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姜世晃의 「七灘亭十六景圖」와 李玄煥의 「七灘亭十六景」 詩의 비교

        최경환 동양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6 No.-

        In this paper,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are studied by comparing Kang Se-hwang's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七灘亭十六景圖)" and Lee Hyun-hwan’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七灘亭十六景詩)". The three aspects of the relation are as follows: the highlighting relation, the supplementing relation, and the replacing relation. Of the sixteen poems Lee Hyun-hwan’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in which the poetic scene is depicted from the pictorial scene, twelve poems exhibit the supplemen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and four poems exhibit the replac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No poem exhibits the highligh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Poetic variation occurs when the poetic scene is depicted from the pictorial scene because of two factors: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artist and poet on the title of the painting, and the different properties of painting and poetry as a medium of expression. Some of these two factors worked individually and others combined. In this paper, we looked specifically at the poetic variation that occurs in each poem by comparing the paintings and poems. 이 글에서는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 그림과 이현환의 「칠탄정십육경」 시를 비교하여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이 어떠한 관계 양상들을 보이며 또 그러한 양상들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화면상의 풍경이 언어를 통해 시적 풍경으로 재산출될 때 시적 변형이 왜 그리고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규명하였다.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은 시적 풍경을 이루는 요소들이 화면상의 풍경에서 확인될 수 있는지 그리고 확인될 수 있다면 그 요소들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부각 관계, 보완 관계, 대체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현환의 「칠탄정십육경」 시 16수는 모두 화면상의 풍경을 언어를 통해 시적 풍경으로 재산출한 시이다. 이 중에서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보완 관계를 보이는 시는 모두 12수이고,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대체 관계를 보이는 시는 모두 4수이다.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부각 관계를 보이는 시는 없다. 화면상의 풍경이 언어를 통해 시적 풍경으로 재산출될 때 시적 변형이 발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 때문이다. 그림의 표제에 대한 화가와 시인의 상이한 관점과 표현 매체로서 그림과 시의 상이한 속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가지 요인이 개별적으로 작용한 것도 있고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림과 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시에서 발생되는 시적 변형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七灘亭十六景圖와 李瀷의 七灘亭十六景 詩의 비교 -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

        최경환(Choi, Kyung-h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1 No.-

        In this paper,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are studied by comparing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七灘亭十六景圖) and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七灘亭十六景詩). The three aspects of the relation are as follows: the highlighting relation, the supplementing relation, and the replacing relation. Of the twelve poems of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in which the poetic scene is depicted from the pictorial scene, seven poems exhibit the supplemen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and five poems exhibit the replac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No poem exhibits the highligh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Such aspects of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in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resulted from the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painter’s and the poet’s viewpoint about the title of picture. 이 글에서는 무명 화가의 「칠탄정십육경도」 그림과 이익의 「칠탄정십육경」 시를 비교하여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이 어떠한 관계 양상들을 보이며 또 그러한 양상들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은 시적 풍경을 이루는 요소들이 화면상의 풍경에서 확인될 수있는지 그리고 확인될 수 있다면 그 요소들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부각 관계, 보완 관계, 대체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익의 「칠탄정십육경」 시 16수 중에서 화면상의 풍경을 언어를 통해 시적 풍경으로 재산출한 시는 모두 12수이다. 이 중에서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보완 관계를 보이는 시는 모두 7수이고,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대체 관계를 보이는 시는 모두 5수이다.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부각 관계를 보이는 시는 한 수도 없다. 이 글에서는 분량의 제한 때문에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대체 관계를 보이는 이익의 시 5수만을 무명 화가의 그림과 비교하여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이 어떻게 다르며 또 다르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월전 장우성의 그림과 자작 제화시의 비교 연구 :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환(Choi, Kyung-hwan)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이 글에서는 월전의 그림들에서 보이는 시·서·화의 관계 양상을 규명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의 일환으로 화면상의 풍경과 그것을 시적 대상으로하여 산출된 시적 풍경이 의미상으로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은 시적 풍경을 이루는 요소들이 화면상의 풍경에서 확인될 수 있는지 그리고 확인될 수 있다면 그 요소 들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추출할 수있다. 즉 부각 관계, 보완 관계, 대체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월전의 자작 제화시 57수에서 산출된 각각의 시적 풍경과 그것의 시적 대상인 화면상의 풍경을 비교한 결과, 화면상의 풍경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시적 풍경을 산출한 시는 1수밖에 없고, 화면상의 풍경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시적 풍경을 산출한 시는 2수에 불과하다. 나머지 54수는 모두 화면상의 풍경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시적 풍경을 산출한 시들이다. 이 글에서는 시적 풍경과 화면상의 풍경의 세 가지 관계 양상에 각각 해당되는 시와 그림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시적 풍경이 그렇게 산출된 이유와 아울러 시적 풍경의 산출 방향이 보완 관계 쪽으로 편중된 이유를 추정해 보았다. In this paper, aspects of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are studied by comparing Chang Woo-soung's pictures and his poems on paintings. The aspects are as follows: The highlighting relation, the supplementing relation, and the replacing relation.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depicting poetic scenes in his poems follows the direction of supplementing pictorial scenes too much. There are two reasons: (1) Poetic expression is less restricted than painting when depicting some object. (2) The feature of Chang Woo-soung’s pictures is that objects painted on a picture are very few.

      • KCI등재후보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

        이윤정(Lee Yun-J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본고에서는 문학과 회화를 상호 조명하는 비교문학적 시각을 바탕으로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있다. 문학과 회화는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서로의 장르적 구분에 의해 지금까지 상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문학의 범주를 예술의 영역으로 넓히고 감상의 시각을 다양화하는 것은 장르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다매체 시대에 앞으로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서는 첫째, 회화적 주제를 시적으로 형상화한 경우, 둘째, 조형 이미지와 시적 언어의 관계, 셋째, 회화 기법의 언어적 수용이라는 구분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회화라는 1차 텍스트가 발생시키는 1차 해석의 범주, 즉, 주제, 이미지, 기법을 중심으로 한 회화 텍스트의 기본 분석의 범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시의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면서 시가 2차 텍스트가 아닌 3차 텍스트로 해석될 때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에 대한 연구는 회화와 시, 두 텍스트 각각의 미학적 본질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르면, 1)회화의 주제가 시적으로 수용/ 변용되는 양상을 살핀다. 2)회화의 조형적 이미지와 기법은 문학적으로 수용되면서 시적 언어로 전이되는데, 이와 같은 김춘수의 시도는 시의 지평을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회화적 기법을 시에 수용하고, 구적으로 형상화할 때 발생하는 이중의 독해는 장르간의 교섭을 허용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감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고에서는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시와 회화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텍스트 해석의 범주를 넓히고 다양화되어가는 문화 영역에서 문학이 설 자리를 모색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Chun-soo's poem which has a special feature of Paintings.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A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has been discussed closely from the remote ages. But we think literature and paintings were divided through and through, Because both are belong to different genre. we never tried to analyze all together before. Nowadays, border of genre is disappearing by degrees. That means the Ages of Multimedia has already arrived. In the ages of Multimedia, the category of literature must be expanded to ride together with the newest trend. So, This study was reflected in Multimedia society's features, the main subject, images and so on. When time is come, we are going to connect all artwork and understand as a whole. Now we can easy to find smart poetry such as Kim Youngtae, Lee Seung-Hun, Kim Hye-soon, Moon Jung-Hee who has various knowledge. The ages are changing, but some are still tied up. we need to find a new road, which is a mutual relation.

      • KCI등재

        「七灘亭十六景圖」와 李瀷의 「七灘亭十六景」 詩의 비교(2)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환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and what caused the difference, are studied by comparing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七灘亭十六景詩) showing the supplementing relation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七灘亭十六景圖). In doing so, it was revealed why and how poetic variations occur when pictorial scenes are acquired through language into poetic scenes. The difference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is caused by two factors: The different viewpoint of the painter and poet about the title of picture and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picture and poetry as medium of expression. These two factors may work individually or in a complex way. In four poems, such as "the lonely lotus leaves in a small pond(小塘孤荷)", "the fishing lamp in deng-yen(燈淵漁火)", "the fishing at a fishing spot(釣磯垂竿)", and "the driving of cattle in a foggy field(煙郊牧牛)", the poetic scene differs in part from the pictorial scene due to their different attributes of the picture and poetry as medium of expression. In three poems, such as "the play Baduk on Sinseon Rock(仙巖賭碁)" , "the monk crossed the Moon bridge to return to the temple(月橋歸僧)", and a "the smoke from cooking rice in Jukchon villeag(竹村炊煙)", the poetic scene differs in part from the pictorial scene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the two factors. 이 글에서는 화면상의 풍경과 보완 관계를 보이는 이익의 「칠탄정십육경」 시 7수를 무명 화가의 「칠탄정십육경도」 그림 7점과 비교하여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이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가 발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화면상의 풍경이 언어를 통해 시적 풍경으로 재산출될 때 시적 변형이 왜 그리고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규명하였다.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림의 표제에 대한 화가와 시인의 상이한 관점과 표현 매체로서 그림과 시의 상이한 속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가지 요인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소당고하」, 「조기수간」, 「등연어화」 ,「연교목우」 시 4수에서는 표현 매체로서 그림과 시의 상이한 속성으로 인해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죽촌취연」, 「선암도기」, 「월교귀승」 시 3수에서는 두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에 대해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 KCI등재

        「谷雲九谷圖」와「谷雲九谷歌」의 비교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환(Choi, Kyungh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이 글에서는 「곡운구곡도」 그림 9점과 그 그림들을 시적 대상으로 하여 김수증을 비롯한 장동 김문 일가 9명이 각각 지은 「곡운구곡가」 9수를 비교하여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이 어떠한 관계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은 시적 풍경을 이루는 요소들이 화면상의 풍경에서 확인될 수 있는지 그리고 확인될 수 있다면 그 요소들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추출 할 수 있다. 즉 부각 관계, 보완 관계, 대체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곡운구 곡가」 9수 중에서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부각 관계를 보이는 시는 김창국의 「청옥협」, 김창집의 「융의연」, 홍유인의 「첩석대」 등으로 모두 3수이다.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보완 관계를 보이는 시는 김수증의 「방화계」, 김창집의 「신녀협」, 김창협의 「백운담」, 김창업의 「명월계」 등으로 모두 4수이다. 시적 풍경이 화면상의 풍경과 대체 관계를 보이는 시는 김창흡의 「명옥뢰」와 김창직의 「와룡담」 2수이다. 이 글에서는 분량의 제한 때문에 세 가지 관계 양상에 각각 해당되는 시 2수씩을 선정하여 그림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시적 풍경이 그와 같이 산출된 이유를 추정해 보았다. In this paper,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are studied by comparing nine pictures of Gokungugokdo and nine poems of Gokungugokga. The aspects of the relation are as follows: the highlighting relation, the supplementing relation, and the replacing relation. Of the nine poems of Gokungugokga, three poems exhibit the highligh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four poems exhibit the supplement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and two poems exhibit the replacing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 and pictorial scene.

      • KCI등재

        崔北 文人畵의 狂狷的 예술심미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1

        Choi Buk(1712-1786) is the master of three poems, caligraphy, paintings of the Middle Class Painter. There is a resisting cynicism against discrimination, a madly free and unbridled madness that is not bound by itself, and a master sense due to pride in his artistic talents. Madness and stubborn as an image of a unique painting through unworldly and clasical scholar oriented Muninhwa. His muninhwa has many poetic picture paintings where poetry and painting are one, and the technique of painting depicting objects is based on the power of the muscles and is a madness brush which is not bound anywhere. And it expresses the level of art in a higher level through the unconventional composition of the unconventional composition, the simplicity of the line, and the unique operation of margins and colors. His Muninhwa appeared naturally in the works of art, which is a pride of enterprising people and a belief that aesthetic pursuit of a change of the unchanging ones. 崔北(1712∼1786)은 中庶層출신의 閭巷畵家로서 詩·書·畵를 겸비한 三絶作家이다. 신분적 차별에 대한 저항적냉소와 스스로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 狂放不羈한 狂氣, 그리고 자신의 예술적 재능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한 傲慢과名人의식 등을 脫俗的·文士的문인화를 통해 개성적 畵風으로 狂狷하게 발현하였다. 그의 문인화는 詩畵一致라는 詩 意圖가 많으며, 畵法은 筋力을 위주로 하여 不拘格套의 狂筆로 대상물을 묘사하였고, 파격적 구도와 필선의 簡逸함, 여백과 색채의 독창적 운용으로 한 차원 높은 예술의경을 발현하였다. 그의 문인화는 狂者의 오만한 듯한 진취적 기상과 狷者의 변혁적 심미를 고수하고자 하는 예술관이 작품에 자연스럽게 투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