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직관에 따른 전문직 교원윤리의 성격 재음미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일반적으로 교원에게는 높은 도덕성과 윤리가 요구된다. 그것은 교직이 본질적으로 윤리적 활동이며, 교원의 도덕적 인격과 모델링 없이는 교육이 제대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떤 교원윤리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갈등이 유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직관에 따른 교원윤리의 갈등을 분석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에 요청되는 교원윤리의 성격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제2장에서는 교원윤리의 일반적인 필요성과 내용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교직관에 따른 교원윤리의 갈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교직에 대한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의 특성 및 관계를 분석한다. 특히 ``실제적 직업``으로서가 아니라 ``직업을 수행하는 태도나 목적``으로서의 교직관으로서의 상호관련성을 밝힌다. 제4장에서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의 통합적 성격에 기초하여 현대 사회에서 교원윤리의 지향해야 할 특성을 재음미한다. Usually teachers are supposed to have higher morality and ethics than ordinary people. That is because teaching and education is basically an ethical activity. Indeed eduction is impossible without teachers` moral character as a model. However, in a modern changing society, it is quite controversial what kinds of teacher ethics are needed, and to what extent teachers should be moral and ethical. The purpose of this paper consists in analysing the conflicts among teacher ethics according to the views of teaching, and reexamining the nature of professional teacher ethics. In chapter 2, I explain the general needs and contents of teacher ethics. In chapter 3, I explain the conflicts among teacher ethics according to the three views of teaching, i.e. a view of teaching as as a holy calling, as a labor, and as a profession. There are two ways to interpret the different views of teaching. One is to understand them as ``a job``, and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m as ``an attitude or purpose of performing the job``. Most people accept that teaching is a professional job. Thus, the question is about the attitudes of performing teaching job. I argue that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industrious attitudes of laborers, professional arts of masters, and the devotional calling of ministers. Here we can find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views of teaching. In chapter 4, I reexamined the nature of professional teacher ethics. The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ism should not be limited to technological or positivistic efficiency.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with integrity including teaching internal goods or ethics of each subject-matter. I also argue that we have to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eaching public goods and non-public goods, rather than the conflict between pursuing public goods and private interests. A teacher as a professional should teach students with moral character, civic ethics and with a calling from God. And a teacher should set a moral or ethical example for students. However, a teacher cannot be a saint. Thus, we have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eaching as a profession in a more concrete way, finding the limitations of teacher ethic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와 교직열정이 교직관에 미치는 영향

        김영태(Young-T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와 교직열정이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16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 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Cronbachs α, 상관관계,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한 교사동기에서는 아이들과 활동 및 애타주의 정신이, 교직열정에서는 열정과 조화로운 열정이, 교직관에서는 교직에 관한 인식,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동기, 교직열정, 교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동기의 하위요인과 교직열정의 하위요인이 교직관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동기와 교직열정 하위요인이 교직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에서의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사동기와 교직열정이 올바르고 바람직한 교직관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on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argeting a total of 164 subjec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J province. Using the SPSS Program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his study drew the results throught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altruism and activities with children were the most perceived motiv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were perceived to contribute to the passion for teaching. Their view was that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qualities of the teachers were most highly regard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teacher motivation, passion for teaching, and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sub-factors of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had effects on all the subfactors of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predicted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dentified that both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could play positive roles in the field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ing and would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ultivation of the correct and desirabl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직선택 동기, 교직관의 관계

        김세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직선택 동기, 교직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G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직선택 동기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교직관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직선택 동기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에 사회적 지지와 교직선택 동기가궁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직관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131 data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was positive.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was positive. Third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n wa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for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process of tra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on systematic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교사의 글쓰기 경험을 통한 교직관 변화 분석

        최임숙 ( Imsoo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는 글쓰기 경험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교직관 변화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교직 논리 및 논술 교과목 수강생 1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직관을 2회 반복 측정한 결과와, 자유글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 Wilcoxon의 부호-서열 검증을 시행한 분석 결과, 글쓰기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교직관은 전문직관에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직관과 관련한 자유글쓰기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직전문성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문성은 ‘지식의 필요성’과 ‘교사 정체성 재확립’, ‘계속적 개발’이라는 3개의 범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글쓰기를 통하여 전문직관에서의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확인하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직전문성의 구체적 내용을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탐색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ng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through writing experience. A total of 11 students who took the ‘logic and essay for teaching’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Also, students’ free writing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ing as a profession. As a result, the writing experience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student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tudent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need for professional knowledge’, ‘the reestablishment of teacher identity’, and ‘the constant self- developmen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confirm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the change in thei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through writing and that the specific cont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students were derived. In the future, various explorations should be made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교직관 변화 연구

        최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practicum settings.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s composed of four perspectives, the view of teaching as an official, as a profession, as holy orders, and as a labor. A total of 20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questions involving self- regulated learning and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28 student teachers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 teachers showed significant change during the fall semester. Second, in the repeated measurement study,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official aspect, professional aspect, and labor aspect, but not regarding their holy ord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had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teaching practi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on the teaching practicum for student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수준과 교직관의 변화 양상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과 공직관, 전문직관, 성직관, 노동직관 등 네 가지 특성으로 구성된 교직관에 대한 2회의 반복 측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 Wilcoxon의 짝을 이룬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양적 연구에서 나타난 변화 해석을 확장하기 위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통하여 교육실습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성별 교직관 중 공직관, 전문직관, 노동직관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을 다녀온 28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전·후의 자기보고와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은 학교현장실습을 통하여 자기주도학습과 특성별 교직관의 변화를 경험하고, 성장하는 기회를 갖게 된 것으로 스스로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직관에 관한 연구

        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보육과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직관은 어떤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공과 학년에 따른 인식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교사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부분은 어떤 것인지, 교사의 자격 및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등을 통해 어떤 측면을 고려해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예비교사들의 바람직한 교직관을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예비 교사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직과 관련된 인식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에 따른 교직관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육전공자들이 보육과 학생들이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 유아교사들의 올바른 교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과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s teachers’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were 229 pre-service teachers a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t A College in Gyonggi Do. Data were analyzed by Means, %, t-test and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15.0 +computer progra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researched : 1.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1-1. Is there any differency i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in major? 1-2. Is there any differency i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in grad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 Firs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is statistically found between major which is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pt. of Educare Second, the differency is statistically founded the recognition of reaching profession in grade. Third, It shows they were correlated with the personal quality and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in the subcategor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학교교육실습 전후의 예비보건교사로서 교직선택동기, 교직관 및 교사 역할 변화 분석

        이갑옥(LEE, GAB-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예비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교육실습 전후의 교직선택동기, 교직관 및 보건교사역할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지역에 소재한 S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가운데 교직과정을 이수한 20명을 연구대상으로 2018년 6월 11일 사전 설문조사, 7월 16일 사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실습 후 예비보건교사의 교직선택동기에서 능동적 동기는 증가하였고, 수 동적 및 물질적 동기는 감소하였다. 둘째, 학교교육실습 후 교직관에서 전문직관에 대한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육실습 후 보건교사의 역할 가운데 상담자, 환경관리자의 역할에서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교육실습 은 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요건들을 준비하는 교직 준비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교육실습을 통해 교직선택동기, 교직관, 교사 역할에서 유의한 변화가 초래될 수 있도록 대학과 실습학교는 학교교육 실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motivations of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view of teaching, and health teacher s role before and after a school eduction practice targeting at pre-service health teachers. So,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20 students who completed the teaching course among the 4th grader attending S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located in the Gyeongnam area. And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with the SPSS program, and derive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First, in the pre-service health teacher 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fter the school education practice, an active motivation has increased and a passive and material motivation has decreased. Second, in the view of teaching,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fter the school education practice. Third, in the health teacher s ro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roles of a counselor and a environmental operator after the school education practice. Since the school education practice is a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in which various requirements are prepared as a teacher, it can be a good opportunity for pre-service health teachers to change their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view of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epare the school education practice course at the university level for them to fulfill various roles as a health teacher.

      • KCI등재

        예비 영유아교사의 양성기관에 따른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 및 교직헌신의지 비교 연구

        문소라(Moon, So-Ra),황혜정(Hwang, Hye-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 및 교직헌신의지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와 이들의 양성기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교사 양성기관 총 13곳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717명이다. 자료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공분산분석,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교직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능동적동기와 물리적 동기는 교직관 및 교직헌신의지와 정적상관이, 수동적동기와는 대부분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예비 영유아교사의 연령, 교육연한, 결혼여부를 통제한 후 양성기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직선택동기 하위변인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관은 대부분의 하위변인에서 4년제 유아교육과와 4년제 보육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가 가장 높았고, 교직헌신은 하위변인 모두에서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 교직헌신의지의 상관관계와 영유아교사 양성기관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질 높은 영유아교사 양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their view of teaching and will of profess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difference among them based on their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draw consequent implications. Subject includes 7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enrolled in 13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Data a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COVA and Scheffé-test as post hoc test.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sub-variables of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al, active motivation and physical motivation,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ith view of teaching and will of professional commitment, while passive motivation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difference based on training institutions after controll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ge, teaching term, and marital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variables of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year childcare education displayed the highest values in the view on teaching profession, and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played the highest values in the will of professional commi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to realize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their view of teaching and will of profess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differences based on their training institutions.

      • KCI등재

        국어과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보는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와 그 의미

        김경주 ( Kyoung Joo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2 청람어문교육 Vol.45 No.-

        이 연구는 국어과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를 중심으로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수업에 대한 논의는 수업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수업의 지향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국어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교과의 성격뿐만 아니라 교사의 지식관 및 수업관을 고려하여 논의되어야 한다.국어 수업이 내용과 방법을 모두 다루어야 한다는 점에서 복합적이며,국어 교사가 수업을 통해 자신의 지식관 혹은 가치관이 기술적 지식에 따른 혹은 대안적 지식 또는 반성적 지식에 기반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기 때문이다.교사가 보여주는 수업 역시 이러한 복합성의 한 단면이다.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는 상호작용,효율성,성장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한 수업 행위는 교사에게 수업을 통해 실제적 만족을 기반으로 다양성을 지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국어 교사는 수업 행위를 통해 학생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교육의 본질적 역할에 기여하게 된다.이 때 수업은 나름의 완성도와 독립성을 가진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행위가 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Korean teachers` teaching performance in the Korean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discussion of the Korean class needs to beginin the direction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teacher needs to discuss the Properties of the subject, teachers` knowledge and value. Because the Korean class is the complicating process. The classes is accomplished by The practice by treating the contents and methods, the realization of the Points of the knowledge and value and the performance of altern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teaching is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 The efficiency, and the development. And teachers aim for the diversity of Realization i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then the teaching performances become the professional acts in the meaning of the completion and independence.

      • KCI등재

        교권 회복을 위한 교사 전문성 논의 방향 탐색

        서용석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이 글은 최근 우리 사회가 목도하고 있는 교권 추락 현상의 중요한 내적 원인이 오늘날 지배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보고, 교사 전문성 담론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이다. 쇤의 실천적 인식론을 이론적 거점의 하나로 삼고 있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서 교사는 단지 기능인이 아니라 교육 활동에 있어서 전문가적 판단을 발휘하는 성찰적 실천가로 그려지고 있다. 이 담론에서 교사의 교육 활동은 철저히 ‘내부자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하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지만, 내부자적 관점은 교사 전문성의 고유한 성격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며, 나아가 교직 사회에 직업적 교사로서의 자기이해라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직업적 교사에게 대중은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존중을 나타낼 뿐이며, 직업적 교사 또한 대중에게 그 이상의 것을 요구할 위치에 있지 않다. 교사의 교육 활동을 내부자적 관점을 넘어 ‘당사자적 관점’에서 파악할 때 비로소 우리는 교사 전문성의 윤리적 차원 또는 이상을 올바로 드러낼 수 있다. 교권 회복은 단지 법과 제도적 보완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없다. 교권 회복의 근본적인 길은 직업적 교사로서는 품을 수 없는 높은 이상을 추구하려는 교직 사회 전체의 부단한 노력 속에서 찾아져야 한다. Recently,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the downfall of teachers’ authority. Thus,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one significant internal cause of this downfall in relation to the dominant discourse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spired by Schön’s epistemology of practice, and to shift the focus of the discourse in a new direction. In the dominant discourse, teachers are viewed not as technicians but as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are able to make professional judgments in teaching. The discourse further argues that it is only with an inside view of the practice of teaching that teachers are recognized as reflective practitioners. However, while an inside view of the practice of teaching provides valuable insights, it fails to fully capture the unique dimensions of teacher professionalism, potentially leading to incomplete and inadequate self-understanding among teachers. Equipped with this form of self-understanding, teachers inadvertently undermine their authority. The act of teaching is instead to be seen as a teacher's personal involvement in the act of learning, and it is here that the ethical dimens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to be found. Teachers’ authority cannot be restored by merely implementing som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It is argued that one effective way to restore teachers' authority is through collective efforts aimed at integrating teaching (knowing) with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