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학생 실수에 대한 인식과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성신,박인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making good use of student errors, which often occurs within the process of learning, as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strongest indicators of instruction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r those purposes, data from 281 incumbent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errors need to be accepted as a natural part of learning and to be used as an instructional means and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raise teacher efficacy are needed to improve teache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의 실수를 학습자 중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281명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학생의 실수를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판단할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실수가 수업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는 동시에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학습자 중심 수업의 확산을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함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The influ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student achievement data in evaluation and their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evidence from China

        Liu Shujie,Xu Xianxuan,Stronge James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9 No.4

        This study employed survey research in Chin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valuation,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while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Four hundred and twenty-five teachers from a medium-sized city in Heilongjiang Province participated. The study examined th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using student achievement data in evaluation, finding mixed views about the inclusion of student scores, consistent with many recent studies on teacher evaluation reform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data and three factors emerged. The three factors were used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in addition, three variables of teacher self-efficacy (i.e., efficacy for student engagement, efficacy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fficacy for classroom management) also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The analyses found that (a)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evaluation have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 when their perceptions of evaluation are controlled, teachers’ self-efficacy can explain additional variance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eachers’ self-efficacy for student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n light of enhancing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developing rigorous teacher evalu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교사인식 관련 변인들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04 아동과 권리 Vol.8 No.3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 are a means of linking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The measurements related to parent-teacher relationship were administered to 176 teachers of preschooler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Level of teachers' educ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centered beliefs, showed positive views toward parents, and facilitated children's play interaction. More information seeking of the child by the teachers and positive views toward the par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choolers' play interaction. Th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should share and seek information of each child, and be more supportive to the parents. 본 연구는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교사인식 관련 변인들이 부모-교사 관계와 관련하여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어떠한 요인들이 유아의 사회적능력으로 간주되는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 배경특성에 따라 부모-교사 관계와 유아의 놀이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나, 교육년 수가 높은 교사일수록 아동중심적인 신념을 선호하였고, 부모관이 긍정적이었고, 유아의 상호작용적인 놀이행동을 더 고무시키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긍정적인 부모관을 가지고 유아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하면 할수록 유아의 놀이행동은 상호작용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모-교사관계에 대한 교사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러한 인식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따라서 긍정적인 아동발달을 위해서는 아동의 경험과 행동에 대해 교사와 부모가 서로 함께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의 위험부담놀이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Yuen Yue,신지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isk-taking play by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it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f desirable support plan for play at ris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was higher in Chines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risk-taking play was more necessary and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an Chinese teachers. Second,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reality of risk-taking play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isky play, the place and time, and the role of teach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permission level and limit. Third, the obstacles in performing risky play were both parents' sensitivity to the safety of their children and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by the chief engineer. However, Korean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risky play, I think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risky play because of the difficulty and lack of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parents and the specific guidance method.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activate risk-taking playing.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위험부담놀이 실태와 유아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인식과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216명, 중국 유아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정도는 중국교사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한국교사는 위험부담 놀이의 필요성과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위험부담 놀이의 실태는 위험부담 놀이를 하는 빈도, 이루어지는 장소와 시간, 교사의 역할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반면, 교사의 허용정도와 제한 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위험부담놀이 실시에 대한 장애요인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모두 부모의 안전에 대한 민감성과 기관장의 안전사고 예방 요구가 가장 크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한국교사는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중국교사는 부모의 학습위주의 교육적 요구 및 구체적인 지도방법의 이해 부족 때문에 위험부담놀이를 실시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교육기관에서 위험부담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의 변화,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적극적인 소통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에서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균형감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의 내용 적합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윤진주,김영실,박선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This study looked into 3-4 year old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elevance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particularly regarding the content categories, contents and sub-contents of each curriculum area. It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ntent categories of each area in relation to teacher-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teachers in charge of 3-4 year old classes at private kindergartens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concerning the content categories, contents and sub-contents of each curriculum area. Regarding the teachers' relevance perceptions of “content categories,” “contents” and “sub-contents” (in this order),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area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teachers gave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to the following items: “Living a healthy life,” “Maintaining personal hygiene and cleaning one's surroundings” and “Keeping one's hands, body and teeth clean”;2)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the teachers gave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to the following items: “Reading,” “Listening with proper attitude”/“Becoming interested in reading” and “Using correct vocabulary and refined expressions”;3)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ship, the teachers gave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to the following items: “Living together with others,” “Knowing and respecting social values” and “Behaving properly by being considerate to others”;4) In the area of artistic experience, the teachers gave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to the following items: ““Enjoying artistic expressions,” “Expressing through art activities” and “Expressing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and,5) In the area of nature and inquiry, the teachers gave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to the following items: “Developing inquiring and scientific attitudes,” “Finding out about living thing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Finding out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growth process of one's favorite plants and animals.”Regarding the teachers' perception differences caused by their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The educational background caus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nly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The teacher's age and the type of age class led t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areas. In contrast teacher's career exper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any of the areas. This study should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3-4 year old class teachers'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the Nuri curriculum (common curriculum) for 5-year-old children ahead of the planned implementation of a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3 and 4. 본 연구에서는 사립 유치원의 만 3, 4세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범주, 내용, 세부내용 적합성에 대한 인식과 각 영역별 내용범주를 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북 지역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의 만 3, 4세 담임교사 224명이다. 연구 도구는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범주, 내용, 세부내용에 따라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 영역의 ‘내용범주’-‘내용’-‘세부내용’의 순으로 적합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체운동ㆍ건강영역에서는 ‘건강하게 생활하기’, ‘몸과 주변을 깨끗이 하기’, ‘손과 몸과 이를 깨끗이 하기’를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의사소통영역에서는 ‘읽기’, ‘바른 태도로 듣기’, ‘책 읽기에 관심가지기’,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한다’를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사회관계영역에서는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 ‘사회적 가치를 알고 지키기’, ‘다른 사람을 배려하여 행동한다’를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예술경험영역에서는 ‘예술 감상하기’, ‘미술활동으로 표현하기’, ‘다양한 미술활동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를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자연탐구영역에서는 ‘과학적 탐구하기’, ‘생명체와 자연환경 알아보기’, ‘관심 있는 동식물의 특성과 성장 과정을 알아본다’를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라 적합성에 대한 인식을 차이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의사소통영역에서만, 연령과 담당 연령에 따라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3, 4세 누리과정」이 시행됨에 앞서, 현재 만 3, 4세반 담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연계를 위한 내용적 적합성에 대한 인식을 우선 진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김동례(Kim, Dong R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구성방향에 대한 인식 및 현장적용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 및 운영지원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보육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를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와 Scheffe 추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현장적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을 전반적으로 확장시키고 지원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강조, 추구하는 인간성의 적절성,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의 확장.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인식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의 축소, 행정업무 경감과 같은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놀이중심 현장적용 사례집이나 교사 지도서 같은 참고자료 지원, 예비교사 및 양성교육과정의 변화 필요,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필요에 대한 요구 등이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요구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들에게 개정누리과정에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을 위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과 긍정적인 평가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relationship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child-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argeting 269 childcare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level, and the t-test, ANOVA and Scheffe follow-up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Results In the results, first,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that a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autonomy of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and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field applic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overall expansion and 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utonomy emphas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suit of humanity, and the extension-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required support for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duction of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In addition, support fo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play-centered field application casebooks and teacher guidebooks, the need for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nd training curriculum, and the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Nuri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quest was hig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on-site settlement of the children-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upport re-education or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improve perception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경옥(Lee Kyung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 노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과 Amo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모델은 부와 모에 대한 영아교사의 아동기 애착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각 정서노동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정서노동은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 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부에 대한 애착 지각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적 정서노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적 정서노동을 포함한 모델의 경우,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해 직 · 간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사이에 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labors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the paren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1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Each model including analyzation of meditator effect, which is found in sub factors in emotional labor, between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things. First one is that natural emotional labor is revealed to perform a role of fully-mediating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trast,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father was found to have no meaningful effect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superficially emotional labor had meaningful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re is no meaningful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teachers. Finally, infant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had its own influence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direct and indirect ways. This result showed that deep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partially-mediating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음악과목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music subject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24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 four: 1)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ing programs, 2) perceptions of work challenges, 3) perceptions of work reward, and 4) current professional needs. 78 elementary teacher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 three groups b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not enough provided to teach music effectively in the music classrooms. The teachers answered that maintaining energy all the time in music classes and teaching with inadequate resources were most difficult work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felt pressed when they taught instrumental class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need to provide various programs including methods of music material usag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needs to strengthen programs of teaching strategies for instrumental classes. 이 연구는 음악과목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78명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27문항으로 이 중 24 문항은 크게 네 개의 범주, 1) 대학교 교과과정, 2) 업무의 난이도, 3) 음악을 가르치는 일에 대한 보람과 자부심, 4) 음악을 가르치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 세 문항은 교사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적는 서술 형태로 되어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장 부족한 대학교 교과과정은 자료 활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적절하게 제공된 프로그램은 교수방법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의 난이도에 관한 질문에는 항상 에너지와 열정을 갖고 수업에 임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음악을 가르치는 일에 대한 보람을 느낄 때는 학생들이 음악과목에 열정을 보일 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 수업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는 가르치는 경험을 많이 쌓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자료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예비교사 교육은 기본적인 내용은 유지하되 시대의 흐름과 교육 과정의 변화에 부응하는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보충되어야 하며, 음악수업 시간에 필요한 자료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음악시간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선호도가 높은 음악을 적절히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또한,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은 실기지도를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강화와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가 지속적인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KCI등재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운영 현황에 대한 기초 탐색 연구

        윤지현,조성호,황윤서,김진수,김태영,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mak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and looked at their perceptions in terms of teachers'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human support in schools, and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motivations behind teachers' management of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were‘requirements on education sites’ and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while most of the methods of maker educ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coding methods and how to use Arduino.’ The survey of the degree of support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und that perceptions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were the ‘lack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need to improve the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human support in schools were tha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and ‘negativ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perceptions of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it was noted that there was a ‘lack of active space,’ and a ‘lack of equipment and tool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exploring the status of maker education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implications of introducing and spreading maker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운영 현황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에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 학교 내 인적 지원, 학교 내 물리적·재정적 지원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들이 초·중등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하게 된 동기는 ‘교육 현장의 요구’와 ‘미래 인재의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이커 교육 활동 방법은 대부분 ‘코딩 방법 및 아두이노 사용 방법 교육’으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 관련 지원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메이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인식은 ‘교원 연수 프로그램 부족’, ‘교원 연수 프로그램 내용 개선 필요’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내 인적지원에 대한 인식은 ‘관심의 부족’, ‘메이커 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교 내 물리적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활동 공간 부족’, ‘장비, 도구 부족’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운영 현황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내 메이커 교육 도입 및 확산 방향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