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김다윤(Da yun, Kim),김미례(Mi Rye,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보호관찰 중인 여자 위기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11명에게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을 2018년 8월 30일부터 2019년 2월 8일 동안 주 1회 90분씩 8회기를 총 3회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상태가 기능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of Youth at a Crisis in Probation To that end target 22 youth at a women crisis in probation in G Metropolitan City probation. into 11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 groups. to 11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xchange analysis was conducted three times, 90 minutes per week, from August 30, 2018 to February 8, 201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ego state became more functionally activ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higher degree of anger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e exchang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f probation crisis youth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방소희,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상담센터 홈페이지에 본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23명을 모집하였다. 프로그램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고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8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3회기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척도를 사용하였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대학생 자아상태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추후검증에서 어른 자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추후검증에서는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의 하위변인인 신뢰감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추후검증에서는 대인관계 전체 및 하위변인인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go-stat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6 participants in 2 group and 8 participants each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total 10 sessions over 4 weeks, with 3 sessions a week.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ANCOVA. The tests were comprised of 3 scales such as Ego-gram Check List(ECL),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journals of participants an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also analys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did not provide any change for the activation of ego-state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on the increasing of total score of self-esteem on control group, while sub-variable of positive self-esteem was effective. Third,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on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while sub-variables of communication, openness, understandability were effective. In the one-month follow-up test of experimental group, adult-ego has been changed and th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improv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self-esteem.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류분석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인생태도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이정미 ( Jeung Mi Lee ),전영자 ( Young Ja Je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based on integrated method of Transactional Analysis(TA) toward the life 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juvenile delinquents. The subjects are 54 alternative school students who are forced to transfer to that school because of their behavior problems in former schools. 27 students are i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27 are in control group. 8 session program were executed and it took 90 minutes for every sessi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ecuting group counselling program, the life position of experiment group change from ``I am not ok, you are ok`` to ``I am ok, you are ok``. Second, after the program,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xperimental group get high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ir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is program it does good evaluation in that the participants can get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but rates the understandings of the family and communication skills low.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executed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is effective.

      • 도구를 활용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율성, 생활자세와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서혜석 ( Hye Seok Se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본 도구를 활용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율성, 생활자세,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9명을 실험집단(10명)과 비교집단(9명), 통제집단(10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도구를 활용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대학생의 자율성, 생활자세, 가족 간의 의사소통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관련 상담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as a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included 29 volunteer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utcomes were examined at pre-and post-treatment in all group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durability of this program, the pre-treatment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and the pre-treatment scores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effects. This counseling program may be recommended to university students facing difficult situations to improve autonomy, life positions and family communi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대현,유형근,조용선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울산광역시 남구 소재 D초등학교 5, 6학년 부모와 자녀 중 집단상담에 참여를 원하는 부모-자녀 18쌍(36명)을 선별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9쌍(18명)씩 배정하였다. 검사도구는 김현주(2010)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통계적 분석과 집단 원들의 회 기별 경험보고서와 활동 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용분석에서도 실험집단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A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and to assess its validity by implementing it. Main objectives are as follows: 1) Developing an effective T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and their parents 2) Validating its effect o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ability. Thi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 (l995).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10 sessions in total. Eighteen parent-child couples volunteer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9 couples each. The test tool was "Communication rating inventor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f Kim Hyun-ju (2010). "Mixed ANOV A"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A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increased communication ability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혜석(Hye Seok Seo),김희숙(Hee Suk Kim)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2 교정상담학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0명을 실험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에 사전과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진행은 2021년 1월부터 2월까지 각 회기별 120분씩매주 1회 8주 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집단상담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상담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인을 사전검사로 하고, 종속변인을 사후검사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인평가로서 연구자와 관찰자 중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급격하게 변화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교정상담 관련 기관과 청소년상담 관련 임상 현장에서 본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에큰 성과와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dolescent sexual offenders.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participants), the control group (10 participants),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he group counselling took place from January 2021 to February 2021, The experimental groups did these tests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t-test an was performed on an independent sample to an test homogene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erforming this program, and w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ed for each variabl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nsult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COVA analysis putting the pre-test score with the covariate variable and post-test with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consistent. Also for subjective evaluation observers and researchers focus techniques were used.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d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This study's great achievements and meaning reveal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s related to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correctional counseling, which deal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troublesome, emotional and mental par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where there are many kind of rapidly changing hard limits.

      • KCI등재

        교류분석(TA)상담 이론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변화,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서혜석(Seo Hye Seok),김건숙(Kim Kun Suk),이윤형(Lee Yun Hyung)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A)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0명을 실험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각 회기별 120분씩 매주 1회 8주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집단상담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는 실천 임상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autonom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1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10 students) and pre and post test was performe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ere given sessions during 8 weeks, which one session offered for 120 minutes` group counselling once a week. t-test on independent sample was performed to test homogeneity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erforming program, and calcul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to test effectiveness of group consult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COVA analysis putting pretest score with covariate variable and posttest with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consistent.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autonom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has a meaning and great achievement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 which deal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utonomy, and the troublesome, emotional and mental par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ere there are many kind of rapidly changing hard limits.

      • KCI등재후보

        해병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서혜석 ( Hye Seok Seo ),김정은 ( Jung Eun Kim ),신홍규 ( Hong Kyu Shi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4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집단상담이 해병대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s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참가신청자 30명을 실험집단(15명), 통제집단(15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각 회기별 120분씩 1일 8시간 3일 동안 총 12회기로 제공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군 생활적응에 긍정적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해병대 병사의 군 생활적응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 부분을 다루는 관련 임상실천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ling on military life adjustment for marine corps. The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15) and the control group(15); and pre and post test were administer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sessions for 3 days, 8 hours per day, 120 minutes per s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A group counselling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military life adjustment for marine corps. This study showed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s, especially for marine corps to better adjust in military life and resolve conflicts including emotional and mental problems in suc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 KCI등재

        교류분석에 기초한 소집단 집단상담식 부모교육이 부모의 심리적 자세에 미치는 영향

        최은자(Choi, Eun-J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6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A: transactional analysis)에 기초한 소집단 집단상담식 부모교육이 부모의 자아개념, 양육태도, 부모-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만 2~5세 유아를 둔 40명 어머니를 대상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비교집단은 가정통신문으로 부모교육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소집단 집단상담식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주 동안 12회에 걸쳐 실험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TA에 기초한 집단상담식 부모교육이 세 요인에 대해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소집단 집단상담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based on small group counseling applying transactional analysis to improve the parent’s self-concepts, rear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ur study was performed with 40 parents which have been raising their infants where their age is between two and five. For our study, the parents were split into two groups, i.e.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 group, where each group consists of 20 parents. For the parent education, we sent the comparison group a home correspondence and performed the small group counseling to the experiment group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educated with 12 times over 12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our parent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ree psychological attitude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arents with infant children need to be educated with a parent education program applying transactional analysis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 KCI등재

        해병대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류분석 집단상담 중심으로

        서혜석,김정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병대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집단상담을 활용하여 개 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참가신청자 30명을 실험집단(15명), 통제집단(15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각 회기별 120분씩 1일 8시간 3일 동안 총 12회기로 제공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집단상담 에 참여한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긍정적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해병대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 부분을 다루는 관련 임상실천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