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2018년 헌법 개정의 경과와 주요 내용 고찰

        김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1

        The constitution constituting the core of a state’s legal system is called as the basic law or the fundamental law of a state. This is the same in China, which is a socialist state. However, the People’ Republic of China, which was founded in 1949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a party-state system. In other words, it is the political system of dominating state and society based o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that sens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China reflects <Party Constitution> decided during conference of the Communist Party and it is the process to ratify a series of reforms. Until now, since the status of constitution in China remained at identifying ideology and polic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s state norms, constitution has been unable to perform its role as the basic law and the fundamental law. However, since ruling by the law and ruling by constitution have been emphasized ever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Xi Jinping, the importance of constitution is drawing much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gress last year and the analysis of the main contents. The fifth constitutional amendment in 2018 takes partial amendment form in the form of the fifth amendment of <The 1982 Constitution> but there has been major changes which may compare to entire amendment when referring to significance of amendment content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2018 took place in all 21 clauses and the main contents were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s including Chinese characteristic socialism ideology in new Xi Jinping era, abolition of term limit of president and vice premier,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upervisory Committee, granting legislative power to city divided into districts, and reorganization of constitution and law commission. A significant portion of this study merely examined main contents and normative meaning of Chinese constitutional amendment. However,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should be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continuous changes of Chinese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and Chinese constitu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The 2018 Chines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conducted in 14 years in the year celebrating the 40th anniversary of 1978 Chinese reform and opening. In particular, it is assessed to be a significant legal reform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materializing ‘revival of China’ and ‘China Dream’ during the second term of the Xi Jinping reign (2018 2023). 한 국가의 법체계에서 가장 핵심을 이루는 헌법(宪法)은 국가의 기본법(基本法) 또는 근본법(根本 法)으로 불린다. 이는 사회주의 국가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중국공산당의 주도로 1949년 건설된 중화인민공화국은 당-국가체제(党国家体制, Party-State System)다. 즉 중국공산당을 중심으로 국가와 사회를 지배하는 정치체제다. 그러므로 중국에서는 헌법 개정 역시 공산당대회에서 결정한 <당장(党 章)>과 기타 방침을 헌법에 반영하고 일련의 개혁을 추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 동안 중국에서는 헌 법(宪法)의 위상이 중국공산당의 사상과 방침을 국가 규범으로 확인하는 작업에 그쳐 국가의 ‘기본법 (基本法)’, ‘근본법(根本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시진핑 정부 출범 이후 ‘의법치국(依法治国, 법에 의한 통치)’, ‘의헌치국(依宪治国, 헌법에 의한 통치)’이 강조되면서 헌법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2018년 헌법 개정에 대한 개정 경과와 그 주요 내용 분석에 중심을 두어 고찰하 였다. 2018년 제5차 헌법 수정안은 <1982년 헌법(八二宪法)>의 다섯 번째 수정안의 형식으로 일부개 정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개정 내용의 중요성에 비추어 보면 전부개정에 견줄 수 있는 큰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2018년 헌법 수정안은 모두 21개 조항에 걸쳐서 이루어졌는데, 주요 내용은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 사상’, 국가주석⋅부주석의 임기제한 폐지, 국가감찰위원회 신설, 구(区)가 있는 시의 입법권 부여, 헌법과 법률위원회 개편 등 통치기구 개편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대부분 이 중국 헌법 개정의 주요 내용과 규범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쳤지만, 장래의 연구 방향은 지속적으로 중국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의 변화와 함께 중국 헌법의 성장과 발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중국 ‘2018년 헌법 수정안(修正案)’은 중국 개혁⋅개방(1978년) 40주년을 맞는 해에 이루어진 14 년 만의 헌법 개정이었고, 특히 시진핑 집권 2기(2018∼2023년)에서 ‘중화민족부흥’과 ‘중국몽(中國 夢)’ 실현의 성패를 결정지을 중요한 법제도 개혁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후보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 관한 고찰

        여운국 사법발전재단 2011 사법 Vol.1 No.15

        “모두 헌법을 읽자!”는 표어로 전 국민 헌법 읽기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우리가 그 동안 우리의 실정헌법에 얼마나 관심과 애정을 가졌는지, 그리고 헌법 조문 하나하나를 정성스럽게 읽어 본 있이 있는지 자문해본다. 특히 우리나라는 근대화 이후 서양의 법체계를 받아들인 이른바 계수법 국가이다. 우리는 그 동안 우리 실정헌법 조문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외국 헌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에 치중해온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헌법소원심판은 1987년 여야 합의에 의한 개헌안 마련 과정에서 도입되었는데, 당시에는 독일식 헌법소원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였다. 헌법 입안자들은 협상을 서두르기 위하여 헌법소원의 대상은 장래 법률로 정하기로 하고 성급하게 헌법소원제도를 도입했다. 우리가 독일 기본법 및 연방헌법재판소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를 함에 있어 항상 주의할 바가 있다. 우리나라의 헌법ㆍ헌법재판소법과 독일의 기본법ㆍ연방헌법재판소법은 그 내용이 다르다는 점이다. 우리 헌법상 사법권은 대법원을 정점으로 한 법원에 속하지만, 독일 기본법상 사법권은 연방헌법재판소를 정점으로 한 각 재판소에 속한다.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령ㆍ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독일 기본법상으로는 이러한 조항 자체가 없다. 헌법재판소법을 살펴보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법 제93조 제3항, 제95조 제3항은 명문의 규정으로 ‘법률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헌법소원’을 인정하고 있으나, 우리 헌법재판소법에는 그러한 조항이 없다. 따라서 헌법 제111조 제1항 제5호가 정한 ‘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 부분을 해석함에 있어서도 독일의 판례와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여부’ 심판을 담당한다(헌법 제111조 제1항 제1호). 우리 헌법을 순수하게 문리해석하면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을 위헌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제청’이라는 1차적인 심사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령ㆍ규칙에 대한 최종적인 위헌심사권을 대법원에 부여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법률 및 명령ㆍ규칙을 직접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이 인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독일식 헌법소원제도는 우리나라의 실정헌법 및 헌법재판소법 조항과는 합치되지 않는다. 법률 및 명령ㆍ규칙을 직접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은 우리나라의 현행 헌법 및 헌법재판소법 하에서는 허용될 수 없다고 본다. 즉 우리 헌법 제111조 제1항은 구체적 규범통제제도를 채택하여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경우 그것이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 한해서 그 효력을 다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에 의해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문제가 구체적인 쟁송사건으로 법원에 계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위헌심판이 불가하고, 헌법소원의 대상도 되지 않는다. 또한 명령ㆍ규칙의 경우에도 헌법 제107조 제2항이 대법원의 최종적인 심사권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므로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률 및 명령ㆍ규칙에 대한 헌법소원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고한 헌법재판소 판례로 자리를 잡은 상태이다. 이는 일종의 헌법변천이라고 할 ... One Korean law professor advocated a slogan, “Let's read our Constitution!” in recent years. We, regretfully, lack interests in and love for our own Constitution.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dopted western law system. Also, it is hard to deny that we paid little attention to our own Constitution and focused too much on issues regarding comparative researches betwee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foreign Constitutions.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was established in 1987 by the consensus between the then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during the process of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At that time, most of Korean people did not have much understanding about the German style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drafter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Amendment rushed to draw a conclusion and adopte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leaving too much upon congressional legislation. Whenever we conduct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German Constitution and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ct, we need to be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is different from those of Germany in many aspects. Above all, whereas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d that judicial power is endowed to the courts, the German Constitution vests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ther subordinate courts with Judicial power. Moreover, while the Article 107 (2) of the Korean Constitution says that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regulations or actions, when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thereof is at issue in a trial.”, there is no such corresponding provision in the German Constitution. Similarly, while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ct clearly allows a Constitutional complaint directly targeting laws which are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o. Therefore, when we interpret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1(1)(5), dealing with ‘Constitutional complaint as prescribed by laws’, we should not uncritically accept German precedents and theories without the full understanding of undeniable differences between the German Constitution and the Korean Constitution.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shall have the jurisdiction over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upon the request of a court pursuant to the Article 111(1)(1) of the Korean Constitution. If we interpret the Korean Constitution purely literally, the invalidation of law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requires “the request of the courts” as a prerequisite thereof.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of Korea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laws,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are allowed in Germany. However, this German styl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in not analogous to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I think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directly targeting laws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is not in conformity with the Korean Constitution. In other words, we can invalidate a law pursuant to the Article 111(1)(1) of the Korean Constitution only when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become an issue in a trial. Therefore, even though a person's Constitutional right is infringed upon by a law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review of that la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impossible an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that law is not allowed unless the constitutionality of that law is not at issue in a trial. Moreover,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can not be invalidated by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ince the Article 107(2)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thereof. Nevertheless, a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laws, ...

      • KCI등재

        선거법개정과 헌법개정의 시기와 성공가능성

        오호택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1

        After the current constitution was revised, demand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continued in areas other than the power structure such as basic righ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on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political realm where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s intensifying. In order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to be successful, the content and timing of constitutional amendment must be viewed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the president's tenure. In a democracy, decisions are inevitably made by a majority vote, but procedural justification must be secured in order for the loser to submit the election that constitutes power. In both the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in the process of primary elections because the internal party primary rules are not prepared in advance. The issues raised should be amended immediately after the election. A quasi-interlock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However,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an agreement was reached by subtracting the first opposition party with more than a third of the seats. As a result of the election, there was a consensus that the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was necessary, but it was not revised immediately after the 2020 election. As the next election approaches, it will be difficult to reach agreement again. In the case of past constitutional amendment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s were made due to political upheaval, but as there is no such situation now, it is difficult to agree on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order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o be successful, the terms of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must be guaranteed for the political parties to reach an agreement. If so, it is possible if the constitution is amended, but if it takes effect in 2032, when the two terms of office start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difficult to amend the constitution including many issues, it is desirable to amend only the “four-year presidential term” and to amend the rest of the constitution sequentially.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amend only the technical ones first, excluding the power structure, but the power of constitutional amendment is low. Considering the presidential and local elections in 2022, it is highly likely that constitutional amendments should be pursued at the end of 2022 or early 2023. If that time is missed, it is expected to follow the previous failure to amend the constitution. 현행헌법이 개정된 이후 기본권 등 권력구조 이외의 분야에서도 개헌요구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여야의 정치적 대립이 심해지는 정치권에서는 개헌에 합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개헌에 성공하기 위해서 개헌의 내용과 시기를 대통령의 임기문제와 연결해서 보아야 한다. 민주주의에서 결정은 다수결에 의할 수밖에 없지만 권력을 구성하는 선거에서 낙선자의 승복을 위해서는 절차적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대통령선거과 국회의원선거 모두 당내 경선규칙이 사전에 마련되지 않아서 경선과정에서 논란이 많다. 제기된 문제들은 선거 직후 개정해 놓아야 한다. 국회의원 선거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도입과정에서 의석수 3분의1이 넘는 제1야당을 빼고 합의하였다. 선거결과 선거법 재개정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지만 2020년 선거 직후 개정하지 않았다. 다음 선거가 다가오면 또 합의가 어려워질 것이다. 역대 개헌의 경우 정치적 파동에 의하여 개헌이 되었으나 현재는 그런 상황이 없으므로 개헌에 합의하기 어렵다. 개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를 보장해야 정치권의 합의가 가능하다. 그렇다면 개헌을 하되 둘의 임기가 동시에개시되는 2032년에 발효되게 하면 가능하다. 많은 문제를 포함하여 개헌하기는 어려우므로‘대통령 4년 연임제’만 개헌하고, 나머지 문제는 순차적으로 개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권력구조를 빼고 기술적인 것만 먼저 개헌할 수도 있으나 개헌의 동력이 떨어진다. 2022 년의 대선과 지방선거를 고려하면 2022년 말이나 2023년 상반기에 개헌을 추진해야 성공가능성이 높다. 그 시기를 놓치면 이전의 개헌실패 사례를 답습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헌법의 의미와 헌법개정 그리고 헌법의 변화

        이병규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s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ncept structure, the study extend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rough which it intends to take notice of changes in the Constitution, departing from the constitutional reform discussion with main focus on the constitutional texts. The Constitution has diverse legal forms and different existent aspects with a multi-layered complex of statutory law, judgment law and various systems supporting them. Since constitutional texts are not the only Constitution, it is difficult to grasp at once where the Constitution exists among all of the diverse legal forms and system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constit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constitutional law.’ The concept which is compatible with forms of a nation, its existent aspects, its narratives and so on, should be certainly dealt with when asking “what is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cept, the Constitution could be reformed without the normal constitution amendment procedures. At this point, the key might be the interlock between individual legal forms and existent aspects. Regarding the interlock, it is more important to keep the interlink of statutory law and judgment law. The discussion above is thought to demand review of what meaning and function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whether it could make a radical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whether it is really needed. Such an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dealing with the recent argument about constitutional revision that has been made in political circles. 이 글은 헌법 개념의 분석을 통하여 헌법개정의 의미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헌법 개념 형태의 분석을 토대로 헌법개정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헌법전 중심의 헌법개정 논의를 벗어난 헌법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헌법은 그 법형식이나 존재양상이 실로 다양하고, 제정법과 해석법, 그리고 그것을 지지하는 다양한 제도의 중층적 복합체로서 존재한다. 헌법전만이 헌법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법형식이나 제도 일체의 어디에 헌법이 존재하는지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아울러 ‘법으로서의 헌법’인 ‘constitutional law’과 구별되는 ‘constitution’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의 형태나 존재양성 그리고 내러티브 등과 호환할 수 있는 이 개념은 “헌법이란 무엇인가”라고 할 때 반드시 다루어야할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에 의할 때 헌법은 정규의 헌법개정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법형식과 존재양상 간의 연동 방식이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연동성 중에서도 헌법의 제정법과 해석법의 연동이 중요하다. 이상의 논의는 헌법개정이 어떤 의미와 기능을 가지는지, 그것이 과연 국가 체제의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지, 헌법개정이 굳이 필요한지 대한 검토를 촉구하는 것이다. 근년 정치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개헌 논의도 이러한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헌법개정과 노동3권 보장의 과제

        정영훈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18 노동법포럼 Vol.- No.23

        Although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 was taken place in 1987 in the midst of the Great Labor Struggle that occurred in the same year, it has yet to be studied whether the achievements of the Great Labor Struggle were reflected into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Nevertheless, it is undisputed that the Article 33 of the Amended Constitution in 1987 was a great step forward compared with the Article 31 of the Amended Constitution in 1980. However, the prohibition of public official and teacher’s right to collective action and prohibition of dual unionism were not repealed until substantial amounts of time had passed since then. Given that, it would be rather hesitant to give significance to the role of the Article 33 of the Amended Constitution in 1987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had its limitations in guaranteeing three basic labor right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discussions 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have been actively made, introspect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may give good insights into the current discussions and encourage public discussions where people, especially workers, can actively participate to deeply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Article 33 and its desirable direction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necessity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Article 33 and to express my opinions on the desired directions of the Amendment as an extension of the review. As the general directions of the Amendment may depend on how persuasive the necessity is demonstrated, it is essential to carefully review the reasons for the Amend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iscu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s that have been recently proposed. Also, this study is extended to the subjects such as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description format and regulation system of three basic labor rights guarantee, expansion of public official’s three basic labor rights and right to collective action of workers employed by important defense industries. This study considers that right to Association,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right to collective action should be prescribed in separate provisions and the guarantee of three basic labor rights and right to collective action of public official and workers employed in important defense industrie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except that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changed to “everyone.” However, it will be reasonable to explicitly stipulate only the limitations on the right to organization of soldier and police official in guaranteeing three basic labor rights of them while being silent on three basic labor rights of other public officials. 1987년 헌법 개정 과정은 1987년 노동자대투쟁의 과정과 시기적으로 겹치지만, 1987년 노동자대투쟁의 성과가 1987년 개헌에 어느 정도가 반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물론 1987년 개정헌법의 제33조는 1980년 개정헌법의 제31조에 비하여 진일보한 것이라는 점은 명확하다. 하지만 공무원 및 교원의 단결 금지나 복수노조 금지가 해제된 것은 그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된 뒤의 일이다. 이러한 기간 동안 헌법 제33조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해서 돌아보면 그다지 큰 의의를 부여하는 것에 주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1987년 개헌이 노동3권 보장에 있어서 가졌던 한계라고 할 것이다. 개헌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1987년 헌법 개정 당시의 한계를 성찰한다면 국민, 특히 근로자가 헌법 제33조의 개정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헌법 제33조의 개헌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해서 진지하게 검토하고 공론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에 따라서 주로 헌법 제33조의 개정 필요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으로 하면서 그 연장에서 개정의 방향성에 관한 저자의 의견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요성이 설득력 있게 논증될 수 있다면 개정의 대체적인 방향성도 그게 따라서 결정될 것이기 때에,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를 보다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에서는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최근의 개정 제안에서 제시된 개정 필요성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면 등의 한계를 고려하여 노동3권의 주체, 노동3권 보장의 기술 형식 및 규정 체계, 공무원의 노동3권 및 근로자와 주요방위사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 보장의 확대에 관해 검토하기로 한다. 본 논문은 단결권의 주체를 “모든 사람”으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각각 별개의 조항에서 규정하는 것과 함께 공무원 및 주요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노동3권 및 단체행동권의 보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공무원의 노동3권의 보장에 있어서 군인 및 경찰의 단결권 제한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그 외의 공무원의 노동3권에 관해서는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위헌법률심판제도의 개혁과 성과 : 2008년 헌법개정을 중심으로

        변해철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1 EU연구 Vol.- No.28

        In France, a constitutional control of laws a posteriori has been added,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to the control a priori. In 1958, based on its constitutional tradition in which French people gave a strong confidence to their representatives, the French constituent adopted simply a constitutional control of laws a priori and limited the possibility to request a constitutional review, only allowing it to the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of the Senate. In 1974, the possibility to request a constitutional review was extended to 60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or 60 senators. Soon, the political opposition seized that opportunity to request the review of all controversial act. Recently, facing some critics that France is an unique democratic country whose people are not allowed the possibility to request a constitutional review, the concrete control of constitutionality of laws was adopted by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n 2008. At first, it means that an unconstitutional law which infringes the rights and freedom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could be excluded from country’s legal system. Secondly, it means that the French Constitution would be respected by the people like international conventions. In the past,without the control of constitutionality of laws, the people depended on the control of conventionality of a law. Since March 1, 2010, following a 2008 reform, French citizens have been able to ask the Constitutional Council to rule whether a particular law that is being applied to them violates the constitution or not. If, during proceedings in progress before a court of law, it is claimed that a statutory provision infringes the rights and freedom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matter may be referred by the Conseil d’État or by the Cour de Cassation to the Constitutional Council, within a determined period.(Article 61-1(1))A provision declared unconstitutional on the basis of article 61 shall be neither promulgated nor implemented.(Article 62) A provision declared unconstitutional on the basis of article 61-1 shall be repealed as of the publication of the said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ncil or as of a subsequent date determined by said decision. The Constitutional Council shall determine the conditions and the limits according to which the effects produced by the provision shall be liable to challenge. No appeal shall lie from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ncil. They shall be binding on public authorities and on all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all courts. 오늘날 개방, 다양성과 통합을 중심으로 한 세계화의 큰 흐름은 각 국의 법제도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가장 기본적으로는 근본규범인 헌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2008년 헌법을 개정하여 기존의 헌법재판제도를 획기적으로 개혁한 바 있다. 즉 1958년 제정된 이래로 23째 헌법개혁을 의미하는 2008년 7월 21일 프랑스 헌법 개정으로 제61-1조 및 제62조 제2항을 신설함으로써 사후적ㆍ구체적 규범통제제도를 도입하였다. 그 후속작업의 결과로2009년 12월 10일 헌법원법 개정을 위한 조직법률을 제정하였는데, 개정 헌법원법은 2010년 3월 1일부터 발효되어 새로운 규범통제제도가 시행되어 오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법규범에 대한 합헌성통제는 사전적ㆍ추상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는 대의제원리에 충실한 프랑스의 정치제도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보여 진다. 즉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제정권자들은 우선 위헌법률심판이 법률안에 대한 의회의 의결 후에 공포되기 이전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이는 일단 의회가 제정한 법률은 국민의 일반의사의 표출로서 반드시 합헌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위헌법률심판의 청구권자도 헌법수호의 제1차적 책임을 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대통령, 수상 및 상ㆍ하원의장에게만 매우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1974년 헌법개정으로 청구권자의 범위를 상ㆍ하의원 60인 이상으로까지 확대함으로써 야당에 의한 위헌법률심판 청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기를 마련한 바 있다. 최근 “프랑스는 주요 민주국가 중 국민에게 헌법재판을 허용하지 않는 유일한 국가”라는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 이러한 제도도입을 위한 헌법 개정에 착수하였다. 이는 사후적 규범통제가 기본권을 침해하는 법률을 프랑스 법체계에서배제시켜야 한다는 법치국가원리의 논리적 귀결임에도 불구하고, 공포된 법률에 대한 사법적 면책과 법적 인정성에 대한 전통적 원칙을 고수하기 위해 이를배제하였던 과거와의 결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국제법에 대한 프랑스 헌법의 위상 재정립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프랑스 헌법 제55조는 조약이나 협약이 법률에 우선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많은 프랑스 국민이 그들의 기본권보장을 유럽인권법원에 의존하게 되었다. 2008년의제도개혁은 이러한 기현상을 해소하고 국내적으로 최고규범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동시에 프랑스의 인권보장체계와 유럽인권법체계와의 차이를 해소하기위한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 재판상의 당사자에게 헌법재판에의 접근을보장하지 않을 경우, 유럽인권협약이 보장하고 있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에위반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개정된 프랑스 헌법은 선결적 합헌성 통제 대신에 우선적 합헌성 통제라는 표현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합헌성 문제를 다른 법적 문제보다 앞세워야 한다는 입법자들의 의지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우선적 합헌성통제를위한 심판청구는 소송당사자에게만 허용될 뿐이고 법관에게는 직권으로 위헌법률심판을 청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소송당사자의 관련 법률의 합헌여부에대한 심판청구에 따라 법원은 이를 국사원이나 파훼원에 회부할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국사원이나 파훼원은 하급법원으로부터의 심판청구회부결정을 송부 받은 경우, 우선적 통제에 대한 심판청...

      • KCI등재

        국제법과 국내법 간의 관계에 대한 한국 및 해외 헌법의 비교법적 연구

        장지원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강법률논총 Vol.9 No.1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the Article 6(1) of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says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shall have the same effect as the domestic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Article of the first Korean Constitution in 1948 that said 'international law shall have the same effect with the domestic law' to the Article 6(1) of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there have not been special changes of the contents and meanings between them until now. The discussions in Korea are focusing on how to interpret the Article 6(1), not to revise it. According to the main opinions of scholars and the cases of Constitutional court in Korea,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will have the lower effect than the Constitution, and treaties which are consented by the National Assembly will have same effect with domestic laws. However, there are international trends that explicitly respect international law in the constitutions and give international law 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igher normative rank than domestic law,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onstitution. That is, there is a modern constitutional tendency, which will enhance the domestic legal status and effect of international law at the constitutional level. Considering both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international trends of Constitutions of other countries, we may need consider discussing about revising of the Article 6(1)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discussion itself will be meaningful. We hope that the various constitutional examples related to international law in other countries which this study presented will be used as a starting point and an important criterion for the discussion of amending of the Article 6(1).

      • KCI우수등재

        법치주의 관점에서 살펴본 지방분권 개헌논의

        김용섭(Yong Sup Kim)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4

        최근의 개헌정국과 맞닿아 지방분권개헌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과연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헌법개정이 이루어지면 대한민국의 국가발전과 국익에 합치되는지 아니면 고질적인 지역주의로 인해 국가적 역량의 집중이 어려워 폐해는 없는 것인지 이에 대한 심도 있고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우리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법이론적 근거가 확보되지 않은 설익은 지방분권의 개헌방향은 국민의 법생활과 권익보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헌법개정에 있어 지방분권개헌은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신중한 접근이 요망된다.지방분권은 국가의 권한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역할분담 하에 분점하는 방식을 의미한 다. 서울과 수도권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서울특별시는 정치, 사회, 경제의 중심적 지위로서 오랫동안 수도로서 기능해 왔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은 양립하기 어려운 이른바 “쌍두마차” 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지방분권개현에 관하여 차분하게 합리적이며 이성적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헌법이론 및 법체계적 정당성과 법리적 논거를 갖추지 못하고 정치논리에 입각하여 개헌을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국가발전과 국익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바, 성급하게 조례를 ‘자치법률’로 지위를 격상하거나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확립된 용어를 변경하는 경우 법치주의의 실질적 요소인 법적안정성을 해하고 국민의 법생활에 일대 혼란이 야기될 수있는 측면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안과 같이 조례를 자치법률로 승격하여 국회의 법률과 경합적인 규율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은 법치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릴 수 있으며, 국가법질서의 규범의 서열질서와 통일성의 관점에서 자칫 국민의 법생활의 혼란이 초래될 위험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본고에서는 법치주의의 관점에 비중을 두고 지방분권개헌을 둘러싼 찬반논의를 살펴보았고,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과 대통령발의 지방분권 개헌안을 비교검토하되,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Recently, discussions o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to strengthen decentralization are actively conducted in the political circles. It is necessary to deeply and fundamentally reflect on whether such constitutional amendment strengthening decentralization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interests of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chronic localism would hamper concentration of national competence to cause various problems. Since the improper constitutional amendment which is neither taking account of our actual situations nor based on the legal rationale may seriously affect the people s legal life, rights and interests, the issue to strengthen decentralization by constitutional reform should be approached carefully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s.Decentralization means distributing state power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s are crowded, and Seoul has been the capital city for a long time a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enter.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re the incompatible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two-headed wagons”.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reform for decentralization is required to be approached in careful, reasonable and rational manners. If the constitutional reform is forcibly made not based on the constitutional theory, the legal systematic legitimacy and the legal reasoning, but according to the political logic only, it will not help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interests. If the status of ordinance is hastily upgraded to ‘autonomous law’, or the term of municipality is prematurely changed to ‘local government’, it may lead to the situations in which the legal stability, which is a substantial element of the rule of law, is damaged and confusions are caused in the legal life of the people.Promoting ordinance to self-governing law, as proposed by the Advisory Committee of the Special Committee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is to allow regulations competing with th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t may undermine the foundations of the rule of law. In this case, confusions may be caused in the legal life of the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order and uniformity of the national legal system and norms.This paper examined the pros and cons abou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strengthening decentralization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the rule of law, and also comparatively studied and critically evaluated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posals made by both the Advisory Committee of the Special Committee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헌법변천 및 헌법발전의 측면에서 보이지 않는 헌법의 정당성에 대한 고찰

        박진완(Park, Zin-Wa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1 No.-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constitutional change and constitutional amendment are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constitutional normative force. How application of constitutional customary law on the way of constitional interpretation can be justified in constitutional jurisdiction in legal order which has the written constitution. As a good answer to this question use and applicaton of concept invisible constitution i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would be acceptable on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 change and constitu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nception of invisible Consitution of Laurence H. Tribe much part of our constition can be founded not in its own text, but outside its textual boundary. He lays stress on what invisible constitution contains than written constitution in american constitutional interpreatation. With famous parable of Plato’s cave he makes an emphasis on meaning of invisible constitution: “Everything that we can see a shadow cast by that which we do not see” He suggests six distinct but overlapping modes of construction in forming the invisible constitution: geometric contruction, geodesic construction by Buckminster Fuller’s geodesic dome, global construction, geological construction, gravitional construction, gyroscopic construction.

      • KCI등재

        헌법개정과 공법학자의 역할

        김종철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There has been a continuel movement for the revision of the so-called “1987년 Constitution” in Korea. Public law scholars ne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itutional change by way of leading such change to the enhancement of constitutionalism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republic. In so doing, they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as the supreme law of the state is envisaged to formulate a system of values guiding public powers and civil life which should respond to social changes. If it fails to be responsive to the spirit of the time, formal and informal constitutional change would be inevitable. However, two factors seem to place some limitations on constitutional change: (1) the nature of the constitution that it consists of not only legal norms but also political moralities; and (2) the “formal” constitution or constitutional ideals and institutions needs to be supplemented by what may be called “the de facto constitution” consisting of various forms of law such as legislation, decrees and even customs which cover constitutional matters. On the one hand, informal constitutional change in the sense that it takes place without revision of formal constitution can be conceived but it can be allowed only on the condition that it can help enhan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On the other, abrupt or insufficiently prepared constitutional amendment may cause worse result than well-motivated legislative reform or cultural reform. Given these understandings, public law scholars are called upon to play a couple of roles such as contributing to the formulation of constitutional values and ideals, advising constitutional planning and design, and educating citizens to make them suitable actors for constitutional change. 1987년 헌법의 개정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헌법개정론이 정치공학적 차원에서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입헌적 민주공화체제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공법학도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선 헌법개정에서 공법학도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헌법의 본질을 명확히 하는 것이 긴요하다. 국가공동체의 기본법인 헌법은 그 역사적 실재성에 따라 헌법현실과 조응하면서 국가권력과 국민생활을 지도하는 가치체계를 형성한다. 헌법이 시대정신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할 때 헌법변천이나 헌법개정에 의해 변화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헌법의 본질론은 이러한 헌법의 변화가 가져야 할 의의와 한계를 제시해 준다. 헌법이 법으로서의 차원만이 아니라 정치도덕규범으로서의 차원을 가진다는 점, 형식적 의미의 헌법과 실질적 의미의 헌법이 상보관계에 있다는 점은 시대정신에 따른 헌법변천의 여지를 수용하면서도 이러한 변천이 인권과 민주공화제라는 입헌주의의 근본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한계를 가진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또한 섣부른 헌법개정으로 정작 중요한 입법개정이나 정치문화의 향상을 소홀히 하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공법학적 과제로 제시한다. 이러한 과제에 충실한 공법학도는 헌법가치 형성의 조력자로서의 역할, 헌법정책 전문가로서의 역할, 헌법정신의 효과적인 조문화에 기여하는 법률전문가 및 헌법개정절차의 설계자로서의 역할, 헌법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사명으로 부여받고 있다. 이를 통해 공법학도는 헌법개정이 사회적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것보다 헌법의 안정성과 확실성을 보장하는 가운데 헌법현실과의 적실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능하도록 솔선수범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