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owards a City Branding System: The Concept and the Case of Amsterdam

        이경미,써 드 보아 서울연구원 2010 서울도시연구 Vol.11 No.3

        Many city administrations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city branding to sustain the city’s competitiveness. Research has provided diverse notions of city branding and presented relevant factors and process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more realistic and integrated framework to branding cit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consensus about why and how cities transform an entrepreneurial mind into a city branding paradigm. Literature is short of providing a realistic and holistic framework applicable to city brand management. Aiming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ity branding, our research suggests a systems approach to branding citi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anaging the brand Amsterdam, the study outlines brand management process in terms of strategic interaction and intent, branding governance, city brand and its effects. Our research refers to the concept of city branding as a strategic, proactive, and systematic process for city brand management. Even though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descriptive study on the case of brand Amsterdam, the study contributes to extend the urban marketing discipline into a city branding theory and to introduce a city branding system. Further research needs to expand theoretical and empirical levels including more cities and to compare the dynamics within the city branding system.

      • KCI등재

        문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브랜드전략의 탐색적 연구 - 1차 법정문화도시를 중심으로-

        지원배,유현중,정해원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8

        City branding is a strategy aiming city regeneration and securing city competitiveness. Recently, the government selected seven cities as the first cities for strategic city branding. They are Bucheon in Gyeonggi Province, Wonju in Gangwon Province, Cheongju in Chungbuk, Cheonan in Chungnam Province, Pohang in Gyeongbuk Province, Yeongdo in Busan, and Seogwipo in Jeju Island. The selected cities will recover from stagnant functions of community and promote local resident’s cultural lives. Particularly, it is anticipated to expand tourism and cultural industry by developing cultural assets in distinctive regions into global brands. Accordingly, this study derived 4P (Place, Product, People, Promotion) suitable for city branding analysis and analyzed each city’s current branding, based on the regional marketing and city brand theory.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to improve city’s future cultural activities by presenting a city branding evaluation measurement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below. First, culture city’s brand identity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clear and differentiated. Second, contents development scenario that provides culture city’s specialized and unilateral experience is necessary. Third, digital storytelling focused on differentiated 4P factors and essential target needs to be sustainabl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new guideline for cultural city branding activities that revitalize the region. 도시브랜딩은 도심재생 및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대적 요청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전략적 도시브랜딩을 위해서 전국에서 1차 법정문화도시로 7개 도시를 선정했다. 경기 부천, 강원 원주, 충북 청주, 충남 천안, 경북 포항, 부산 영도구, 제주 서귀포이다. 선정된 문화도시는 침체된 도심과 공동체 기능을 회복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을 증진하게 된다. 특히, 예술, 역사전통, 문화산업 등 특색있는 지역의 문화자산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키워 관광산업, 문화창업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지역마케팅과 도시브랜드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도시브랜딩 분석에 적합한 4P(Place, Product, People, Promotion)를 새롭게 도출하여 각 문화도시의 도시브랜딩 사례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브랜딩 평가측정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문화도시활동의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도시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차별화되고 명확할수록 효과적이다. 둘째, 문화도시만의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 개발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 타깃과 차별적 4P요소를 중심으로 선형적이거나 비선형적인 디지털스토리텔링이 지속가능해야한다. 이번 연구가 지역을 활성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도시 브랜딩 활동에 새로운 기준점과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관광산업 도시를 위한 유럽 도시 브랜딩

        나애리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Place branding practices start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round 1850 in the United States to attract population in rural areas, and later on for tourism purpose, especially in Europe, with famous posters of places). Only from 2010 there is a general trend to consider place branding as an emerging scientific field of study. One of the tenets of place branding posits that the struggle for attention and preference is not limited to commercial goods and services; it applies equally to geo-political entities. Countries and cities compete for tourist income, business, and often tax bases. Proponents of place branding argue that this heightened competitive environment makes it important for places, no matter their size or composition, to clearly differentiate themselves and to convey why they are relevant and valued options. Successful destination-brand management can be seen as an exercise of coordination where relevant variables; such as tourism infrastructures, quality of local services, and other destination-brand users need to be managed in order to achieve a coherent and desired destination-brand identity. Therefore, The destination branding is, in reality, a d coordination of all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stination image. City branding refers to all the activities that are undergone with the purpose of turning a City from a location into a destination. "Successful branding" can turn a city into a place where people want to live, work and visit. City branding is invariably related to the notion that places compete with other places for people, resources, and business. It is the process of image communication to a target market. City branding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employed by public administrations to intend to create city brands. It can even be considered as a governance strategy for projecting images and managing perceptions about places. City branding thus suggests that cities could be considered as brands, as long as perceived so. In this regard, many public administrations are implementing city branding strategies. 세계적으로 도시 브랜딩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도시 브랜딩 사업의 결과로 새로운 이미지의 도시들이 재탄생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전 부타, 국가 브랜드 및 지역 브랜드에 대한연구가 진행되었고, 유럽 국가들은 브랜드 사업에 대규모로 정책적 노력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유럽 도시 브랜딩 추세는 지금도 계속되고 더욱더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수백년 또는 수천 년 전부터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관광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해왔으며,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행사 들을 개최함으로써 문화예술 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관광산업과 맞물려, 문화예술도시로서 거듭나려는 노력, 도시의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노력 등, 유럽 국가들은도시 브랜딩 사업에 많은 노력을 전개하여 왔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이룩한 도시들도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도시브랜딩이란 무엇이며, 도시브랜드사업이 사업이 왜 필요한가? - 유럽 도시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 브랜드화를 이룩했는가? - 유럽도시브랜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한 곳은 어디인가? - 관광 도시 및 문화예술도시로 브랜딩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 전개해왔는지? 브랜드란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자들로부터 차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독특한 이름이나 상징물(로고, 등록 상표, 포장 디자인 등)을 의미한다. 도시 브랜딩이란, 도시의 특성을 살려 그 도시를 상징화시킴으로써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도시 브랜딩의 방법으로는, 도시를 상징하는 그림이나 도안을 만들어 깃발에 달거나 도시 곳곳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었다. 마치 제품들이 고유 마크를 제품에 붙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제품 생산자를 알려줌으로써 유사 제품을 공급하려는 경쟁자들로부터 소비자와 생산자를 보호한다. 도시브랜드 사업이 왜 필요한 지? 그 이유를 요약해보면, Globalization 글로벌리제이션에 따른 도시 간 자원 유치가 치열하였기 때문이다. 관광산업 수입이 국가 총수입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브랜딩이 이러한 관광산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필수적인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제품 브랜딩을 하듯이, 도시도 브랜딩을 통해 효율적인 지역 마케팅과 지역 개발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리제이션 현상이 곳곳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관광유치, 제품 판매,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도시 브랜드화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그러면 도시를 어떠한 방식으로 브랜딩 할 수 있는가? 기업과 달리 국가나 도시의 경우에는 정체성이나 가치를 확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국가나 도시의 경우, 브랜드 정체성이나 가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법이나 정치 제도의 구조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단위의 대대적인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동시에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들과의 협의와 동의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해의 조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가능하다. 도시 브랜드 정체성 확립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기업과 달리 국가에는 여러 가지 연상이나 가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 ...

      • KCI등재

        Culture-led city branding: The core value of design reputation for museums fro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김서영,데이빗 핸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e main idea of the research was to review a topic on how the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can be incorporated with successful culture-driven city branding from interdisciplinary desig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re value of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in developing cultural city branding. Within the conceptual basis, subordinary questions and research propositions were developed.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based on secondary sources from 2000 to 2018. The area of focus within the research are: (1) cultural city branding, (2) museums in city branding, and (3) architectural design in city branding. To build a substantial contextual framework, a section of literature review consists of two sub-sections. (1) impact of design reputation and city branding; (2) a theoretical model of brand communication (Kapferer). The review was conducted to suggest a redefined model within the context of the key findings at city brand communication level. Methodologically, construct a systematic framework of ‘meaning-making’ from a qualitative approach was the focus and an analytical method (Onwuegbuzie and Frels) of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was underpinned to conduct the research. The key findings from the research identified core topics to structure a contextual framework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phenomenon of museum design and culture-driven city branding. The section of the findings consists of the followings. Firstly, the use of architectural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and its impact on positioning a city towards a culturally-attractive destination. Secondly, the use of flagship brand museums and their further contribution to visible city brand identity. Third, the use of corporate museums and their exhibition contents can function as one of the key tools to value city brand authenticity. Lastly, a re-conceptualized model was formulated to redefine the core value of museums in design, which helps improve essential branding strategies for cities, from a physical landmark to a sense of civic pride. It is hoped that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building a more specified agenda and to define the new role of good design of museums in developing Seoul City branding for a future research project.

      • KCI등재

        Culture-led city branding: The core value of design reputation for museums fro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Kim, Seo Young(김서영),Hands, David(데이빗 핸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e main idea of the research was to review a topic on how the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can be incorporated with successful culture-driven city branding from interdisciplinary desig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re value of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in developing cultural city branding. Within the conceptual basis, subordinary questions and research propositions were developed.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based on secondary sources from 2000 to 2018. The area of focus within the research are: (1) cultural city branding, (2) museums in city branding, and (3) architectural design in city branding. To build a substantial contextual framework, a section of literature review consists of two sub-sections. (1) impact of design reputation and city branding; (2) a theoretical model of brand communication (Kapferer). The review was conducted to suggest a redefined model within the context of the key findings at city brand communication level. Methodologically, construct a systematic framework of ‘meaning-making’ from a qualitative approach was the focus and an analytical method (Onwuegbuzie and Frels) of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was underpinned to conduct the research. The key findings from the research identified core topics to structure a contextual framework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phenomenon of museum design and culture-driven city branding. The section of the findings consists of the followings. Firstly, the consumption of architectural design reputation of museums and its impact on positioning a city towards a culturally-attractive destination. Secondly, the role of flagship brand museums and their further contribution to visible city brand identity. Third, the utilization of corporate museums and their exhibition contents as one of the key tools to value city brand authenticity. Lastly, a re-conceptualized model was formulated to redefine the core value of museums in design, which helps improve essential branding strategies for cities, from a physical landmark to a sense of civic pride. It is hoped that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building a more specified agenda and to define the new role of good design of museums in developing Seoul City branding for a future research project.

      • KCI등재

        도시 비전과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드 활용방안 연구 - 경기도 포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박혜영,김상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도시브랜드는 1995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된 이래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의 개성과 특성, 미래의 비전을 나타내는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도시브랜드는 단순히 상표와 시각 디자인 요소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거버넌스와 상호연관성을 구축하지 못하고 민선단체장 의지에 의해 갑자기 사라지거나 관리부서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한계에서 발생한 일이다. 도시브랜드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기억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 그 도시만이 갖고 있는 존재의 이유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창의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가 한시적인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서의 한계를 넘어 도시의 비전이자 미래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 선행연구를 하고, 도시브랜드 체계구축 사례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도시브랜딩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도시브랜드 개념은 향후 도시브랜드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포천시 도시브랜드 체계 구축의 과정은 국내 도시들의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안으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도시브랜드는 마케팅 수단이 아닌 전략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비전을 실현하는 창조적 혁신 과정의 도시 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도시브랜드 체계구축을 통해 총체적인 도시브랜드 포트폴리오전략을 수립하고 창의적인 브랜딩 조직의 환경을 도모하여 도시의 창조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City brand in 1995, the Local Government Act amended since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municipality, the city has emerged as a marketing tool that represents the future vision. However,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city brand was simply a trademark and visual design element. This does not build a city governance and interconnectedness elected suddenly appeared or disappeared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rely on the phenomenon change. This is what happened in the absence of an overal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city brand. City brand is a past, present and futur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the city which includes the city and the only reason for existence is to have creative value provided to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is beyond the limits of the city as a means of brand marketing was seeking temporary city cognitive transition of city branding as a strategic vision and future of the city. To this end, the City brand leading research and proposed a creative city branding process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 case studies. City brand concep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form a consensus about the future city br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building Pocheon city brand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trategic brand management plan for domestic cities. Now the city brand is necessary cognitive transition that city branding, creative innovation process to achieve the future vision and identity of the city as a strategy rather than a marketing tool. This will establish the overall city brand portfolio strategy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s and promote an environment of creative branding the organization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the city.

      • KCI등재

        도시브랜딩 믹스 요소를 통한 광주 ‘오월길(5·18 Road)’ 브랜딩 현황 분석 -OIPTCR 믹스 요소를 중심으로-

        이무용 한국예술경영학회 2024 예술경영연구 Vol.- No.69

        이 연구는 ‘오월길(5·18 Road)’이 광주의 도시브랜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도시브랜딩 전략 요소에 대한 이론 고찰을 바탕으로 도시브랜딩 믹스 요소와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광주 오월길의 브랜딩 현황을 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은 기존의 OIPTCR 믹스 요소와 도시브랜딩 전략 요소 연구를 통한 ‘OIPTCR 도시브랜딩 믹스 지표’ 도출, 오월길 추진 과정 정리, 오월길 브랜딩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등이고,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실증 마케팅과 규범 마케팅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브랜딩 믹스 요소 6개(조직, 이미지, 상품, 타깃, 채널, 지역)에 따른 각 요소별 믹스 지표인 ‘OIPTCR 도시브랜딩 믹스 지표(총 24개 지표, 즉 조직 4개, 이미지 4개, 상품 5개, 타깃 4개, 채널 4개, 지역 3개)’를 도출하였다. 이를 오월길에 적용해 분석한 결과 총 18개의 지표를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되었고, 6개의 지표(조직 1개, 이미지 2개, 타깃 3개)는 사업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도시브랜딩 믹스 지표를 새롭게 도출함으로써 브랜딩 믹스 이론 논의에 기여할 수 있고, 오월길 브랜딩 현황을 이론적·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오월길 사업의 활성화에 실무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5·18 Roa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ity branding in Gwangju.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ity branding strategy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ity branding mix elements and indicators, and apply them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branding status of Gwangju 5·18 Road.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deriving the 'OIPTCR City Branding Mix Indicators' through the existing OIPTCR mix elements and city branding strategy elements research, arranging the process of promoting 5·18 Roa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5·18 Road branding, and deriving implications.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and case study applying empirical marketing and normative marketing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IPTCR City Branding Mix Indicators' (a total of 24 indicators, that is, 4 organization, 4 image, 5 product, 4 target, 4 channel, and 3 region), which are mix indicators for each element according to six elements of city branding mix (organization, image, product, target, channel, and region), was derived. As a result of applying and analyzing this to 5·18 Road, the project was promoted around a total of 18 indicators, and 6 indicators (1 organization, 2 image, 3 target) were found to have no proj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branding mix theory by deriving new city branding mix indicators, and that it can practically help revitalize the 5·18 Road business by theoreticall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5·18 Road branding.

      • KCI등재

        도시브랜딩과 융합을 통한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의 미래전략

        이진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This study proposes Pohang city branding strategy and the ways how Pohang Steel Art Festival can create sole future value through distinguished and strategic convergence in the era bombarded with the constant festival floods where hundreds of festivals are carried out on a yearly basis. In Chapter 1, festivals, three types of city branding and successful branding cases, and their applicability to Pohang Steel Art Festival are proposed as research direction ranging over research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scope. In Chapter 2, the strategy and direction of city branding value and competitivenes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re examined. In Chapter 3, the cases of internationally successful cities based on the types of urban branding development are put into three categorized types :‘urban image emphasized type’-succession development type, ‘urban image alteration type’ - urban regeneration type, and‘urban image creation type’ – creative strategy. Plus, individual case’s intrinsic values and the secret key to success are analyzed.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the strategy and future values of Pohang Steel Art Festival are suggested based on the three types of city branding. In the final concluding chapter, three city branding strategies dealt within this study are again concretely proposed. Firstly, urban image enhancement strategy – a solution of succession development : the fusion of iron and art, the symbol of the secondary industry and the convergence of high-tech science, culture and iron which is the emblem of the second industry Secondly, city image transformation strategy – a solution of city revitalization : inviting internationally renowned artists and art works, vitalization of residencies, joint research and participation of institutions, experts and civilian,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ntinued research. Lastly, city branding creation type – a future planning strategy : establishment of B.I strategy, consistent activation,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ly unique steel art festival image through differentiated values. 본 연구는 지차체 마다 매년 수십, 수백 개의 축제를 진행하는 축제 홍수 시대에 포항 도시브랜딩 전략과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이 차별화되고 전략적인 융합을 통해 유일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방법과 범위에 대 하여 축제, 도시브랜딩의 세 가지 유형과 성공사례,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에 적용 가능성 등을 연구방향 으로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도시브랜딩의 가 치와 경쟁력에 대한 전략과 방향을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도시브랜딩 개발의 유형을 바탕으로 국제 적으로 성공한 도시들의 사례를 세가지 유형인 도시이 미지 강조형-계승발전형, 도시이미지 변화형-도시재생 형, 도시이미지 창조형-창조전략형으로 구분하여 대입 하고 각각 그 가치와 성공 비결을 조사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도시브랜딩의 세 가지 유형에 근거하여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의 전 략과 미래가치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세 가지 유형 중 첫 번째인 도시 이미지 강화전략-계승발전의 방안으로 2차 산업의 상징인 철과 예술의 융합, 2차 산업의 상징인 철의 첨단 과학, 문화와의 융합, 두 번째인 도시이미지 변화전략재생의 방안으로 국제적으로 유명작가, 작품 유치 및 레지던시 활성화, 관과 전문가와 민의 공동 참여 및 연구, 교육기관 설립과 지속적인 연구, 세 번째인 도시 브랜딩 창조형-미래창조전략으로 B.I 전략 수립과 일 관성 있는 활성화, 차별화된 가치를 통한 국제적으로 유일한 스틸아트페스티벌 이미지 구축을 제시하고 각 각의 미래전략과 가치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도시 브랜딩 로고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중국의 도시를 중심으로-

        혜군정 ( Ji¸ Qun-jing ),한석원 ( Han¸ Seok-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오늘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명성을 쌓기 위해 점점 더 많은 곳이 브랜드 홍보에 뛰어들고 있다. 다시 말해, 이들이 생각하는 독특하고 명확한 특징을 목표 수용자에게 정의하고 전달하려는 시도다. 특히 도시 브랜딩은 지난 몇 년간 디자인 분야에서 폭넓게 다뤄오며, 전 세계 도시들은 사업, 인재, 방문객들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추세이며 점점 더 관련성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많은 도시들 도시의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대중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국가와 도시까지 반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브랜드 정체성은 많은 장소에 따라 논쟁의 여지가 많고 도전적인 주제이며, 어떤 곳은 건설해야 할 명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도시 로고를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관련 요소로 삼은 이유는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 중 시각적 요소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강력한 표현 수단이기 때문이다. 도시 브랜딩에 대한 연구는 좀 더 개념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을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이론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해 퍼스(Peirce)의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9 개중국 도시의 로고 사례를 분석했으며, 기호학의 접근을 통해 도시 브랜드의 표현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브랜드의 정체성 형성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는 도시의 외적 형성요소, 즉 역사문화, 물리적 환경, 자연환경 요소이며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기호학적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Today, more and more places are jumping into brand promotion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build a reputation in the global market. In other words, it is an attempt to define and communicate to the target recipient what they think is unique and clear. In particular, city branding has been widely covered in the field of design over the past few years, and cities around the world are competing for business, talent, and visitors, increasingly relevant. Today, many cities efficiently express the city's identity and form a positive image of the public, and these efforts are reflected in the country and cities. Nevertheless, city brand identity is a controversial and challenging subject in many places, and some do not have a clear identity to build.In this paper, the reason why the city logo is used as a relevant element in the formation of city brand identity through a semiotic approach is that visual elements are the most powerful means of expression to form identity among the five senses of man. Because the study of city branding requires more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presents semiotics as a theory that effectively creates city brand identity.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were based on Peirce's semiotic theory in a literature study to analyze logo cases in nine Chinese cities, and through an approach to semiotics, the representation elements of city brand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that play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city brand identity are the external building elements of the city, namely historical culture, physical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and the need for semiotic research of city brand identity is also being raised.

      • The Effective Branding Identity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China’s Metropolitan City - Focus on Brand Identity Development of Guangzhou Metropolitan City in Its Verbal & Visual Communication Strategy -

        Xuan, J. R. 한국디지털융합학회 2021 디지털경영연구 Vol.8 No.1

        Technology has bridged the gap between the world and cognition, and the new era of urban competition on the world stage has been announced. Theoretical research about city branding is getting more advanced globally. However, only a very few successful practical city-branding cases can be found so far. With the increasingly diversified development of cities, metropolises particularly need a strong brand identity to attract capital and opportunities while enhancing the cohesion of residents. Supported by more policies and funds from the government, the metropolitan cities may still not earn a better ranking in the world. However, a precise position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always create a good impression. Especially in the post-Covid-19 era, it is more convenient to obtain information. A lack of integrated and complex information will reduce the unity and trust of the city (brand). A strong brand will enhance the image value and credibility of the city, thereby bringing more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the city, residents, companies, visitors, and investors. From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WoS, the research field of city brand identity has shown an upward trend in recent years. Most of the research is in theoretical research and social science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ccounts for only 5.6%. This article is compiled based on the 2017 master’s thesis, combining the creative method of commercial brand theory, and repositioning Guangzhou to establish a strategic system for developing a robust global city br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