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재배 부추(Allium tuberosum R.)에 대한 살균제 Tebuconazole의 잔류특성 연구

        안재민,김익로,김민기,장순영,임현지,박재옥,황향란,박대한,이광희 한국농약과학회 2019 농약과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시설재배 부추를 대상으로 tebuconazole 수화제(25%)를 살포하여 경과일수에 따른 잔류특성 조사와 위험평가를 통해 안전사용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장시험은 공시 약제를 2,000 배로 희석하여 수확 예정일을 기준으로 수확 당일, 수확 7일전, 수확 14일전 및 21일전에 맞추어 2-3회 살포하였다. 수거한 시료를 QuEChERS시험법으로 전처리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에 의한 정량한계는 0.01 mg/kg, 검량선의 직선성(r2)은 0.9996, 저농도(10 μg/kg) 및 고농도(100 μg/kg)에 대한 평균 회수율은 95.7- 102.1% (C.V. 2.8-4.0%)이었다. 잔류량 분석결과 수확 21-14일전 2회 살포시 3.29 mg/kg (최대 잔류량 3.62 mg/kg), 수확 21-14-7일전 3회 살포 시 7.22 mg/kg (최대 잔류량 7.39 mg/kg), 수확 14-7-0일전 3회 살포시 9.71 mg/kg (최대잔류량 9.89 mg/kg)으로 잔류하였다. 위험평가 결과 tebuconazole의 최대잔류량(9.89 mg/kg)으로부터 산출한 ADI 대비 식이섭취율(%ADI)의 값은 1.88%으로 나타났고, 이론적 일일최대섭취량인 TMDI는 29.0%로 산출되어 부추에 대한 tebuconazole의 노출은 상당히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 of fungicide tebuconazole in Chinese chi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fungicide tebuconazole (25% wettable powder) diluted by 2,000 times was applied three times with one-week interval and then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date of harvest. The fungicide tebuconazole was extracted with QuEChERS method and residue was analyzed by LCMS/ MS. Method limit of quantitation(MLOQ) in tebuconazole was 0.01 mg/kg (limit detected 0.03 ng) and mean recovery were 95.7-102.1% (low level-high level). The matrix matched calibration curves for tebuconazole in Chinese chives yielded good linearity (r2>0.9996). The fungicide tebuconazole contents ranged were 3.06- 3.62 mg/kg (before harvest 21-14 days), 7.05-7.39 mg/kg (before harvest 21-14-7 days), and 9.51-9.89 mg/kg (before harvest 14-7-0 days). The amounts of tebuconazole residues in Chinese chives was higher as spraying closer to harvest day.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TMDI) of diet was 29.0% (% acceptable dietary intake, tebuconazole acceptable dietary intake was 0.03 mg/kg b.w./d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contribute on the safe use for the pesticides and management for the safe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연구

        고선근 ( Sun Kun K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5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청개구리(Hyla japonic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Cu2+과 Tebuconazole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Cu2+과 Tebuconazole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으며 Cu2+과 Tebuconazole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0.05, 5.0㎎/ℓ을 나타내었고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0.16, 39.1㎎/ℓ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TI=LC50/EC50)는 Cu2+의 경우 3.0, Tebuconazole의 경우 7.7을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Cu2+과 Tebuconazole 모두 낮은 농도에서 청개구리 배아의 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다량의 배아 확보가 가능하였고 배양이 용이하였으며 치사율, 기형율, 성장률, 기형양상 등이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시험기법은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독성검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experiment, I investigated toxicity evaluation of chemicals using domestic frog embryos, along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protocol. I investigated Cu2+ and Tebuconazole effect on the tree frog, Hyla japonica, embryos by probit analysis. Mortality and malformation rates increased and larval body length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Cu2+ and Tebuconazole. The teratogenic concentration (EC50) of Cu2+ and Tebuconazole were 0.05, 5.0mg/ℓ, respectively and the embryo lethal concentration (LC50) of Cu2+ and Tebuconazole were 0.16, 38.5, respectively. The teratogenic index (TI) appeared 3.0 in Cu2+ and 7.7 in Tebuconazole, which showed teratogenicity in embryonic development of Hyla japonica. These results reveal that Cu2+ and Tebuconazole in this experiment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embryos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Much of Hyla japonica embryos can be secured, and easy to incubate. In addition, mortality, malformation ratios, malformation patterns and growth rates are similar to the results from the other assay systems. Therefore, the Hyla japonica embryo teratogenesis assay system could be a useful tool to evaluate toxicity of pollutants in environment.

      • KCI등재

        바이오황과 테부코나졸의 혼용 처리 후 한국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

        김영선,배은지,이재필,이긍주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 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by applying tebuconazole and bio-sulfur (BS).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non-treatment), bio-sulfur treatment (BS, 1.0 mL m-2), tebuconazole treatment (T, 0.125 a.i. g m-2), T+BS treatment (T 0.125 a.i. g m-2+BS 1.0 mL m-2), and 0.75T+BS treatment (T 0.094 a.i. g m-2+BS 1.0 mL m-2). After applying BS, T, or their mixtures, damage in the leaves of zoysiagrass was not shown. As compared to control, disease area of large patch in BS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isease control efficacy of T, T+BS, and 0.75T+BS treatment without vertical mowing and aeration was 55.0-68.3, 50.0-57.9, and 41.4-70.0%, respectively, and with vertical mowing and aeration 21.6-31.0, 44.8-60.8, and 6.9-57.6%, respectively. In the t-test between T and a mixture of BS treatments, disease control of T+BS and 0.75T+B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S might be applied as an adjuvant in the control of large patch in the golf course because tebuconazole application with BS decreased by about 25% than without BS. 본 연구는 바이오황 및 tebuconazole의 처리에 의해 한국잔디의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ontrol), 바이오황 처리구(BS, 1.0 mL m-2), 살균제 처리구(tebuconazole; T, 0.125 a.i. g m-2), 바이오황+tebuconazole 처리구 (T+BS, T 0.125 a.i. g m-2+BS 1.0 mL m-2) 및 바이오황+75% tebuconazole 처리구 (0.75T+BS, T 0.094 a.i. g m-2+BS 1.0 mL m-2)로 설정하여 강원도 원주(A 골프장)와 경기도 여주(B 골프장)에서 수행하였다.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발생지역에 약제 처리 시 바이오황과 tebuconazole 처리에 의해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BS 처리구는 갱신작업 유무에 관계없이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 처리구, T+BS 처리구 및 0.75T+BS 처리구의 병방제율은 각각 55.0-68.3, 50.0-57.9, 41.4-70.0%를 나타냈고, 갱신작업 후에는 각각 21.6-31.0, 44.8-60.8, 6.9-57.6%를 나타냈다. T 처리구와 비교할 때, T+BS 처리구와 0.75T+BS 처리구의 병방제율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에서 바이오황과 tebuconazole의 혼용 처리는 tebuconazole 단독처리구보다 살균제 사용량을 약 25% 정도 사용량 줄일 수 있어 바이오황은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설부소립균핵병균 Typhula incarnata의 살균제 감수성

        이승준,장태현,이동운 한국잔디학회 201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 No.4

        In response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gray snow mold, isolates of Typhula incarn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golf courses in 2012 Yongpyeong, Korea and tested for sensitivity to propiconazole, tebuconazole and azoxystrobin fungicides. Four discriminatory concentrations were used to detect in vitro sensitivity of 50 isolates. Mean 50% effective concentration inhibiting mycelial growth (EC50) values for tebuconazole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fungicides. The EC50 value of tebuconazole ranged from 0.0005 µg ml-1 to 0.014 µg ml-1 with a mean of 0.0048 µg ml-1. The mean EC50 values of propiconazole in triazole family was 0.5825 (0.78-1.651)µg ml-1. EC50 value of azoxystrobin ranged from 0.0017 µg ml-1 to 0.131 µg ml-1 with a mean of 0.0278 µg ml-1.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EC50 values for propiconazole, azoxystrobin and tebuconazole indicating no cross-resistanc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no resistance isolates in vitro sensitivity of T. incarnata of three fungicides in Yongpyeong. 설부소립균핵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Typhula incarnata 균주를 2012년 용평에 3곳 골프장에서 채집하여 propiconazole, tebuconazole 및 azoxystrobin 살균제에 대하여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50개의 균주에 대한 실내에서 감수성을 평가를 위하여 4개의 다른 농도로수행하였다.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까지 억제하는 농도인 EC50 은 tebuconazole이 가장 낮았다. Triazole 계인tebuconazole의 평균 EC50 은 0.0048 μg ml-1 이며, 최소 EC50은 0.0005 μg ml-1 농도이며, 최대 EC50 의 농도는 0.014 μg ml-1 이었다. 반면, Propiconazole의 평균 EC50 은 0.5825μg ml-1이고, EC50 의 범위는 0.078 μg ml-1 에서 1.651 μg ml-1이었다. Strobilurin 계인 azoxystrobin은 평균 EC50 은 0.0278 μg ml-1 이고, 최소와 최대 EC50 은 범위는 0.0017 μg ml-1 에서 0.131 μg ml-1이었다. Propiconazole, azoxystrobin 및 tebuconazole 살균제간의 EC50 사이에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균주와 이들 살균제 간에 교차저항성도 없었다. 이 연구 결과 용평에서 채집한 T. incarnata 균주는 3종의 살균제에 대하여 실내감수성 시험에서 저항성 균주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포도 중 Tebuconazole의 잔류성에 미치는 몇 가지 변동요인의 영향

        한성수,노석초,마상용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3

        Tebuconazole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tebuconazole의 처리시기, 처리횟수, 봉지 씌우기(괘대) 및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수확 전 처리횟수가 3회~5회 처리로 증가함에 따라 tebuconazole의 잔류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횟수가 동일한 조건에서는 최종 처리후 경과일수가 길수록 잔류량이 적게 나타났다. 처리횟수 및 최종 처리 후 경과일수가 동일하더라도 최초 약제처리 시기에 따라 잔류량의 차이가 나타나 기상 조건 및 과실의 생육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동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과실 1개당 무게가 2.5~7.5 g의 범위에서 과실 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잔류량을 보였으며, 잔류성분의 대부분이 과피에 분포하였다. 괘대 과실의 과피에서 무괘대 과실의 과피에 비하여 매우 낮은 잔류량을 보였다, 과육 중의 잔류량은 괘대 포도에서는 검출한계 이하로, 무괘대 포도에는 0.05 mg/kg 수준으로 분포하였다. 세척 전의 잔류량이 0.86 mg/kg 수준인 포도 시료에서는 물에 1분간 침지하고 흐르는 물에 1~2회 세척 시에 잔류량의 약 25~67%가 제거되었으며, 침지처리 후 3회 세척한 시료에서는 검출한계 이하의 잔류량을 보였다. 세제용액에 침지하고 흐르는 물에 세척한 경우에는 물 침지에 비하여 높은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세척 전 포도 중의 잔류량이 낮을수록 제거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Dissipation pattern of tebuconazole was evaluated by establishing application methods of the fungicide, paper-bagging of grape during growth and washing of grape after harvest. Application times increased from three to five resulted in high levels of residues in grape. Tebuconazole in grapes was present in different residual patterns with periods after final treatment, ranging from 7 to 25 day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idual patterns were also found when tebuconazole was treated during three different application periods, possibly due to meteorological condition and/or grape growth during each period. At the range from 2.5 g to 7.5 g of grape granules, residues were higher in small-sized grape than in big-sized grape and were mostly distributed on the peel of the grapes. Paper-bagging was a critical factor for reducing the fungicide residue on the peel. Flesh of bagged and no-bagged grape had very low level of residues, 0.01 mg/kg and 0.05 mg/kg, respectively. Residues on grape was effectively eliminated with the washing methods suggested, a consecutive sinking-washing system. Using of detergent solution during washing showed maximum residue reduction from grape. The washing methods showed effective action on the removal of lower content, providing complete elimination, or almost, of the residues.

      • KCI등재

        Residual Level, Histology, and Blood Biochemistry of Tebuconazole: A Repeated Dose 28-Day Oral Toxicity Study in Pigs

        정진영,김민지,박설화,김병현,오상익,김은주,정현정 한국축산식품학회 202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42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sidual properties of tebuconazole-treated pigs. Twenty pig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25, 1.25, 2.5, 12.5, and 25 mg/kg bw/d) of tebuconazole for 28 d. Blood biochemistry, histology, and residual levels were analyzed using the VetTest analyzer, Masson’s trichrome staining kit,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pectively. The final body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ea nitrogen, cholesterol,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after exposure for 14 d. However,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showed changes only after exposure to pesticides for 28 d. The biochemical parameters were separ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14 d versus 28 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variable importance plots,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 blood urea nitrogen, glucose,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re candidate biomarkers for tebuconazole exposure. The residual levels were observed at T4 (12.5 mg/kg bw/d) and T5 (25 mg/kg bw/d) in the liver and fat tissues, respectively. Fibrosis increased in the liver, kidney, and fat tissues, depending on the tebuconazo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residue limits of tebuconazole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caused by dietary tebuconazole in pi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aximum residue limits of pork and pork products.

      • KCI등재후보

        참개구리 배아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연구

        고선근 ( Sun Kun Ko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0 No.3

        Toxicity of Ni2+ and Tebuconazole were investigated via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protocol using domestic frog embryos. Embryos of Black-spotted pond frog, Rana nigromaculata, were incubated and toxic effects of Ni2+ and Tebuconazole were investigated by probit analysis. As a result, mortality and malformation rates were increased and larval body length was decreased in a dose dependant manner of Ni2+ and Tebuconazole. The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of Ni2+ and Tebuconazole were 0.07, 12.7 mg L-1, respectively and the half maximal lethal concentration (LC50) of Ni2+ and Tebuconazole were 4.2, 39.1, respectively. The teratogenic index (TI) were 61.4 in Ni2+ and 3.1 in Tebuconazole,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s that Ni2+ and Tebuconazole suppress the development of Black-spotted pond frog embryos at the low concentration as showing teratogenic effects in other assay system. Therefore, teratogen assay system using the Rana nigromaculata embryos could be useful as a tool to evaluate the toxicity of the pollutants in environment.

      • KCI등재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가 절화국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백기엽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8 화훼연구 Vol.16 No.1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시 화합물의 종류에 관계없 이 초장과 절화장 및 절간길이가 단축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감소경향은 diniconazole 50mg·L-1와 tebuconazole 500 mg·L-1처리시 컸다. 화수장은 diniconazole 50mg·L-1와 tebuconazole 500 mg·L-1처리시 크게 단축되었던 반면, hexaconazole 50mg·L-1와 bitertanol 50mg·L-1 처리시에는 증가되 었다. 꽃목 굵기는 hexaconazole 50mg·L-1와 myclobutanil 150mg·L-1 처리시 굵었으며 화폭의 경우 myclobutanil 150mg ·L-1와 bitertanol 50mg·L-1 처리 시 증가되었고 tebuconazole 500 mg·L-1처리시에는 작아졌다. 생리장해 중 노심의 발생은 bitertanol 50mg·L-1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diniconazole 50mg ·L-1와 tebuconazole 500 mg·L-1 처리시는 화수장 단축 및 엽록소 함량 증가의 긍정적 인 효과가 있었으나, 초장과 절화장이 단축되었고 화폭 이 작아지는 등의 부정적 효과도 같이 나타나 처리 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효과의 거양을 위해서는 화합물 종류의 선별, 농도와 처리시기 및 횟수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iazole compounds [hexaconazole (50 mg ·L-1), diniconazole (50 mg ·L-1), myclobutanil (150 mg ·L-1), difenoconazole (50 mg ·L-1), tebuconazole (500 mg·L-1), and bitertanol (50 mg·L-1)] on commercial quality improvement of cut flowers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gkwang’.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internode length decreased by all triazole compounds.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internode length and flower neck length were shortened by treatment of 50 mg ·L-1 diniconazole and 500 mg·L-1 tebuconazole. Flower neck was thickened by hexaconazole and myclobutanil. Flower diameter increased with myclobutanil and bitertanol, while it decreased with tebuconazole. Among physiological injury, open center increased with bitertanol treatment. Overall 50 mg·L-1 diniconazole and 500 mg·L-1 tebuconazole showed a possitive effect on length flower neck and increasing chlorophyll content, while decreasing plant height, cut flower length and diameter of flowers.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kind,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s for effective control of cut flower quality.

      • 04 포스터 발표 : 환경 화학 분야(PC) ; PC-01 : 건조 당귀 중 Carbendazim과 Tebuconazole의 잔류 특성

        이재윤 ( Jae Yun Lee ),노현호 ( Hyun Ho Noh ),박효경 ( Hyo Kyoung Park ),김진찬 ( Jin Chan Kim ),정혜림 ( Hye Rim Jeong ),이정우 ( Jung Woo Lee ),진미지 ( Me Jee Jin ),홍수명 ( Su Myeong Hong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당귀 중 carbendazim(12.5% SC)과 tebuconazole(12.5% SC)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충북제천의 당귀재배 포장을 임차하여 수확 예정일로부터 40, 30, 21, 14, 7일전 및 수확 예정일에 약제를 살포한 후 각 처리구별 시료를 수확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관행방법에 따라 건조하고 마쇄하여 -20℃ 이하의 냉동상태에서 보관한 후 carbendazim과 tebuconazole 잔류량을 각각 HPLC-FLD와 GLC-NPD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는 모두 0.04 mg/kg이었으며, 분석법의 검증을 위해 수행한 당귀 중 carbendazim과 tebuconazole의 회수율은 각각 75.0-85.7과 70.0-74.3%의 범위이었다. 건조 당귀 중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carbendazim 0.13-0.52 mg/kg, tebuconazole의 경우0.25-0.58 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건조 당귀 중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약제살포 당일 시료를 수확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 예정일에 근접하여 살포하고 처리 횟수가 많은처리구의 잔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두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유사한 경향이었는데 이는 시험농약의 함량과 제형 및 희석비가 동일하고 모두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한국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시너지 효과

        김영선(Young-Sun Kim),이창은(Chang-Eun Lee),이긍주(Geung-Joo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2

        본 연구는 tebuconazole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체를 처리한 후 라이족토니아마름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여 협력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포장시험에서 계면활성제와 살균제의 혼용 처리에 의해 한국잔디의 잔디 품질은 대조구보다 모두 증가하여 계면활성제 처리에 의한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의 방제율은 포트 시험과 포장 시험에서 각각 47.8-52.9%과 94.5-98.8% 정도 나타내었고, T+K, T+1/2K 및 1/2T+K 처리구는 T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테부코나졸의 처리는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의 방제에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50% 감소된 살균제 처리에도 비슷한 병방제 효과를 나타내어 잔디 병해 관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ynergy effects of non-ionic surfactant on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s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 2-2 (IV) on zoysiagrass with tebuconazole. After applied with surfactant and tebuconazole, control efficacy of large patch in the pot and plot tests was 47.8-52.9% and 94.5-98.8%, respectively. Compared to T treatment, the effects of T+K, T+1/2K, and 1/2T+K treatments on large patch cont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result indicated that the application of tebuconazole fungicide in zoysiagrass was still valid in the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 and the non-ionic surfactant was useful in maintaining the similar disease control effect even with the reduced fungicide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