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분석과 한국 고대사 연구의 접목 가능성 -함안 성산산성 목간을 중심으로-

        임동민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network analysis'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was examined for the data of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in Haman. Network analysis is also call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analysis target is ‘nodes’, and their connections are ‘links’, and the analysis concept of ‘centrality’ is widely used. In Western archeology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network analysis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late 2000’s, and i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geography, archaeological material, and literature data. The domestic archaeologist also started to use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in 2019, and in ancient history research,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started to be used in research on history of historiography from 2020. In order to combine network analysis with research on Korean ancient histor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d use of geography, archeological material, and literature data, establishment of Open Access DB, intervention of ancient history researchers to criticize historical materials, use of excavated text data, and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source of Korean ancient history that is consistent with this discussion is the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The name of the region divided into the upper administrative unit and the lower administrative unit are written on the tablets. In these areas, goods were sent along the Naktonggang River to Sŏngsan fortress. toponymic data of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and the network structures of Sŏngsan fortress and upper administrative units were visualized with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t a rudimentary level, but in the future, if archaeological and geographic data related to wooden tablets are combined together, an in-depth analysis will be possible. If network analysis is applied to research on ancient history, excavated text data such as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with a lot of data and archaeological properties will be a good analysis target. 본고에서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 데이터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고대사 연구의 접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분석은 다수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으로도 불린다. 분석 대상은 노드(nodes), 이들의 연결은 링크(links) 등으로 명명되며, 중심성(centrality)이라는 분석 개념이 널리 활용된다. 서양의 고고학, 고대사 연구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네트워크 분석 연구가 급증하였는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지리‧물질문화‧문헌 데이터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국내 고고학계에서도 2019년부터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고대사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사학사적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동향에서 네트워크 분석과 한국 고대사 연구의 접목에 필요한 시사점이 도출된다. 예를 들어, 지리‧물질문화‧문헌 데이터의 통합 활용, Open Access DB 구축, 데이터의 사료비판 등에 고대사 연구자의 개입, 데이터 수량 확보를 위한 출토 문자자료나 사학사적 데이터 활용, 분석 과정에서 통시적 조망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에 부합하는 한국 고대사 자료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이다. 성산산성 목간은 주로 지명과 인명 등을 적은 하찰목간이다. 지명은 상위 행정단위와 하위 행정단위의 순서로 기재되었고, 본파, 아나, 말나 등의 하위 지역단위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명은 목간 수량으로 볼 때 낙동강 중상류, 낙동강 상류, 변경 지역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성산산성 목간의 지명 데이터를 대상으로 시론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성산산성과 상위 행정단위의 네트워크 구조를 UCINET과 Netdraw 프로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예를 들어, 감문과 고타는 하위 지역단위와 자연촌이 결합한 복잡한 구조, 구리벌은 수량이 많지만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지명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은 초보적인 수준에 그쳤다. 향후 물품명이나 목간 형태, 서체, 교통로 등을 결합하여 분석하면, 지역별 하위 네트워크나 신라의 촌 지배방식 등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도 가능할 것이다. 향후 고대사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을 접목한다면, 데이터 수량이 비교적 많고 고고학적 속성을 함께 갖춘 성산산성 목간과 같은 출토 문자자료가 좋은 분석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해발고도, 교통로 등 지리 데이터도 함께 결합하여 분석해볼 수 있다. 단, 자료의 신뢰도 검증과 역사적 맥락의 해석에는 고대사 연구자의 개입이 필수적이며, 분석 과정이나 결과 해석에서 ‘통시성’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고대의 유교경전 기록과 목간(木簡)의 서체(書體)

        손환일 ( Son Hwanil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한국 고대의 논어는 낙랑 논어목간, 백제 논어목간, 신라 논어목간 등 이 있다. 편명은 선진편, 안연편, 공야장편 등이다. 낙랑논어죽간의 형태 는 편철목간, 내용은 논어목간, 서체는 팔분(八分)목간이다. 백제와 신라 의 논어목간은 공야장을 적은 것으로 단간이며, 서체는 해서이다. 고구려의 태학(太學)과 경당(?堂), 백제의 오경(五經)박사, 신라의 태학과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가 정책적으로 운영되면서 유교경전의 교육이 활 성화되었다. 서체는 팔분법과 해서법이 혼용된 고대 사경체(寫經體)를 사용하였다. There is an ancient Korean, Nagnang was the Analects of Confucius, Baekje and Silla`s wooden tablets. Seonjin (先進), Anyeon (?淵), gongyajang (公冶長). The wooden form is a piece of wooden tablets, the Analects of Confucius, front of the wooden tablets, Nagnang Gothic lettering form (八分). Baekje and Silla`s wooden tablets, the Analects of Confucius gongyajang the small number. Taehak(太學) of Goguryeo and At local schools(?堂), of The Five Books of Confucianism doctor`s (五經博士) of Silla, Taehak(太學) doksseosampumgwa(讀書三品科) is. They are Confucianism (儒敎) Scriptures (經典) and run national policies of education is activated. typography is Gothic lettering (八分) and (楷書) is used by ancient sagyeongche(寫經體).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자료의 활용 -『日本史B』 교과서와의 對較를 중심으로-

        정선화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1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Japan’s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reviewing descriptions of the wooden table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response, he examined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as a comparative example to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reflects the latest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in the right place. From the 1990s, which was earlier than Korea, Japan has included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its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ore wooden tablets than Japanes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writing wooden table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m. While Japan clearly described the value of the wooden tablets as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 its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een that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any descrip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achievements of history studies.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data and accurately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ere reviewe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한 글을 게재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에 목간 관련 서술이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비교 사례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시기인 1990년대부터 고대 목간 자료를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였다. 山川出版社, 東京書籍, 実敎出版에 기재된 고대 목간은 「長屋王家」 관련 목간, 「郡·評論爭」 관련 목간, 「天皇」 호 관련 목간 등 3종류로 대별된다. 『한국사』 교과서는 고대 목간이 수록된 6종의 교과서에 6종류의 고대 목간이 등장한다.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목간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목간의 기재 방식이나 목간의 선정 방식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본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1차 사료로서의 목간의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서술한 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단순한 소개차원이거나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반하는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간 관련 서술은 1차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서술하면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면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고대 산성의 집수시설과 용도-한강유역 석축 집수지를 중심으로-

        백종오(Baek, Jong-Oh)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이 글에서는 한국 고대 산성의 집수시설과 그 기능 및 용도에 대하여 인천 계양산성과 하남 이성산성, 안성 죽주산성, 충주 남산성 등 한강유역 산성의 발굴 사례를 중심으로 구조적인 측면과 의례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집수시설은 체성 축조나 성내 시설물 조성 등 모든 城役에 필요한 용수를 저장하고 성곽 유지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고유 기능이다. 하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 성내 저지대이자 유수에 취약한 구간의 체성부에 가해지는 자중과 횡압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우선 고려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천 계양산성과 충주 남산성의 집수지는 上圓下方形을 기본 평면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과 단면 형태는 지형의 경사도와 고저차에 따른 토압과 수압을 반영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안성 죽주산성의 집수시설 6기는 다단계 저류 공간을 통해 수량과 유속을 조절하고 있다. 大小의 장방형, 방형, 타원형 등의 각종 평면에 段差를 둔 것은 조경의 기능도 고려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의례적인 측면에서는 집수시설과 의례유구, 집수시설 출토유물인 목간, 수막새, 수골 등의 儀禮性을 언급하였다. 성내의 제사나 의례와 관련된 유구는 집수지를 비롯하여 다각형 건물지, 방단 석축유구, 적석유구, 암반, 수혈 등이 있다. 집수지는 점토 집수지 보다는 석축 집수지에서, 건물지는 8각, 9각, 12각 등 다각형 건물지에서 좀 더 제의적 흔적이 강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목간이나 수막새, 수골 등이 대표적이다. 계양산성의 경우, 바닥층 출토 목간은 동일 층위와 출토 양상으로 보아 원저단경호 내에 목간들이 담겨져서 매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이를 방증하듯 하남 이성산성 A지구 2차 저수지 출토 목간들은 병이나 호 안에서 출토되는 특징이 있다. 편구형 소병(3차 발굴) 안에서 목간 3점과 대부장경병 안에서 목간 4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병은 구연부를 돌려가며 타결한 흔적이 남아있다. 2차 저수지의 남쪽둑 바닥 뻘층에서 단경호(4차 발굴)가 수습되었는데 그 안에 목간 5점이 담겨진 채로 출토되었다. 이 단경호는 흑회색 연질 토기로 정치된 상태로 보아 인위적인 매납이나 투기 등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이성산성 2차 저수지 출토 목간들이 일정한 공간이나 층위에 집중되는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창녕 화왕산성 연지 출토 단경호와 나무뚜껑, 경주 안압지 등의 사례가 있다. 이외 목제 인물상과 목제 인면상, 舟形, 鳥形, 木簡形, 팽이형, 톱형 등 이형 목제품들과 수막새들이 같은 유구에서 공반되는 점 역시 집수지의 의례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연화문 수막새의 주연부를 타결한 毁棄 瓦當은 계양산성과 이성산성, 죽주산성 등 집수지 내 중앙부의 바닥층에서 1점씩 출토되는 공통점이 나타난다. 그리고 집수지를 중심으로 문지, 성벽, 건물지 등의 초축이나 수개축에 훼기 와당을 매납하거나 투기하는 사례는 당시 고대인들의 사유체계에 접근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structural and ritual aspects on the functions and use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ies of ancient mountain fortresses of Korea, focusing on the excavation cases of the Han River basin such as Gyeyang Fortress in Incheon, Iseong Fortress in Hanam, Jukju Fortress in Anseong, Nam Fortress in Chungju.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collecting basin is to store water required for building castle such as building facilities or constructing walls, and to supply water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the fortress. However, the main structural aspect is to secure bearing capacity through reduction of vertical stress and lateral pressures applied to the wall part, which is the low-lying area and the vulnerable point caused by running water. In case of Gyeyang Fortress in Incheon and Nam Fortress in Chungju, the basic plane of collecting basin is circular top and square bottom shape(上圓下方形).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complex plane w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steep slope and the difference of elevation. In addition, six units of water collecting facilities in Jukju Fortress in Anseong control the quantity and flow through a multi-level storage space. It is thought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ow velocity is adjusted with different steps in various planes such as various sizes of rectangles, squares, and ovals was possible because the function of the landscape was also considered. In terms of rituals, this article mentioned ritual properties such as water collecting facilities and ritual sites, wooden tablets excavated in the facilities, damaged roof-end tiles, and animal bones. Sites related to ancestral rites and rituals in the fortress include collecting basin, polygonal building site, square stonework site, piled stone site, bedrock, and pit. Relics have been excavated in the stone collecting basin rather than the clay collecting basin, and the polygonal building sites such as octagonal, nonagonal, and dodecagonal sites show strong ritual characteristics. Wooden tablets, roof-end tiles, and animal bones are typical relics. In the case of Gyeyang Fortress, it is presumed that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in the bottom layer were buried in a short-necked jar with round bottom(圓底短頸壺), considering the pattern of excavation of the same layer. As a proof of this,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second reservoir in the A district of Iseong Fortress, Hanam, are characterized by being buried in bottle or jar. During the third investigation, three pieces of the wooden tablets were found in the oblate-shaped small bottle, and four pieces were found in the mounted long-necked bottle(臺付長頸甁). These bottles have traces of making patterns by turning the mouth of the bottles. During the fourth investigation, short-necked jar was collected from the bottom of the south bank of the second reservoir, and five pieces of wooden tablets were contained. This jar is a gray-black soft earthenware, and presumed that it was buried or dumped judging from its status.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se second reservoirs tend to be concentrated in a certain space or level. There is another example of short-necked jars, wooden lids excavated from lotus pond of Hwawang Fortress in Changnyeong, and Anap Pond in Gyeongju. In addition, the fact that various wooden works such as wooden figures, wooden faces, ship figures, bird figures, wooden tablets, top figures, saw figures, and various types of damaged roof-end tiles were in the same sites reflects the ritual properties of the collecting basin. A damaged roof-end tiles with patterns on the rim of roof-end tile with lotus design, was excavated from the bottom layer of the central part of the collecting basin in Gyeyang Fortress, Iseong Fortress, and Jukju Fortress. The case of dumping or burying damaged roof-end tiles in the first or several renovations of the gates, walls, and buildin

      • KCI등재

        The Evolution of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 as Observed through Early Korean and Japanese Wooden Tablets

        권인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Korea Journal Vol.50 No.2

        Large quantities of ancient Korean wooden tablets unearthed since the 1990s have underscored and buttressed the importance of primary materials in historical studies. The Korean linguistics field is no exception; with a growing number of tablets available from Baekje and Silla, research on ancient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accordingly flourished. These investigations had been mainly confined to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nd had not expanded to encompass all of East Asia. Bearing that in mind, this paper deciphers and explicates written materials through a comparison of two early wooden tablets, unearthed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surveys the evolution of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systems that us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e adoption and adaptation of character shapes and handwriting styles. Research reconfirms that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 originated in China and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to the Japanese archipelago.

      • 안압지 출토 木簡 처방전의 釋讀에 대한 연구

        이덕호(Deokho Lee),이선아(Suna Lee),김남일(Namil Kim) 한국한의학연구원 2009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5 No.2

        The manufacture date of the number 198 wooden tablet excavated at Anapji is estimated to be between year 751 and 774. As medical artifacts around this period of time is scarce, the discovery of an artifact with distinct medical information such as names of medicinal drugs recorded in hand writing holds great value in the history of medicine. This wooden tablet was presumably a prescription for a medicinal formula. That the ‘灸’ character which is a method of processing drugs is found after ‘甘草’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is wooden tablet to be a practical form of prescription. On this slip, a certain sign can be found at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names of drugs. This is thought to be an additional sign added to the original text. It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letter ‘了’,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finishing touches of the strokes, presumably to confirm the end of a work by adding the letter ‘了’ which means 'to finish'. The base material of 靑黛 and 藍淀 are the same, and the two often took each other's place in a prescription.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mple of a formula where both drugs are included. Therefore, the prescription on the front with 靑黛, and the one on the back with 藍淀 of tablet 198 can be understood as separate formulas.

      • KCI등재

        Advanced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Korean Ancient History - Stud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cipher Wooden Tablets and the restoration of ancient historical remains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임동민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4 No.2

        Mokkan are ancient documents from Korea that are especially difficult to decipher. Accordingly, researchers are currently comparing the significant amounts of data from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the amount of data required to be deci-phered will gradually exceed human processing capabilities. The AI that employs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a 4IR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o solve this problem. Hence, Japan developed the system “MOJIZO” in 2016, and the used it to decipher the text of ancient mokkan. Furthermore, in Korea, for each character, researchers are constructing primary data and secondary data in the form of databases. Thus,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mokkan deciphering system based on this data is required. Here, “generaliz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training data can be achieved. However,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comparing content are tasks that can only be completed by humans, the researchers of ancient history. The judgement of the researcher is required from the stage at which deciphering of training data for the AI. Korean ancient historical ruins are limited with respect to “the invisibility of ru-in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actual restoration projects, VR and AR were employed for the restoration of ancient historical remains. However, until now, VR and AR content for Korean ancient historical remains were limited with respect to the authenticity of restoration, difficulty of simultaneous experience, absence of spatiality, and simplic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solution of these issues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expert researchers, the utiliza-tion of smartphones, and the application of VR content to history education and AR content in the sites of ruins. In particular, the ancient historical remains of the Anyang region were noted as an example in which VR and AR can be used to restore the various layers of time and space surrounding Anyangsaji (Chungch’osaji). VR and AR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ity of Anyangsaji, which also requires stages of academic research, restoration plan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articularly, the participation of related experts is vital for storytelling and content authenticity.

      • KCI등재

        목간을 통해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문화

        權仁瀚(Kwon In-han)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1990년대 이후 한국의 고대 목간이 대량으로 발굴되면서 1차 사료에 의한 역사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어학계도 예외가 아니어서 백제 · (통일)신라 목간을 자료로 한 고대 한국어에 대한 연구 성과가 늘어나고 있으나, 논의의 시각이 동아시아 전체로 확대되지 못한 채 한반도에 머물러 있는 문제점도 없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발굴된 초기 목간 2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자료의 판독과 해석을 보인 후, 차자표기법의 발달, 자형 · 서체의 수용과 변용, 문자의 발달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고대 동아시아 문자문화의 교류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고 자 한다. 논의 결과 동아시아 문자문화의 교류가 ‘중국 ⇒ 한반도 ⇒ 일본 열도’의 흐름으로 이루어짐을 재확인한 바 있다. Large quantities of ancient Korean wooden tablets unearthed since the 1990s have underscored and buttressed the importance of primary materials in historical studies. The Korean linguistics field is no exception; with a growing number of tablets available from Baekje and Silla, research on ancient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accordingly flourished. These investigations had been mainly confined to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nd had not expanded to encompass all of East Asia. Bearing that in mind, this paper deciphers and explicates written materials through a comparison of two early wooden tablets, unearthed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surveys the evolution of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systems that us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e adoption and adaptation of character shapes and handwriting styles. Research reconfirms that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 originated in China and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to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Advanced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Korean Ancient History - Stud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cipher Wooden Tablets and the restoration of ancient historical remains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Dongmin Lim(임동민)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4 No.2

        한국 고대의 문자자료인 목간은 판독하기 까다로운 자료이다. 따라서 한·중·일의 방대한 자료를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판독에 필요한 자료의 양은 점차 인간의 처리능력을 벗어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자 인식 기술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에서는 이미 2016년에 ‘MOJIZO’ 시스템을 개발하여, 고대 목간 글자의 판독에 활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목간과 관련하여 간행물 형태의 1차 자료, 각 글자별 DB 형태의 2차 자료는 구축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 기반의 목간 판독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때 학습 데이터의 ‘시·공간적 확장’을 통해 ‘일반화’를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더라도, 맥락에 대한 이해, 내용의 비교, 검색 이미지 편집, 판독된 자료에 대한 해석과 연구 등은 결국 고대사 연구자의 몫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근본적으로 학습 데이터의 판독 과정에도 연구자의 판단이 필요하다. 한국 고대사 유적은 ‘유적의 비가시성’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고대사 유적의 실물 복원을 대신하여,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로 복원해보는 작업은 일찍 부터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 고대사 유적의 VR·AR 복원은 복원의 진정성, 동시 체험의 어려움, 공간성의 부재, 단순 정보전달 등의 한계를 지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 연구자의 참여, 스마트폰의 활용과 더불어 대학 교육에서는 VR 자료를 활용하고, 유적 현장에서는 AR 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안양 지역 고대사 유적은 안양사지(중초사지)를 둘러싼 다양한 시공간의 층위를 VR과 AR로 복원할 수 있는 사례로 주목된다. 안양사지의 역사성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VR, AR 기술이 필요하며, 이때 학술연구, 복원안 도출, 개발, 활용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특히 콘텐츠의 스토리텔링과 진정성 부여를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의 참여가 중요하다. Mokkan are ancient documents from Korea that are especially difficult to decipher. Accordingly, researchers are currently comparing the significant amounts of data from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the amount of data required to be deciphered will gradually exceed human processing capabilities. The AI that employs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a 4IR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o solve this problem. Hence, Japan developed the system “MOJIZO” in 2016, and the used it to decipher the text of ancient mokkan. Furthermore, in Korea, for each character, researchers are constructing primary data and secondary data in the form of databases. Thus,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mokkan deciphering system based on this data is required. Here, “generaliz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training data can be achieved. However,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comparing content are tasks that can only be completed by humans, the researchers of ancient history. The judgement of the researcher is required from the stage at which deciphering of training data for the AI. Korean ancient historical ruins are limited with respect to “the invisibility of ruin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actual restoration projects, VR and AR were employed for the restoration of ancient historical remains. However, until now, VR and AR content for Korean ancient historical remains were limited with respect to the authenticity of restoration, difficulty of simultaneous experience, absence of spatiality, and simplicit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solution of these issues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expert researchers, the utilization of smartphones, and the application of VR content to history education and AR content in the sites of ruins. In particular, the ancient historical remains of the Anyang region were noted as an example in which VR and AR can be used to restore the various layers of time and space surrounding Anyangsaji (Chungch’osaji). VR and AR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ity of Anyangsaji, which also requires stages of academic research, restoration plan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articularly, the participation of related experts is vital for storytelling and content authenticity.

      • KCI등재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전덕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2 No.-

        본 논고는 2000년 이후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통일 이후 한국고대사연구의 과제를 간략하게 제시한 것이다. 2000년 이전까지 남한에서 삼국 가운데 신라사연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2004년과 2005년에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여 고구려사연구가 활성화되었고, 2009년 이후에 충청과 경기지역의 발굴조사가 확대되고, 공주와 부여, 익산의 백제유적지구에 대한 정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백제사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1990년 이래 북한에서는 고구려와 고조선, 발해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백제와 신라, 가야사연구는 등한시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은 『력사과학』에 개재된 고대사 논문 가운데 고구려와 고조선, 발해사를 다룬 것이 다수를 차지하고, 백제사 등을 다룬 논문이 매우 적었던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북한에서는 1993년 단군릉 발굴 이후, 단군이 기원전 30세기 초에 평양에서 고조선을 건국하였고, 기원전 1500년 무렵 전조선과 후조선의 교체기에 고대 노예소유자국가로서 구려와 부여, 진국이 성립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기원전 277년, 기원전 3세기 전엽, 기원전 1세기 말엽, 기원 1세기 초중엽, 기원 1세기 중엽경에 고구려와 부여, 백제, 신라, 가야가 중세 봉건국가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북한에서는 고조선사를 서술하면서 남한에서 僞書라고 규정한 『규원사화』, 『단기고사』, 『단군세기』 등을 사료로서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몽과 온조가 고구려와 백제를 건국한 연대를 각기 기원전 277년, 기원전 258년이라고 수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고구려본기와 백제본기 기록의 기년을 대폭 소급하여 새롭게 조정하였다. 후기신라사와 발해사연구는 맥락상으로 1980년대의 연구와 크게 달라진 측면을 발견할 수 없다. 남한에서 2000년대에 매년 300편 이상,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400여 편 이상, 2015년 이후에는 매년 500편 이상이 넘는 고대사 논문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2000년 이후 남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성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몇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남한학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첫 번째, 삼국 초기와 고조선, 가야, 부여, 가야의 정치체제를 부체제로 이해하는 연구가 증가하였다는 점, 두 번째,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여 고구려사와 발해사연구가 크게 활성화되었다는 점, 세 번째, 다량의 목간과 다수의 금석문이 새로 발견되면서 고대사연구의 지평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점, 네 번째, 고조선의 중심지와 낙랑군의 위치를 둘러싸고 이른바 상고사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이 와중에서 고대사학계에서 연구성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남한의 이른바 재야사학자들과 북한학계에서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면서 고대사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향후 남북한 모두 ‘實事求是’와 탈민족주의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고대사상을 구축하고, 합리적인 비판과 대안이 존중되는 학문 풍토를 정립하게 된다면, 이와 같은 한계는 충분히 극복되리라고 기대된다. This paper arranged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ncient history after 2000 and succinctly presented the future tasks for the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after reunification. Before 2000, history research of the Three Kingdoms in South Korea had been focused on the Silla’s. In 2004-5, the history research of Goguryeo was invigorated in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After 2009, Baekje resear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excavation surveys in Chungcheong and Gyeonggi Province have expanded and the maintenance on Baekje Historic Areas in Gongju, Buyeo, and Iksan has been increasingly carried out. Since 1990, North Korea has concentrated on Goguryeo, Gojoseon, and Balhae, and neglected Baekje, Silla, and Gaya.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s that while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papers in Ryoksa Kwahak(The Journal of History-Science) dealt with history of Goguryeo, Gojoseon and Balhae, there were very few papers dealing with history of Baekje and so on.  After North Korea discovered the Tangun tomb in 1993, North Korea has argued that Tangun established the Gojoseon state in Pyeongyang at the beginning of the 30th century B.C. and that Guryeo, Buyeo, and Jinguk were established as ancient slave-possessing nations in the transitioning period between Early-Joseon and Later-Joseon, approximately at around 1500 B.C. Furthermore, North Korea has believed that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developed into medieval feudal states at around 277 B.C., early-3rd century B.C., late-1st century B.C., early or mid 1st century A.D., and mid-1st century A.D., respectively.  Not only North Korea has used the Gyuwonsahwa, Dangigosa, and Tangunsegi which were all defined as pseudographs in South Korea to explain Gojoseon’s history, but also North Korea changed the founding dates of Goguryeo and Baekje to 277 B.C., 258 B.C. and accordingly, adjusted the chronology in Goguryeobongi and Baekjebongi of Samguksagi retroactively. The research of the late-Silla and Balhae perio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 of the 1980s in context.  In South Korea, over 300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in the 2000s, more than 400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from 2009 to 2014, and more than 500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after 2015.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ummarize the researches of the ancient history of South Korean academics since 2000. However, i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South Korean academics since 2000 are to be summarized by focusing on a few keywords, firstly,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studies which understood the political systems of the early Three Kingdoms, Gojoseon, Gaya, and Buyeo as Bu-system. Secondly, Goguryeo and Balhae studies have been highly invigorated to counteract China’s Northeast Project. Third, there have been new discoveries of various wooden tablets and epigraphs, greatly expanding the horizons of ancient history studies. Finally, there has been a lively dispute about the location of Gojoseon’s center and Nakranggun, while the academia has been trying to inform the public about their research achievements. Currently, it can be said that the pseudo-historian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n scholars are conducting arbitray studies of ancient history by emphasizing nationalism and patriotism. However, these limitations are expected to be overcome by establishing an ancient ideology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transnational point of view, and a scholarly climate in which rational criticism and alternatives are respected. 4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