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의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사상 당장 삽입의 의미와 평가

        서석흥,김경환 중국지역학회 2018 중국지역연구 Vol.5 No.1

        At in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October 2017, Chinese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submitted "Xi Jinping’s Thought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a New Era". Xi Jinping’s Thought was inserted as a guiding ideology into the Party Constitu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cess and the background of Xi Jinping’s Thought, major contents and evaluations, and the meaning of it’s insertion into Party Constitution. After Xi Jinping became the "cor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October 2016, the Chinese leadership actively created the atmosphere for Xi Jinping’s Thought to Come into the picture. The background of Xi Jinping’s Thought’s submission is that the development of Chinese socialism has entered a new era. Now that the new era has come, and the major contradictions have changed, we need new theories and thoughts to accomplish the task of the new era. The main content of Xi Jinping’s thought is summed up in "eight clear things" and "14 basic strategies." Chinese authorities regard Xi Jinping’s Thought highly as creating a new frontier for Marxism and Chinese socialism. However, there are not many new and creative things that stand out from the predecessors in Xi Jinping’s thought. It may also be assessed that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theoretical systematization and logical consistency. Xi Jinping inserted the thought that he named himself after Mao Tse-tung and Deng Xiaoping. This was possible because Xi Jinping’s powers were as great as Mao Tse-tung and Deng Xiaoping. However, Xi Jinping has not any political achievements made by Mao Tse-tung and Deng Xiaoping. Therefore, his authority is formal, and he does not have the unsystematic authority that Deng Xiaoping enjoyed. 2017년 10월에 열린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시진핑 총서기는‘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새롭게 제출했다. 이 시진핑 사상은 수정된중국공산당 당장에 지도사상으로 삽입되었다. 본 논문은 시진핑 사상의 대두과정, 제출 배경, 주요 내용과 평가, 당장 삽입의 의미 등을 연구한 것이다. 2016년 10월 시진핑이 중공 중앙의 ‘핵심’이 된 후, 중국 지도부는 시진핑사상이 대두될 수 있는 분위기를 적극 조성해 갔다. 시진핑 사상이 제출된 배경은 중국 사회주의의 발전이 새로운 시대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가 되었고, 주요모순도 변화했으니, 새 시대의 과제를 달성할 새로운 이론과 사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진핑 사상의 주요 내용은 ‘8개 명확’과 ‘14조 기본 방략’으로 요약된다. 중국당국은 시진핑 사상을 맑스주의와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신경지를 개척했다고 높이평가한다. 그러나 시진핑 사상에는 전임자들과 구분되는 새로움이나 독창성이 많지않다. 또한 충분한 이론적 체계화와 논리적 정합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시진핑은 마오쩌뚱과 덩샤오핑 다음으로 자신의 이름을 붙인 사상을 당장에삽입했다. 이는 시진핑의 권력이 마오쩌뚱과 덩샤오핑만큼 크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시진핑은 마오쩌뚱과 덩샤오핑이 이룩한 정치적 업적이 없다. 따라서그의 권위는 형식적이고, 덩샤오핑이 누렸던 비제도적 권위는 갖고 있지 않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본 시진핑 시기 중국의 전략: 후진타오 시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경진,하두진,박민준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Research topic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China's strategies in the Xi Jinping era,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by analyzing the linguistic expressions of the paramount leader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of Xi Jinping and Hu Jintao's speeches. · Research background: During Xi Jinping's first and second terms in office, China underwent notable policy changes, marked by an assertive foreign policy and increased intervention in the overall economy. These policy shifts, characteristic of the Xi Jinping era, also demonstrate a degree of continuity with the preceding Hu Jintao era. With Xi Jinping embarking on his third term as the paramount leader, encompassing leadership across the party, state, and military in 2023, and considering the expected continuation of his leadership, this study seeks to scrutinize the evolutions in China's policies and strategies since the advent of Xi Jinping's leadership.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peeches delivered by the current paramount leader, Xi Jinping, and his predecessor, Hu Jintao.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selectively parsed specific contents of Xi Jinping's speeches or concentrated on specific policy domains, this study encompass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 corpus of 1,782 speeches spanning both Xi Jinping and Hu Jintao's inaugural and subsequent terms. It investigates strategic shifts across diverse domains, including foreign policy,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Employing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such as data-driven clustering and feature word extraction through TF-IDF, the study provides substantiated empirical evidence. ·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a corpus of 1,618 speeches from the Xi Jinping era and 164 speeches from the Hu Jintao era, emplo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analysis involved clustering algorithms (K-means) for thematic categorization, examin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F-IDF for the extraction of feature words. Moreover, the speeches underwent systematic classification into diverse comparative groups, including temporal categorizations (first term vs. second term) and leadership differentiations (Xi Jinping vs. Hu Jintao). This rigorous methodology facilitated a comprehensive analysis, exploring both shared features and distinctive aspects across these various dimensions. · Research result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language used by the paramount leader, the study reveals that China's strategy during the Xi Jinping era, when compared to the Hu Jintao era, places a greater emphasis on international order and cooperation in the realm of foreign policy, with a diminished emphasis on cross-strait relations. In domestic politics, there has been an ideological shift towards the 'Xi Jinping Thought o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highlighting a distinctive socialist ideology. Political rhetoric has intensified regarding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and the pursuit of the rule of law. In the economic sphere, a sustained emphasis on economic development, reform and opening-up, and innovation is observed, accompanied by novel discussions on the linkage between security and economics. In the social sphere, a focus on poverty alleviation policies and agricultural issues is evide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hina's policies and strategies during the Xi Jinping era by deciphering the topics and terms used in the speeches of the top Chinese leaders, Xi Jinping and Hu Jintao,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and linguistic approache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comprehension of the role of the paramount leader in China's policy decisions and contribute to gauging the future direction of Chinese policies and strategies.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공봉진,김창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5

        Xi Jinping's Thought is ‘Xi Jinping's Thought o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Xi Jinping’s Thought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a new era. The Chinese government is emphasizing the Xi Jinping's Thought to successfully realize China's dream of the great revival of Chinese n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ed by the first government of Xi Jinping was education on core socialist values. Th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ed by the second government of Xi Jinping is the New Era patriotic education and China's Education Modernization 20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and to examin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various education practices that are being implemented across schools and society. In particular, it looks at the main contents of the ‘China’s education modernization 2035' announced in 2019. And it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education policy. China aims to achieve a basic modern society in 2035 as the first step toward completing a modernized society. ‘China’s Education Modernization 2035' was announced, and education tailored to the new era is being conducted. The Chinese government believes that Xi Jinping's Thought learning can build socialism unique to China in the new era. In this regard,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contents implemented by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tend to emphasiz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Xi Jinping's Thought. Xi Jinping administration aims to provide education centered o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cultivate talented people in the new era required by the CCP. And through this, the Chinese government wants to build a modernized society. We can see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ntends to complete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시진핑 성장 배경과 정치 리더십? -개인적 성향과 시진핑시대를 중심으로-

        김진호 한중사회과학학회 2020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8 No.3

        Xi Jinping was born as the son of Xi Zhongxun, one of the national founder, but he suffered from a difficult youth due to the political uprising of Xi Zhongxun. Also, Xi Jinping, who was hardly admitted to the Communist Party, was able to enter Qinghua University, and was able to live a smooth job again with the lottery of Xi Zhongxun. However, it was said that because Xi Zhongxun was pushed back to the outskirts of power then he was unable to make political progress again. However, Xi Jinping’s steady efforts as a local bureaucracy eventually returned to him as an opportunity. In the end, Xi Jinping was able to enter the center through the Shanghai secretary, and eventually reached the position of the Communist Party secretary and the national president. Looking at the life course of Xi Jinping, it can be said that Xi Jinping has a strong pride and a constant effort. Second, it seems that he understands the Communist Party’s power struggl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ird, it seems that he have ful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ilitary power through local experience. Fourth, it seems that he has nationalism consciousness that loves the Chinese culture. Lastly, Xi Jinping seems to have a strong will to realize the dream of the Chinese people based on a strong army in the spirit of the Communist Party that does not lose its original mind. All of this is what he learned from field experience.

      • KCI등재

        시진핑 노선과 그 의미

        유신일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3

        Xi Jinping is trying to arouse Chinese people’s intimacy toward Chinese Communist Party by practicing pro-people policies and anti-corruption policies. In the present transit process to realize the so called Chinese Dream, Xi Jinping first has been successful in grasping the Chinese political organizations related to politics,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then its strong political leadership. Based on its strong political leadership, Xi Jinping’s line is pursuing Chinese Style political democracy, overall and profound economic reform and the realization of more powerful international leadership in the world society. The process and the success of Xi Jinping’s line is going to have influence on the various kinds of fields;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such as increasement of the superpower, Chinese people’s welfare, human rights, etc.. And the Xi Jinping’s line is also going to impact on politics,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World and specially of the 21st century’s Korea Peninsula. This paper is to describe, first, how Xi Jinping has appeared to be General Secretary of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n the present political and economical status of China, which will be background environment for the Xi Jinping line. And this paper will continue to discuss how the Xi Jinping is going to unfold his line;1)how Xi Jingping has attempted to reinforce his political power, 2) confirm whether his political power is in his hands or not, 3)how his political line is to develop, 4)how his economical line is to be designed, 5) how his international policy line is to evolve out, etc.. Then I will review what kinds of implications are there; 1)political, 2)economical and 3)international relations sides of China and especially 4) of Korea. Finally, this paper is going to conclude the discussion on Xi Jinping line. Actually, Korea is expected to prepare well for the appearance of the super power, China. If Korea utilizes well the appearance of China, Korea will have a chance to be one of the main advanced countries of the 21st century world. Otherwise, it is also possibile for Korea to be degraded into a peripheral minority country in Chinese oriented world of that time. 시진핑은 친인민 정책과 함께,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며, 중국 인민들의 공산당에 대한 호감을 유도하고 있다. 중국몽을 성취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현 시점에서 시진핑 노선은 우선 중국 정치, 경제, 국제 관계 분야와 관계된 정치 조직들을 장악함으로서, 강력한 정치 리더십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그 강력한 리더십을 통하여 시진핑 노선은 중국식 정치 민주화, 전면적 개혁의 경제, 강력한 국제적 리더로의 역할 제고 등을 추구하고 있다. 이 시진핑 노선의 과정과 그 성공은 강대국 중국 인민들의 복지 제고와 인권 등, 정치․경제․사회적인 각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정치, 경제, 국제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중국과 역사, 지리적으로 가장 인접하고 있는 21세기 한국과 한반도의 정치, 경제, 외교 관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다. 이 논문은 먼저 시진핑이 어떻게 총서기로 등장했는지를, 그리고 시진핑 노선의 배경이 될 중국의 정치․경제의 현 상황을 약술한다. 그리고 시진핑이 어떻게 권력을 장악해 왔는지, 그의 권력 장악 과정을 시진핑 노선 전개의 서론으로 서술한다. 이어서 그가 장악한 정치 조직 분야, 즉 정치․경제․국제관계 분야에서의 시진핑 노선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시진핑 노선의 전개가 중국 정치․중국 경제․국제관계 분야에 있어서 또한 한국에 있어서 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다시 정리해 보고 그리고 이 논문의 결론을 제시한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동북아에서 강대국 중국의 등장을 제대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한국이 이에 대한 대비를 제대로 준비한다면 한국, 특히 통일 한국은 오히려 중국보다 먼저 선진국의 일원으로 등장할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대비를 못할 경우, 현대사 이전의 한중관계사에서처럼 한국은 중국의 변방 소수민족 국가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 - <인민일보>기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

        김다인,리단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부터 21세기 현재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중국 공산당 18차 대표대회와 제 12차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시작으로 시진핑(習近平 )시대가 개막되었다. 시진핑 정부는 ‘중국의 위대한 부흥’,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 ‘평화발전’ 등의 기조를 유지해 나가며 국제적 책임과 권리, 역할을 중요시 하는 시진핑 정부 자신만의 ‘중국의 꿈(中國夢)’ 을 선언하였다. 시진핑 정부의 중국 외교는 덩샤오핑(鄧小平), 장쩌민(江澤民)의 시대와는 다르게 주도적이고 대담한 대외정책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며 기존의 도광양회(韜光養晦)의 기조에서 화평발전(和平发展)이라는 적극적 성향을 띄는 기조로 개념을 전환하였다. 시진핑 정부는 중국 공산당 19차 대표대회를 통해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및 ‘중국 특색의 대국 외교’를 제시하였으며 ‘신형대국관계’의 상위 개념인 ‘신형국제관계(新型國際關係)’와 ‘인류운명공동체(人类命运共同體)’를 강조하였다. 또한 시진핑 정부는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자국의 주권과 안전, 평화발전을 위한 국제환경 조성을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외교적 행보는 세계 질서의 변화를 요구하는 셈이며 이는 강대국들의 동북아 지역 세력 다툼의 전초지인 한반도에 그대로 투사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은 한・중 수교 이후 한국의 대외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제사회 관계 속 시진핑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필요하다. 그 어느 때보다도 한국의 외교적 지혜를 요구한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입장을 표명하고 당의 정책에 입각해 보도하는 <인민일보>를 본 논문의 분석대상으로 삼아 텍스트마이닝 토픽모델링(LDA기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한국의 대외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Xi Jinping government has maintained its stance of ‘Great Revival of China,’ ‘ Building a Full Well-Off Society,’ and ‘Peace Development.’ Xi Jinping declared the ‘China Dream’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which values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rights and roles in accordance with its national power. China's strategy calls for a change in the world order, requiring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n international community relations. Thu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People's Daily as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foreign policy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hrough the ‘People's Network’, an Internet site of the <People's Daily>, a total of 872 articles were collected, focusing on the Xi Jinping government's foreign policy keywords (‘Xi Jinping’, ‘Foreign policy’, ‘Community of Shared Destiny for mankind’, ‘Diplomacy with neighboring nations’, ‘Great Power Diplomacy’,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hina Dream’, ‘Win-win Cooperation’, ‘Korean Peninsula’, ‘THAAD’, ‘North Korea’) Text Mining, Topic Modeling (LDA-based) analysis techniques focusing on text during mining analysis were used. This study analyzed five topics with high ranking among 12 topics through indicators such as topic modeling analysis, topic document classification, and topic-related network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organized into Topic 5 (China's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Topic 10 (China-U.S. relations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Topic 2 (North Korea-China friendly relations during the Kim Jung-un period), Topic 8 (Constructing an Asian Community of Shares Destiny), and Topic 7 (China's Distinctive Great Power Diplomacy). The above results are intertwin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wo Koreas and consist of major topics related to China's foreign policy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related to the projects ‘China Dream’ and ‘The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People.’ With the results and analysis obtained from the research of this paper, this paper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s foreign policy.

      • 중국 시진핑 정권의 권력구조와 종교정책에 관한 연구

        고영은(Young-Eun Ko) 영남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 목회 Vol.51 No.-

        Xi-Jinping, a President of China following Hu-Jintao, has strived to strengthen China further through the market economy while also strengthening the rule of the communist party under the idea of Chinese Dream. The method of ruling in China experienced many changes around the year of 1978. From 1949 till 1976, Mao Zedong establishe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ruled China for the socialist revolution. He monopolized the power to achieve the ideal goal of the communist party, and even justified violence as a legitimate means in execution of such goal. Deong Xiaoping, appeared after the death of Mao Zedong in 1978, changed the society of China by introducing the market economy through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of China. The political system of Xi-Jinping administration takes the nature of the communist system of Mao Zedong, espoused Marx-Leninism, while adopting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of Deong Xiaoping to make China stronger. In the meantime, Xi-Jinping administration has strengthened the military power to accomplish `Chinese Dream` as well as the control over its economy and society. This dual structure of China has emerged as a cause of stagnation and social instability due to the strong social control of the communist party in the times of Xi-Jinping. Based on the four theories of the political system of D. Shambaugh, the society of China in this era, of Xi-Jinping can be classified as hard authoritarianism, and the changes brought to the internal society of China due to the hard authoritarianism could lead to strong control over the church of China (except for The Three-Self Church). The change in China`s perception of religion, caused by the reformation and open policies of China, led to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eligion, made by ‘Five Principles of Religion’ of China. However, Xi-Jinping administration is trying to have the strong control over possible threats to the community party of China, including Christianity, NGO, and Internet. This control policy is one of strategies to consolidate the communistparty- oriented ruling system of China, which is the foundation of Xi- Jinping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strategies of Xi-Jinping administration built up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China have the strategic intension of eliminating the threatening factors through the strong control and suppression over the religion and culture came from the west. Such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of China could cause a significant crisis in the missionary works of Korean church i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church and the missionary in China should carefully observe the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inflicted on China and changes in China, caused by the trad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along with the future economic crisis of China. According to D. Shambaugh, the persistence of strong political over the religion, human rights, media, economic and political spheres, could aggravate the economy of China while causing severe social issues, and consequently, it could lead to the declin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us, ‘hard authoritarianism’ of the administration of China could bring a new chance for the missionary in China despite that it might inflict a great difficulty to the church of China for a short period.

      • KCI등재

        시진핑 집권 2기 출범, 1인 권력집중과 그 위험성: 마오쩌둥과 덩샤오핑과의 비교를 통하여

        박종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7 中國硏究 Vol.73 No.-

        In November of 2012, as Xi Jinping was appointed general secreta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he became the most powerful official. While becoming general secretary, Xi became the CCP’s preeminent figure, and seized military power when he became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While becoming the president, Xi became the government’s paramount leader, having seized power in the 3 core powers of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Xi Jinping didn’t stop here, and even occupied the core powers of specific domains by establishing a ‘leading group’ in the primary domains of party and government, and then taking on the group’s head position. At the CCP’s 19th National Congress held in October of 2017, Xi was also successful in inserting his own guiding ideology known as the ‘Xi Jinping Thought o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into the《Constit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rough this, Xi forged a monolithic absolute power. Xi Jinping’s monolithic concentration of power is comparable to Deng Xiaoping and Mao Tsetung. If Mao Tsetung pursued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by means of ideology, then Deng Xiaoping pursued the construction of an ideology suitable to changing social realities. Xi Jinping intends to capture only the strengths of Mao and Deng. In other words, Xi intends to also restore the socialist civilization while deepening the reform and openness policies. However, Xi will also come to possess the weaknesses of Mao and Deng. Accordingly, Xi Jinping’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bears the following risks. First, this may bring about the retrogression of the political system.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which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eras of Jiang Zemin and Hu Jintao, will transform into a monolithic dictatorship. Second, emphasizing an ideal ideology like Mao Tsetung can lead to strong social control. Social control has a high potential to occur primarily in cyberspace, and when considering a diminishing free press and the reality of a modern China with numerous dissidents, stronger controls could very well cause social instability. Third, the fact that China has no intentions of negotiating with relevant parties while clinging only to its own core interests has caused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s a typical hegemonic position, and this phenomenon may worsen. 시진핑은 2012년 11월 중국공산당 총서기에 임명되면서 중국의 최고권력자가 되었다. 총서기가 되면서 중국공산당의 1인자가 되었고, 중공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되면서 군권을 장악하였으며, 국가주석이 되면서 정부의 최고지도자가 되어 이른바 핵심권력인 당·정·군의 3권을 모두 장악하였다. 시진핑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당과 정부의 주요 영역에 ‘영도소조’(leading group)를 신설하여 조장을 맡음으로써 세부영역의 핵심권력마저 차지하였다. 그리고 2017년 10월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자신의 지도이념인 ‘시진핑신시대중국특색사회주의사상’을 《중국공산당당장》에 삽입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1인 절대권력을 구축하게 되었다. 시진핑 1인으로의 권력집중은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에 견줄만하다. 마오쩌둥이 이데올로기에 의한 사회주의건설을 추구하였다면, 덩샤오핑은 변하는 사회현실에 적합한 이데올로기 건설을 추구하였다. 시진핑은 마오와 덩의 장점만을 취하고자 한다. 즉 개혁개방정책을 심화시키면서 사회주의 정신문명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마오와 덩이 가지고 있던 단점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진핑의 1인지배체제는 다음과 같은 위험성을 안고 있다. 먼저, 정치제도의 후퇴를 가져올 수 있다. 장쩌민과 후진타오 시기에 제도화된 집단영도체제가 1인 독재로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하다. 둘째, 마오쩌둥처럼 이상적인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것은 강력한 사회통제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통제는 사이버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언론의 자유가 떨어지고 반체제인사가 많은 현대 중국의 현실을 고려할 때 지금보다 더 강한 통제는 사회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중국이 자국의 핵심이익만을 고집하면서 관련국과 협상하고자 하지 않는 점은 전형적인 패권적 자세로서 주변국과의 갈등을 초래하였는데 이런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 KCI등재

        습근평(習近平)의 “용전(用典)” 중 전통유학관(傳統儒學觀) 연구

        방호범 ( Fang Haofa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29 No.-

        2014년 9월 習近平은 공자 탄생 2565주년 기념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역사를 잊지 말아야만 미래를 開闢할 수 있으며, 역사로부터 미래를 향해야만 민족문화의 血脈中에서 前進을 연속하고 오늘의 사업도 잘 완수할 수 있다”라고 중국은 전세계에 자기들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창신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儒學을 비롯한 전통문화사상은 한시기 중국공산당으로부터 비판대상으로도 되었지만, 모택동을 비롯한 많은 지도자들은 근본적으로 전통사상을 배척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떻게 보면 그중 習近平은 傳統文化에 대한 조예가 제일 깊다고 중국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習近平은 전통문화를 매우 중시하고 또한 광범하면서도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현재 중국에서는 유학을 비롯한 전통문화을 배우고 실천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면, 習近平은 그 운동의 진정한 發起者이며 선두자로 볼수 있다. 이러한 형세하에 중국인민출판사에서는 특별히 『習近平用典』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이책의 출판을 계기로 習近平의 중요한 講話나 문장에 인용한 典故의 현실적 意義를 解讀하고, 典故의 배경에 대해 해석하여 習近平의 講話(文章)정신과 思想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그 목적을 두었다. 『用典』에서 習近平이 매우 광법하게 典源을 활용하였으며 유학은 물론 도가를 비롯한 많은 고전들을 인용하였다. 본문은 『習近平用典』을 文本으로 習近平의 전통유학관에 대해 검토하려고 한다. 첫째, 習近平의 傳統文化에 대한 情結와 그가 자주사용하였던 “典故”.習近平의 傳統文化에 대한 情結는 그가 전통문화를 중화민족이 인류문명의 발전에 크게 기여를 할 수 있었던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傳統文化가 中華民族의 基因으로 가슴깊게 자리 잡았으며, 優秀한 전통문화가 民族復興에 정신적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習近平이 유학사상을 비롯한 傳統文化에 대해 重視는 “厚古”를 위해서가 아니라 “鑒今”에 더욱 중요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習近平用典』외 중국에서 習近平과 傳統文化 관련된 책 두권을 더 출간하였다. 하나는 『之江新語』이고 다른 하나는 『習近平談治國理政』이다. 『之江新語』는 2003년 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浙江省委書記 겸 省人大常委會主任을 임할 때, 習近平께서 浙江日 報의 “之江新語”專欄에 발표한 232편의 단문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에서는 古典 관련된 문장이 61편으로서 總篇幅의 25%를 초과하였다. 『習近平談治國理政』은 習近平이 2012년 11월 15일부터 2014년 6월 13일기간의 중요한 講話 談話 演講 答問 批示賀信등 79편으로서 傳統文化와 관련된 내용은 43편으로서 總篇幅의 54%를 점하였다. 둘째 習近平 국제관계 처리에서의 유학사상. 중국공산단 十八大이래 習近平을 대표로하는 새 일대 중국영도들은 歷史의 新起點과 新高度에서 중국의 外交노선과 방침을 설계하였다. 그들의 외교방침에서는 中國의 優秀한 傳統文化사상을 이용하여 “和諧觀”의 새로운 外交理念을 수립하였으면, 外交原則上에서 和平發展의 道路를 선택하였고, 外交目標에서 “負責任大國形象”과 “全球治理”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소위 中國特色大國外交의 風範을 보여주었다. 習近平은 『논어』에서의 `三人行 必有我師焉`을 이용해 중국은 세계여러나라를 따라 배워야 한다고 하였으면 滿招損 謙受益(『尙書· 大禹謨』)으로 중국은 아직 대국이 아니라 발전중의 나라라고 자칭하였다. 대외관계 처리에 있어 習近平은 “己所不欲, 勿施於人”(『論語· 衛靈公』)을 기본 원칙으로 하였으며, 萬物幷育而不相害 道幷行而不相悖(『禮記· 中庸』)의 도리로서 중국의 꿈과 세계여러나라의 꿈을 연결하여 서로 함께 이룩해야 한다고 하였다. 習近平은 많은 장소에서 『周易· 彖傳· 益卦』에서의 凡益之道 與時偕行을 인용하였다. 이 고전은 중국에서 어떻게 世界 여러나라들과 교류해야 하는 원칙이라고 볼 수 있으면, 외교는 물론 여러나라와의 金融과 政治關係에 있어서 중국과 세계의 공동한 이익을 있음을 거듭 강조하는 부분이기고 하다. 뿐만 아니라 習近平은 國際關係 처리과정에서 여러차례 大道之行也 天下爲公(『禮記· 禮運第九』)의 고전을 인용하였다. 중국의 목적은 合作共?을 핵심으로 하고 新型의 國際관계를 수립하여 人類命運共同體를 실현하려고 한다고 표방하고 있다. 셋째 習近平께서 중국의 영도간부들에 요구하는 유학식 도덕성과 수양성. 習近平은 國無德不興, 人無德不立이라하여 中華民族이 대를 이어 美好하고 崇高한 道德境界를 추구하여야만 중화民族이 영원한 희망이 있다고 하였다. 때문에 習近平이 가장 자주사용하는 고전은 바로 政者, 正也。 其身正, 不令而行;其身不正, 雖令不從(『論語』)이다. 뿐만 아니라 習近平은 영도간부들어게 공부할 것에 대해 거듭 강조하고 있다. 習近平은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論語·爲政』)과 不積?步 無以至千里, 不積小流 無以成江海(『荀子勸學篇』)을 통해 공부와 사고의 변증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당원과 영도간부로서 공부를 할 것을 심심 당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論語·雍也』)를 인용해 領導幹部가 學習을 그들의 一種의 追求 一種의 愛好 一種의 健康한 生活方式으로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要我學”로부터 “我要學”로 변해야 하면, “學一陣”으로부터 “學一生”으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공부는 학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禮記·中庸』) 하여 기초를 튼튼히 하여야 한다. 넷째 習近平의 治國理政중 유학적 자원. 習近平의 治國理政思想은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에 뿌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중국전통문화중에서 우수한 지혜와 精髓를 계승하였으며, 당대 중국공산당의 치국과 安邦之道를 풍부히 발전하였다. 習近平의 治國理政思想중에서 제일 중시하는 것은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而衆星共之(『論語·爲政』)라고 볼 수 있으며 영도간부라면 우선 修其心하고 治其身하여 爲政於天下를 할 수 있는 도리를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즉 習近平의 治國理政思想중에서 爲政以德는 매우 중요하고 관건이라 볼수 있다. 習近平은 黨員領導幹部가 政治적으로 富貴不能淫 貧賤不能移威武不能屈 각오가 있어야 하며, 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의 政治적 포부가 있어야 하고 位卑未敢忘憂國과 苟利國家生死以, 豈因禍福避趨之의 나라를 위한 헌신정신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習近平은 治國理政에 있어서 眞才實幹한 本領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면서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論語·衛靈公』)하여 한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백성을 위하여 일하려면 정확한 공작방법은 물론 진정으로 백성을 위해 일할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만약 그렇지 아니면 실제공작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몽착할 뿐만 아니라 문제가 있어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習近平은 領導幹部들로 하여금 工作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보아야하며, 공작의 艱難에 대해서도 충분히 인식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習近平은 全黨 각급 各級黨政 “一把手”들은 戰略적 高度에서 정치적으로 형세에 대해 인식하고 판단과 관찰하여 문제를 처리하여야 한다 라고 강조하였다. 즉 맹자가 말하는 登東山而小魯 登泰山而小天下(『孟子· 盡心上』)의 氣량과 胸襟이 있어야 하며 전체 이익의 추구를 당과 간분들의 최고가치를 실현하는 목적이라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功崇惟志 業廣惟勤(『尙書· 周書· 周官』)하고 夙夜在公 (『詩經· 召南· 采?』)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習近平은 중국이 아직 社會主義 초급계단에 있기 때문에 中國夢을 실현하고 백성들의 복지를 위하여 모두 함께 辛勤勞動과 艱苦한 努力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즉 靡不有初, 鮮克有終(『詩經· 大雅· 蕩』) 하여 中華民族의 偉大한 復興을 위하여 一代인 또 一代人이 부단히 노력 하여야 한다. 다섯째 習近平의 유가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중국공산당은 十八大以來 習近平을 중심으로하는 영도집단은 中華優秀傳統文化를繼承하고 弘揚하는데 그 어느때보다 중시하였으며, 中華優秀傳統文化를 治國理政의 중요한 思想文化資源으로 하였다. 習近平을 비롯한 현재 중국지도자들은 中國傳統文化에 대해 비교적 全面적이면서도 정확하게 理解하고 있으며 科學的態度와 方法으로 去其糟粕 取其精華 하고 있다. 習近平은 중국의 傳統文化를 중시하며 傳統文化中의 儒家思想을 더욱 중시하고 있다. 그는 儒家思想과 其他思想의 相互關係에 대해 儒家思想은 中國歷史에서 存在하고 있는 其他의 學說과 對立統一하고 있으며, 相互競爭과 相互借鑒을 해 오면서 長期간 主導地位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보고 있다. 目前에 中國學界에서는 習近平의 傳統文化觀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習近平의 傳統文化관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고있다. 중국의 어느 학자는 비록 毛澤東께서도 孔夫子로부터 孫中山에 이르기까지 總結한바 있지만 實際上 系統적으로 總結한것은 없었다. 그러나 習近平은 傳統文化에 대해 새로운 認識을 가지고 中華傳統文化를 系統적으로 總結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학자들은 習近平의 傳統文化는 當代中國文化發展中의 通古今之變을 실현하였으며, 馬克思主義와 中華文化傳統間을 傳承과 發展으로 보았다. 이것은 中華民族의 現代적 復興을 하는 時代적要求로서 中華優秀傳統文化을 根基과 命脈으로 당대의 가치로 충분히 긍정하였으며, 習近平의 中國傳統文化觀은 當代中國에서 하고 있는 文化自信 理論自信 道路自信과 制度自信의 深厚한 思想基礎로 되었다고 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Xi Jinping`s traditional Confucianism based on the book Xi Jinping Allusions. At present, Chinese scholars pay much attention to the study of Xi Jinping`s traditional culture. The landmark turning point is September 24, 2014. Xi Jinping delivered a key-note speech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Commemorating the 2565th Anniversary of Confucius` birth. “Only when history is remembered can future be created. Only when we are good at inheritance, can we be good at innovation. Only by adhering to the history to the future and forging ahead from the continuation of the national culture in the blood, can we do a good job today.” His speech aroused wide resonance. With the publication of Xi Jinping Allusions in 2015, there was an upsurge in the study of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s the sum up of the spiritual achievements of the Chinese nation in the 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Xi Jinping`s thought of governing the country is rooted in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China. It inherits the idea of governing the country in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China. Xi Jinping`s view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has fully demonstrated the cultural confidence of contemporary China, and laid a more profound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oretical confidence, road confidence and institutional confidence. Because of the high attention of the country`s top leaders, China will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of course, will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Confucianism in the stability as well as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 KCI등재

        2020년 중국과 시진핑 정권 : 시진핑 주석의 장기집권은 가능할 것인가?

        이정남(Lee, Jung-na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1

        이 글은 2020년 중국의 대표적 정치행사인 코로나로 2달 연기되어 5월에 개최된 전국인대와 10월에 개최된 19기 5중전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시진핑 정권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코로나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면서 안정적인 장기집권의 길로 가고자하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트럼프정부의 전면적 견제 속에서 설상가상으로 2019년 말부터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2020년 초반에 중국은 국내외적으로 전례없는 위기에 놓였다. 이런 상황에서 시진핑 정권은 현재의 상황을 중국의 부상에 따른 “백년 미증유의 대규모 세력 변화 국면”으로 규정짓고, 지구전론을 내세우면서 일련의 방어적 정책 구상을 제시한다. 공산당과 시진핑 중심의 통치체제를 공고화하고, 미국의 선택적인 디커플링과 제재에 대응하여 “경제 쌍순환론과 자립적 혁신”전략을 제시하며, ‘미국과의 관계에서 벗어나 중국 중심의 관계망 확보’에 주력하면서 동시에 중미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2021년 연초의 상황에서 보면 2020년 초와 비교하여 시진핑 정권이 놓인 상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인다. 공산당의 ‘핵심’으로서의 시진핑의 권력기반이 그 어느 때보다 강화되었으며, 시진핑의 지위를 결정적으로 위협할 만한 시민사회내의 조직화된 저항세력의 정치개혁의 목소리도 부각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2020년부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경제적 상황은 중장기적인 목표인 ‘쌍순환과 자립적 혁신’ 전략의 결과에 상관없이, 단기적으로 시진핑이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 장기집권으로 진입하는 데 결정적인 장애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대외적으로도 EU나 러시아, 그리고 동아시아국가들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인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진핑의 안정적인 장기집권의 길에는 여전히 많은 도전이 존재한다. ‘내수시장과 자립적 혁신전략’에 기초한 경제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서 지속적 성장을 보장할 것인지, 바이든정부의 등장과 함께 본격화된 동맹과의 연대를 통한 대중국 견제정책에 대해 EU나 일본과 동아시아 국가들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지, 다가올 2022년 20차 당대회에서 시진핑의 장기집권이 구체적인 현안으로 떠올랐을 때 통치엘리트 갈등은 어떻게 전개될지 등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시진핑의 장기집권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것인가가 향후 중국정치의 최대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Xi Jinping regime’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US’s policy of deterrence against China and the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predicts whether the Xi Jinping regime will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long-term power.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s all-around checks, and to make matters worse, with the Covid-19 pandemic launched in Wuhan at the end of 2019, China was in an unprecedented crisi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early 2020. In this situation, the Xi Jinping regime defined the current situation as “a huge change phase not experienced in 100 years” following China’s rise and proposed a series of defensive policy initiatives while advocating a long-term war theory. Specifically, it concentrated power on the Communist Party and Xi Jinping to solidify the governing system centered on the Communist Party and Xi Jinping and proposed a “dual economic circulation and independent innovation” in response to the selective decoupling and sanctions of the United States. Besides, it promoted a policy to simultaneously improve Sino-US relations while focusing on “securing a China-centered network of relations away from US relations.” The Xi Jinping regime’s sit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2021 appears to be relatively stable, unlike the beginning of 2020. Xi Jinping’s power base as the “core” of the Communist Party has been strengthened more than ever, and the voice of political reform by organized insurgents in civil society, which can decisively threaten Xi Jinping’s position, is not being highlighted. China’s economic situation, which has been showing stable growth since 2020, will not be a decisive obstacle to Xi Jinping’s entry into long-term dominance at the 20th Party Congress in 2022 in the short term,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 dual circulation and independent innovation strategy, which is a mid-long-term goal. It is still unclear whether the EU, Russia, and East Asian countries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the US checks against China. Nevertheless, the future still presents many challenges and uncertainties: Whether the domestic market and independent innovation strategy, which are a kind of isolated path of development, can be successfully promoted; What attitude will the EU, Japan, and East Asian countries take when Biden’s government initiates a full-fledged check policy against China through an alliance policy; How will the ruling elite conflict over the coming 2022 20th Communist Party Congress proceed? Therefore, for the next year and a half, China’s political situation is heading towards unprecedented uncertainty, and the most significant point of observation will be whether Xi Jinping’s long-term domination will be stable amid this uncertain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