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S와 CS Unplugged의 비교연구

        전석주,조윤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6

        Recent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has naturally led to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Computer science is the study of theory and principle of computer and computational systems. This knowledge and concept of computer science is fundamental to software education. Recently, "Computer Science (CS) Unplugged", which is an educational method for introducing students to concepts of computer science without using a computer, has been widely used in classes around the world. CS Unplugged is a method for learning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through diverse playing activiti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se CS unplugged activities take place in class without an analysis of how closely they relate to the core subjects learned in real computer sc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r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and the cor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contained in the various activities of CS Unplugged.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컴퓨터과학은 ᅟᅥᆷ퓨터와 컴퓨터시스템의 이론과 원리를 학습하는 학문으로서 이러한 컴퓨터과학의 지식과 개념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컴퓨터과학 언플러그드라는 학습 방법이 전세계적으로 수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CS 언플러그드는 다양한 놀이활동을 중심으로 컴퓨터과학의 원리를 배우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CS 언플러그드 활동이 실제 컴퓨터과학에서 배우는 핵심교과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 없이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과학의 핵심 내용과 CS 언플러그드의 다양한 활동에 들어있는 컴퓨터과학 핵심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이재호,최승희 한국영재학회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career development and the occupational view between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and norm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ssistance to the teacher for the direction and guidance on the career education of the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This survey is based on 82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and 167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contain questions asking regarding the career development and the occupatio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analysis result about career, the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choose to be scientific technicians, the normal students choose to be artists. The both groups get career information from their parents, but they usually don't get career counseling from teachers. The education of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does not contribute to changing their dreams, while normal students have no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Second,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analysis result, in comparison with non-gifted students, th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had more success in all domains of career development. Thir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view analysis result, the information science gifted students had higher meaningful rate than the normal students. Intrinsic domain' had higher meaningful rate among the subordinate domains, there is no difference in ‘extrinsic domain' and ‘incidental domain' between the informatio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Fourth,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of the career development and the occupational view,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domains of them. The high they are in the career development, the more they have the certain occupational view. Likewise, if they have the certain occupational view, they will be more successful in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directing and guidance on the career education of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is same as the followings. We should educate parents regarding information about career for students who are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s greatly and indicate them to apply to their children appropriately. In addition, for making them to have the positive image of the computer science, teacher should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 area of information and form various curriculums to induce more interests about computer science. We need to strengthen the career education for guiding the gifted to assist them to establish their own goal and realize them how to study and choose their career in the future. In school education field, it must develop and manage the definite and empirical program, not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which is focused on only entrance into advanced school, to boost self-realization ability and the suitabl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n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For this, through steady trying and research, teachers should be eater to develop th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Also, we have to implement the internal stabi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so it will help students to be aware of their job and career; therefore, students will be able to plan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in this rapid changing world. 초등정보과학영재학급의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진로발달과 직업관을 비교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 설정 및 지도에 있어 기초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 82명과 일반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진로발달과 직업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에 대한 의식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과학기술자를, 일반 학생은 예술인을 희망하는 선택을 가장 많이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진로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서 얻으며 교사와 상담하는 학생은 매우 드물었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학생들의 꿈을 변화시키는 데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으며, 일반학생은 정보과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둘째, 진로발달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진로발달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직업관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직업관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진로발달과 직업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진로발달과 직업관은 모든 영역에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 발달이 높을수록 확실한 직업관을 가지며, 반대로 확실한 직업관을 가졌다면 진로발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첫째,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 관련 학부모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에게 정보과학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정보과학에 대하여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정보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하여 피상적인 진로교육이 아닌 영재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미래의 직업인으로서 어떻게 공부하고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안내할 수 있는 진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를 위해 교사들이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관련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이다.

      • KCI등재

        e-Science 개발정책: 독일의 사례

        박재수 ( Jae Sue Park ),이준 ( Joo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2

        e-Science는 새로운 연구개발 패러다임으로 핵심 과학영역에서 글로벌 협력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인프라에 관한 것이다. 인프라는 특히 e-Science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e-Science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인프라는 일반적으로 Grid로 불리며, 데이터 처리 컴퓨팅을 공유한다. Grid 컴퓨팅기술은 글로벌 규모의 자원(컴퓨팅 파워, 데이터 스토리지, 그리고 관련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e-Science 경제에 의해 지배되기도 한다. 그 맥락에서 e-Science가 무엇이고, 개발정책은 어떻게 진행하여야 하는가를 파악해 보았다. 구조적으로 혼란한 e-Science의 개념적 수렴문제와 더불어 개발정책 순서의 딜레마를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는 과학 및 산업정책에서 탁월한 이론과 실무를 제시해왔던 독일의 e-Science 개발정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BMBF(독일연방교육연구부)의 주도 하에 체계적인 개발정책을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 e-Science Initiative는 독일과학자와 BMBF에 의해 D-Grid로 불린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e-Science 개발정책을 alpha(인문, 예술, 언어 등), beta(수학, 화학, 물리, 천문, 의약 등), gamma(사회/행동 과학, 경제와 법률 등)의 학문분야에 필요한 e-Infra와 그리드 컴퓨팅, 그리고 e-Science경제 등에 관하여 정부가 충분히 준비해 줄 수 없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e-Science개발정책의 모형은 점(e-Society), 선(X,Y,Z), 면(e-Science economy, e-Infra, Grid Computing), 공간(Basic, Usage, Application)의 나선형적 진화구조인 동시에 전략적 접근형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e-Science 개발정책은 공간적 의미를 포괄하는 대상 분야를 먼저 정한 뒤, 그리드 컴퓨팅 프로젝트, e-Infra, 그리고 자원을 포괄하는 선의 개발로 이어지는 순서가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고객 유인형으로서 그리드 컴퓨팅을 통한 e-Science economy를 기대하는 차원에서 기술 드라이버형인 그리드 컴퓨팅을 위한 e-Infra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고찰을 바탕으로 독일의 e-Science정책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독일의 e-Science 정책은 2003년 6월 독일의 과학자 및 과학협회가 주도하여 D-Grid Initiative(독일 e-Science의 대표 격)전략백서를 내 놓으면서 시작되었다. 보고서는 과학연구를 위한 Grid 기술의 현황과 결과를 검토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전략적 Grid연구와 개발Initiative를 권고하고 있다. 2004년 3월 BMBF는 Germany e-Science Initiative에 대한 정책을 공고하였으며 연이어 그리드 컴퓨팅, 이-러닝, 그리고 지식경영에 대한 제안신청서를 요청하였던 바, D-Grid 프로젝트는 2005년 1월에 시작되었다. 그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기법을 정하였던 바, D-Grid를 그 특성에 따라 그룹을 구성한 뒤에 결과를 매트릭스로 제시하고 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하였던 개발정책의 순서와의 일치성을 파악하였다. D-Grid 1은 과학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과 과학 컴퓨팅 커뮤니티의 얼리어돕터(early adopters)에 의해 설계 계발된 IT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 인프라는 주로 고에너지물리, 천체물리학, 대체 에너지, 의약과 생명공학, 지구과학(일례 기후), 엔지니어링 사이언스, 과학도서관의 일명 커뮤니티그리드에 의해 검토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D-Grid 2는 과학자, 산업계,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하는 IT서비스이다. 주로 건설산업, 금융, 항공우주와 자동차, 기업정보와 자원계획시스템, 지리적 데이터, 일반적인 IT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한다. 특징을 보자면, 독일 e-Science개발정책은 그리드 컴퓨팅과 지식경영을 전략적으로 추진하되, 과학과 산업분야 간의 내외 경계를 뛰어넘어 추진되고 있다. 추진 초기에는 그리드 컴퓨팅정책에 집중하였고, 점차적으로 지식경영으로 확대한다는 점이다. 다만, 이-러닝은 아직까지 부차적인 입장이다. 대체적으로 독일 e-Science이니셔티브는 전략적인 개발대상이기 때문에 정책우선순위가 뚜렷한 편이며, BMBF도 전략적 과업으로 동감하고 있다. 더불어서 과학과 산업 간의 협력기반 생성을 통해 국제경쟁력까지 시도하는 특징 또한 나타난다. 시사점은 e-Science를 적용하기 이전에 공간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더불어서 현재와 미래간의 갈등구조를 지니고 있는 e-Science의 잠재력 파악을 우선한 뒤, 개발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e e-Science is emerged on a new R&D paradigm and is concerned about global collaboration in key areas of science including the next generation of infrastructure that will enable it. In particular, the infrastructur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e-science.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Grid that shares e-infrastructure to display data. Grid Computing Technology enables to share all resources(computing power, data storage and relevant information) on a global scale and is also governed by e-Science econom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at is e-Science, and how to develop the policy associated with it consequently. We also focus on the situations that is brought about public consensus and a dilemma on developing policies for e-Science. Additionally, we attemp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policies on e-Science that shows the excellent evidence of theories and practices in science and industry policies in German. That is the reason why we choose and analyze the cases of e-Science Initiatives in German. It provides us a lot lessons because German policies are based on th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of widely distributed science and industrial parts, and are guided by BMBF systematically. By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it provides the clue of starting point developing a policy of e-Science. Since Government is not able to deal with all the system, such as e-Infra, Grid Computing, and e-Science economy which are necessary for alpha(humanities, arts, language etc), beta(mathematics, chemistry, physics, Astrology, Medicine etc), gamma(Society/behavior science, economy and law etc), the developing policies of e-Science needs to apply to a strategic approach after identifying the situations such as a dot(e-Society), a linear(X, Y, Z), an aspect(e-Science economy, e-Infra, Grid Computing), a space(Basic, Usage, Application). As the above view, e-Science policy needs to focus on the target area. After that, it is recommended to move to Grid Computing project, developing e-Infra step by step. Again, e-Science Policy moves to develop CDI-P type(Customer Driven Innovation Pull): e-Science economy through Grid Computing, T-P type(Tech Push): e-Infra for Grid Computing. Meanwhiles, German scientists and scientific organizations in 2003 jointly published a strategic paper which examined the status and consequences of grid technology on scientific research in Germany and recommended a long-term strategic grid research and development initiative. This resulted in the German D-Grid Initiative founded by the Germ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BMBF) in March 2004, together with a call for proposals in the areas of Grid Computing, e-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The first D-Grid projects started on September 1, 2005. D-Grid 1: IT services for scientists,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early adopters’ of the computer science and scientific computing communities. D-Grid 2: IT services for scientists, industry, and business. Accordingly, though Germany e-Science Initiatives strategically drive up Grid Comput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t has a point beyond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It is characterized that the initial stage begins with Grid Computing policy, transfers to Knowledge Management thereafter. E-Learning is placed on the optional position. Normally, e-Science is considered as a strategic goal so the priority of it is relatively clear. BMBF also clear states “The German e-Science Initiative is a strategic task”. A another is to try up international competition through a peculiar collaboration-based formation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In this paper, we try to analyse the German e-Science Initiatives in the context of the e-Science eco-system. German e-science projects are called “D-Grid by German scientists and the BMBF. As a method, the on-going Grid computing projects in German are grouped in terms of the D-Grid characteristics and reported in a matrix form as a resul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science before adoption of it. It also tries to identify the potential impacts on e-science and provides clues how to deal with exposed uncertainty when a government wants to settle the public policy on e-science.

      • KCI등재

        언플러그드 CS 를 이용한 컴퓨터과학 학습 콘텐츠 개발

        한선관(Sun-Gwan Ha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6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Unplugged CS method to learn computer science knowledge. With the strengthening of software education, all universities students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demanding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centered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using unplugged computing method as a way to effectively learn the concept of computer science. First, we analyze the related research of Unplugged CS theory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thod accordingly. And we divided the areas of computer science and selected learning concepts in each area.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divided into basic and intermediate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subject of learning contents was selected evenly in the area of computer science and it consisted of 16 basic subjects and 16 intermediate subjects based on concepts that are important in each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Unplugged CS learning topic and the development contents for computer science, we conducted expert reviews and content validity test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topic and area selection was found to be more than .92 for the CVI value and the validity of the 32 subject learning contents was over .935 in basic level and .925 in intermediate level for the CVI values.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we developed digital contents for online learning and put them in the syste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for all,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at software - oriented universities,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비전공자 컴퓨터교육과 학습보조 자료의 활용

        나정은(Nah, Jeong E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6

        In the last few years,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urriculum is being revised to introduce computer science. Although interest has focused on coding as the main subject, in fact the computer science includes much more than coding. It engages people in being creative with technology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urriculum to provide a foundation by teaching and learning computer science. The curriculum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courses to teach computer science for non-majors in general education. To think like a computer scientist on the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is computational thinking.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 영역 교양 교육의 현황 연구 - 한국체육대학교의 ‘자연현상의 이해’, ‘컴퓨터 활용1’과목을 중심으로-

        김양희,김혜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science and computer related courses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ate of courses <Understanding of Nature> and <Computer Applications 1> at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main finding of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think <Understanding of Nature> a little difficult and suggest to use science related movies and visual materials to overcome the difficulty and make the course more interesting. Students with computer related licenses have better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can use more softwares. Student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urs of <Computer Application 1> and to enhance performance of the computer facilities. We try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of science and computer related knowledge among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students with other majors. The results show that other major students have better sco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we discuss about opening of diverse science and computer related courses, controlling the level of course difficulty, course scheduling, controlling the number of enrollments, connection with computer related licenses. 본 연구는 한국체육대학교에서 자연현상의 이해와 컴퓨터활용1과목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과목 개선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자연현상의 이해는 난이도가 보통 혹은 다소 어렵다고 답하였고, 난이도극복과 재미를 위해 영화나 실습, 영상자료 등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컴퓨터관련 자격증 수가 많은 학생들은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았으며 컴퓨터 활용1의 강의시간은 늘어나야 되며 개선사항으로 컴퓨터 성능개선을 꼽았다. 체육학과와 체육관련학과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및 과학기술지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체육관련학과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과학․기술 영역교양과목의 개설, 과목 난이도 조절, 적절한 시간표 배치, 수강인원조절, 그리고 컴퓨터 자격증과의 연계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객체지향형 EPL '두리틀'의 적용 및 평가

        권대용,길혜민,염용철,유승욱,進兼宗,靖久野,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6

        제 7차 컴퓨터교과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활용 부분에 치중되어 컴퓨터과학에 관한 원리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편, ACM K-12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현재의 컴퓨터교육이 그릇된 방향이며 컴퓨터과학 중심의 컴퓨터교육을 위해서 프로그래밍언어 교육을 통한 원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체험학습을 위한 객체지향 기반의 새로운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한다. 두리틀은 간결한 구문과 한국어와의 대응성, 인크리멘탈 방식의 프로그래밍, 수치, 문자열, 배열과 같은 알고리즘과 구조화, 텍스트 위주의 프로그래밍 등의 설계방침을 적용한 언어이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고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객체지향기반이지만 클래스나 상속 등의 개념을 모르고도 활용 가능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객체와 메소드 활용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오류 수정이 용이하므로, 학생들의 높은 흥미도를 유지하면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차후 학습으로의 연계가 수월하였다. Current computer education is difficult to educate basic concepts and principals of the computer science because the 7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software. According to the ACM K-12 report about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model, current computer education is taking the wrong way and we should put the highly priority on the education of the fundamentals through programming languages for a better computer education oriented to the computer science. This paper introduces a new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olittle'". The design principals of Dolittle are simple syntax of Korean, incremental programming, text based programming, aliasing of function, and object-oriented programming. Being applied to middle school classes, we can confirm that Dolittle is easy to learn, and gives rise to high interest and keeps interest through a course,and also is of great practical use in class for programming novice.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 분석

        김영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3

        컴퓨터 교육은 사회의 정보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만큼 그 변화를 반영하며 발전되어 가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20년 전의 컴퓨터교육 실태 보고서를 토대로 현재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현재를 진단하고 향후 컴퓨터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가정에 컴퓨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컴퓨터의 주요 활용 환경은 학교 중심에서 가정 중심으로 바뀌었다. 반면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컴퓨터 교육의 세계적 흐름은 컴퓨터 과학의 원리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 향상에 두고 있다. 그러한 요구는 학습자들의 기대요구에서도 있었으며, 또한 교수-학습 면에서는 게임 활동 중심의 언플러그드 학습과 EPL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이 학습자들의 요구와 부응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컴퓨터 교육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Computer Science Education has to be dynamically changed due to a chang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compare a report of 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wenty years ago with our latest investigation. In this research, nowadays the personal computer diffused at most home. Home is the main environment for students to use computer. Students demand new computing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 The global tendency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most students hope to learn the new computing skills through game-based learning. We present the unplugged teaching methods and simulation-based learning using EPL(Educational Program Langage). Of course it's important to be applied to school now. And it can be achieved just by national efforts alone.

      • KCI등재

        정보과학 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김갑수,김철,김현배,정인기,정영식,안성훈,김종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1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은 2000년부터 컴퓨터 도구 활용위주로 시작되었고, 2005년부터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강조하였지만 잘 실시되지 않았다. 또한 2010년부터는 컴퓨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지도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에 대한 교과 내용 체계는 아직도 명확하게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미래 세대의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고, 컴퓨터 교육이 꼭 필요한 교과로 인식하여 새로운 교육 내용체계를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컴퓨터 교과에서 필요한 기본 교과목으로 정보과학을 제안한다. 정보과학 교과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까지 일관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정보 과학 교과의 세부 영역으로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제작, 융합활동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18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소프트웨어 제작은 11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융합 활동은 15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학생들의 학교 생활 및 미래의 사회 생활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을 양성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Computer Education in Korea since 2000 mainly were 'how to use computer tools', Computer education from 2005 to emphasize problem-solving and programming, but did not perform well, and In 2010 it was not compulsory computer training. Thus, our country have train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computer education without creating a curriculum content of computer. U.S. and UK educate students computer training to foster future generations the essential core competencies to be recognized as a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basic course in computer studies of Korean is proposed as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cience subject from middle school to first grade curriculum is consistently able to study was composed. The subarea of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computer systems, software production, the fusion activity. The computer system is composed of 18 subdivisions, software production is composed of 11 subdivisions, and fusion activity was composed of 15 subdivision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school life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available to train.

      • KCI등재

        프랑스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배영권,신승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4

        Computer education in France has begun in the 1960, and the education system cover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as completed in 2018. Since the industrialization of France, the research on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syste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for over 60 years as a core skill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ere are four major implications we have figured out in this study. First, each achievement goal to be achieved is set based on the hierarchy of school grades. Second, the full establishmen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was completed in three years after the curriculum was announced in France. Third, the contents are presented to enhanc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programming algorithms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computer literacy and the concepts of computer science. Fourth, the contents of integra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is considered with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it is proposed to deepen understanding and programming of computer literacy and the concept of computer science as the grade and school level get higher. 1960년대부터 시작된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은 2018년이 되어 초중등을 아우르는 교육시스템이 완성되었다. 프랑스가 산업화된 이후 지금까지 약 60년을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방법과 체제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크게 네가지의 시사점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학교 급별 위계를 토대로 달성해야할 각각의 성취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의 전격적인 도입 및 확산을 위하여 교육과정이 발표된지 3년만에 컴퓨터교육의 도입이 완성되었다. 셋째, 컴퓨터 소양과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균형을 토대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넷째, 컴퓨터교육의 융합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다루도록 하고 학년 및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컴퓨터소양 및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래밍의 심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시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