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辰韓의 對外交易과 斯盧國의 성장

        김지현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9

        Chinhan(辰韓)’s trade is important part as it is connected to various opportunities that explain the growth process of the country. Previously, Inland transportation routes in Chinhan were reviewed only for Saroguk(斯盧國).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the mountain path was understood as a advance in to there after the 4th century along with the national growth of Silla.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kuk(國 ; state or country), who existed in the Chinhan area, which was the old land of Silla, grew up in relation to their surroundings. This is because there were kuks in Chinhan that actively used the inland rout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ir experiences would have been absorbed after being subjugated to Saroguk. In the first century, the trade between Chinhan and Chinese dynasty was showed pluralistic aspects such as using maritime or inland route according to each region. Through the record about Saroguk’s subjugation of neighboring kuks in the “Annals of Silla(新羅本紀)”, it is possible to approach in detail the aspects how Chinhan society was reorganized and estimate the scale of these kuks. Sabŏlguk(沙伐國) in Sangju was a scale like large state(大國) that had jurisdiction over trade in the Sobaek Mountains and was administrate trade of various forces around it. In the 2nd century, Chinhan’s trading rights were divided into Saroguk at sea and Sabllguk at land, depending on the transport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rade rights were divided and supervised into respectively Saroguk and Sabŏlguk within Chinhan according to sea and inland routes from the second centuries. However, the situation in which Chinhan’s trade rights were divided into two sides was changed in the mid and late third centry. Previously, Saroguk had the right to supervise only marine trade. Yet, around the middle and late third century, Saroguk absorbed the right of inland trade across mountain passes of Sobaek Mountains bysubjugating Sabŏlguk. As a result, Chinhan was able to form a unified structure of trade with Saroguk at the center. As the subjugation of Sabllguk was completed, Saroguk completed the expansion of the trade network throughout Chinhan. In this process Saroguk gained control of Chinhan’s trade, and Saroguk’s king soon appeared as King of Chinhan. 辰韓의 대외교역은 斯盧國의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계기 중 하나이므로 중요하다. 그동안 辰韓의 내륙 교통로에 대해서는 斯盧國만이 검토 대상이 되었다. 고갯길을 통한 교통로의이용은 신라의 국가적 성장과 함께 4세기 무렵에나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新 羅의 故地였던 辰韓 지역에는 고갯길을 활발히 활용했던 國이 존재했다. 斯盧國이 그들을 복속한 뒤 육로 활용 경험까지 흡수했을 정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辰韓과 중국왕조의 교역은 1세기 무렵부터 다원적인 형태로 이루어져왔다. 지역에 따라해상, 육상, 내지는 내륙의 수로 등이 이용되었다. 『三國史記』 新羅本紀에는 3세기 무렵까지斯盧國이 복속했던 주변국들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다. 그중 1國인 沙伐國은 소백산맥 근처인 상주지역에 자리하고 있었던 大國 규모의 國으로서 일대의 교역을 관할하며 주변의 여러세력과 교통하고 있었다. 2세기 무렵 辰韓의 교역권은 교통로에 따라 해상은 斯盧國, 육상은沙伐國으로 양분되었다. 경주지역의 斯盧國이 상주지역의 沙伐國에까지 영역을 확장하게 되면서 辰韓 지역을 아우르게 되는 3세기 중반 이후, 기존에 沙伐國의 영향력 아래 활용되었던 고갯길 교통로에 점차 斯盧國의 통제가 미치기 시작했다. 3세기 말, 沙伐國에 대한 통합이 마무리됨에 따라 斯盧 國은 辰韓 전역의 교역망에 대한 확대를 마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 후에야 斯盧國은 辰韓의대외교역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분묘 자료로 본 사로국의 집단 통합과 동인

        김대환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7

        사로국의 선행 연구를 비평하면서 기왕의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사로국의 성립을 지표와 과정, 동인이라는 주제로논의했다. 우선 기원 전후 목관묘군을 분석해 지금까지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 목관묘의 군집화 현상을 진ㆍ변한 관계망의 중요한 획기이자 국의 등장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3세기 전후 대형 목곽묘의 출현과 그것의 연속을 사로국의 형성과정에서 지배적 친족 집단 또는 동족 집단의 등장으로 보고, 이를 심화된 정치권력으로 이해한 후, 사로국의 집단 통합과 재편의 중요한 현상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사로국의 집단 통합에서 탁월한 부장품으로 특별한 의례가 베풀어진목관묘와 대형 목곽묘에 매장된 유력자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사로국 성립의 특수한 사정으로 경주와 주변은목관묘군이 매우 조밀하게 분포하다보니 유력자로 유추되는 그들 간의 경쟁과 반목이 타지역보다 빈번하였고, 그 결과에 따른 집단 통합과 재편이 연쇄적으로 일어났음에 주목했다. This paper criticize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Saroguk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that previous research had, and interpreted the formation process of Sarogu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irst of all, through analysis of the wooden coffin tombs, we understood the phenomenon of the clustering of wooden coffin tombs, which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as the beginning of the Samhan relations network. The emergence of a dominant relative group or clan group in the process of forming Saroguk was seen as a continuous phenomenon with the emergence of large wooden tombs, and as an important phenomenon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Saroguk.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forming Saroguk, he emphasized the role of leaders and rulers buried in wooden coffins and large wooden tombs, and emphasized the competition, antagonism, and integration and reorganization under the uniqu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of Gyeongju.

      • KCI등재

        신라 혁거세 국조(國祖) 신화의 형성 시기와 배경

        김선주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8 No.-

        Silla's founding myth describes the Hyukgeose as a national founder. Silla is a country that grew up in Saroguk. Thus, Hyukgeose has been understood as the founder of the so-called Park clan - the royal family of the early Silla Dynasty and the national founder of the Saroguk country. However, Hyukgeose does not have a clear image as a founding father.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of the sun god and the heavenly god stood out as the divinity.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Hyukgeose may have been a conceptual ancestor made in later generations. I understood that the founding myth, in which Hyukgeose is the country's founder, was formed at the stage of Silla not Saroguk,. In Saroguk, There were two kinds of rituals, the Heavenly God and the Ancestral God. Hyukgeose was related to the Heavenly God. At the stage of the Saro Kingdom, People worshipped the ancestral god in addition to the god of Heaven, whose object was Aryoung. The national myth of Hyuk-se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was formed during the Maripgan period. A new palace was also set up against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founder. Singung was also installed against the backdrop of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ancestor. The ceremony was not related to the so-called Park clan of the early Silla kingdom, but rather formed based on the Kim clan. As the Kim clan monopolized the throne after the Maripgan period, it needed a national founder to encompass Silla, not the founder of a certain tribe. As a result, the heavenly god became a national founder of Silla at the stage of the Saroguk period. Also, Aryoung, the founder of the Saroguk Kingdom, was transformed into a Queen of the National Dynasties. 현전하는 신라의 문헌자료에는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건국신화가 실려 있다. 신라는 사로국을 모체로 주변 진한 여러 나라를 병합하면서 성장하였다. 신라 문헌자료에 보이는 초기 기록은 사로국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혁거세는 신라 초기 왕실인 소위 ‘박씨’의 시조이자 사로국의 국가시조로 이해해 왔다. 그런데 혁거세 신화에서는 역사적 인격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혁거세 신화는 건국과 관련된 활동이나 정치적 행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또한 혁거세는 고대 건국신화에 보이는 선민의식이나 영웅전승적 모습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신격으로서 광명신, 천신의 성격이 두드러졌다. 이는 혁거세가 사로국 형성과 관계가 있는 역사적 시조가 아니라, 관념적으로 만들어진 시조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혁거세 신화는 알영 전승, 6촌장 전승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신화가 6촌의 형성을 배경으로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혁거세 신화의 신화소를 바탕으로 혁거세 신화는 김씨가 신라 왕위를 독점하는 마립간시기에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았다. 혁거세는 사로국이 아닌 신라 국가의 국조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로국 단계에서는 조상신과 천신 두 가지 계통의 제사가 있었다. 혁거세는 천신 신앙과 관련이 있었다. 천신과 별도로 조상신 제사가 있었는데, 사로국에서 조상신, 시조로 인식되었던 존재는 알영으로 이해했다. 그런데 사로국이 주변 소국들을 병합해 가면서 신라 국가로 변화된 뒤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건국신화가 형성되었다. 마립간기에 설립된 신궁은 혁거세 국조 형성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므로 혁거세는 ‘박씨’ 표현되었던 초기 왕실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해했다. 혁거세의 신화적 속성은 천강신화이며, ‘알지거서간’이라는 표현 등을 볼 때 오히려 혁거세는 김씨의 시조인 알지 전승과 유사했다. 이는 혁거세의 국조 신화의 형성이 사로국 단계의 초기 왕계가 아닌 김씨 족단과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립간기 이후 김씨들이 왕위를 독점하면서 새로운 국조 신화체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김씨 족단은 알지를 시조로 하는 전승이 있지만, 신라 전체의 국조로 내세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가 체제로 성장하면서 원시적인 족단별 시조신화를 흡수하면서, 사상적 통일을 이룰 수 있는 국가 시조가 필요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로국 단계에 천신이 인격화되어 신라의 국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사로국 단계에 시조로 인식되었던 알영은 시조비로 재편되었다.

      • KCI등재

        영남지방 목곽묘 부장 양이부난형호의 출현과 사회적 의미

        이원태(Won Tae, Lee)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6

        이 글은 영남지방 목곽묘 부장 양이부난형호의 출현과 사회적 의미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 양이부난형호는 현재 자료에 의하면 경주와 울산지역에 집중되어 경주권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양이부난형호의 편년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 적용하면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여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존속한다. 양이부난형호의 지역별 출현양상은 기원 3세기 중엽에 경주와 포항, 대구지역에서 처음 출현하는데, 특히 경주지역은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연속하고 출토량도 가장 많아 그 중심에 있다. 울산지역은 기원 3세기 후엽에 출현하여 4세기 초까지 확인되고 출토량도 경주 다음이다. 반면에 포항, 대구지역은 양이부난형호의 부장이 제한적으로 확인되어 대조적이다. 양이부난형호와 경주식 목곽묘의 출현을 결부시켜 사회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즉 사로국의 각 읍락은 대개 단일한 세력이 아니라 복수의 세력들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정치체로 이끌어 내기 위해 사회결속은 반드시 필요로 했을 것인데, 이를 위해 사로의 선택은 의례에 초점을 두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결국 의례에는 사회질서를 정당화하거나 정치적 계기들이 들어 있고 또한 혁신과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복수의 세력들간 사회결속은 분쟁보다 의례를 통한 사회질서를 정당화한 합의로 이끌어 내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다. 특히 고고학적 현상으로 볼 때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는 양이부난형호, 난형단경호, 신선로형토기와 경주식 목곽묘 등은 혁신과 변화의 중심에 있어 이를 방증한다. 또 양이부난형호, 난형단경호, 신선로형토기와 경주식 목곽묘의 분포 범위는 사로국과의 관련성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writing paid attention and made an approach to appearance and social meaning of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buri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Yeongnam Province.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data, the egg shaped jar was intensively excavated in the Gyeongju and Ulsan area and became prevalent around the Gyeongju area. If chronology of the egg shaped jar is applied to existing research results, it appears in the mid-3rd century AD and continues until the early 4th century. With respect to appearance of the egg shaped jar in each area, it first appeared in Gyeongju and Daegu area in the middle of 3rd century AD and especially, Gyeongju area continued its appearance until the early 4th century AD and has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ed artifacts. Gyeongju is the center of the appearance. And, it appeared in the Ulsan area in the late 3rd century AD and was exist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with second largest amount of excavated artifacts. On the other hand, it contrasts that burial of the egg shaped jar was confirmed with a very small quantity in the pohang, Daegu area. The social meanings according to appearance of the egg shaped jar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are interpre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each of the towns of Saroguk was usually composed of plural powers rather than a single power and therefore, social unity was absolutely necessary to build them into a political system.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 it seems that Saroguk focused on rituals. Because the rituals eventually justify social hierarchy or contain political momentum and also mean innovation and change, the combination of powers through religious ritual rather than forced merger is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to lead social hierarchy to a fair agreement. Especially archeological phenomenon, it’s appeared in the center of innovation and change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AD those’re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Egg shaped jar with short neck, Chafing dish shaped earthenware,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range of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Egg 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Chafing dish shaped earthenware as well as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was interpreted as the data that can access to the relation with the Saroguk.

      • KCI등재

        문헌에 나타난 신라의 성립과 사로국

        박대재(Park, Dae-Jae)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그동안 신라사 연구에서는 4세기 중·후반 내물왕대를 전후로 신라의 국가성립 과정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상정해 왔다. 내물왕대를 실질적인 고대국가 성립기로 보면서 그 전의 진한 사로국 단계와 엄격히 분별해 본 것이다. 이러한 4세기 분기론에서는 『三國志』, 『晉書』 등 중국 정사의 기록을 보다 신뢰하며 『三國史記』 신라본기의 맥락을 분해해 보려는 입장을 견지한다. 하지만 4세기는 5호 16국의 분열과 혼란으로 인해 중국의 역사기록이 불완전한 시기였기 때문에 그에 근거해 신라사의 전개 과정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신라의 기원은 진한이 아니라 사로국에 있으며, 경주지역의 소국이었던 사로국이 2~3세기 영역을 확장하며 진한 지역을 아우른 왕국으로 발전하는 연속선상에서 신라의 성립을 이해해야 한다. Until now, studies about the history of Silla had estimated that there was a groundbreaking change in the process of the state establishment of Silla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奈勿王) in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ign of King Naemul was practically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Ancient State (古代國家), it was to strictly distinguish the previous stage of Saroguk (斯盧國 ; Saro State) from the later stage. Generally, this divergence theory in the fourth century adhere to the position that attempts to disassemble the contexts of the Annals of Silla in Samguk Sagi, more trusting the records of Chinese official history documents such as Sanguozhi (三國志) or Jinshu (晉書). However, because of the chaos and division during the period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Kingdoms, the historical events of China in the fourth century was not completely recorded. Thus, it is inappropriate to measu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s history based on those incomplete records. The origin of Silla was not in Chinhan (辰韓), but in Sarogu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Silla by taking the consecutive series of its developmental processes from a small country in Kyŏngju area to a kingdom encompassing the regions of Chinhan through the territorial expansion from the second to third century into account.

      • KCI등재

        사로국 토기의 성립과 확산

        이원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0 新羅文化 Vol.56 No.-

        In this paper,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buried in wooden chamber tomb,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mounted jar with short neck in Yeongnam area are expressed as Saroguk earthenware to pay attention to their establishment and spread. As a result,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mounted jar with short neck are concentrated in Gyeongju and Ulsan areas, and are prevalent around Gyeongju area according to the recent data. When chronology of earthenware is applied to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it reveals it appeared in the mid-thi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early fourth century. As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Saroguk earthenware by area, it appeared in the mid-thi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early-fourth century, and its presence is strong as Deokcheon-ri, and Hwanseong-dong Relics of Gyeongju, where there is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ion, are in the center. Although it existed in Ulsan area from the early third century AD to the early fourth century, the amount of excavation was the second largest and therefore, it was prevalent and spread around Gyeongju area. On the other hand, only a limited amount of Saroguk earthenware was found in Pohang, Gyeongsan, and Daegu areas. Saroguk earthenware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are linked together and interpre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each town of Saroguk was generally formed with multiple political forces and therefore, the social unity would have definitely needed for internal integrity. For this, Saroguk might have focused on the rituals. Because the rituals would eventually justify social orders or have political momentum and because they mean innovation and change, it is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for the social unity among multiple political forces to lead social orders to a fair agreement through rituals than dispute. As for archeological phenomena in particular,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that appeared in the mid-third century AD are in the center of innovation and change, giving it circumstantial evidences. Also, the distribution area of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implies how Saroguk has integrated the surrounding small countries. In this paper,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buried in wooden chamber tomb,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mounted jar with short neck in Yeongnam area are expressed as Saroguk earthenware to pay attention to their establishment and spread. As a result, chafing dish-shaped earthenware, duck-shaped earthenware, egg-shaped jar with two lugs, egg-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mounted jar with short neck are concentrated in Gyeongju and Ulsan areas, and are prevalent around Gyeongju area according to the recent data. When chronology of earthenware is applied to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it reveals it appeared in the mid-thi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early fourth century. As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Saroguk earthenware by area, it appeared in the mid-thi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early-fourth century, and its presence is strong as Deokcheon-ri, and Hwanseong-dong Relics of Gyeongju, where there is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ion, are in the center. Although it existed in Ulsan area from the early third century AD to the early fourth century, the amount of excavation was the second largest and therefore, it was prevalent and spread around Gyeongju area. On the other hand, only a limited amount of Saroguk earthenware was found in Pohang, Gyeongsan, and Daegu areas. ...

      • KCI등재

        사로국의 게이트웨이(Gateway) - 목관묘단계 토기로 본 사로국 형성에 대한 시론 -

        이창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0 新羅文化 Vol.55 No.-

        In order to estimate the territory of ‘Guk(國)’,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terial data in which power is indica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graves, ironware, prestigious materials, and foreign artifacts is necessary. Nevertheless, I approached pottery because it is an artifact with an independent production system by site uni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of site units through the sharing of limited technology and distribution of foreign pottery. In addition, since there was an agreed partial chronology, distributional analysis was attempted after determining the time scale. In Saroguk, villages are scattered in stages 0~1, and then spread and expand in stages 2~3. After that, towns ar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and integration. The link between Saroguk can be found on the transportation route from Daecheon~Namcheon~Dongcheon. Dongcheon downstream area served as a supplier of iron, and the transportation route to Daecheon gave birth to a symbolic strong private tomb like Sara-ri 130. Both regions are borders of Saroguk world and served as gateways. At its center is Hwangseong-dong site, and the landscape of the cemetery,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expresses the political and religious identity of the village, so the beginning of headquarter of Saroguk should be found in Hwangseong-dong.

      • KCI등재

        三韓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와 斯盧國

        남혜민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2

        Samgukji ‘Hanjeon’(Accounts of Han) and Samguksagi are both sources that contain records about Samhan(三韓) in the third century. Previous research has produced conflicting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guks. This paper examines both sources and aims to shed light on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guks, especially within Jinhan(辰韓). In its description of Samhan(三韓), Samgukji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daeguks(larger countries) and soguks(small countries), and lists the titles of their leaders in order of prominence. Thus it seems likely that the rulers of each Soguk were aware of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mselves. The records of Samguksagi also show the Soguks to b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Leading Soguks emerged over time, with other Soguks acknowledging their superiority. In this light, it can be argued that the records of Samgukji and Samguksagi agree with each other. This paper also reflects on the reason Samgukji fails to mention any daeguk, or leading soguk of Jinhan(辰韓). In ‘Hanjeon’, the Soguks are listed in the order that Chinese merchants and emissaries traveling down the trade route came into contact with them. The Soguks of Jinhan(辰韓) were situated inland, making it difficult for the outsiders to understand the region in detail. Therefore, we must turn to Samguksagi to better understand the Soguks in Jinhan(辰韓). The military campaigns of Saroguk(斯盧國), along with the change in number of Soguks documented in Samgukji, reflect the rise of Saroguk(斯盧國) as the central Soguk of Jinhan(辰韓).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Jinhan(辰韓) Soguks in the third century were connec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Saroguk(斯盧國) as their leader. 『삼국사기』 초기기록과 『삼국지』 韓傳은 3세기 삼한을 보여주는 사료이다. 『삼국사기』 초기기록과 『삼국지』 韓傳의 해석상 차이는 소국들의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 글은 삼한 소국의 존재 양상에 대한 『삼국지』 韓傳과 『삼국사기』 기록을 검토하여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한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국지』은 삼한 소국에 대해 ‘大國’과 ‘小國’의 차이, 차등화된 거수호(수장호)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규모에 따라 소국이 구분되었으며 우열차에 의해 고유한 거수호에 서열이 있었다는 점에서 삼한 소국의 거수들은 상호간의 위계를 인지하고 있었다. 삼한 소국들의 관계는 우월함을 인정하였던 특정 소국을 중심으로 한 위계 네트워크로 상정할 수 있다. 『삼국사기』 기록에서도 여러 소국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던 소국들 중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던 특정 소국이 있었으며, 주변 소국들은 중심 소국의 우위를 인정하였다. 『삼국지』 韓傳과 『삼국사기』에 기록된 소국 네트워크의 존재 양상은 상당히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삼국지』 韓傳에서 진한의 大國 또는 우월한 소국이 언급되지 않은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韓傳에서 진한·변한 소국의 이름은 교역로를 중심으로 중국 군현의 관계자·교역 종사자들이 접촉하였던 형태에 따라 나열된 것이었다. 진한 소국의 대부분은 교역로로부터 떨어져 내륙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진한 소국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진한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진한 소국의 수가 변동하였다는 『삼국지』의 서술과 더불어 사로국의 복속 활동에 대한 『삼국사기』 내용은 사로국이 진한의 중심국으로 대두하는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3세기 중후반 진한 소국들은 사로국을 정점으로 위계화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던 것이었다.

      • KCI등재

        斯盧國의 鐵 생산과 해상 교역 운영

        김지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5 No.-

        물품의 교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산지, 집산지, 소비지의 존재가 설정되어야 한다. 辰韓에서 생산되었던 鐵은 狗邪國으로 집산되어 郡縣과 韓・濊・倭로 유통되었다. 철이 집산되는 곳은 교역의 중심지였으며 이 곳에서는 철을 매개로 교환 활동이 이루어졌다. 생산지와 소비지에 해당하는 나라들은 교역 중심지에 이르기까지 해상 또는 육상의 교통로를 이용하며 교역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斯盧國은 주변의 소국들에 대한 진출을 토대로 교통망을 장악하였고 나아가 국가적 성장을 모색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전쟁과 복속을 통해 광역의 유통망을 통합하고, 그것을 정비하며 성장하고 있었던 사로국에 주목하여 三國志 에 전하는 ‘國出鐵’ 기사의 실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弁辰에 무게를 두고 해석하는 입장에서는 특히 太平御覽 珍寶部 鐵에 인용된 魏略 에 보이는 ‘弁辰國出鐵’ 기사를 중요한 근거로 활용하였다. 다만 太平御覽 에서는 사료를 인용함에 있어서 종종 오류가 발견되므로 太平御覽 이 실제로 魏略 의 문장을 인용한 것인지 분해해 볼 필요가 있다. 결국 ‘弁辰國出鐵’ 이하의 내용은 太平御覽 의 찬자가 三國志 를 옮겨 적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오해라는 가설을 제시해보았다. ‘國出鐵’ 기사를 재검토함에 따라 철을 중심으로 했던 국제적 교역이 비단 변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진한과 관련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로국은 주변의 철산지와 해상거점의 국들을 복속해나갔고 철의 생산과 유통뿐 아니라 교역 전반을 관리하며 진한의 구심체로 부상하였다. 三國志 東夷傳 弁辰條에 전하는 ‘國出鐵’ 기사는 진한에서 생산된 철이 변한의 국에서 집산・교환되었던 복합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What must be established in exchanges between groups are the production source, gathering site, and consumption area. This text focuses on the iron trade by the Chinhan (辰韓) and Byeonhan (弁韓), and the production and gathering sites of iron, as well as the distribution process through which iron was exported to consumption areas, will also be examined. Countries corresponding to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as have established trade networks by utilizing maritime or inland routes to reach ports of trade. Saroguk (斯盧國), based on its expansion into neighboring small countries, had seized control of transportation networks and was seeking ancient national growth. In this text, attention is given to the Saroguk (斯盧國) that grew by integrating a broad network through wars. We will examine the article ‘Iron comes from guk (國出鐵)’ from the Records of the Sanguozhi (三國志). Particularly, There is a perspective interpreting this article as referring to Byeonhan (弁韓). The article from the Weilue (魏略) cited in the Taipingera (太平御覽), which states ‘Iron comes from ByeonChinguk (弁辰國出鐵)’ has been utilized as important evidence to support this interpretation. However, as errors have been occasionally found in the citations from the Taipingera (太平御覽), it needs to be re-examined. Ultimately, I suggest the hypothesis that it might have been an error.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tional trade centered around iron was not limited to Byeonhan (弁韓) but was also related to Chinhan (辰韓). Saroguk (斯盧國) subjugated neighboring iron-producing areas and maritime trading ports, managing not onl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but also all trade, rising as the core of Chinhan (辰韓). This article reflects the complex situation where iron produced in Chinhan (辰韓) was gathered and exchanged in the guk (國) of Byeonhan (弁韓).

      • KCI등재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김선주(Kim, Sun-joo)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시조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알영은 혁거세 못지않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알영은 독자적인 탄생담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혁거세와 함께 二聖으로 칭해졌다. 나아가 건국시조를 시조모가 낳았다고 하는 다른 계통의 전승에서는 오히려 알영이 혁거세 보다 더 부각되어 있다. 이는 신라의 건국과정에서 알영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건국신화에 실려 있는 독자적인 탄생담이 실려 있는 경우 시조 전승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알영 역시 신라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 유력 집단의 시조 전승으로 이해하였다. 지금까지 알영은 閼智를 시조로 하는 김씨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여기서는 신라사 초기에 왕위를 점유했던 소위 ‘박씨(朴氏)’로 표현되어 왔던 세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이들 ‘박씨’로 표현되었던 세력은 신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6村(部)가운데 하나인 高墟村(沙梁部)과 관련이 있으며, 《三國志》 진한조에 거론된 사로국의 실체가 바로 고허촌(사량부)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신라사에서 초기 왕계에 등장하는 소위 ‘박씨’로 표현되었던 집단은 경주를 기반으로 한 사로국의 지배세력이었다. 알영은 이 사로국 단계에서, 당시 지배 세력이었던 소위 ‘박씨’ 세력이 시조로 인식했던 존재였다. 그러나 사로국과 인근 주변 소국들이 흡수 통합되고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집단의 시조 전승은 건국신화에 포괄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신라의 건국신화가 형성되었고, 신라의 모체인 사로국의 시조였던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 속에 포용되면서 시조비로 편제된 것으로 이해했다.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Aryeong is hailed as the queen of Hyeokkeose(赫居世, founding king of Silla), but is of great importance. She has her own birth myth and with Hyeokkeose had called one of the two sage of Silla. In other founding myth in which dynastic founder was born by his mother, Aryeong is more magnified than Hyeokkeose is. This demonstrates that Aryeong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Kingdom’s founding. From the fact that each birth myth in the founding myth is related to progenitor transmission, I interpreted Aryeong as a progenitor of a powerhouse that played significant roles during foundation of Silla. The earlier studies understood Alyeong in relation with the Kim clan whose progenitor is Alji(閼智). However this res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her relation with the group of the Park(朴) clan who monopolized the throne in early Silla. And also I examined that the park clan was closely connected with Goheochon which was one of the six villages in founding myth of Silla and was the substance of Saroguk, the leading chiefdom in Gyeongju area before the power leaded by Hyeokgeose was gathering strength. This paper will argue that Areong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but since Saroguk and other little chiefdoms were integrated and developed to ancient kingdom,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Hyeokgeose who represents progenitor transmission of each tribe was portrayed as the founding king of Silla and Aryeong who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as his qu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