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에 문화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고은교(Eun-Kyo Ko),신수경(Su-Kyu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할 다문화 교수행위와 관련하여 예비보육교사가 지닌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문화역량의 주요 요인인 자기 및 타인문화 가치인식에 대한 요인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에는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자신도, 자기·타인의 문화 가치인식,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등의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G시에 소재하는 N, H, K 등 3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및 사회복지학과에서 보육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이수과정 학생 중 4학년 여학생인 예비 보육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2인의 연구자가 본 연구의 취지를 직접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부ㆍ수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으며,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문화 가치인식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문화가치인식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자신도와 자기문화 가치인식 수준을 높임으로써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self-confidence of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ctors on self and other cultural value recognition,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The study model included factors such as interaction self-confid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cultural value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214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are senior students taking a course for childcar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from Child Education Department and Social Welfare Department at N, H, and K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 a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elf cultural value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However, other s cultural value recogni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is, this study secured the grounds of the basic data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inter 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by raising the level of interaction self-confidence and self-cultural valu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후보

        SNS 유형과 사용자 인지심리특성 간의 관계를 통한 소셜 문화 건전성 탐색

        천홍말(Cheon, Hong-Ma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과 SNS 유형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소셜문화(social culture) 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을 자기감시성,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고립감의 5개 변수로 놓고, 이들 변수들과 SNS 유형 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으며, 소셜 문화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SNS유형 중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자기감시성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감시성이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일련의 자기표현관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트위터, 페이스북의 사용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지나친 자기감시적 과잉반응을 순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확대해석과 과잉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적 메커니즘의 개선을 통해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SNS유형 중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기효능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이 희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자기신념이라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자기효능감에 경도되어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경시하거나 의도적으로 호도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용이한 의사소통 메커니즘의 제공을 통해 참여자들 간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SNS유형 중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제한적으로나마 사회적 고립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고립감이 개인의 주관적 상실감과 무력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상대적 상실감과 무력감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인의 참여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SNS유형 중 어느 것도 집단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노출될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집단효능감이 자기가 속한 집단을 통하여 희망하는 업무수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고,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긍정적 신뢰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 단계 대학생들의 SNS 참여는 어떤 기대나 의사를 관철시킬 목적보다는 자유로운 개인의사표현과 부담 없는 의사소통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성의 표현, 독특한 아이디어의 공유 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ealthy social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To this end,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the type of SN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 this rega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cludes five variables, such as self-monitoring,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isolation. And then, the type of SNS includes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Youtube, Kakao Talk and Blog. In order to draw conclusion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method, and i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four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spec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monitoring may be exposed on Twitter, Facebook users.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overly self-monitoring overreaction that can be seen on Twitter, Facebook is in the process of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ay be exposed to Kakao Talk, YouTube, blog users. It was predicted to be able to commit the mistake to disregard the opinion of other people, or deliberately mislea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 to support the social cultural integrity by supporting themultidimens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of Youtube, blogs may be exposed to the social isolation.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echanism, so that it can be enlarged the individual involve. Fourth, it was not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likely to be affected in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esteemto any of the SNS type.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ed to supportmore freely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are idea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과 SNS 유형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소셜문화(social culture) 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을 자기감시성,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고립감의 5개 변수로 놓고, 이들 변수들과 SNS 유형 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으며, 소셜 문화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SNS유형 중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자기감시성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감시성이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일련의 자기표현관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트위터, 페이스북의 사용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지나친 자기감시적 과잉반응을 순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확대해석과 과잉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적 메커니즘의 개선을 통해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SNS유형 중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기효능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이 희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자기신념이라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자기효능감에 경도되어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경시하거나 의도적으로 호도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용이한 의사소통 메커니즘의 제공을 통해 참여자들 간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SNS유형 중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제한적으로나마 사회적 고립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고립감이 개인의 주관적 상실감과 무력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상대적 상실감과 무력감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인의 참여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SNS유형 중 어느 것도 집단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노출될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집단효능감이 자기가 속한 집단을 통하여 희망하는 업무수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고,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긍정적 신뢰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 단계 대학생들의 SNS 참여는 어떤 기대나 의사를 관철시킬 목적보다는 자유로운 개인의사표현과 부담 없는 의사소통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성의 표현, 독특한 아이디어의 공유 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ealthy social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To this end,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the type of SN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 this rega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cludes five variables, such as self-monitoring,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isolation. And then, the type of SNS includes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Youtube, Kakao Talk and Blog. In order to draw conclusion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method, and i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four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spec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monitoring may be exposed on Twitter, Facebook users.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overly self-monitoring overreaction that can be seen on Twitter, Facebook is in the process of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ay be exposed to Kakao Talk, YouTube, blog users. It was predicted to be able to commit the mistake to disregard the opinion of other people, or deliberately mislea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 to support the social cultural integrity by supporting themultidimens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of Youtube, blogs may be exposed to the social isolation.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echanism, so that it can be enlarged the individual involve. Fourth, it was not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likely to be affected in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esteemto any of the SNS type.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ed to supportmore freely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are idea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양선이(Sun-Yi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30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도구들을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결과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중간수준(자기 효능감: M=3.0, SD=0.38; 문화적 역량: M=2.8, SD=0.5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학년이 높을수록 외국인 친구가 있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상관성(r=.394, p <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301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er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and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Result: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moderate levels (Self-efficacy: M=3.0, SD=0.38; Cultural competency: M=2.8, SD=0.55). And the nursing students who have higher grade and foreign friend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r=.394, p .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need to enhance cultural exchanges and self-efficacy to reinforce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횡문화간호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

        이규은 ( Kyu Eun Lee ),김남선 ( Nam Sun Kim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7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2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competency, empathy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transcultural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504 nursing students in G and C provinc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transcultural self-efficacy was 5.99±1.25 out of a possible 10. Transcultural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ural competency (r=0.45, p<0.001) and empathy (r=0.25, p<0.001).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ultural skills, perspective taking,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30.1% of transcultural self-effica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self-efficacy.

      • KCI등재

        중소기업 구성원의 문화지능과 개인 주도성이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호혜성과 신뢰의 매개효과

        박종범,서영욱 한국유통경영학회 2022 유통경영학회지 Vol.25 No.5

        Purpose: How can creative ideas be realized by increasing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members? The question is for research purposes. After identifying the importance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most needed f or SMEs,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S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cross the country and received 200 questionnaires. Based on the final 186-part questionnaire data faithfully completed, research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cultural intelligence and Personal initiative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reciprocity and trust using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SPSS 23.0 and SmartPLS 3.0 Results: First, metacognitive cultur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reciprocity, but a nega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trust was confirmed. Second, motivational cultural intelligence confirme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reciprocity an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trust. Third, Personal initiative also confirme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reciprocity, and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rough trust. Implica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research on cultural intelligence targeting foreigners with cultural differences is concentrate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research on cultur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on members of domestic SM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다문화 수용성과 범문화 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변혜선 ( Hye Sun Byun ),박미경 ( Mikyung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0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on cultrual competency among nurs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ranscultural self-efficac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of 136 nurs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otal mean scor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4.24±0.51 out of possible 6, Total mean scores of transcultural self-efficacy was 2.65±0.35 out of possible 4, Total mean scores of cultural competence was 5.04±0.71 out of possible 7. Cultural competence wa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0.61, p<0.001), transcultural self-efficacy (r=0.71, p<0.001).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ranscultural self-efficacy, ag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articip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61.2% of cultural competen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development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for nurs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

        조미경,장혜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문화간호 자신감, 문화적 역량에 대한 자가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11월 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97세(SD=2.00)이었고 외국어 능력과 문화간호 자신감의 평균 점수는 각각 4.98점(SD=1.72)과 4.66점(SD=1.89)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79.32점(범위 59-102)이었고, 공감능력의 평균 점수는 107.56점(범위 61-141)이었으며, 문화적 역량의 평균 점수는 122.17점(범위 69-201)이었다.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 자신감(r=.403, p<.001), 자기효능감(r=.227, p<.001)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간호 자신감, 외국거주경험, 자기효능감이었고 총분산의 24%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수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8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E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of self-efficacy, empath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and cultural competency from 2nd November to 13th December in 2013. Th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software.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0.97 (SD=2.0) years and the average score of foreign language skill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was 4.98 (SD=1.72) and 4.66 (SD=1.89), respectively. Mean self-efficacy score was 79.32 (range: 59-102), mean empathy score was 107.56 (range: 61-141), and mean cultural competency score was 122.17 (range: 69-201).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403, p<.001), a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r=.227, p<.001). Twenty-four percent of cultural competency was explained b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esidence experience in foreign countr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문화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이권일(Gwon Il Lee)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5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위기개입기술의 매개효과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문화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신체적 효능감, 정신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감으로 측정되었고, 문화적응성은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 등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위기개입기술은 위기개입 사정, 위기개입 절차 및 요소, 위기개입 행동전략 등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위기개입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위기개입기술은 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위기개입기술의 매개효과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문화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self efficacy on the cultural acceptability in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mediation effects of risk intervention procedure. Physical efficacy, mental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were used as proxy for the self efficacy. Assimilati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were used as proxy for the cultural acceptability. And also risk intervention process, risk intervention procedure and factor, and risk intervention behavior strategy were used as proxy for the risk intervention technique. Based on the analysis of three hundred North Korean Defenders cases using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 efficacy have not a influence on the 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the self effica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isk intervention technique. Third, risk intervention techniqu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ltural acceptability. Forth, the self efficacy have a influence on the 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of risk intervention technique.

      • KCI등재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상담자 자질의 관계: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현아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d a model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was expected to be mediated by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for a sample of multi-cultural staffs(N=168). Ahn et al's(2012) The revised Koran Multi-Culturalism Inventory(KMCI), Sheu & Lent's(2007)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Scale-Racial Diversity Form(MCSE-RD), Gamst, et al's(2004) Califor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CBMCS) for multi-cultural staff was used to measur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Also, the link between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lso completely mediated by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efficacy.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다문화상담자 자질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다문화상담자로서의 역량강화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 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상담경험 1년 이상인 전국의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 16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고, 연구도구는 안상수 등(2012)의 다문화수용성 척도, Sheu와 Lent(2007)의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 척도, Gamst 등(2004)의 다문화상담자 자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의 다문화상담자 자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상담자 자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매개변인인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을 통해서 다문화상담자 자질에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상담자 자질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상담자 자기 효능감이 다문화상담자 자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다문화상담자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문화상담자로서의 자기 효능감 증진이 갖는 의미와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Ju Yeon LEE)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7 상담심리교육복지 Vol.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한국 사회에서 일방적으로 동화될 것을 요구받고, 일차적인 생활공간을 가정영역으로 제한받는 상황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정 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G시와 A시에 거주지를 둔 다문화가정 여성 1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산출, 빈도와 백분율,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기효능감,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는 결과 자기효능감과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 간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결과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여성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기효능감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an effort was made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required to assimilate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unilaterally and whose primary area of life is limited to family area as subjec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between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For the purpose, 185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reside in G city and A city of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as research target,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of self-efficacy, family health, and ego-resilienc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r self-efficacy, family health, and ego-resiliency of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Second, whe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family health was examined,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amily health, and the higher is self-efficacy, family health that is perceived by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lso turned out to be higher. Lastly, in the effect that self-efficacy has on family health, it turned out that ego-resilien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in the effect that self-efficacy of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on family health,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ego-resiliency serves as a mediator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