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기독교계 고등교육의 특성

        정선이(Joung, Sun-Ei) 교육사학회 2009 교육사학연구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1910년대 기독교계 고등교육의 성격 및 교육전략에 관해, 연희전문학교와 숭실대학(전문학교로 인가받기 전 명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당시 조선인 기독교계지식인들은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되는 고등교육기관에 대해 어떤 인식과 전략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검토하였다.<br/> 1910년대에 들어서 기독교 선교사업에서 고등교육의 문제가 새로운 대학의 설립을 둘러싸고 본격적으로 대두되었을때, 당시 선교사들과 조선인 기독교계 지식인들의 고등교육관, 즉 고등교육을 통해 길러내고자 하는 엘리트 상이 무엇인가, 기독교계 고등교육기관에 비기독교인 학생의 입학을 허가할 것인가, 그리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college를 세울 것인가, university를 세울 것인가와 관련한 고등교육 목표 및 모델, 운영 정책의 방향성 문제을 살펴보았다.<br/> 지식인 양성은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긴박한 요구이며 과제였고, 북장로교와 감리교의 교육 전략의 차이는 기독교계 조선지식인들에게 예민하게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미 문명정도에서 ‘교육이 이미 많이 보급된 나라에는 장로교 정책이 가합하나 조선인민의 수준에는 감리교의 정책이 부합한다’고 인식하였다. 지도자와 지식인 양성을 절실히 요구하였던 식민지 조선의 시대적 상황은 기독교계 지식인들로 하여금 세속적 교육 지향 및 사회 참여적 성격, 청년교육에 힘써온 감리교와 보다 더 전략적, 심정적으로 결속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br/> 감리교의 교육전략이 반드시 민족주의적 성격을 더 띠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감리교 역시 장로교와 마찬가지로 최선의 목표는 복음 선교이고 비정치화와 정교분리 원칙을 지키려고 하며 식민지권력과 일정 부분 타협해 나갔다. 그러나 개정사립학교규칙이나 대학 설립 및 운영 문제, 신사참배와 같은 교육적 중대 안건이나 위기상황에서 선교목적만을 위해 조선인의 교육기회를 폐쇄하지 않고, 열어두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br/> 위의 논쟁에서 드러나는 성격은 이후 연희전문의 설립 및 운영과정에서 북장로교 소장파이며 서울지역 선교사였던 언더우드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고등 교육의 성격 및 방향에도 영향을 끼친 바 있다. 일제말기 신사참배를 둘러싼 연희전문과 숭실대학의 대처방안의 차이는 이미 1910년대 논쟁에 깊숙이 연루되어 있었던 것이다. In this study, I have studied the chracteristics and it’s strategies of the christian colleges, Yunhee and Soongsil college in 1910s. The major materials of this paper are the KMF, Keedoksinbo, the diary of Yoonchiho, Annual Report of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Korea Mission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1910s the education of the christian(mission) schools had come to the crisis according to the schrinkage in christian mission and activated competition with the government and public school. Second, the issues on higher education related christian mission’s activities had been activated on 1910s. The dean of Soongsil college, W.M.Baird, the principal of Paechai academy, H.Heung. Wo Cynn and the concerned peoples were engaged in the debate on the iss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 aimed to what type of elites; the problem related to the admiss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 and what type of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university or college. Third, the dean of Soongsil college, W.M.Baird who were representative of North presbyterian had thought that the christian higher college aimed to educate the teachers who could work for christian mission in church, and were positively against the admiss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and also thought the college must be established for christian mission. Forth, H.Heung. Wo Cynn thought the university must be established, in which there could be educate the broad field elites for christian mission, and also not reasonable for the admission restriction of students who are not the christian. Fifth, the chracteristics of the debate on the iss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 had influenced on the choices of Underwood related to Yunhee college, and the following situ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differnce in policy on worshipping the shrine between the Yunhee and Soongsil college were connected to the debates on 1910s.

      • KCI등재

        식민지 미션스쿨의 지식인 풍경 —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을 중심으로

        이경숙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6

        This article paints a landscape painting of intellectuals working at the Colonial Mission College. The author believes that landscape painting includes three elements. The first is the wide space landscape paintings describe, the second is the specific time zone captured by landscape paintings, and the third is the vanishing point. This is the starting point and extension line that defines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In light of these three elements, the author attempts to paint a picture of intellectuals in colonial mission college using the example of Soongsil College professors in Pyongya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of intellectuals at Soongsil College, a colonial mission school, was both global and local. Second, time at Soongsil College was uneven and curved. The straight time of intellectuals trying to move toward the future collided with the colonial power that pulled it toward the time of state power. Third, with regards to intellectual activity, which is a defining role for intellectuals, professors at Soongsil College conducted their academic activities under the limitations imposed by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institution’s status as a vocational school. They tended to focus on technical education as this met the interests of various groups. 이 글의 목적은 식민지 미션스쿨에 재직 중인 지식인들을 하나의 풍경화로 묘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풍경화가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고 본다. 하나가 풍경화가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공간, 둘째가 풍경화가 포착하는 특정한 시간대, 마지막으로 풍경화의 구도를 잡아주는 출발점이자 확장선인 소실점이다. 이 세 가지 요소에 비추어 평양에 있었던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을 사례로 식민지 미션스쿨 지식인들을 풍경화로 그려보고자 한다. 지식인 풍경이라는 이 새로운 방법은 식민지 지식인들을 당대의 시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좀 더 사회적 존재로 이해하기 위해 고안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이 활동한 공간은 식민지에서는 때 이르게 글로벌하면서도 로컬했다. 지역 유일 사립전문학교였던 숭실전문학교는 평양의 역사와 식민지적 특성으로 인해 인구구성이 비교적 다양했고, 교수들의 학력구성도 제국을 기반으로 글로벌했다. 동시에 평양이 역사적으로 오래 차별받아 온 서북지역이이면서 민족주의와 사립학교의 설립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이라는 특성이 지식인에게 영향을 미쳤고, 지식인들 역시 지역에서의 책무를 기꺼이 맡는 지역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지식인들이 처한 시간대를 보면,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는 지식인들의 직선적 시간과 이를 제국주의 국가권력의 시간 쪽으로 끌어당기는 권력의 힘이 충돌하면서 울퉁불퉁한 구부러진 시간대를 살아갔다. 셋째, 지식인들에게 핵심적 역할인 지적 행위를 소실점으로 두고 봤을 때, 식민지 미션스쿨 지식인들은 식민지라는 한계와 전문학교라는 한계 속에서 그들의 학문적 활동을 진행했으며, 여러 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기술교육에 몰두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식민지 지식인의 굴절, 그 뜻과 결

        박규환(Park Qu-Hwa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6

        이 글은 일제강점기 기독교 지식인 이훈구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여 숭실과 기독교에 기반한 그의 농촌운동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성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1920년대에 일본 유학과 미국 유학을 통하여 정립한 이훈구의 소농주의 농업론을 검토하고, 숭실전문 농학과장으로 있으면서 벌인 기독교 농촌운동을 고찰함으로써 그의 농촌운동이 사회복음적 기독교 신앙과 근대적 자유주의 정신 및 민족의식에 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숭실전문의 폐교 과정에서 당시 숭실의 부교장이던 이훈구가 선교사들의 방침과 달리 벌인 숭실 존속을 위한 활동상을 규명하고, 신사참배를 수용하더라도 고등교육기관으로서 학교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긴 그의 ‘숭실 사랑’이 목적과 수단, 가치와 방법을 뒤집는 전도된 사랑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농민의 주체적 힘을 신뢰하지 않고 제국과 자본의 질서를 뛰어넘지 못한 이훈구의 이상이 결국 현존 질서에 포섭되어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부응하였음을, 하여 숭실과 농촌을 향한 그의 참뜻에도 불구하고 되레 숭실과 농민으로부터 멀어져 갔음을 밝히고, 신앙의 결을 다듬기보다 현실의 힘에 기대다 외려 현실의 늪에 빠지고 더 높은 현실의 장벽에 막혀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지식인의 삶을 통해 ‘이제, 여기’를 조명하였다. This article chases the trace of life of Lee Hoon Koo who was christian elit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flects the meaning and limit of his ‘special heart for Soongsil College and farm village’. For this, we examined his small farm theory of agricultural reform that he made through studying in Japan and USA in 1920’s. And we confirmed that his rural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of social gospel, liberal spirit a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studying the christian rural movement that he leaded as an instructor and head of the Agriculture Department of the Pyongyang Soongsil Junior College. Also, we investigated his activities to maintain the Soongsil College against the missionaries’ policy, which we argued his ‘special heart for Soongsil’ was ‘distorted heart’ that the purpose and the methods, the values and the ways were overturned. Additionally, we examined his ideals, which did not rely on the farmers’ independent power nor surpassed the order of capital, were taken into an established order. Therefore, his activities went far from the Soongsil and farmers in spite of his true ‘special heart for Soongsil and farm village’. Through his life that did not follow his faith but depended on the reality, which prevented him abandoned against the wall of reality, we illuminated ‘now and here’.

      • KCI등재

        미국장로회선교사 윌리엄 뉴튼 블레어(邦緯良)의 한국선교와 숭실대학

        吳淳邦(Soon-Bang Oh)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0

        윌리엄 뉴튼 블레어(William Newton Blair, 방위량(邦緯良), 1876-1970)는 1901년 9월 내한하여 1949년 대구선교부에서 은퇴하기까지 48년 동안 한국에서 사역했던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이다. 그는 1907년 “평양대부흥회” 당시 부흥회의 설교자이며 인도자였고, 1909년부터 일어난 “백만인 구령운동”과 1919~1935년의 “기독교 진흥운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한국교회의 개척사업과 기독교 교육사업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니 장로회 평양선교부를 중심으로 한 서북지역의 5개군을 관할하며 순회전도사역을 하면서 57개의 교회를 개척하였고, 1901년부터 숭실학당(Soongsil Academy)과 평양신학교, 교회의 주일학교에서 교육사업에 헌신하였다. 1930년대 후기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따른 탄압과 박해를 받는 가운데에도 블레어는 결연히 신사참배를 거부하다가 1942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출국 당해 미국으로 송환되었다. 그는 1902년부터 숭실학당에서 체육과 음악을 가르쳤고, 1908년과 1920년에는 미국에서 모금활동을 전개하여 숭실대학(Soongsil Union College)과 평양신학교의 건물을 신축하였으며, 1930년대에는 숭실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고, 숭실대학이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할 때에는 재단이사장으로 학교 운영과 폐교절차를 진행하는 등 숭실대학의 교육, 행정에 직접 참여한 경영자이기도 하였다. 그는 5권의 저작과 30여 편의 논문을 저술하였고, 대부분 영어로 기술한 저술 중에 2권의 한글 번역본이 출간되었지만, 아직 블레어의 한국선교사역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저작은 나오지 않았다. 본 논문은 국내외의 관련 논저를 수집 조사하여 모두 5장의 편폭으로 48년간 한국에서 진행된 블레어의 선교사역과 숭실대학에서의 교육사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An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y William Newton Blair(1876-1970) served in Korea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e played a key role in Korean church planting movement and Christian education. As part of the mission work, he planted 57 churches in the area of North West Korea, and led movements such as The Pyengyang Revival(平壤大復興會), The Evangelization Movement for Millions of Korean(百萬人救靈運動) and The Forward Movement(基督敎振興運動). He also dedicated his life to Christian education: he raised funds to build Soongsil Academy and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and served as a professor of Soongsil Union College. While he was a chief director of Soongsil foundation, he and the school participated in protests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which was ended up with school shut down. There has been no dedicated academic research on the trace of his activities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is missionary and educational works based on analysis of his 5 books and over 30 papers.

      • KCI등재

        평양의 기독교 공동체와 숭실전문학교의 과학기술 교육-기계창과 과학기술 관련 학과 설립 시도를 중심으로-

        오선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Soongsil College, which adheres to the evangelical doctrine, implemented a Christian community centered on Pyongyang, an area well-infused with Christian culture, and made an effort to su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by the community for that purpose. Soongsil College, which envisioned an independent Christian education system that encompasses a wide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Pyongyang, allowed admission only to Christian believers, and gave a lot of weight to Christian doctrine and liberal arts essential for seminary admission. As it is operated by sponsorship and support to the local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knowledge,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d by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Soongsil College built and operated “Anna Davis Industrial Shop” from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to educate students on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help students become self-reliant through technical work. As an affiliated institution that best meets the founding purpose of Soongsil College, which is to nurture hardworking and sincere Christians, it has taken an important part in the school operation and curriculum establishment process. In additi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hat Soongsil College envisioned while attempting to establish a science department in the 1920s and 1930s was in fact specialized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which w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needed for Pyongyang to grow into a central industrial area in the northwest region. Eventu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Science department was canceled due to the refusal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o had been reluctant to teach science and technology in colonial Korea. But as the direction was shifted to agriculture and establishment, Soongsil College was able to meet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이 연구는 근대전환기 근본주의 교리를 고수하며 평양이라는 기독교 문화가 잘 베어든 지역에서 기독교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북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기독교대학, 숭실전문학교에서 이뤄진 과학기술 교육의 내용과 의의를 추적한다. 서북지역을 넓게 포괄하는 독자적인 기독교교육체계를 구상한 숭실대학은 기독교 신자들에 한정해 입학을 허용하고 신학교 입학에 필수적인 기독교교리와 자유학예에 많은 비중을 두었지만, 지역사회에 후원과 지원에 의해 운영되는 만큼 지역이 요구하는 지식과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숭실대학은 설립 초기부터 기계창을 함께 건립해 운영해 학생들에게 기술을 교육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기술 근로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기계창은 근면하고 성실한 기독교인을 기른다는 숭실대학의 설립 취지에 가장 잘 부합하는 부설 기관으로 이후 학교 운영 및 커리큘럼의 정립 과정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무엇보다 기계창은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담당했는데, 기계창에서 공급하는 단조, 주물, 유리, 철공 등은 서구사회에서는 이미 오래된 기술들로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당시 평양에 꼭 필요한 기술들로 지역사회가 유학비를 지원해서라도 학생들을 유학 보내 시급히 배워야 하는 기술들로 지목한 것들과 정확히 일치했다. 또한 1920~30년대 이학과 설립을 시도하며 숭실대학이 구상한 과학기술 교육은 사실 화학공학 분야에 특화된 것이었다. 이는 평양이 서북지역의 중심 산업지역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과학기술 지식이었다. 결국 식민지 조선에서 과학기술 교육을 저어하던 총독부가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이학과 설립은 무산되었지만, 농학과 설립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숭실대학은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숭실전문학교 교수진의 구성과 네트워크

        이경숙 ( Lee Kyung Sook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0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사립전문학교인 숭실전문학교의 조선인 교수진을 탐색한 것이다. 식민지 지식인들이 어떤 경로와 네트워크를 통해 숭실전문학교에 모이게 되었는지, 그렇게 모인 교수진은 전공분야에서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교수 개인의 취직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인력배치라는 점에서 교수진은 학생들에게 성장의 기반이며, 지식인의 유입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에는 중요한 사회 문화적 토양으로 작용한다. 평양에 있었던 숭실전문학교의 교수진은 숭실학교 연고자들이 절반을 넘나들고, 평양으로 상징되는 서북지역, 넓게는 북부지역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문과에 속하는 신학과 교육학 전공자들, 화학과 공학을 전공했던 이과 교수진들은 모두 미국유학 출신이었다. 전문학교 인가를 받던 시점부터는 일본유학 경력자들이 증가하였다. 특히 농과 교수진은 모두 일본유학을 거쳤다. 기독교를 기반으로 하면서 숭실, 서북, 유학, 이 세 가지 연결망이 숭실전문학교 조선인 교수진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네트워크였다. 그리고 숭실전문학교 교원 중 오랫동안 잊혀지거나 잘못 알려졌던 교육학자 최윤호와 생물학자 이기인은 다시금 주목해야 할 식민지 지식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faculty of Soongsil College, a private college that existed during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t examined the channels and networks the colonial intellectuals operated at Soongsil College, and analyzed the competencies that the faculty had in their specific fields. The faculty was considered the foundations through which students develop their intellect. However, faculty members were not employed merely as professors, but hired and representative additionally as educational manpower tasked with enriching the country. More than half of the faculty members at Soongsil College in Pyongyang were primarily from the northwest region but also from the broader northern region. The faculty of theology, education, chemistry, and engineering, however, all had foreig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t was only after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ccredited the college that people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in Japan joined the faculty. Notably, all the members of the agriculture department eventually consisted of those who had studied in Japan. Guided on Christian principles, the Korean faculty at Soongsil College became representative of a networked triad between Soongsil, Northwestern people, and overseas education. Amongst these individuals, educationalist Choy Yoon-ho and biologist Lee Ki-in surfaced as long-forgotten or misrepresented intellectuals of that time. The research provides local context with the history of education in Korea but also presents new detail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and educational leadership during colonization.

      • KCI등재

        아더 베커(Arthur L. Becker)의 교육선교활동과 ‘연합기독교대학’ 설립

        안종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Arthur L. Becker came to Korea as a North Methodist missionary up to 1940, the year that he returned to the USA. He studied natural science such as physics and chemistry in the small college in Mid-west USA. Therefore, his activities focused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and colleges such as Paijai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etc. He believed that natural science was compatible so that science education was his own calling and missionary work. Therefore, he even supported non-christian’s education in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ker had different ideas from those of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especially Pyŏng Yang’ station since Samuel A. Moffett and William M. Baird believed that mission schools provide some environment where christian workers should be raised. Many Methodist missionaries who were mostly educational ones supported Becker's ideas. This position led to the situation that Becker and other methodist missionaries supported the idea that a college should be established in Seoul, the plan that Horace G. Underwood,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in Seoul, eagerly had endorsed. It was the case that Northern Methodist decision helped the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Yŏnhŭi College) a lot. Since Becker's idea was amenable to many Koreans, his thoughts and activities shows one important dimension in educational thoughts. In reality, his disciples became leading figures in Korean science circles. Moreover, his family members were involved in post-war Korean situation. 아더 베커(Arthur L. Becker)는 1903년 한국에 와서 1940년에 미국으로 돌아갈때까지 오랫동안 북감리교 선교사로 일했다. 그는 미국 중서부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물리와 화학 등 자연과학을 공부한 인물로 그의 선교사역의 대부분은 교육사업과 관계가 깊었다. 그의 활동은 숭실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등에서 자연과학을 가르치는 데 집중되었다. 그는 자연과학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믿었으므로 과학을 잘 가르치는 것이 자신의 본연의 사명이자 선교라고 생각했다. 그는 비기독교인들도 포함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사역을 염두에 두었다. 베커가 가진 이러한 생각은 평양에서 연합교파 사역으로 운영된 숭실전문학교에 대한 북장로교 선교부 측과의 차이로 나타났다. 베커를 중심으로 한 다른 북감리교 선교사들은 교육에 몸담은 인물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사무엘 모펫이나 윌리엄 베어드 등이 가진 교회를 세우기 위한 인물양성이라는 교육철학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은 서울의 북장로교 선교사인 H. G. 언더우드와 함께 서울에 연합대학을 세우는 안을 추진했던 것이다. 그간 연합대학 설립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북장로교 선교부 내의 문제로 접근된 경향이 있는데 북감리교는 언더우드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었던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베커와 같은 교육선교사들의 입장은 식민지조선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었기에 그의 생각과 활동은 이 시대 한국의 교육사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실제 해방 후 그의 제자들이 한국 과학계에서 중진으로 활동했다. 게다가 그의 가족들이 해방 후 한국문제에 개입하게 되었다.

      • KCI등재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의 상호문화적 관점 연구: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김진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the germination of the interculture(mutual culture)of Korea as an examination of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s through some historical examples on the Soongsil College in the mission school. For this study, intercultural viewpoints with centering around interculturality reconstructed four methods and suggested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four intercultural viewpoints are publicness, openness, nowness(reality), and continuity(possibili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ongsil College were evenly distributed and representative of the four characteristics concerning intercultural perspectives. However, there are other four characteristics : limited, selective, conditional, and strategic aspects etc. Nonetheless, with the discovery of four intercultural viewpoints at the Soongsil College in the mission school, we can see the existence concerning the naissance of mutual culture in Korea. We will expect that this is the research of mutual culture, at the same time, underlying study for finding historical examples of Korean mutual culture(intercultu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의 역사적 사례를 통한 상호문화적 관점을 고찰함 으로써 한국의 상호문화 맹아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성을 중심 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을 네 가지로 재구성하여 분석 틀로 제안하였다. 네 가지의 상호 문화적 관점은 각각 공공성, 개방성, 현재성(실제성), 연속성(가능성)이다. 미션스쿨 숭 실전문학교의 교육적 활동은 위 네 가지의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 나지만, ‘제한적, 선택적, 조건적, 전략적’이라는 특징을 가졌다.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 실전문학교에서 상호문화적 관점 네 가지가 발견됨으로써 상호문화의 태동이 한국에 실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의 상호문화에 대한 구명(究明)임과 동시에 향후 한국적 상호문화의 역사적 사례를 발굴하는 기저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신사참배 문제와 평양의 미션스쿨 폐교과정에 대한 역사적 재고찰 - 북장로교 삼숭(三崇)학교를 중심으로

        김명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4 기독교사회윤리 Vol.58 No.-

        지금까지 신사참배 문제와 관련하여 다수의 저술들과 논문들이 발표되었고, 신사참배와 관련된 학술적 연구는 상당 부분 정리가 되어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평양의 삼숭학교, 즉, 숭실전문학교, 숭실학교, 숭의여학교의 신사참배 거부문제와 교육사업 철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삼숭학교의 폐교과정에서 나타난 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의 입장의 차이, 학교인계경영과 관련된 조선인들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자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제2장에서먼저 일제 신사참배 강요와 조선선교부 의 초기 대응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제 3장 에서는 신사참배 문제를 둘러싼 선교사와 조선인과의 입장의 차이를 조명해 보고 자 한다. 셋째로는 삼숭의 후계경영 문제의 대두와 조선인 사이의 긴장과 갈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로 삼숭폐교 과정에서 미국 해외선교부와 조선선교부 실행위원회의 역할과 조선인들의 대응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To date, numerous writings and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issue of shrine worship,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academic achievements on shrine worship have been accumul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 far,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issue of refusal of shrine worship and withdrawal of educational projects by three schools in Pyongyang, namely Soongsil College, Soongsil School, and Soongui Girls’ School.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missionaries and Koreans that emerged during the closure of the three schools, and the conflict between Koreans related to School Closure. To this end, in Chapter 2, this paper will first look at existing studies on the shrine worship and the Choseon Mission’s initial response. Second, in Chapter 3, we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in positions between missionaries and Koreans regarding the issue of shrine worship. Third, we will look at the emergence of management succession issues in the three schools and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Koreans.

      • KCI등재

        아더 베커(Arthur L. Becker)의 교육선교활동과 ‘연합기독교대학’ 설립

        안종철(An Jong-Chol)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아더 베커(Arthur L. Becker)는 1903년 한국에 와서 1940년에 미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오랫동안 북감리교 선교사로 일했다. 그는 미국 중서부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물리와 화학 등 자연과학을 공부한 인물로 그의 선교사역의 대부분은 교육사업과 관계가 깊었다. 그의 활동은 숭실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등에서 자연과학을 가르치는 데 집중되었다. 그는 자연과학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믿었으므로 과학을 잘 가르치는 것이 자신의 본연의 사명이자 선교라고 생각했다. 그는 비기독교인들도 포함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사역을 염두에 두었다. 베커가 가진 이러한 생각은 평양에서 연합교파 사역으로 운영된 숭실전문학교에 대한 북장로교 선교부 측과의 차이로 나타났다. 베커를 중심으로 한 다른 북감리교 선교사들은 교육에 몸담은 인물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사무엘 모펫이나 윌리엄 베어드 등이 가진 교회를 세우기 위한 인물양성이라는 교육철학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은 서울의 북장로교 선교사인 H. G. 언더우드와 함께 서울에 연합대학을 세우는 안을 추진했던 것이다. 그간 연합대학 설립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북장로교 선교부 내의 문제로 접근된 경향이 있는데 북감리교는 언더우드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었던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베커와 같은 교육선교사들의 입장은 식민지조선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었기에 그의 생각과 활동은 이 시대 한국의 교육사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실제 해방 후 그의 제자들이 한국 과학계에서 중진으로 활동했다. 게다가 그의 가족들이 해방 후 한국문제에 개입하게 되었다. Arthur L. Becker came to Korea as a North Methodist missionary up to 1940, the year that he returned to the USA. He studied natural science such as physics and chemistry in the small college in Mid-west USA. Therefore, his activities focused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and colleges such as Paijai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etc. He believed that natural science was compatible so that science education was his own calling and missionary work. Therefore, he even supported non-christian’s education in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ker had different ideas from those of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especially Py?ng Yang’ station since Samuel A. Moffett and William M. Baird believed that mission schools provide some environment where christian workers should be raised. Many Methodist missionaries who were mostly educational ones supported Becker's ideas. This position led to the situation that Becker and other methodist missionaries supported the idea that a college should be established in Seoul, the plan that Horace G. Underwood,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in Seoul, eagerly had endorsed. It was the case that Northern Methodist decision helped the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Y?nh?i College) a lot. Since Becker's idea was amenable to many Koreans, his thoughts and activities shows one important dimension in educational thoughts. In reality, his disciples became leading figures in Korean science circles. Moreover, his family members were involved in post-war Korean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