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자료의 활용 -『日本史B』 교과서와의 對較를 중심으로- = The use of ancient wooden tablet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On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history B』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Japan’s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reviewing descriptions of the wooden table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response, he examined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as a comparative example to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reflects the latest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in the right place. From the 1990s, which was earlier than Korea, Japan has included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its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ore wooden tablets than Japanes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writing wooden table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m. While Japan clearly described the value of the wooden tablets as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 its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een that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any descrip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achievements of history studies.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data and accurately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ere reviewe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한 글을 게재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에 목간 관련 서술이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비교 사례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시기인 1990년대부터 고대 목간 자료를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였다. 山川出版社, 東京書籍, 実敎出版에 기재된 고대 목간은 「長屋王家」 관련 목간, 「郡·評論爭」 관련 목간, 「天皇」 호 관련 목간 등 3종류로 대별된다. 『한국사』 교과서는 고대 목간이 수록된 6종의 교과서에 6종류의 고대 목간이 등장한다.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목간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목간의 기재 방식이나 목간의 선정 방식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본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1차 사료로서의 목간의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서술한 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단순한 소개차원이거나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반하는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간 관련 서술은 1차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서술하면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면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 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Ⅱ" 2017

      3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4

      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6

      5 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6 주보돈, "한국 목간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목간학회 (창간) : 2008

      7 임기환,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51-202, 2012

      8 윤선태, "한국 고대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사학회 (38) : 387-421, 2016

      9 정현숙, "한국 고대목간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10 김경호,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출토문자자료의 출토 및 연구 현황" 한국고대사학회 (59) : 329-363, 2010

      1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 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Ⅱ" 2017

      3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4

      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6

      5 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6 주보돈, "한국 목간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목간학회 (창간) : 2008

      7 임기환,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51-202, 2012

      8 윤선태, "한국 고대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사학회 (38) : 387-421, 2016

      9 정현숙, "한국 고대목간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10 김경호,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출토문자자료의 출토 및 연구 현황" 한국고대사학회 (59) : 329-363, 2010

      11 이성시, "평양 정백동364호분 출토 죽간 『논어』에 대하여" 한국목간학회 4 : 2009

      12 김경호, "지하의 논어, 지상의 논어" 성균관대학교 2012

      13 정선화, "중학교 역사교과서 속 고대 목간 자료의 검토와 활용" 역사교육연구회 (145) : 93-118, 2018

      14 정선영, "중학교 검정 『역사①』" 미래엔 2011

      15 양호환, "중학교 검정 『역사①』" 교학사 2011

      16 김덕수, "중학교 검정 『역사①』" 천재교과서 2011

      17 이문기, "중학교 검정 『역사①』" 두산동아 2011

      18 藤井讓治, "중학 『歷史』" 日本文敎出版 2016

      19 安井俊夫他, "중학 『歷史』" 学び舍 2016

      20 杉原誠四郞, "중학 『歷史』" 自由社 2016

      21 "중앙일보"

      22 김경호,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23 윤선태,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24 "조선일보"

      25 오야마 세이이치, "일본서기와 ‘천황제’의 창출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구상-" 동북아역사재단 2012

      26 고야스 노부쿠니, "일본근대사상비판" 역사비평사 2007

      27 서보경,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고대 한일관계 기술에 대한 분석 - 2015년도 검정통과본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51) : 167-208, 2016

      28 임상선, "일본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발해 관련 내용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115-138, 2002

      29 이경섭, "일본 고대 목간의 기원 -신라·백제 목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구결학회 2015

      30 三上喜孝, "일본 고대 목간의 계보: 한국 출토 목간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한국목간학회 (창간) : 2008

      31 인천광역시 계양구청, "인천 계양산성 4차 발굴조사약보고서" 2009

      32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와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역사교육연구회 73 : 2000

      33 杜維運, "역사연구 방법론" 일조각 1984

      34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35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함께 2009

      36 김한종,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37 송상헌, "역사교육에서 역사교과서의 성격 규정 문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7-39, 2012

      38 양정현, "역사교육에서 사실, 해석 그리고 주체와 관점 -2013년 판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소 9 : 2014

      39 김한종,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함께 2005

      40 마석한, "역사교과서와 교과서 분석" 역사실학회 9 : 1997

      41 구경남, "역사교과서 연구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2) : 115-162, 2015

      42 양호환, "역사교과서 서술 양식과 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연구회 59 : 1996

      43 지모선,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 한ㆍ중ㆍ일ㆍ미ㆍ독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01-253, 2009

      44 이치 히로키, "아스카의 목간" 주류성 2014

      45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연구회 (125) : 183-226, 2013

      46 국립부여박물관, "백제목간" 2008

      47 平川 南, "백제 왕도 출토 「연공(連公)」 목간 -한국 부여 쌍북리 유적 1998년 출토 부찰" 153 : 2009

      48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7

      49 임상선, "발해사의 이해" 신서원 1990

      50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51 윤선태, "목간으로 본 한자문화의 수용과 변용" 신라문화연구소 32 (32): 177-198, 2008

      52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삼인 2001

      53 "동아일보"

      54 이창호, "기호학적 관점에 따른 역사 시각자료 읽기 모형 개발" 한국역사교육학회 (27) : 129-182, 2017

      55 윤지훈, "교과용도서의 교과별 어휘 표준 구축 방안(I) : 표준화 대상 어휘 선정 및 목록화"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2016

      56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정 『국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57 도면회,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비상교육 2013

      58 정재정,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지학사 2013

      59 최준채,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리베르스쿨 2013

      60 왕현종,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두산동아 2013

      61 김종수,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금성사 2013

      62 주진오,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 천재교육 2013

      63 방지원, "고등학교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비교 - ‘사료’와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6) : 91-132, 2007

      64 尾藤正英, "고등학교 『日本史B』" 東京書籍 1998

      65 直木孝次郎, "고등학교 『日本史B』" 実敎出版 2001

      66 大津透, "고등학교 『日本史B』" 山川出版社 2004

      67 권인한, "고대한국 습서 목간의 사례와 그 의미" 한국목간학회 (11) : 2013

      68 이성제, "고대 환동해 교류사 -2부·발해와 일본" 동북아역사재단 2010

      69 市 大樹, "飛鳥の木簡" 中公新書 2012

      70 橋本繁, "韓國古代木簡の 硏究" 吉川弘文館 2014

      71 橋本繁, "韓国出土木簡の世界" 朝鮮文化硏究所 2008

      72 권인한, "韓·日 初期 木簡을 통해서 본 한문 어법의 선택적 수용과 변용" 釜山大學校 日本硏究所 13 : 2012

      73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長屋王邸宅と木簡" 吉川弘文館 1991

      74 森 公章, "長屋王家木簡の基礎的硏究" 吉川弘文館 2000

      75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제3권"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76 李成市, "百濟"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0

      77 송완범, "民의 대척점에 선 「王權」의 표상 ; 「天皇」과 「征夷大將軍」"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 : 75-94, 2011

      78 石井正敏, "東アヅア世界と古代の日本" 山川出版社 2003

      79 李成市, "東アヅアの王權と交易" 靑木書店 1997

      80 余信鎬, "木簡이 말하는 고대사: 일본의 木簡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회 13 : 2006

      81 이승재,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일조각 2017

      82 大庭 脩, "木簡ㅡ古代からのメツセㅡヅ" 大脩館書店 1998

      83 平野邦雄, "木簡が語る古代史(下)" 吉川弘文館 2001

      84 平野邦雄, "木簡が語る古代史(上)" 吉川弘文館 2001

      85 木簡学会, "木簡から古代がみえる" 岩波書店(株) 2010

      86 石井正敏, "日渤交涉における渤海高句麗繼承国意識について" 4 : 1975

      87 佐藤 信, "日本史硏究" 山川出版社 2008

      88 木簡学会, "日本古代木簡選" 岩波書店 1990

      89 平川 南, "日本の原像" 小学館 2008

      90 佐藤 信, "日本と渤海の古代史" 山川出版社 2003

      91 家永三郞, "新 『日本史B』" 三省堂 2001

      92 "敎科書レポㅡト" 出版勞連 2016

      93 渡辺晃宏, "坪城京と木簡の世紀" 講談社 2001

      94 国史大辭典編集委員會, "国史大辭典 7" 吉川弘文館 1986

      95 佐藤 信, "古代の遺跡と文字資料" 名著刊行會 1999

      96 하일식, "『중학교 역사』의 통일신라・발해 서술 검토-검정 교과서(2011년) 8종의 내용과 시각 자료 -" 한국고대사학회 (64) : 145-174, 2011

      97 정동준, "‘좌관대식기’ 목간의 제도사적 의미" 한국목간학회 4 : 2009

      98 이경섭, "6~7세기 한국 목간을 통해서 본 일본 목간문화의 기원" 신라사학회 (37) : 33-65, 2016

      99 渡辺晃宏,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2010

      100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중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10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역사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