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백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이 글은 밀양백중놀이를 대상으로 장애 표현의 양상과 그 형상화 시선에 대해 살핀 것이다. 논의는 연구 대상과 방향에 따라 크게 두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이루어진 논의는 현재 연행되는 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나는 다양한 장애 표현 양상을 살피고, 장애가 연행 속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살피는 것이었다. 이어지 논의는 밀양백중놀이 관련 자료들을 대상으로 장애를 형상화하는 다양한 시선의 존재와 그 변화 양상을 살폈다. 논의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현행 밀양백중놀이에는 장애 인물이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를 가장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장애인으로 가장한 농민들은 양반을 모욕하고, 신명나게 춤을추며, 끝내는 양반까지 변화시켜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판을 만든다. 여기서 장애는 일상의 위계를 무너뜨리고 자유로운 풍자와 비판을 하게 만든다. 또한 장애를 가장한 이들의 신명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신명까지 불러일으키게 한다. 장애가 자유와 해방의 축제적 가면의 역할을 하는것이다. 현 밀양백중놀이에서의 장애 가장하기는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어서게 한다. 그렇다면 현 밀양백중놀이에서 추론되는 장애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의 형상화에서 엿볼 수 있는 시선은 반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반성적 시선이 현행 밀양백중놀이에서만 지배적으로 나타나고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장애 자체를 희화화 시키는 사례``, ``한이나 애환을 중점적으로 드러내려 하는 사례``, ``양반을 풍자하기 위해 장애를 덧입히는 사례`` 등이 이전 자료들에서 발견된다. 이는 밀양백중놀이가 변화 없이 전승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전 자료들을 살펴보면, 밀양백중놀이에는 배타적 시선,동정의 시선, 반성적 시선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장애를 보는 서로 다른 시선들은 한동안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부정적 시선들이 점차 사라져 갔다. ``배타적인 시선의 축소와 삭제``, ``반성적 시선의 전면화``, ``무심한 시선에 대한 예민한포착과 지우기``가 밀양백중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밀양백중놀이는 그동안 꾸준히 움직였으며, 그 과정에서 장애를 형상화하는 시선 역시 변화해 온것이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figuration viewpoints and disability representation of Miryangbaekjungnori.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object of research, this paper progress two phase. First, I investigate various aspects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and ratiocinate a function of disability in performance. Subsequently I investigate existence of various viewpoints and the aspects of change. As a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s who appear on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are not he disabled. They are disguised as the disabled. The characters who are peasant insult Yangban, exciting dance, change Yangban, and finally make a carnival space which bring them all together. On that occasion, the disability function as a carnival mask of free. The disability-disguise of characters which appear on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make the borderline between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to pass over.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sability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is a positive. And the viewpoint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figuration of disability is a reflexive. By the way,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which have a reflexive viewpoint do not hand down monotonously.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of former days, a exclusive viewpoint, a sympathetic viewpoint, a reflexive viewpoint are discovered. As the different viewpoints of disability coexisted, negative viewpoints of disability were gradually disappeared. The process of change are revealed ``a reduction and elimination of exclusive viewpoint``, ``a keen capture and elimination of unintentional viewpoint``, ``a domination of reflexive viewpoint``. Miryangbaekjungnori have moved constantly to the present, the figuration viewpoints of disability have been changed in the process.

      • KCI등재후보

        독서교육의 관점 변화 및 지향점

        차호일(Cha Ho-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한국민족문화 Vol.27 No.-

        This thesis is study on the change of viewpoint and pointing spot in reading education. The reading education has been changed in variation of psychological viewpoint. That is, they are behaviorism viewpoint, cognitivism viewpoint, and social constructivism viewpoint. The behaviorism viewpoint put emphasis on decoding and the cogmtivism viewpoint put emphasis on processing of meaning construction and social-constructivism viewpoint put emphasis on contexts. But these variations do not mean that one viewpoint fully disappears and the other viewpoint of reading education has control of reading education. Each viewpoint of reading education coexists with mutual strong point and weak point, even though it has a difference of strength. Besides, we recently put positive concern in cultural viewpoint, communicational viewpoint, and ecological viewpoint. These are reflected contemporary discourse. These are all non-psychological. We need to accept this reading education viewpoint in our reading class. The coming reading education must point to integrated and whole viewpoint. Because only one viewpoint fully do not explain reading education contexts. We need to accept a proper reading education theory to reading contexts, and then it has to be actualized to come true.

      • KCI등재

        사회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구성주의의 함의 : '맥락적 구성'을 고려한 교육과정관 모색을 중심으로 Focusing on exploring the curriculum viewpoint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construction'

        은지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해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육과정관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먼저 구성주의 이론에 대한 개관 및 구성주의의 '맥락적 구성'의 의의에 대해 고찰한 다음, 탈맥락적인 객관주의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근거하여 '맥락적 구성'을 고려한 구성주의 교육과정관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객관주의 교육과정관과 구성주의 교육과정관을 바교하였다. 교육과정의 성격을 중심으로 수용적 관점과 반성적 관점으로 구분하고, 교육과정의 구성을 중심으로 처방적 관점과 생성적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우선, 교육과정의 성격 측면에서 살펴보면, 교육과정을 불변적 속성으로 보는 수용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변화·수정 가능한 속성으로 보는 반성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요구 된다. 둘째, 교육과정의 구성 측면에서 교육과정을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지침을 규정하는 것으로 보는 처방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교육 현장의 당사자들간의 숙의를 통해 끊임없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는 생성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수용적·처방적 관점을 극복하고 사회과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해서 학교 현장에 반성적·생성적 교육과정관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자체가 탐구와 대화의 문화 공동체로 거듭나야 한다. 둘째, 단위 학교나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는 맥락적 지식 구성의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는 교육과정의 창출 및 실행자로서 반성적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현장 교사의 교과 직무 연수와 사범대 교사 교육과정에서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 구성의 실천 사례 특강 등을 개설·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viewpoint based on constructivism to improve social studies classes. To that end, the paper first reviewed the outline of constructivism theories, including contextual construction of constructivism, then critically studied the decontextual, objectivism-based educational viewpoint, and accordingly discussed the validity of a constructivism-based curriculum viewpoint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construction. The research,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compared the objectivism-based curriculum viewpoint with the constructivism-bas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he paper further divided the viewpoint into perceived and reflective viewpoints. Likewis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t further divided the viewpoint into prescriptive and generative viewpoint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needs to change and accommodate the reflective viewpoint that sees the curriculum as changeable and revisable, based on the perceived viewpoint that sees the curriculum as unchangeable. Second,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needs to change and accommodate the generative viewpoint that sees it as continuously generative after pertinent personnel deliberations on the field, from the prescriptive viewpoint that sees the curriculum as defining guidelines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are subjects that are essential for promoting the reflective and generative curriculum viewpoints of the school, and are aimed at overcoming the perceived and prescriptive viewpoints and in improving social studies classes. First, the school must be born again as a community with a culture of exploration and dialogue. Second, national-level efforts to improve the curriculum are needed in order to activate individual schools' and individual classes' curricula. Third, teachers should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s in constructing contextual knowledge. Fourth, teachers, as creators and executors of the school curricula, should take a reflective attitude. Fifth, measures should be worked out to enhance the teachers' ability to construct curricula on a given field. Education programs in the on-the-job training for field teachers and teachers' colleges, as well as special lectures on curriculum construction, are needed to help promote the field teachers' ability in constructing curricula.

      • KCI등재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극복과 비판적 고찰

        이명호(Myoung Ho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이 연구는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다루고 있다. 일제식민지시기부터 이어진 부정적 시각은 해방이후 고착화되어 조선후기불교를 이해하는 지배적인 관점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은 낮게 평가 되고 있으며, 조선후기불교 관련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관련 시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연구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부정적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삼문수학, 염불결사, 원당 등 조선후기불교의 여러 현상을 분석하면서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시각의 지배적 지위는 아직도 굳건하다. 이러한 한계는 최근의 연구들이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당시 불교를 인식하였던 틀을 본격적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부정적 시각은 조선시대에 불교는 생존을 걱정할 만큼 쇠퇴하였고 합리성이 결여된 종교로서 사회적 영향력을 상실했다는 인식하에 조선후기불교의 여러 불교현상들을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부정적 시각에서 강조되고 있는 조선후기불교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지 않았고, 부정적 시각이 조선후기불교가 정체되었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고 파악할 뿐이었다. 때문에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비롯된 여러 논란과 문제들을 온전히 다루지 못했으며, 당시 불교의 다양한 현상들의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시각이 전제하고 있는 인식논리를 파악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조선후기불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 기초가 되는 두 부정적 시각을 동시에 문제시하고, 부재되었다고 인식되는 역동성과 합리성을 복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egative viewpoint on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egative viewpoint which hardened after Korea`s Independence was 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is viewpoint has become a dominant interpretation on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context, the social influence of Buddhism in Korean society is assessed at a low level. Studies on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stagnant. Because the negative viewpoint is obstructs alternative viewpoint on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cently, critical studies of the negative viewpoint are active. These studies analyze various Buddhist events - the three gates discipline, the royal Buddhist shrine, temple fraternities and so on - and try to refute negative viewpoint on Buddhism. Despite these researches a dominant position of negative viewpoint is still solid and strong. Because recent studies do not analyze epistemological logic of the negative viewpoint which use to recognize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limitation is raised. This negative viewpoint interprets various Buddhist eve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epistemological logic. This epistemological logic recognizes the Buddhism as stagnant religion and irrational religion. But recent studies do not focus on the social role which the negative viewpoint emphasizes. And these studies examine the negative viewpoint only with stagnation of Buddhism. For this reason, these studies do not succeeded to overcome the problem which come from the negative viewpoint. For this critical viewpoint,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underlying epistemological logic of negative viewpoin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onfirm the validity of epistemological logic. The image stagnant Buddhism is insisted on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other image irrational Buddhism is influenced on the European scholar`s understanding about Buddhism. They insisted the hypothesis that (Mahayana) Buddhism is lack of rationality in the period the data and research achievements about Buddhism were poor. For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is a need to research focused on two images - stagnation and irrationality -.

      • KCI등재

        역사서술은 사실의 발견인가, 허구의 창작인가?

        이한구(Lee, Han-Goo) 한국사학사학회 200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8

        This paper argues for realistic historiography, criticizing unrealistic historiography. My assertion is accomplished by the following two theses. 1) Although various interpretations of history are permitted, it does not mean that it is acceptable to interpret history arbitrarily. 2) Historiography without historical viewpoint is blind, while historical viewpoint without objective historiography is empty. In order to justify the first thesis, I examine the viewpoint in detail. 1) The viewpoint classifies into two kinds. One is to represent things in light of a special reference point. The other is to twist things through a framework. I call the former “perspective viewpoint”, and the latter “projective viewpoint”. 2) The viewpoint, perspective or projective, has a degree, about which we can measure. 3) We can compare results from each viewpoint, changing the viewpoint. Finally, I characterize the historical viewpoint as follows. 1) The historical viewpoint is a transcendental condition for historiography. There is no historiography without historical viewpoint. However, the historical viewpoint is not a cognitive frame which binds us. It is not justified that the historical viewpoint should be discarded in order to write history objectively as in Ranke’s style. 2) The structure of historical viewpoint is formali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scientific research program of critical rationalism. 3) The historical viewpoint is hypothesis which is yet to be justified. It is transcendental that it is required before the historiography, but it is a tentative theory since it should be justified by facts. Moreover, some theories can be superior than others, and we can create as many objective and comprehensive hypotheses as possible.

      • KCI등재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을 위한 GIS의 적용방안

        강태현 ( Tae Hyun Kang ),임윤택 ( Youn Taik Leem ),이상호 ( Sang Ho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2

        좋은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관분석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경관분석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기본이며 첫 단계가 조망점을 선정하는 것이다. 그 동안 조망점 선정은 정성적인 기준에 따라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선정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질 높은 조망점이 누락되거나 무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치지형도 등의 데이터와 GIS 기술을 활용하여 경관분석의 기본이 되는 조망점 선정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도로의 교차점, 쇼핑센터 등 주요 시설, 교량 및 육교, 오픈스페이스 등 조망점으로 선정될 수 있는 기준에 해당하는 지점을 각종 자료 및 GIS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로대장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등 데이터와 질의(query), 중첩(overlay) 등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된 예비조망점에 대하여 수치지형도의 표고점을 이용한 수치표고모델(DEM)을 구축한 후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조망점에서의 조망대상에 대한 차폐 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여 체계적인 조망점을 선정할 수 있었고, 선정된 각 조망점의 차폐도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차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한 조망점 분석 이후 전문가의 현장조사를 수반한다면 조망점 선정 및 분석 결과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cern on environmental quality makes the landscape analys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ever. For the landscape analysis, selection of viewpoint is one of most important stage. Because of its subjectiveness, the conventional viewpoint selection method often missed some viewpoints of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ewpoint selection method for landscape analysis using GIS data and techniques. During the viewpoint selection process, spatial and attribute data from several GIS systems were hired. Query and overlay methods were mainly adapted for analysis to find out meaningful viewpoints. The 3D simulation analysis 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was used for every selected viewpoint to examine wether the view target is screened out or not. Application study at a sample site showed some omissions of good viewpoints without any screening. It also exhibited the possibility to reduce time and cost for the viewpoint selection process of landscape analysis. For the progress of applicability, GIS data analysis process have to be improved and more modules such as automatic screening analysis system on selected viewpoint have to be developed.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이경한(Yi, Kyeong Ha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으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을 분석하였다. 두 과목은 세계시민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다양성의 이해를 주요 학습 내용으로 담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은 내용면에서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가지고서 세계시민교육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반면 세계지리 과목은 지역 분쟁, 사막화에 따른 지역 문제, 지역 분리 운동, 자원의 정의로운 분배 등의 비판적 관점도 담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의 비판적 관점은 세계지리에서 분쟁, 지역문제, 분리, 분배를 구조적 측면에서의 비판적인 이해를 강조하면서, 이의 해결방안으로 정의의 실현을 제시하고 있다. 여행지리에서는 여행의 불공정과 부정의도 살펴보도록 유도하고 여행자의 책무성, 공정과 대안을 강조하지만 여행의 특성상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의 다양성 이해는 학교 수업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지리과목은 타자의 입장에서 다양성을 관조하게 만들고 지나치게 객관화함으로써 다양한 경관, 문화, 환경, 지역문제, 여행 등에 대한 심적이고 구조적, 비판적 이해를 소홀히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지리과목이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어서 비판적 관점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지리교사는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을 균형 있게 가진 역량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교사는 비판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고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세계 다양성의 이해와 세계 쟁점에의 비판적 참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변혁적 학습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sed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through neo-liberal and critical viewpoi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ey have many contents about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which deals in GCED importantly. Two geography curriculums provide many contents of GCED with neo-liberal viewpoint. World geography includes critical viewpoint based on regional conflicts, desertification problems, regional separation movements, righteous distribution of resources etc. The critical viewpoint of GCED in world geography emphasizes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disputes, regional issues, distribution etc. with structural aspect, and guides the realization of justice with problems solutions of these. Travel geography guides students’ identification about unfairness and injustice of travel, and emphasizes travelers’ responsibility, fairness and alternatives. But this travel geography is in circle of neo-liberalism viewpoint mainly.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in two geographies provides important contents for GCED in schools. Geography make a understanding of diversity with other’s perspectives objectively, but it can neglect the critical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about diverse landscape, culture, environment, issues, and travel etc. So geography is necessary to deal critical viewpoint also, because geography has mainly neo-liberal viewpoint. Geography teachers should have the harmony of neo-liberal viewpoint and critical viewpoint to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 Geography teachers should critically re-conceptualize geography curriculum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students is necessary to aim transformative learning to understand global diversity and critically participate with global issue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시교육의 관점 변화 및 지향점

        차호일 청람어문교육학회 2005 청람어문교육 Vol.30 No.-

        이 글은 최근의 시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와 앞으로 시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 글이다. 시교육은 형식적 문학이론에 기초한 텍스트 중심 관점 독자반응 , 이론에 기초한 학습자 중심관점, 그리고 최근의 후기구조주의 문학 , 이론에 기초한 상황중심 관점으로 그 관점을 변화시켜 왔다. 그러나 이것이 곧 한 관점의 시교육 방식이 사라지고 이어 다음의 시교육 방식이 학교교육을 지배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각 관점의 시교육 방식들은 서로 나름대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시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이들 어느 한 관점을 중심으로 시교육을 해나갈 것이 아니라 이 세 관점의 장점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study on the change of viewpoint and pointing spot in poetic education. The poetic education have been varied text-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formalism literature theory, learner-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and context-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post-structuralism literature theory in order. But this variation does not mean that one viewpoint disappears and other viewpoint of poetic education becomes influential in poetic education. Each viewpoint of poetic education coexist with mutual strong point and weak point. Therefore, a poetic education must not points towards one viewpoint, but towards integrated viewpoint.

      • KCI등재

        시점-서술 교육의 반성과 개선 방향

        박기범 ( Ki Beom Par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본고는 우리 문학교육에서 시점과 서술에 관하여 교육할 때 그동안 많이 활용해 왔던 브룩스와 워렌의 이론이 가진 한계에 주목하여 이를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대안적인 시점-서술 교육 내용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복잡하고 다양한 시점-서술 양상을 보이고 있는 오늘날의 소설에 대해서 기존의 브룩스와 워렌의 방법론은 여러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보면 여전히 우리의 서사교육은 브룩스와 워렌의 시점 유형론에 기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섭렵하여 서술자의 인칭, 시점, 서술의 세 축에 따라 화자 시점-서술, 인물 시점-서술, 일인칭 시점-서술로 분류하고 대안적인 시점-서술 교육내용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한 시점-서술 유형들 사이에는 수많은 양상이 존재한다는 점과 시점-서술에 관한 이론은 구체적인 작품과 관련지어 다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초점화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의 시점을 ``시점(초점화)``과 ``서술``로 분리하여 가르쳐야 한다. 둘째, 시점과 서술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나 만화와 같은 대중 서사물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원작의 시점-서술을 바꾸어 봄으로써 원작의 시점-서술의 기능과 효과를 확인해 보는 학습활동도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at showing the need of reforming the model based on the theory by Brooks and Warren(1943)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for teaching viewpoint-narr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 existing Brooks and Warren`s model has some limitation in explaining current novels which seem very complicated in viewpointnarration. However, the current model of literature education is mainly based on Brooks and Warren`s model. Thus, in the present study, an alternative was suggeste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by reviewing the existing studies and then classifying them into viewpoint-narration of narrator, viewpoint-narration of character and viewpoint-narration of first-person.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restrict viewpoint-narration models to several types, thus it is needed to associate the viewpoint-narration theory with specific novels. There are three suggestions for this: first, it is needed to separately teach the two notions ``viewpoint`` and ``narration`` by adopting the focalization model, second, it is needed to use more common materials such as films and cartoons for helping students more clearly understand the two notions, and finally a replacing activity where students change viewpoint-narration in a original literature with a different model would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viewpoint-narration.

      • KCI등재후보

        시교육의 관점 변화 및 지향점

        차호일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30 No.-

        This thesis is study on the change of viewpoint and pointing spot in poetic education. The poetic education have been varied text-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formalism literature theory, learner-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and context-centered viewpoint being based on post-structuralism literature theory in order. But this variation does not mean that one viewpoint disappears and other viewpoint of poetic education becomes influential in poetic education. Each viewpoint of poetic education coexist with mutual strong point and weak point. Therefore, a poetic education must not points towards one viewpoint, but towards integrated viewpoint. 이 글은 최근의 시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와 앞으로 시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 글이다.시교육은 형식적 문학이론에 기초한 텍스트 중심 관점,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학습자 중심관점, 그리고 최근의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에 기초한 상황중심 관점으로 그 관점을 변화시켜 왔다. 그러나 이것이 곧 한 관점의 시교육 방식이 사라지고 이어 다음의 시교육 방식이 학교교육을 지배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각 관점의 시교육 방식들은 서로 나름대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다.따라서 앞으로 시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이들 어느 한 관점을 중심으로 시교육을 해나갈 것이 아니라 이 세 관점의 장점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