until now, universities have been studied in the standpoint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tacit selection criteria based on university evaluation rankings hasn``t been easily replaced, and behavioral loyalty has been continuing. With this in mind, studies about awareness and perception about individual universities have never been considered seriously. However, cyber based universities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which is both an advantage and a disadvantage. As such, many cyber universities are increasing efforts to increase attachments people feel towards the university through naturally improving not only the quality of education but also through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he brand that the university has set forth. Recently, universities going through merger has been focused on utilizing the brand in place, and with the ``smart`` generation, it``s increasingly important to analyze and manage the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brand service for cyber universities. The following study analyzes literature materials to consider the changing concept, type, and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Afterwards, interface design that could improve the brand image was first divided into content or visual characteristic category,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bove mentioned categories. Results show that extending the parent universities`` identity through image, future vision, and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environ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optimal choice. A notable case analysis were selected to be Kyunghee Cyber University, Seoul Cyber University, and Hanyang Cyber University which were selected as ``best`` university under general category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partment``s comprehensive evaluation report in 2007.

      • KCI등재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문태은(Tae-eun Moon),문형남(Hyung Nam Moon)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8 지능정보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evaluation on domestic cyber University web site to analyze web usability and web accessibility in order to present how much cyber University provides various personalized services and qualitative contents to users on web site. And also with this result, I hope to contribute in qualitative development of web site and reliability of remo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developed checklist suitable to remote University by applying SM-ABCDE assessment method of Moonhyeongnam, the professor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implemented evaluation on web sites of 17 cyber University over the five aspects of attraction, business, contents, design, and engineer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usan Digital University was best in the respect of attraction, both Kyunghee Cyber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ere best in the respect of business, Kyunghee University was best in the respect of contents, and Hanyang Cyber University was best in the respect of design. It was also evaluated in the comprehensive view and the order was found that Kyunghee Cyber University, Busan Cyber University, and Hanyang Cyber University. However in the respect of engineering, it came out that all the sites did not observe the regulation on web accessibility. If domestic Cyber Universities are to observe the regulation on web accessibility with the long term view, on the base of this study, web usability would be increasing. Then they can secure various classes of customers as well as ordinary people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take the real plac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rienting the most advanced educational method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o advance in themselve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질 관리 현황 평가 및 질 관리 개선 방안

        정영란,장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3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사이버대학의 질적 제고를 위해 요구되는 질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 재학생 1,741명 및 교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질 관리 현황을 평가하여 「사이버대학 종합 질 평가 지수 (CU_QPI, Cyber University Quality Performance Index)」로 제시하였으며,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 현황 평가 결과에 대한 Portfolio Matrix분석을 통해 유지관리 영역, 소극적 관리 영역, 개선제고 영역, 중점 개선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육(76.47점)>조직(76.21점)>물적(75.21점)>인적(75.06점)의 순으로 질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교직원의 경우는 교육(78.53점)>조직(77.92점)>인적(76.72점)>물적(76.61점)의 순으로 평가하여 교육체제 및 조직체제에 대한 평가에 대한 순위는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IPA분석을 통해 중점개선 항목과 개선 제고가 필요한 항목을 검토하여 교육체제(교육과정 인증제, 수업콘텐츠 인증제, 학업평가제도 개선), 물적체제(디지털도서관 확충, 고도화된 이러닝 시스템), 인적체제(교수학습개발센터의 구축, 취업지원서비스 강화, 체계적인 직원능력계발 프로그램), 조직체제(질 관리 전담조직 구축, 사이버대학에 특성화된 대학조직 체계)에 대한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the quality of cyber university and suggestions of improving the quality management for cyber universities. We analyzed current states of cyber universities’ quality management by conducting the survey, including 1,741 enrolled students and 200 faculties and administrative staffs. We developed the quality evaluation index 「CU_QPI(Cyber University Quality Performance Index)」 from the survey. As a result, students evaluated the quality performance in order of Software(76.47), Organizational(76.21), Hardware (75.21), Humanware(75.06) system. Faculties and staffs evaluated the quality performance in order of Software(78.53), Organizational(77.92), Humanware(76.72), Hardware(76.61). And also we made suggestions of strategies for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of cyber university in domains of software(Accredit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 instructional contents, Improving educational evaluation), hardware(Expansion of digital library, Advanced e-learning system) humanware(Establishment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Expansion of job recruiting service, Systemization of staff development programs), and Organizational(Establishing quality management organization, Systemizing cyber university’s own institution organization) system. These suggestions was derived from lists of ‘strongly improvements needed’ items & ‘improvements needed’ items through IPA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