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김일규(Kim, Il Kyu)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9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 KCI등재

        표준 연구 연대기: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박하경,김충환 표준인증안전학회 2023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표준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중에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제고하는 목적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 경쟁력 강화의 한 방법으로써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관련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역할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과 관련된 유사 논문을 참조하여, 연구 특성으로 연구 대상, 연구 목적, 연구 방법, 게재 학술지를, 연구자 특성으로 연구자 구성, 소속, 학문 분야를 분석 준거로 하는 분석 틀을 개발하였고,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59편의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제고 목적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해당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2012년 이후 관련 논문 수가 증가하다가 2017-2018년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국가표준․인증제도 선진화 방안이 수립되고 한국이 ISO 이사국으로 선출된 시기와 맞물려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이러한 대외적 요소나 정책적 효과가 줄어들어 연구자들의 표준화 인식 및 보급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연구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에서는 조사 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 연구 중에서는 사례 연구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개발 연구와 실험 연구의 비중은 낮았으며, 주로 학생 교육이나 동향 파악 등의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2015년을 기준으로 2인 및 3인 이상 공동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연구자 소속도 대학이 크게 증가한 것을 통해 대학이나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관련 연구는 2015-2018년 기간에는 정부 지원 사업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저조한 것으로 보아 연구자들이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에 대한 동기를 얻는 데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산업체, 행정기관 간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지원 체계가 갖추어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표준화 연구자 및 종사자들의 표준 및 표준화 인식 제고 관련 활동 적극 참여, 일반인과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 및 교육 확대, 산학관의 역할 명확화 및 유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 국외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various studies related to standards, with the objective of enhanc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dditionally,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oles that researchers play in raising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technical standards. To analyze these trends, we developed a framework based on research characteristics such as research object,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publication journal, as well as researc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researcher composition, affiliation, and academic field. The analysis focused on 5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tween 1999 and 2022 that aimed to rais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he temporal trend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studie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wareness raising after 2012, followed by a decrease in 2017-2018. This increase can be at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 Advancement Plan and Korea's election to the ISO Board of Directors. However, the subsequent decline in research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diminishing influence of these external factors and policy effects, resulting in decreased interest among researchers in standardization awareness and dissemin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rvey research exhibited a higher proportion among quantitative studies, while case studies were more prevalent among qualitative studies. The proportion of developmental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relatively low, and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educational purposes or identifying trends. In terms of researcher characteristics, collaborative research involving universities and companies became more common, as evidenced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two-and three-person collaborations since 2015. Additionally, the number of research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experienced a notable rise. Overall, research on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awareness raising was active during the period of 2015-2018, predominantly driven by support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this area i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at government policy suppor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otivating researchers to raise awareness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To invigorate future research, it is crucial to establish active connections between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companies, and implement diverse support sys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explore methods to promote and educate the general public and industrial companies,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related research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and facilitate discussions on utilization through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development, and case studies.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논의와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계열적 구조화

        김창원 ( Chang Won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48

        This paper reviewed the critical point of discussions on integrated curriculum theory betwee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o develop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o achieve this development, I discusse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integrating method from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11 National Curriculum and argued directions of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ment that are based on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antagonism between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in language development, as well as suggested 37 integrating methods that are usefu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lso, I analyzed in details about the subjects crossing integration based on the theme and the areas crossing integration based on the text. Looking at both existing national curriculum stands and many new ideas, I criticized the contents’ framework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teaching. Finally, I argued necessity of chronological structuralization of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I could add a new criteria on the theory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 some important focuses, such as chronological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year 2015.

      • KCI등재

        삼국시대 표준연대유물의 정합성 검토

        김일규 ( Ilkyu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삼국시대 고고학 연대는 중국자료와 교차편년을 통해 설정된 것임에도 그 편차가 심하다. 본고에서는 中國 六朝瓷器를 편년하여 기준연대자료를 제시하고, 前燕 및 삼국시대 유적출토 육조자기와 비교를 행하였다. 馬具를 동반한 前燕墓 출토 육조자기는 東晋의 육조자기 연대와 일치하였다. 고구려 출토 육조자기는 제작지의 연대와 시간차이가 크지 않은 것에 반해 백제와 신라 출토 육조자기는 시간적 격차가 극심하다. 백제 출토 육조자기는 4세기 중엽이후 東晋·南朝 遣使 때 수입된 위세적 성격의 유물이다. 따라서 부장목적으로 제작된 일반 부장품과는 달리 제작-입수-사용-부장까지의 시간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교차편년 자료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가야 고분출토 晋式帶金具와 漢鏡같은 위세품도 중국내의 제작연대와 시간격차가 크다. 따라서 백제, 신라, 가야에서 출토된 중국제의 육조자기와 진식대금구, 漢鏡과 같은 위세적성격의 외래유물은 제작원향의 시간속성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표준연대유물로는 부적당하다. 이에 반해 가야 고분출토 騎乘用 馬具는 三燕馬具 연대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중국과의 교차편년을 통한 삼국시대 연대설정의 최적의 자료는 기승용 마구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적석총 출토 干支紀年 와당은 낙랑토성 출토 와당과 비교하여 형식편년하고 동반된 육조자기와 마구로서 그 연대를 검토한 결과 기존의 설보다 一週甲 하향되는 연대가 산정되었다. The archaeological era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ve many variations even though they were established through Chinese data and cross dating. This manuscript presented standard era data by recording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in China chronologicall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excavated in the eras of the Former Yeon and the Three States. The eras of those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Former Yeon along with horse trapping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ose in the Dongjin Dynasty in China.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Goguryeo Dynasty in Korea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from the eras of the place of production, while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and Shilla Dynasties in Korea showed a very intensive chronological gap.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Dynasty were the relics showing the nature of power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eras of Dongji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fter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Therefore, they are not unsuitable enough to be used as cross dating data because they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time taken in the courses of production - acquisition - use - grave goods position, unlike the general grave good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burial. The prestige goods such as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Gaya Dynasty in Korea show a big chronological gap,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eras of those i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excavated in the Baekje, Shilla and Gaya Dynasties and foreign relics with the nature of power such as the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are unsuitable as the standard era relics because they have many problems in applying their archaeological relic of standard chronology of the production place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eras of th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excavated in the Gaya grave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e horseback trappings in the Samyeon Dynasty. Therefore, we can find that the best materials for establishing the eras in the Three States through cross chronologies together with China ar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A review of the consistency of standard chronologe relics in the sexagenary cycle ginyeon roofend tiles excavated in the Stone Mound Tomb in the Goguryeo Dynasty and were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and horse trappings which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their eras were calculated one sexagenary cycle less than those described in the existing theory, compared of those excavated in the Langnang earthen fortress.

      • KCI등재

        集安 高句麗古墳群에 대한 統計的 接近 試論

        朴京哲(Park Kyung-Chul),柳濟旼(Yoo Jae-Min)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59

        本稿는 통구고분군과 집안 외곽 지역의 고분군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정성적인 통계적 분석 작업을 통하여 획득한 결과치를 요약 정리·분석한 결과물이다. 본 연구는 『洞溝古墳群』(2002년)을 기본적 text로 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洞溝古墓群』상 고고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단 excel원표를 작성한 후, 통계적 방식(‘SPSS’)을 활용하여 다양한 定量的 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적 분석의 결과물을 감안하면서, ‘FNN(fuzzy neural network)’분석과 Data Mining의 非母數的(non parametric)통계 기법을 활용한 여러 수준의 定性的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개 고분들에 대한 축조 당시의 [높이 → 기울기(傾斜角)→ 體積(規模)]를 산출하고 이에 바탕한 여러 ‘意思決定 나무 (decision tree analysis)模型’ 접근을 통하여 주요 고분에 대한 축조 pattern을 밝혔다. 본 연구는 기왕의 개개 고분에 대한 [높이 → 기울기(경사각)→ 규모(체적)] 관련 Data Mining의 결과치와 관련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성과를 기본으로 고분 축조 시의 ‘標準尺’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集安 지역에서의 표준척이 시기 별-형식 별로 다소 차별성로 보이지만, 대체로 [22. 5㎝ → 23. 5㎝ → 24. 6㎝→ 26. 3㎝]로 변화하고, 遷都 직후 平壤지역도 26. 3cm의 표준척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다만 천도 이후 집안의 경우 주로 石室墳 다수에서 24. 6㎝의 표준척이 다시 등장함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고분연도 추정 작업은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핵심 설명변인들을 투여해 fuzzy neural방식을 통해 추출하였다. 따라서 본고에 제시된 年代는 결코 ‘絶對年代’에 값하는 그것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편년 자료가 부족한 고구려 고분의 상황에서 연대 비정 과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We tried to analyse by the descriptive-inferential and statistical operation the Tumuli in Tungkou(洞溝) and around Jian(集安) area, based on 『Tumuli in Tungkou』(2002) as the basic archaeological data. The exel source list from this data served to the various descriptive analysis by SPSS. And we proceeded from this ‘descriptive’ to the multi-leveled ‘inferential’ analysis in adopting the ‘FNN(fuzzy neural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non parametric-statistical technic of Data Mining. The produced number of the each tumulus’ [height→gradient=an angle of inclination→volume=scale] showed us, according to the ‘decision tree analysis’ model, the building pattern of the tumulus which finally was summarized as the standard measure. Though this standard measure differed a little to the epoch and the pattern of the tumuli in JIan area, but it changed generally from 22. 5㎝ via 23. 5㎝ and 24. 6㎝ to 26. 3㎝, and just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e 26. 3㎝ measure was adopted even in Pyongyang area. Meanwhile the chronology of tumulus was possible by the fuzzy neural method in putting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derived from our research, so this chronology could not be the absolute value but be served as a highly reliable material to measure the chronology for the tumuli in Koguryo Dynasty.

      • KCI등재후보

        한국어 읽기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

        권혜경(Hye-Kyoung Kwon) 한국중원언어학회 2010 언어학연구 Vol.0 No.1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previous work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foreigners which is domestically announced, so that it clarifies the current flow of studies and suggest other future alternatives in reading Korean language. Among total 107, there are 64 works on the method of subject reading, 16 works on curriculum the course of education and 27 works on reading texts. Examining the above mentioned works, we can consider three factors in reading of Korean. First, we need to set a goal for reading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 we should focus more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reading texts. Finally,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reading, we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초·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 연구

        신범식,최용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about problems of the sequence in the 7th reformed history curriculum according to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Basically, problem of the 7th reformed history curriculum is relevant to that curriculum isn? constructed for whole structure from the elementary school(5th grade) to the high school (10t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history curriculum, perspective on the sequence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One is named ?urriculum-as-theory?and the other ?urriculum-as-practice? The former defines what students should know about the history of their nation and of the world. The core of the former is ?hronological-topical?approach. The latter defines that enable students to evaluate evidence, develop comparative and casual analyses, interpret the historical record, and construct sound historical arguments and perspectives on which informed decisions in contemporary life can be based. The core of the latter is ?oing history? Two perspectives do not, of course, develop independently of one other. For the reasons, the standards are necessary to provide an integration of two perspectives. The focus of the elementary school(5th grade) history curriculum presents a chronicle of ?ncient history?core and ?oing history?through the multiple activities and purposes. The focus of the high school(10th grade) history curriculum presents a chronicle of ?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core and an in-depth ?oing history?that make full use of a content and method.. 8-9th grade is supposed to middle formation between 5th grade and 10th grade. 2007년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정신을 살려 학교급별 연계성에 토대를 둔 교육과정이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역사 교육은 5학년에서 시작해 10학년에서 일단락되는 교육과정 구성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10학년 전체를 조망하는 역사 교육 계열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을 ‘연대기-주제’ 중심의 ‘이론으로서 교육과정’과 ‘역사하기’ 중심의 ‘실천으로서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개관하고, 이 두 접근 방법의 결합으로 통합 모형이 설정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초·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으로 5학년은 고대사 중심 통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역사하기’를 통해 구성되는 상대적으로 적은 역사 지식·이해를, 10학년은 근현대사 중심 통사를 중심으로 이전에 학습한 내용과 새로 추가되는 근현대 관련 지식·이해를 활용하여 심도있는 ‘역사하기’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8·9학년은 5학년과 10학년의 중간 수준으로 보았다. ‘연대기-주제’ 중심 접근과 ‘역사하기’ 중심 접근은 지식·이해, 지적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시되던 기존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통합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그 가능성을 미국 『역사 국가표준』에 따른 성취기준 설정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5-10학년의 성취기준을 통합기준에 따라 위계화하여 함께 제시하는 것도 학교급간 내용 중복을 방지하여 유효한 역사 교육을 이끌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낙천(洛遷) 이전 묘지(墓誌)를 통해(痛駭) 본 북위(北魏) 묘지(墓誌)의 전개(展開)-<풍희묘지(馮熙墓誌)> 전사(前史)-

        홍승현 중국사학회 2017 中國史硏究 Vol.110 No.-

        本文旨爲通過分析洛陽遷都前建造的3塊墓誌來復原幷探究定型化的北魏墓地出現過程. 因北魏時期建造的墓誌在數量上大大超出南朝建造的墓誌,從而有人提出“南朝的墓前石刻, 北朝的墓誌銘”的見解. 同時,在更早時期日本學術界和中國學術界也有學者主張墓誌在北魏時期得以完成幷開始傳播. 但經過對遷都以前的北魏墓誌進行硏究的結果,無法發現因北魏社會本身的發展而導致墓誌定型化的情況. 被視爲洛遷以前比較完整的墓誌卽《元理墓誌》是僞刻這這個事實已幾乎成爲定局,而因其帶有銘辭,從而可知被視爲遷都前已定型化的墓誌的《劉賢墓誌》在紀年比較推斷方面存在着問題. 目前來看,由孝文帝太和19年(495)從南齊逃亡的王肅將南朝墓誌傳統傳到北魏,幷使北魏社會擁有了完善的墓誌形式,也就是使《馮熙墓誌》得以建造的北魏墓誌相關說法是有說服力的. 雖然幷不否定定型化的墓誌風俗從南朝傳播到北朝這個事實,但有一個墓誌可證明從南朝傳到北魏的墓誌傳統的最初成果幷非《馮熙墓誌》. 這正是《申洪之墓誌》. 《申洪之墓誌》的紀年雖爲北魏延興2年(472),但其墓主申洪之爲從劉宋强制性移居到北魏的人物,從而其墓誌發現的風俗源於南朝墓誌傳統. 《申洪之墓誌》與《馮熙墓誌》相比在構成要素方面雖漏掉銘辭而看起來似乎在定型化方面有所不足,但從其引用的相關經典文章水平頗高這一點,可知其完成度相當高. 而其內容方面的完成度還可在500年度後建造的定型化的北魏墓誌中發現. 因而可知,在《馮熙墓誌》刻制以前北魏社會已引進相當完善的南朝墓誌傳統,且已開始建造與十六國時期所不同的具有別一種定型化特性的墓誌.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