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ritical Literacy in the EFL Classroom : Evolving Multiple Perspectives Through Learning Tasks

        Jun-min Kuo 아시아영어교육학회 2014 The Journal of Asia TEFL Vol.11 No.4

        This paper explores an English learning activity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literacy; the activity addressed the explo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through a picture book and different learning tasks. In particular, it integrated students’ language learning with their personal experiences. The class consisted of 34 college freshmen, all non-English majo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How did the students respond to an activity design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2) How did the students compare their learning in this activity to their prior experience? Data included classroom observations, students’ artifacts and assignments, their reflection papers, and follow-up interviews with student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is activity led students to assume the role of social agents. They developed a critical stance, investigated multiple perspectives, and re-examined their familiar world. In addition, adopting the role of language learners, students formed critical responses to the activity; three themes recurred with regard to classroom materials, topics, and tasks. To sum up,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ritical literacy merits more attention and implementation in Taiwan if we hope to help students cultivate a critical competenc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our language skill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의 읽기⋅쓰기 통합 과제 분석

        오세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2 No.-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reading-writing integrated tasks in writing textbooks of the university whether they are organized to enhance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essenc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era in 21st century and the goal of general education. For this, it analyzes the goal and development principle of the textbook in the preface, the goal and procedures of reading-writing integrated tasks from 4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middle and late 2010s contain reading-writing integrated task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reading-writing integrated tasks in the above textbooks do not integrate reading activities and writing activities to induce critical thinking such as interpretation, inference, analysis and evaluation. And reading tasks simply introduce a subject or only present content knowledge about the subject as previous steps for writing tasks. Also, because the goal of writing tasks are not connected to authentic goal of communication enough to develop writing ability in the authentic communicative situation. Although the communicative essence of writing is in the interactive activities with a goal, writing tasks do not suggest any task which makes learn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ader nor procedures for interactive tasks with teacher or students and therefore, can not enhance these abilities. Writing textbooks which will be developed from now should overcome these problem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재의 읽기·쓰기 통합 과제가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 능력이자 교양 교육의 목표이기도 한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조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2010년대 중후반 이후 출판된 교재 중 읽기·쓰기 통합 과제가 제시되어 있는 4종의 글쓰기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머리말에 나타난 교재의 목표와 개발 원리, 읽기·쓰기 통합 과제의 목표와 활동 및 활동 절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교재의 읽기·쓰기 통합 과제는 해석, 추론, 분석, 평가의 비판적 사고를 유도해 내도록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을 연계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과제는 쓰기 과제를 위한 전 단계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단순히 주제를 도입하거나 주제에 대한 내용 지식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었다. 또한 쓰기 과제의 목표가 실제의 의사소통적 목적과 연계되지 않아 쓰기 능력을 기르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쓰기의 의사소통적 본질이 유목적적인 상호작용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독자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활동이나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통해 독자를 고려한 쓰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절차가 전혀 제시되지 않아 쓰기 과제를 통해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어려워 보인다. 향후 개발되는 글쓰기 교재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

        임재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que of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is a fundamental issue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imation & webtoon. Such research projects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organizations, including related academic associations. As a fusion science and composite art that applied the human-society, science-technology, culture-arts, the need and purpose of systematically exploring the study according to academic and artistic genres has emerged. First,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the period circle, the king's control, an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era, and applied with the criticism tasks. It was identified as an ancient, middle-aged, modern, and modern Web-image history by integrating it with world history in the long and close relationship of the times, the ruling system of the royal ruling forces, and the history course of the education ministry. Secon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social and scientific stages, economic development stages, and subject categories to determine critical tasks. In ter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history of the field was divided into ancient, traditional, and modern, with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ir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scientifically researched into the classification of prehistoric archaeological, geology, and anthropological periods. Stoneware by archaeological remains → Bronze Age → Iron Age and Paleozoic Era → Mesozoic → Neoclassical Phase. We explored the period by dividing it into plants and animals in stratified fossils, modern humans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phenomena. Fourth,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were applied to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ith cultural and artistic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and industrial convergence technology. We extracted content such as cultural garden-style storytell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events and mythological leg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 reproductions of screenings, game character products, learning contents, Finally, Web-imagists sought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in the humanities-society, science-technology, and cultural-artistic fields as a comprehensive art in all academic fields. However, the history of cartoons could not be developed in detail and analytically, so many logic was summarized by reference and diagram, but did not elaborate. It is hoped that cartoon research will be activated by presenting as a draft proposal of Korean Web-image chronology and critical research tasks. 만화영상이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 등을 응용한 융합과학과 복합예술로서 학문적 영역과 예술적 장르에 따라 세계사와 한국사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시대구분의 탐구가 필요하다.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는 만화영상의 연구개발에 관한 당면한 현안과제이다. 첫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인문학적으로 시대원근, 왕조정권, 역사교육적 시대를 구분하고 비평과제를 준용하였다. 시대의 멀고 가까움과 왕권 지배세력의 통치체제와 교육부의 역사교과과정에 세계사와 통합하여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일반적인 만화영상사를 규명하였다. 둘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사회과학적으로 사회발전단계, 경제발전단계, 주제분류로 시대를 나누고 비평과제를 가름하였다. 사회경제 발전적 측면에서 고대적→봉건적→근대시민적 사회발전단계와 원시공산→고대노예→중세봉건→자본주의→사회주의의 경제발전단계 그리고 사회사·문화사·정치사·경제사의 특정분야적인 만화영상사를 고찰하였다. 셋째, 한국만화영상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선사 고고학ㆍ지질학ㆍ인류학적 시대구분을 모색하고 비평과제를 탐구하였다. 고고학적 잔존물에 의한 석기→청동기→철기의 선사시대로부터 유사시대까지와 지질학적 현생누대의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단계에 지층 화석에서의 동식물과 현생인류 그리고 인류학적 문화 현상의 만화영상사를 탐색하였다. 넷째, 한국만화영상사를 문화예술적으로 문화원형적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적 융합기술로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적용하였다. 문화예술과 관련한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적 전통문화, 역사사건, 신화전설 등의 콘텐츠와 상영공연물, 게임캐릭터 제품, 학습물 콘텐츠 등의 재현 그리고 문화산업적 기술을 융합한 만화영상사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만화영상이 모든 학문 영역의 융합과학과 다양한 예술 분야의 종합예술로서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만화영상사를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여 많은 논리를 참고 도표로 집약하였으나, 엄밀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만화영상의 역사적 특수성과 세계만화영상사의 보편성과 통합한 만화영상사 연표와 비평적 연구과제를 시안으로 제시하여 만화영상사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대화의 유형이 과제수행 및 수행 후 정서에 미치는 효과

        조민주,정영숙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2

        The current study was examined effects of the type of self-talk on task performance, task-post emotion, and perceived stress. Participants were 100 undergraduates in Busa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combined person condition (first-person versus non-first-person) and content condition (self-reinforcement versus self-criticism) to measure in their responses pre and post-intervention. For the analysis, we performed two-ways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difference value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content condition of self-talk significantly influenced task performance, task-related confidence, emotion, perceived stress. That is, self-reinforcement self-talk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higher task-related confidence, more positive emotion, lower negative emotion and less perceived stress than self-criticism self-talk group. Contents of self-talk interacted with person of self-talk to predict perceived stress, indicating that only non-first person/self-reinforcement self-talk group reduced perceived stress.

      • KCI등재후보

        ‘비판적 담화 분석’ 교수 모델에 근거한발표 수행 결과-경영학부와 자원환경공학과 신입생의 <말과 문화> 수업 사례 보고-

        김성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사고와표현 Vol.8 No.3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수업에서 새로 개발한 ‘비판적 담화 분석’ 발표 과제의 절차와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분석 대상은 주 1회 2시간씩으로 운영된 <말과문화> 수업에서 기말 과제로 수행된 ‘발표’ 수행 결과물이다. 본 과제에서 학생들은 대학 신입생이 학술 담론 주체로서 ‘생산적 시민, 분별력 있는 문화 소비자, 권위를 존중하는 학생’으로 훈육되어온 교육 환경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질의응답 과정을 통해 청중으로부터 발표 내용의 타당성을검증 받는 절차를 수행하였다. 발표 수행 평가 점수는 과제 분석, 발표 준비, 발표 수행 등 발표 능력의 3개 하위 범주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역순 설계(Backward design) 교수 절차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있다. <의사소통> 관련 연구자가 도구적 교과목으로서의 실용성 제고나 매개 학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관련 수행 과제를 개발할 때에는 타당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 본 연구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 발표 과제를 구성하면서 참조한 역순 설계(Backward design) 방식은, 교수자와 학생이 서로 협의하여수업의 최종 목표에 도달하는 정도를 측정할 평가 준거를 먼저 설정하고 과제 수행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내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표 과제의 수행절차와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이 이후 다른 수행 평가 과제를 설계하는 데에 참조되기 바란다. In this paper,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a newly developed presentation task were analyzed which had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communication class. In this class, students thought deeply and analyzed critically concern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 which has provided the standard curriculum. The goal of the educating in university is to make each of students as a “productive citizen, sensible culture consumers, tamed subordinates respecting authority”. The result score of the presentation h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ree sub-categories of presentation skills such as the task analysis, presentation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performance.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specific teaching process, so call as Backward design.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 teacher and students discussed to se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presentation which is represented the final goal of the lesson. During the semester, students kept in mind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have selected by themselves. This procedure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eaching module; first perform, later evaluation and feedback.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is case study will be helpful to design the other valuabl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 KCI등재

        자기비난 수준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의 차이

        정현희,조현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cognitive flexibi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riticism through experimental procedures. A total of 57 students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core of above 24 and a score of under 17 for FSCRS were assigned each a high self-criticism (HG) group and a low self-criticism (LG) group, respectively.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of task-switching using task paradigm (TS), to measure cognitive flexibility. The TS presented that, the greater the switch-cost people got, the less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y ha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G group had better task performance than the LG, although differences in switch-cost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valence, the switch-cost for negative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G. This means that cognitive flexibility can be reduced when groups with high self-criticism are exposed to negative stimuli.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비난 수준에 따라 인지적 유연성에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K지역의 대학생으로 실험 참여에 동의한 57명이다. 참여자 모집은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배포된 홍보지의 큐알코드에 접속, 연구 참여에 동의한 후 설문에 응답하여 이루어졌다. 실시된 자기비난/자기공격과 자기위안 형태척도의 절단점 자기비난 24점을 기준으로 자기비난이 고집단과 17점의 저집단으로 구분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지적 유연성의 측정을 위해 과제전환의 패러다임을 활용하였고, 한 시행에서 다음 시행으로 넘어갈 때 동일한 규칙으로 과제수행을 하면 반복시행, 다른 규칙으로 과제수행을 하면 전환시행이라고 한다. 이때 전환시행에서 반복시행을 뺀 값을 전환비용이라하며 이 값이 클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실험에서 활용되는 단어자극은 사전에 생물/무생물, 긍정/부정에 대해 평정을 진행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연습을 통해 실험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시작하였다. 연구결과,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과제 수행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전환비용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자극의 정서가에서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부정 단어에 대한 전환비용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비난 고집단이 부정적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인지적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다중 사례 분석을 통한 BPM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호(Sung-ho Lee),이정훈(Jung Hoon Lee),전호진(Ho Jin Je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1

        최근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업외부의 환경에 따라 기업의 민첩성(Agility)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ㆍ외 기업들은 체계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 중심의 경영을 통한 최적의 운영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BPM 도입 후 IT솔루션이라는 한정적 개념으로 인식하고 실패하는 사례들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술적 관점의 체계적인 BPM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ynamic Capability(동적역량)와 Task-Technology Fit(과업-기술적합도) 이론에 근거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BPM 도입 및 활용을 위한 핵심성공요인(CSF)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이론을 바탕으로 도출된 CSF들을 실증적을 분석하기 위해 BPM을 도입한 세 개의 국내 기업에 대해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향후 BPM을 도입한 국내기업들에게 제시한 CSF들을 성과지표로 참조하고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innovative management tool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has begun to reorganize business processes to enhance firms’ operational performance. As practitioners have identified a number of failed BPM projects, research has begun to consider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successful BPM implementation. However, these research works have not yet been properly theoretically grounded in being able rigorously to classify and then compare different BPM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us to identify a theoretical basis for BPM implementation. The paper proposes a combined theoretical framework of dynamic capability and task-technology fit to identify CSFs for BPM. This basis is then used to interpret three different case studies of BPM implementation in Korea.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 분석

        이미영,박미정,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y tasks include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sampled 3 kind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selected activity tasks contained in the textbooks, and classified them by type. A total of 93 activity tasks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9 questions on critical thinking prepared based on Kim Young-jung’s ‘9 Elements and 9 Standards of Critical Thinking.’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activity tasks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was 66.8, which was not high enough to induce learners’ critical thinking. Among the sub‐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the score was high in order of argumentative thinking (83.9), analytical thinking (78.1), and dialectic thinking (38.3). As in the results, the activity tasks were particularly inadequate for inducing dialectic thinking.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uni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units. Activity tasks in Units ‘Adolescents’ Self‐management’ (77.8), ‘Adolescents’ Consumption Life’ (75.2), and ‘Adolescents’ Sex and Peer Relationship’ (71.1) induced critical thinking more effectively than those in other units, but activity tasks in Units ‘Clothing and Self‐expression’ (61.4), ‘Adolescents’ Development’ (60.0), and ‘Adolescents’ Nutrition and Meals' (59.6) were inadequate for inducing critical thinking.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ccording to activity task type, the level was high in order of 'Inquiry Activities' (75.7), 'Discussions' (74.6), 'Practical Activities' (65.4), and 'Trials' (50.7),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at is, among activity task types, 'Inquiry Activities' were most effective in inducing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Trials' were least eff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에 제시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가정」교과서 3종을 표집하고, 이 3종의 교과서 전개 부분에 수록된 활동과제를 선별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93개의 활동과제 분석을 위해 김영정(2005)의 ‘비판적 사고 9요소 9기준’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를 위한 9개의 문항을 개발하여 분석의 준거로 사용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출판된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서 중 임의로 표집된 3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활동과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은 총점이 66.8점으로 나타나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의 하위 범주별로는 논증적 사고(83.9점), 분석적 사고(78.1점), 변증적 사고(38.3점) 순으로 나타나, 특히 변증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이 단원별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의 자기관리(77.8점)’, ‘청소년의 소비생활(75.2점)’,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71.1점)’ 단원의 활동과제는 다른 단원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를 잘 유도하고 있는 반면, ‘옷차림과 자기표현(61.4점)’, ‘청소년의 발달(60.0점)’, 그리고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59.6점)’ 단원의 활동과제는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 수준이 탐구활동(75.7점), 토의ㆍ토론(74.6점), 실천활동(65.4점), 해보기(50.7점) 순으로 나타나 활동과제 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활동과제 유형 중에 탐구활동 유형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는 가장 효과적인 반면, 해보기 유형은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Investigating the Role of Task Value, Surface/Deep Learning Strategies, and Higher Order Thinking in Predicting Self-regulation and Language Achievement

        Ali Asghar Ghasemi,Hamid Reza Dowlatabadi 아시아영어교육학회 2018 The Journal of Asia TEFL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e role of task value (drawn from expectancy-value theory), surface/deep learning strategies, and critical thinking for predicting language learners’ selfregulation and ultimate language achievement in a single framework. To this end, 190 participants, majoring in English at bachelor’s level at a state university in Iran, were selected based upon convenience sampl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both motivational and cognitive componen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anguage achievement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ask value is a positive predictor of deep/surface learning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which provides evidence tha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value of a task, directs learners to choose more appropriate self-regulation strategies to monitor their process of learning and structure their own cognitive manner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critical thinking predicts improvement in language achievement. Theoretically speaking, it has been argued that the ability to critically analyze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e information enables learners with advanced proficiency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learning process, be further dedicated to their tasks, an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engaged in learning strategies, therefore making more successful learners. Finally, the implication for teachers and policy makers is discussed.

      • KCI등재

        초등중학년의 읽기 학습 과업

        이성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5 No.-

        Every students has to achieve adequate learning-task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Reading learning-tasks are changed gradually :'decoding → fluent reading → literal reading → searching and reading →critical reading → cooperative reading → creative reading. Reading learning-tasks of midd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fluent reading’, ‘literal reading’ and ‘searching and reading’. ‘fluent reading’ is consecutive task that is continued from previous stage. Literal reading is core task that has to be obtained in middle elementary school stage. Searching and reading is introducing task that is treated in first. Reading learning-tasks described simply are especially valuable in practical education situation. Those things show the aim of educational activities to students and teachers. And those things assist to communicate from school inspector to teacher to students to parents of students. And reading learning-tasks described simply are valuable in embodying and ordering hierarchically the curriculum. 학생들은 성장을 해 가는 각 단계에서 적절한 학습 과업을 달성해야 한다. 읽기학습 과업은 ‘해독하기 → 유창성 높이기 → 수용적 읽기 → 찾아 읽기 → 비판적읽기 → 협력적 읽기 → 창조적 읽기’의 순서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 중에서 초등 중학년의 학습 과업은 유창성 높이기, 수용적 읽기, 찾아 읽기의세 가지이다. 유창성 높이기는 앞 단계에서 이어져 온 지속 과업이고, 수용적 읽기는중학년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핵심 과업이며, 찾아 읽기는 충학년 단계에서 처음으로 학습을 시작하는 도입 과업이다. 이처럼 단순하게 명시된 읽기 학습 과업은 교육의 실제 장면에서 특히 유용하다. 교사와 학생에게 교육 활동의 지향점을 명료하게 보여줄 뿐 아니라 장학사-교사-학생-학부모로 이어지는 교육 당사자들 서로 간의 명료한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되기때문이다. 그리고 명료화된 학습 과업은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구체화하고 위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