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jax 기반의 웹2.0 서비스를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이지현(Ji Hyun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9 No.4

        After the beginning of Web2.0 era, newly developed interaction design patterns based on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have been tried in various Web2.0 services. These new interaction design patterns enable web service to provide rich experience for users. However, it is very hard to find organized task based guideline about Web2.0 interaction design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complicated interaction design techniques and patterns. It is essential to have Web2.0 interaction guide based on Ajax because it can guide designers to use appropriate interaction design patterns and to keep usability for ordinary user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ask based interaction design guideline for Web2.0 service based on Ajax.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focused on Ajax is that Ajax is most widely used language for Web2.0 service. First, primary five interaction design patterns were defined through analysis of various interaction design patterns from Web2.0 services. Second, detail interaction design tasks from five major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udy of major Web2.0 services such as Gmail, Twitter, YouTube and Google maps. Third, general design guidelines such as heuristic guidelines for web service a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fter all, this study proposed task based interaction design guide for Web2.0 service with Ajax. With this guide, designers and developers can choose appropriate Web2.0 interaction patterns and apply to their service and provide service to users with enhanced usability and satisfaction.

      • KCI등재

        Web 2.0 환경에서 지도의 융합에 관한 연구

        오충원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artographic development with investigation of mash-up map in Web 2.0 environment. Web 2.0 is not a special technology but paradigm shift that focus of new web technology has moved from supplier to user. Web 2.0 paradigm with participation and publicity present great potentialities to Geographic Science. With the progress of Web 2.0 paradigm, it will create huge demand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Geography. So, Web 1.0 cartography as a simple information provider would shift Web 2.0 cartography as interactive information with user creation geographic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Web 2.0 환경에서 지도의 융합을 고찰하고 지도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Web 2.0은 어떤 특정 기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 중심의 인터넷 신기술들이 사용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개방과 참여로 대표되는 Web 2.0은 지리학 분야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Web 2.0 환경이 강화될수록 지리정보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지리학에 대한 수요가 증가될 것이다. 단순한 지리정보 제공에 초점을 두고 있는 기존의 Web 1.0 지도학을 지리정보 구축과 활용에 사용자 참여를 강화하여 지리정보의 쌍방향성을 실현하는 Web 2.0 지도학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웹 2.0 환경의 구성주의 교육적 함의화 미술교육에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고홍규(Koh, Hong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Web 2.0 is a term that designates the online environment which has been changed during last several years. Web 2.0, well known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UCC (User created contents). 'tagging.' and 'replying.' is today considered as a new way of social networks or communication in modern era as well as a new web-based technolog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it relates to constructivists' pedagogy in these ways: 0) User-based online communication of web 2.0 and lerner-oriented education of constructivism, (2) directive person to person communication of web 2.0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of constructivism, and (3) limited role of provider in web 2.0 and the role of teacher as facilitator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how ar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can relate to the web 2.0 environment, and presents the basic discourses for the implications of web 2.0 pedagogy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웹 2.0은 최근 몇 년 동안 변화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소통구조를 이해함에 있어 웹 2.0은 단지 웹 테크놀로지를 일컫는 기술적 용어라기보다는 웹 이용자에 의한 콘텐츠 (UCC), ‘태그’ 혹은 댓글 등을 통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소통, 그리고 모든 웹 이용자들에게 열린 개방성 등 현대사회의 중요한 소통 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하나의 사회 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웹 2.0 환경은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교사의 조언자적 역할, 협동학습을 통한 상호소통 등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교육관과 연관성을 가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미술교육 관점과 웹 2.0 환경이 어떠한 측면에서 연관되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미술교육에 있어 웹 2.0 환경의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보는 기초적 논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웹 2.0 세대에 적합한 리더십에 대한 연구

        계재광(Jae Kwang Kye)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0 No.-

        The second generation of internet technology, known as Web 2.0,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on, networking, collaboration, and dynamic user-generated content. The term “Web 2.0” has been used since 2004 to describe the second generation of internet technology. While websites originally served as repositories of static information, the Web 2.0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on, networking, collaboration and dynamic user-generated content. Typical Web 2.0 technologies include blogs, wikis, tags, mashup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 would like to develop an appropriate model of leadership for the Web 2.0 culture and the generation that has come of age in this culture. In doing this, I have studied postmodern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web 2.0 culture, and the younger generation. Web 2.0 culture is characterized by interest in learning more about the self, interest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a focus on the group and on community. The interest in developing a sense of identity, when combined with an interest in networking and interacting with others, can be connected to social responsibility in gener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ep ecclesiology that emphasizes the communal nature of the body of Christ. Different situations demand different kinds of leadership. In this web 2.0 culture and generation, I would suggest that a leadership style that addresses people`s expressed desires for both emotion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ould be appropriate. Second, the dynamic and ever-changing culture of web 2.0 can be blended with a culture generated by servanthood. Thu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leadership suitable for web 2.0 that can help create emotional well-being through developing Christian identity, also generate trust culture through listening, and encourage organizational changes through empowering. Christian leaders who feel the need to serve within this culture and engage these people can draw on a wide range of biblical resources, particularly those that relate to our relationship with God and with others.

      • KCI등재

        Web 2.0 and Ministry to the Net Generation

        Hyun Joo 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reach the young generation, the Net Generation. As the term implies, this generation is comfortable using the Internet, which has advanced from Web 1.0 to Web 2.0. This calls for Christian educators to understand the new form of the web, Web 2.0.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Net Generation and Web 2.0. The Net Generation, also called Generation Y or Digital Natives, are heavy users of the Internet, and ha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Internet familiarity, and connection through networked media. The most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Web 1.0 and Web 2.0 is that while Web 1.0 is only for one-way communication, Web 2.0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In Web 2.0, users of the web utilize the web as a platform to generate, share, and consume content. The Web has become an open space that users can interact, collaborate, and work with each other. Applications of Web 2.0 include blogs, wikis, social networking, social bookmarking, media sharing, and syndication. The Internet is so embedded in the lives of the Net Generation that it is crucial for ministers and teachers of Christian education to utilize the applications of Web 2.0 to reach out this generation.

      • Web2.0과 컨버전스 환경특성을 반영한 I-Government 구축방안 연구

        최호진,류현숙,추소정,김종태,박상현,연승준,이원태,정윤수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정보화 사회의 진전과 더불어 최근 Web 2.0과 Convergence가 시대적화두가 됨 ○ 주요 선진국들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개념을 반영한 전자정부 전략을 수립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의 선진화를 기치로 내세우며 출범한 現정부가 향후 경쟁력 있는 국가 및 정부 건설을 위해 Web 2.0과 컨버전스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전자정부 전략의 구축이 필요한 상황임 - 시민들과의 소통과 신뢰를 진작시켜 진정한 의미의 정부-시민사회파트너십을 실현시키기 위해 Web 2.0의 참여, 공유, 개방, 협력, 융합 등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전자정부 추진방안이 요구됨 ○ 이러한 상황에서 現정부는 정보화 일등국가를 비롯한 경쟁력 있는 국가 및 정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하여 정보기술 변화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전자정부 추진전략을 구축해야 나가야 함 - 現정부 국정이념에 맞게 능동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새로운 전자정부 전략의 마련이 요구됨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Web 2.0 및 컨버전스 기반의 전자정부시대에 걸맞은 차기 전자정부 구축을 위한 방향성과 대안을 제시코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임 - 즉, 現정부의 출범 이후 새로운 국정이념을 실현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환경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주축이 될 수 있는 선진화된 전자정부 추진 시스템 및 추진 전략을 설계하는 것이 연구의 주된 목적임 ○ 이를 위해 선진화된 전자정부 추진 시스템으로써 I-Government를 설계하고, 새로운 시스템이 정부 내에 구축되었을 때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주요 연구문제 ○ Web 2.0과 컨버전스 등 우리 사회에 최근 빠르게, 그리고 강한 파급효과를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변화 요인을 시의적절하게 반영한 미래 전자정부의 개념 및 이론적 토대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자정부의 추진실태 분석, 해외 추진동향을 살펴본 후, 현 시점에서의 문제점 진단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ㆍ 우선 Web 2.0과 컨버전스 관련 개념 및 특징을 규정하고, 그 다음2으로 Web 2.0과 컨버전스가 포함하고 있는 가치들과 전자정부가 어떻게 연계되는 지 그 관련성을 분석하였음 - 그리고 이를 토대로 Interactive Government, Informative Government, Integrated Government의 3가지 관점으로 현실화되는 참여ㆍ공유ㆍ통합 기반의 지능형 미래 전자정부(I-Government)를 개념화 하였음 ○ 새로운 사회적 환경변화 요인을 반영한 미래 전자정부의 추진방향과 대안은 무엇인가? - 개념 및 이론적 토대의 구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한국의 미래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세부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관련 분야의 공무원, 전문가, 관계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와 심층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도출하였음 -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방향성과 대안을 제시하였음 ㆍ 새로운 미래 전자정부 모델(I-Government)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서 12개의 세부 추진전략을 수립ㆍ제시하였음 □ 전문가 델파이 및 심층인터뷰 조사 결과의 분석 ○ 전문가 조사의 개요 - 조사 대상: ㆍ 전자정부 분야 관련 학계, 연구기관, 정부부처 및 정보화 관련업체 소속 전문가 20명 선정 (13명은 델파이 조사, 7명은 심층인터뷰 실시) - 조사 도구: ㆍ 개방형 문항을 중심으로 설문 ㆍ 현 전자정부 수준 및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 중요도에 관한 질의는 리커트 7점 척도를 이용하여 객관식 문항으로 질의 ○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응답결과 분석 - 현재 전자정부의 환경변화 반영 정도 ㆍ 현재 전자정부의 Web 2.0과 컨버전스의 속성 및 가치 반영 수준 평가결과 Web 2.0은 참여와 공유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협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며 컨버전스에서는 법제도(규제)가 가장 낮게 평가 - 3I 관점에서의 현재 전자정부 수준 ㆍ 3I 관점에서의 현재 전자정부 수준에 대한 평가에서 통합정부3.2점, 소통정부 3.4점, 정보정부 4.5점, 지능정부 3.7점으로 정보정부 수준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통합정부 수준은 가장 미흡한 것으로 조사 - 현재 전자정부의 문제점, 한계 및 I-Government로의 전환에 예상되는 장애요인 ㆍ 통합정부 관점:부처간 통합을 위한 주도권 다툼, 중앙/지방의 사업주체와 추진예산간의 불균형, 민간시스템과의 통합부재, 행정업무상 불필요한 절차 및 비효율 ㆍ 소통정부 관점:참여와 개방에 대한 정부의 보수적인 마인드, 정보개방에 보수적인 공무원의 업무행태, 정보보호 등의 이유로 실명제가 강화됨에 따른 참여축소, 신고자의 신원보호제도에 대한 법률적 보장 한계 ㆍ 정보정부 관점:정부, 국민, 기업간 신뢰 부재, 정부부처간 정보 공유 및 표준화 미흡 -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들의 중요도 ㆍ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으로는 원활한 정보흐름(6.1점), 통합형 미래조직(5.9점), 개방형 민관협력(5.6점), 참여형 행정서비스 실현(5.5점), 맞춤형 대민서비스(5.5점), 정보의 대민 제공(5.2점) 등의 순으로 나타남 - I-Government 달성을 위한 향후 정부의 역할 ㆍ 조직차원에서 정보화 및 전자정부 사업을 총괄하고 거시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강력한 컨트롤 타워, 부처간 갈등 및 이기주의 해소를 위해 조직 재정비를 통한 역할 및 기능의 명확한 규정 등 필요 ㆍ 기술 및 서비스 차원에서 인터넷, 모바일, IPTV 등 다매체 환경에서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용이한 통합, 전부처의 정보를 단일한 채널로 제공받을 수 있는 메가 포털, 정부/민간간 원활한 정보 유통을 통한 이음새 없이 연결된 정부 구현 등 필요 - I-Government 실현을 위한 예상 소요시간에 대해 전문가들은 6-9년 전망 ○ 전문가 심층인터뷰 조사의 응답 결과 분석 - 전자정부 사업의 향후 추진방향 ㆍ 주력사업으로 지속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과 본 궤도에 진입하여 일상사업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견해가 나뉨 - 차세대 전자정부와 Web 2.0 및 컨버전스 연계 방안 ㆍ Web 2.0의 가치와 민주성, 효율성, 고객지향성의 가치인 IGovernment의 속성을 1:1로 대응시키는 것은 무리지만 Web2.0 기술은 I-Government가 지닌 가치에 있어서 민주성 증진을 위한 기회라는 의견은 공통적임 - 차세대 전자정부가 지향해야 할 비전과 목표 ㆍ 차세대 전자정부의 미래 비전은 `국민을 중심으로 하나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정부`로 집약됨 - 차세대 전자정부가 갖추어야 할 차별적 요건 ㆍ 비전 및 전략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정부의 구별을 없애 전자정부가 곧 정부라는 인식 확대 필요 ㆍ 표준화된 시스템 간 연계 강화로 시스템 통합 ㆍ 조직변화 측면에서 서비스 효율 및 가치창조 중심의 재설계 필요 ㆍ 법ㆍ제도의 경우 변화수용을 위한 제도운용 및 제도개선 필요 ㆍ 전자정부 서비스는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으로 국민 체감 극대화 - 3I 관점에서 현재 전자정부의 수준 ㆍ 통합정부 2.7, 소통정부 3.9, 정보정부 및 지능정부 3.7로 3I 관점에서 현재 전자정부 수준은 소통정부가 가장 높고 통합정부가 가장 미흡 -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의 현실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차원의 노력 ㆍ 시민 참여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 발굴 및 확대, 참여 효능감 향상을 위한 정부 피드백 강화 및 시민참여를 막는 규제 완화 ㆍ 맞춤형 대민서비스 확충을 위해 민원행정영역 분류체계 재정립 ㆍ 통합형 미래조직 구현을 위해 부처별로 분산된 정보화 조직 통합 필요 ㆍ 개방형 민관협력과 관련한 정부차원 노력으로 민관협력 조정 및 통제를 담당할 수 있는 실질적 조직체 구성 필요 ㆍ 정보의 대민제공 확대를 위해 행정정보 정비 및 정보 재가공과 활용에 대한 기반 확보 ㆍ 원활한 정보흐름을 위해 국가 원천데이터 전반의 구조 개선필요 -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들의 중요도 ㆍ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마찬가지로 원활한 정보 흐름(6.1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변했으며, 개방형 민관협력은 상대적으로 그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 차세대 전자정부의 구체적 모습 ㆍ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은 민관협력 형태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는데 대체로 의견 일치 - I-Government 전환에 있어 요구되는 정부의 역할 ㆍ 차세대 전자정부 모델 논의에 앞서 미래 정부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 선행 필요 ㆍ 미래 정부 역할에 대한 정의에 맞춰 범국가 차원의 정보화 전략계획을 구성하고 차세대 전자정부 모델을 구축해야만 관련부처들의 역할이나 기능이 구체화되고 전자정부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음 ○ 전문가 조사의 공통문항 응답결과 분석 - 전문가 델파이와 심층인터뷰에 공통으로 포함된 3I 관점에서의 현재 전자정부 수준과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방안들의 중요도에 관한 설문응답을 종합하여 평가 수준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Ⅲ. 정책대안:I-Government의 비전과 실행전략 도출 □ I-Government의 추진을 위한 개념 정립 ○ 그동안의 전자정부 추진 과정을 살펴보면 행정서비스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한 정부 운영 시스템의 개선 및 정부기능의 질적 전환이 임계수준(critical mass)을 뛰어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 ○ 본 연구는 미래 정부에서의 ICT 역할을 통한 미래 정보화(전자정부)발전 모델 연구로서 I-Government의 개념을 제시 - 첫째, 정부는 점점 더 개방적, 참여적, 민주적으로 변화할 것 - 둘째, 국민들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요구와 바람에 부응하는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 - 셋째, ICT의 역할을 통해 정부의 모든 조직을 네트워크화 된 거버넌스 구조로 변화 ○ 소통 정부(Interactive Government)는 전자정부 시민참여의 궁극적인 단계는 시민들이 정책결정과정에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 - 복잡 전문화된 미래 행정의 특징을 감안할 때 기존의 전문가 중심의 참여는 필수적이고, 성숙한 시민 개개인 모두가 전자정부 시민참여의 주체라는 인식이 필요하며 정부도 이를 실천하려는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 미래 I-Government는 정부와 시민 간 혹은 개인과 개인 간에 동시에 쌍방향적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고, 이는 정부의 문을 활짝 여는 것으로서 정부, 기업, 시민간의 공론의 장을 마련하는 ICT의 핵심적인 속성 - 의사결정단계에서 조직 구성원들이 상호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쉽게 접근하게 하여 의견교환의 활성화와 업무수행에 필요한 공통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직의 유연성 향상과 의사결정과정의 투명화 및 공식화시키는 효과가 기대 ○ 정보 정부(Informative Government)는 이용자 중심의 전자정부가 실현됨으로써 국민은 자택 등에서 간단한 기기 조작이나 행정 기관 창구한 곳에서 필요한 모든 절차를 끝마칠 수 있으며, 행정이 이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적절한 시기에 개별적으로 통지해 주는 「푸쉬형행정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져 국민 편리성의 향상이 실현 ○ 편리성이 높은 행정 서비스를 실현하려면, 인증절차의 개선, 접속수단의 다양화 등 이용자의 편리성 향상과 각 행정기관간의 데이터 제휴가 불가결 - 각 행정기관간의 데이터 제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최적화와 함께 각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나 희망하는 개인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 - 일회의 입력으로 상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불필요한 업무부담을 줄이고, 특히 시민이 비방문 혹은 일회방문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 ○ 통합 정부(Integrated Government)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국민중심의 행정서비스 제공을 실현하고, 단절적인 업무수행 방식에서 수요자 지향의 부처들 간 협업의 조직 원리를 지향 - 10∼20년 후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지식을 정부 내, 조직 간, 부서 간 공유하고 연계하며 민간조직의 광범위한 정책지식을 연계하는 정책지식의 허브기능을 수행 - 정부와 민간 정책공동체의 인력이 유연하게 상호간에 이동할 것으로 기대되며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고위직의 정무직화 개방화는 대폭적으로 확대 ○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란 공급위주의 행정 중심적인 정부의 기존관행에서 벗어나 민간부문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일반국민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수요중심의 행정을 펼치는 정부를 말하는 것 - 정보기술의 기반 위에서 정부의 행정정보를 공동 활용함으로써 정부의 고객지향성을 극대화시키는 것 - 정보집약적 환경에서는 기능구조의 관료제 조직이 점차 퇴조하고 네트워크 혹은 격자구조의 조직이 보다 일반화되고 격자 구조의 조직화가 될 것 □ I-Government의 비전 및 실행전략 도출 ○ 소통 정부는 정책기획에서부터 집행과정의 주기가 더욱 빨라지고, 그 과정상에 다수의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조가 이루어지는 정부와 국민의 행태 모두가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참여와 공개를 소극적, 형식적이 아니라 중요한 정책결정과정에서 공식화하는 태도를 가져야 할 것 ○ 정보 정부는 단순한 행정정보의 공유에서, 단순공유의 수준을 넘어서 이제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공동이용으로, 국민과 수요자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살아있는 정보의 제공이 전자정부에서 이루어 나가야 할 것 ○ 통합 정부는 부처 간, 기관 간 협의조정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향후 전자정부는 기존의 오프라인정부와 별개로 거론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정부에 함께 녹아있는 형태 ○ I-Government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1) 부처별 분산된 정보화 조직을 논리적으로 통합하여 추진 동력을 확보하고, 2) 전자정부와 관련된 법령과 제도를 통합 정비하여 근거를 명확히 하고, 3) 국민과 민간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감독기능을 강화하며, 4) 이를 통해 전자정부의 실질적인 성과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 ○ 소통 정부(Interactive Government):참여형 행정서비스 실행 전략 - 정부가 전자정부를 추진한 후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왔으나 차세대 전자정부에서는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전자정부 협업 네트워크 일원으로 참여시켜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가 창조하는 전자정부로의 전환이 요구 ㆍ 사용자가 더 이상 단순소비자가 아니라 프로슈머라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국민(사용자)의 정보 및 지식을 원천으로 하여 이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정부정책 입안 및 서비스 개선이 가능 - 정부의 기존 웹 포털의 경우 일방향적 정보 제공 기능이 대부분으로 자유로운 의사표현 및 정책 제안 등을 위한 기능은 미흡 ㆍ 전자적 정책참여 및 사이버 QRS(Quick Response System) 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적 정책공론장 형성과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 미투데이), 미니홈피(싸이월드), 메신저(MSN, 네이트온) 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연계된 참여방법을 개설하여 국민과 정부 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 ㆍ 다양한 미디어를 연계하여 대국민 대화 채널을 다양화하면서, 산발적으로 구축된 기존의 채널을 단일화하여 복잡성을 제거함으로써 국민의 정책참여 채널의 다양화에 따른 국민의 정책참여 체감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국민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이 가능 ㆍ 특히 미래 사회에서는 시민의 정책참여 요구가 증대될 것이므로 단계별, 수준별로 전자적 정책참여의 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들이 민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확대를 추구 ○ 소통 정부(Interactive Government):개방형 행정서비스 실행 전략 - 각 부처별로 추진되는 주요 사업에 대해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하는 경우가 많으나 형식적으로 소규모로 운영하거나 지리적, 시간적 제약으로 많은 국민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지 못해 정책 홍보 단절 및 오해가 발생 ㆍ 개별적으로 추진, 관리되어 오던 부처별 공청회 정보를 단일 포털을 통해 제공하여 국민들의 정책참여 및 홍보, 정책반영결과의 실시간 협업을 가능 ㆍ 부처별로 오프라인으로 개최하던 정책 공청회를 단일화된 포털을 통해 온라인 개최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책홍보 기능을 강화하며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과 정책 수립 후 추진현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ㆍ 각 부처는 대국민 공청회 및 의견 수렴이 필요한 정책 사안에 대하여 일정 기간 포털에 관련 자료를 게시하고 의견 수렴 게시판을 제공하여 정책 홍보 및 발전 방안을 마련 - 납세자로서 국민은 자신들이 낸 세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 권리가 있으며 예산 계획 및 집행 과정에 의견을 제시할 권리를 보유 ㆍ 연도별 추이 등 간단한 통계 분석 자료도 함께 제공하여 어떤 사업이 확장되고 있으며 어떤 사업이 축소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기업 및 창업자들이 시장 기회를 포착하거나 시장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예측 ㆍ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모든 예산 항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고 이를 다양한 조건에 맞춰 재배열하여 제공하는 정부 예산 및 집행 정보 제공 종합 포털 구축이 필요 - 정치문화 국민 신뢰를 향상시키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마련, 민간-공공의 정보교류에 필요한 정보보호, 정보신뢰성 확보와 함께 정보공개에 있어 보다 적극성을 띨 수 있도록 정보제공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해 공무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 ○ 정보 정부(Informative Government):맞춤형 대민서비스 실행 전략 - 맞춤형행정서비스는 정부업무기능분류, 민원사무분류 등 행정편의위주의 구조를 국민 중심으로 재개편 할 필요가 있으며, 민원행정영역에 대한 분류체계의 재정립 및 정비를 바탕으로 다양한 채널을 통한 단일접점의 강화가 필요 ㆍ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바탕화면에서 바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도구로 정부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보고 개인별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메뉴를 구성하여 인터넷 바탕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위젯을 개발하여 보급 ㆍ 일부 전자정부 서비스의 경우 설문조사, 찬반투표, 조회통계(조회정보, 조회계층, 조회지역 등)정보를 제공하여 행정서비스 및 정책의사결정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쌍방향 커뮤니케이터 역할을 제공할 것 ○ 정보 정부(Informative Government):원활한 정보흐름서비스 실행 전략 - 일반적인 정책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다부처와 연계된 복합적인 기반데이터를 중심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현재의 정보시스템 구성체계로는 입체적인 정보의 추출 및 가능이 불가능한 현실 ㆍ 다부처적이고, 다양한 행정시스템에 걸쳐 존재하고 있는 행정정보들을 주제중심으로 엮을 수 있고, 문제 중심으로 가공할 수 있는 통합기반체계의 수립이 필요 ㆍ 이를 위해 다부처, 다수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행정 데이터중 정책의사결정에 필요한 기반정보만을 요약DB, 메타DB의 형태로 구현해야 할 것 - NGIS정보와 접목하여 의사결정과 공간정보의 융합추진도 정책의사결정에 긍정적인 활용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으며, 중앙부처 차원의 통합지원 DB 및 통합체계를 구현한 이후, 자치단체별 재활용 및 추가ㆍ부가기능을 제공하여 자치단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데이터 군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 - 개별 부처의 개별 시스템 간 정보연계 및 전달체계로 인하여 중복과 필요이상의 연계정보 수정행위가 발생 ㆍ 현 전달체계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행정정보 허브(Hub)를 통한 일원화된 정보전달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 ㆍ 원활한 정보흐름을 위해서는 국가 원천데이터 전반의 구조개선 및 유사 중복 제거를 하는 대규모 사업이 시급히 추진 ㆍ 행정정보 전달체계의 표준, 운영지침 등을 종합 관리하는 범부처적인 조직을 구성이 필요 ○ 통합 정부(Integrated Government):통합형 행정서비스 실행 전략 - 부처 간의 협업이 가능한 정보체계, 정보의 활용과 활성화된 정보를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집적, 가공, 활용에 대한 제도적 기반과 공동의 문화가 강력한 리더십을 통해 추진되어야 할 것 ㆍ 수평적으로 업무와 부처권한중심으로 추진된 전자정부의 모습이 업무와 부처권한을 초월하여 효율과 서비스 중심의 조직경계를 허물 수 있는 서비스 통합이 우선 ㆍ 현재는 개별기관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 및 정보를 개별기관의 소유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제는 보다 포괄적인 서비스 및 정보공유를 위한 마인드 전환이 필요 ㆍ 현재의 부처별, 시스템별 고유업무 영역은 최대한 보장하되, 국민이 체감하는 서비스는 마치 하나의 서비스처럼 프로세스 흐름 재설계가 필요 ㆍ 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별기관의 포털페이지 접속 숫자 및 접속인원 수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제는 범정부서비스저장소에 저장되어 공유되는 서비스별 활용도 측정이 가능 ㆍ 기성세대는 아직도 오프라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오프라인 창구와 연계하여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 ○ 통합 정부(Integrated Government):협력형 행정서비스 실행 전략 - 공공성이 높고, 활용성이 강한 민간기관의 정보들을 신뢰성 있는 인증 및 보안체계를 기반으로 디지털기반에서 제공 필요 ㆍ 민간영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종 필증, 자격, 이수확인, 회원 증 등 민간기관의 업무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행정영역의 업무 및 대국민 서비스에 활용되는 정보 실태를 파악 ㆍ 행정영역에서 생성되는 정보 중 민간영역에 활용되거나 필요로 하는 공동이용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해당 정보 실태를 파악 ㆍ 대국민 공동이용포털 등 민간과 행정영역이 해당 정보들을 거래할 수 있는 협업중계서비스를 제공 - 중앙정부 주도적인 전자정부추진은 지양하고 차세대 전자정부의 새로운 전략과 비전을 달성할 수 있는 이해관계자(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공기관, 기업, 일반국민 등)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한 후 이들 이해관계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차세대 전자정부 구현을 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 - 정부는 정보의 생산자이며 소유자라는 의식을 버리고 부처 간/민간간 정보의 흐름을 원활히 유통시키는 허브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정부는 Connected Government로 나가게 되며 국민과 민간은 정부로부터 그야말로 Non-Stop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해야 할 것 Ⅰ.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 Background Web 2.0 and Convergence have together emerged as buzzwords with the advance of the Information Age, and many countries, including advanced nations, are making an all-out effort to reflectthese trends within the context of e-Government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Up until now, Korea`s national informatization strategy has achieved outstanding success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clearly-drawn goals and its road map for each stage of e-government develop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 is leading the global e-Government movement. However, Korean e-Government has been too focused on constructing hardware and infrastructure for the sake of government efficiency, revealing its limitations in terms of realizing its democratic values such as citizen participation. Hence, some argue that perhaps it is time to transform the existing e-Government development strategy that is very government focused, into a more citizen-based style. The recent incredible transformatio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brought about a variety of changes throughout politics, government administration, social movements, and private sector management. This also makes it hard to draw a line between customers and producers, as their roles are increasingly becoming blurred via ever-growing interactions between these two groups. Given this backdrop, government requires a new e-Government strategy to reflect these social and technical changes. The current government that launched its administration under the flag of national advancement needs to recognize current ICT-enabled socio-political changes, and it needs effectively to address these issue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current Lee Myung-bak government ought to implement a new e-Government strategy that embraces the features and associated values of Web 2.0 and Convergence technologi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tenet of Web 2.0, i.e. participation, openness, sharing, cooperation, communication and so on, in order to realize the de facto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t also needs to identify appropriate roles and tasks for the diverse actors involved in Korean e-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its governance philosophy. □ Research Purpos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put forward a policy orient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e-Government in the age of Web 2.0 and Convergence. The next e-Government model that this study proposes is a so-called `Intelligent Government (I-Government)`. This study further aspires to offer wide-ranging policy agendas and strategies for I-Government.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entails a rigorous literature review in relation to the next e-Government model and I-Government. The second stage investigates current e-Government conditions and reviews international e-Government trends. The third stage encompasses a Delphi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that was conducted with government officials, experts, and people who work for e-Government related business sectors. The final stage uses research findings to outlin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Korean e-Government and national informatization. For empirical studies such as the Delphi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it develops three new perspectives, the self-styled 3-I`s:Interactive Government, Informative Government, and Integrated Government. It then outlines I-Government policies such as advanced future models of e-Government based on these 3-I`s that encompass Web2.0 values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in this study includes a mix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cluding a literature review, expert-brainstorming, in-depth interviews, and a Delphi survey, plus a number of seminars. It sketches a series of future e-government strategies and policy agendas for enhancing public confidence in government and outlines the next model of e-Government, that is, I-Government. The primary findings from Delphi and in-depth Interviews of IT Professional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ssues and limits of the current e-government are identified (see Table 1).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government`s level of reflecting values of Web 2.0 and convergence are as follows: (a) Participation and sharing is around the same level; (b) Cooperation among governments has been evaluated as relatively poor (c) Legal regulations have been generally evaluated as lacking convergence. Next, possible obstacles in the way to I-government are identified via expert Delphi analysis as follows: ㆍ Integrated government perspective: conflicts over the leadership for integrating departments, imbalance in the subjects of federal/local project and budgets, absence of integration with private systems, unnecessary process and inefficiency of administration ㆍ Interactive government perspective: conservative attitude of the government toward participation and openness, decline of citizen participation due to real-name policy for information protection reasons, limitation in legally protecting identity of those who report ㆍ Information government perspective: absence of trust between government, public and companies,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nd lack of standardization across government departments Findings from the in-depth interview of experts imply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with regard to the future orientation of e-Government. Some experts believe that e-government should be consciously managed as a major government agenda, whereas others believe that it should be managed as an ordinary project into its normal track. However, they are in agreement with regard to the visions and objectives of future e-Government;that is, future visions of the next electronic government could be epitomized as `an intelligent government` that provides citizen-centered and integrated public services. This intelligent government calls for an acknowledgment that there should be no discrepancy between offline and online governments and that there should be integration of the system by strengthening via standardization andrestructuring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erms of efficiency of services and the creation of valu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improve policies that reflect the changes led by Web 2.0 and convergence within law and policies. As for the level of current e-Government from 3I persp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tegrated government marks 2.7 points, interactive government marks 3.9 points, and information government and intelligent government marks 3.7 points. Therefore, the current e-government gets its highest score in “interactive government” and its lowest in “integrated government”. The experts who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government endeavors in order to realize the visions and objectives of future I-Government; i) fostering and expanding incentives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strengtheninggovernment feedback to enhance efficacy of participation, and obliterating regulations that hinder citizen participation ii) reviewing and re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ivil administration to achieve customized service for the public; iii) integrating the scattered information system operated by each department; iv) facilitating wider private and public partnerships v) improving thenational database structure for seamless information flow across the nation. In this regard, future I-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ramework of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Ⅲ.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and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draw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I-Government. In a nutshell,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I-Govern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r “Interactive government”,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participatory channel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In addition, it also needs to set up a public service strategy to represent the voices of citizens in the govern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along with a well-built protection mechanism for personal information. As for “Informative government”, it calls for delivering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s and extensive information sharing across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as awhole. In order to strengthen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the integration of on/offline channels should be in place in order to invigorate “Integrated gover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delineate the future e-Government model that epitomizes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Convergence technologies and to offer policy strategies for putting the model into practice. By doing so, one might argue that a major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hat it broadens the scope of existing e-Government studies.

      • 웹 2.0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염정(Yum, J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4 No.-

        세상이 많이 바뀌어서 대부분의 상품이 기획자(or 개발자) 중심에서 유저들 중심으로 바뀌고 있으며 웹 2.0 시대라고 하는 패러다임 논란이 오가고 있는 상황에서 UI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서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2005년 하반기부터 웹 2.0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웹 2.0을 표방하는 사이트 중에는 아이디어만 가져오고 호환성이나 접근성 등의 기본적인 원칙들을 지킨 곳은 드물다. 대개는 Ajax를 이용해 눈에 보이는 인터페이스만 개선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웹 2.0의 가장 큰 특징은 ‘플랫폼으로서 웹’이며 이는 하드웨어나 OS의 제약을 뛰어넘는 서비스를 웹이라는 공간을 통해 제공할 수 있슴을 의미한다. 이것들이 가능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비용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능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웹에 대량의 데이터가 유통됨과 동시에 여러가지 클라이언트(or 어플리케이션) 기술과 하드웨어적인 서버 기술들이 함께 자리를 잡아감으로 사용자들에게 최고의 편의와 유익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수동적이던 웹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 왔으며 웹은 인터넷 인프라에서 생활 인프라로 자리잡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그 중심에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배려가 그 어느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Because the world has been changed a great deal, most products are being changed from planner (or developer) centered to user centered. In the situation where argument of paradigm called the era of web 2.0 is being exchanged back and forth, we have faced the situation of not being able to provide services without considering the UI. Although the term called web 2.0 is spreading like latest fashion since the second half of 2005, domestic sites which imitate web 2.0 have imported only the idea and places thathave kept basic principles such as compatibility or accessibility are rare. There are many cases of just stopping at improving only the conspicuous interface using Ajax. The biggest feature of web 2.0 is ‘web as a platform’ and this means being able to provide services which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hardware or operating system through the space called web. This biggest reason for making these things possible is that many types of client (or application) technology and hardware server technology have settled down to provide the greatest convenience and beneficial user experience while the massive data is circulated on the web as people were able to make active use of the broadband internet with inexpensive costs. Such changes has brought great changes in the passive web environment, the web has settled as life infra from being internet intra and as a result the consideration for users who are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is being more emphasized than ever.

      • KCI등재

        웹 2.0과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의 전망

        박재현 ( Jae Hyun Park ),이아름 ( Ah Reum Lee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를 제2언어 수업에 활용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웹 2.0이 학습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시적 관점에서 교육 환경의 변화와 제2언어 교육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한국어 학습 사이트를 통해 웹 환경의 발달이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을 전망하고자 한다. 1990년대까지 컴퓨터는 제2언어 교육에서 보조 도구로 활용되다가 웹이 개발되면서 학습자와 웹을 연결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컴퓨터가 담당했던 언어 학습의 보조적 역할은 웹이 이어받게 되었는데,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장을 마련하여 실제적인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컴퓨터가 수행했던 보조적 역할과 현재 웹이 담당하는 보조적 역할은 차이가 있다. 초기 한국어 학습 사이트들은 웹 1.0 도구들을 활용하였으며, 점차 웹 1.0 환경을 기반으로 하되 웹 2.0 기술을 일부 활용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최근의 학습 사이트는 웹 2.0 기술을 언어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목표 언어사용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웹 2.0 환경은 실제적인 언어 사용과 상호작용적인 측면에서 제2언어 교육에도 큰 의미가 있는데, 웹 기반 환경을 제2언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본고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실제적 사용 단계 이전에 형태적·의미적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웹 1.0 환경에서 제공하였던 전통적인 학습 콘텐츠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2)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단순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적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 (3) 학습 사이트는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이 기술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이는 사이트 설계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the diachronic perspective, since the time began using a computer in second language teaching until now that Web 2.0 is being used as a learning tool and examine how the development of the web environment came in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rough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ites. And based on this, we present a view of a web-bas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e computer was used as a secondary tool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until the 1990s, while web has been developed it served a mediating role linking learners and the web. And the role of language learning assistant who is in charge of the existing computer has been taken over the web. However, by providing the pla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was to enable the actual language used is that, where a computer to perform an auxiliary role and the role of the current web in charge adjuvant is different. Early Korean learning sites have been utilizing Web 1.0 tools,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taking advantage of Web 2.0 technologies partially, but is based on the Web 1.0 environment. Recent learning sites facilitate target language use and active interaction of learners by utilizing web 2.0 technology as a tool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Web 2.0 environment in the aspects of practical language use and interaction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1) step prior to the practical use morphology, so semantic practice may be made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provided by the Web 1.0 environment. (2) not only with a simple social interaction is made on the web, to be to have the educational value.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web. (3) Learning sites shall be based on a platform that the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can be implemented in a technically, this is to be considered from the site design.

      • KCI등재

        웹 2.0 특성에 따른 정부부처 웹페이지 평가

        정동훈(Donghun Ch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4

        웹 2.0 개념이 사회 곳곳에서 사용되며 변화와 혁신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대표되고 있다. 개방, 공유, 소통, 참여로 대표되는 웹 2.0은 차세대 전자정부서비스에도 적용되며, 국민과 기업들에게 현재보다 한 단계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 각 부문의 비효율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거버먼트 2.0(Government 2.0)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가운데 정부기관 홈페이지는 국민이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정부 서비스인데, 실제로 정부부처 홈페이지가 웹2.0의 정신을 구현하며 국민과 소통하려 하고, 국민의 참여를 북돋으며, 이를 위해 정보와 시스템을 개방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토된 사례를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웹 2.0을 하나의 측정도구로 활용하여 정부부처 홈페이지를 측정하고자 했다. 다양한 웹 2.0 정의를 바탕으로 행정부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웹 2.0의 정의를 만들고, 이를 행정부처 홈페이지에 적용 함으로써 웹 2.0이라는 관점으로 정부부처 웹페이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환경부와 행정안전부의 홈페이지가 웹 2.0을 가장 잘 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획재정부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공유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참여, 개방, 그리고 소통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와 국민간의 거리를 줄이는 ‘소통형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정부가 더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 효율적인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국민 참여 증대를 통해 거버먼트 2.0 구현에 더욱 노력해야함을 함의하고 있다. Web 2.0 became a keyword representing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society. Web 2.0 which generally is called being consist of three key points which are open, participation, and share of course is conceptually applied to Government 2.0, next generation government. Government 2.0 provides more qualified services to the citizens and the businesses, discards inefficient processes, etc. The government web page is one of the most closed communications to the citizens, and it can be represented as a model how government 2.0 be realized as a service. Indeed, web pages are good places how government realizes the spirit of the Web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what government want to interact and encourages the public to do, etc. From this idea,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government web pages based on web 2.0. This research tried to make academically new definitions for government web 2.0, applied them to 15 web pages, and found which government web site is better and which Web 2.0 factor is superior. The results showed that Ministry of Environment was top ranked whil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s last ranked. Also share was well embodied to the most web sites while communication was not well supported. This implies the government web sites have to more focus on communication with the citizen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open to and share with the public, and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with various tries

      • KCI등재

        Web 2.0 and Ministry to the Net Generation

        오현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reach the young generation, the Net Generation. As the term implies, this generation is comfortable using the Internet, which has advanced from Web 1.0 to Web 2.0. This calls for Christian educators to understand the new form of the web, Web 2.0.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Net Generation and Web 2.0. The Net Generation, also called Generation Y or Digital Natives, are heavy users of the Internet, and ha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Internet familiarity, and connection through networked media. The most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Web 1.0 and Web 2.0 is that while Web 1.0 is only for one-way communication, Web 2.0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In Web 2.0, users of the web utilize the web as a platform to generate, share, and consume content. The Web has become an open space that users can interact, collaborate, and work with each other. Applications of Web 2.0 include blogs, wikis, social networking, social bookmarking, media sharing, and syndication. The Internet is so embedded in the lives of the Net Generation that it is crucial for ministers and teachers of Christian education to utilize the applications of Web 2.0 to reach out this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