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봇산업 진흥을 위한 법제연구 - 협동로봇을 중심으로 -

        배효성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과기업연구 Vol.14 No.1

        협동로봇 산업의 국내외 시장현황을 살펴보면, 세계 협동 로봇 시장은 2020년 4.8억 달러에서 연평균 33%씩 성장하여 2030년 8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국내 협동로봇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내수 시장도 점차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협동로봇은 물류, 건설, 보건,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산업용 제조용 로봇과는 달리 인간과 동일한 작업 공간에서 협동하여 활용하는 로봇으로서 크게 고정식과 이동식 협동로봇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로봇은 산업용 제조 로봇과 동일한 안전인증 및 검사를 요구하고 있어, 협동로봇에 대한 산업 진흥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이동형 협동로봇은 안전에 관한 별도의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협동로봇의 활용에 있어서 제약을 받는 한계를 갖는다. 이처럼 협동로봇은 기존의 산업용 로봇과 같은 규제방식을 갖고 있어, 협동로봇 산업 진흥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규제방식에 대한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동로봇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현행 규제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협동로봇 관련 거버넌스 및 규제법제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협동로봇 산업 진흥을 위한 규제법제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Looking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status of the cooperative robot industry, the global cooperative robot market is expected to grow 33% annually from $480 million in 2020 to reach $8 billion by 2030, and the domestic market is also showing a gradual growth as the demand for various forms of use for domestic cooperative robots increases. These cooperative robots are used in various areas, and unlike existing industrial manufacturing robots,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fixed and mobile cooperative robots as robots that cooperate and use in the same workspace as humans. However, cooperative robots require the same safety certification and inspection as industrial manufacturing robots, which has a problem that hinders industrial promotion for cooperative robots. Among them, mobile cooperative robots, in particular, do not have a separate regulation on safety, so they have limitations in the use of cooperative robots. As such, cooperative robots have the same regulatory method as existing industrial robots, so it is necessary to seek a paradigm for a new regulatory method to improve the problem that hinders the promotion of the cooperative robot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gulatory method for the promotion of the cooperative robot industry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regulatory legislation and legislative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motion of the cooperative robot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governance and regulatory laws related to cooperative robots in major countries.

      • KCI등재

        결합 가능한 복합 바퀴-다리 이동형 로봇에 관한 연구

        이보훈(Bo-Hoon Lee),이창석(Chang-Seok Lee),김용태(Yong-Tae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1 No.6

        로봇의 이동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로봇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휠(wheel)과 다리(Leg)기반 변형이 가능하고, 로봇간 상호 결합이 가능한 복합 이동형 로봇을 제안하였다. 복합 이동형 로봇은 로봇간 결합을 위해 페그 모듈과 컵 모듈을 로봇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장착하고, 주행과 보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다양한 지형에서 이동성을 향상을 위해 임베디드 영상기반 결합 및 분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로봇간 결합을 통해 끊어진 도로와 비평탄 지형에서의 결합 이동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로봇의 전면과 밑면에 장착된 PSD 센서를 이용하여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맞은 극복 알고리즘을 통해 로봇간 협력을 통해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제안한 방법들은 임베디드시스템 기반의 복합 주행 이동형 로봇을 실제 제작하여 실험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develop robots that improve its mobility to adapt in various uneven environments. In the paper, a hybrid mobile robot that can dock with the other robot and transforms between wheeled robot and legged robot is proposed. The hybrid mobile robot platform has docking device with a peg and a cup module. In addition, the robot is possible to walk and drive according to condition of the road. A navigation algorithm of the hybrid mobile robot is proposed to improve the mobility of robots using docking algorithm based on image processing on the broken road and uneven terrain. The proposed method recognizes road condition through PSD sensor attached in front and bottom of the robot and selects an appropriate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terrain surface. The proposed docking and navigation methods are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using hybrid mobile robots.

      • KCI등재

        로봇 활용 수업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유평준 ( Pyung Jun Y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에 확산되고 있는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이 초등학교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기와 충청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로봇 활용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로봇 활용 수업의 필요성, 학습동기 유발 기능, 학업성취도 향상 기능,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개발 기능 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별 로봇 활용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영어, 과학, 음악, 국어 등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교사는 특히 영어 교과에서의 필요성 인식이 높은 반면 학생은 과학과 음악 교과에서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남녀 성차, 로봇 활용 수업 경험, 디지털 매체 경험 등이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는 연령, 교직경력, 로봇 활용 수업 경험, 디지털 매체 경험 등에서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학생에 비해 교사가 지닌 로봇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에는 로봇 활용이 초등학교의 교과수업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인식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용 로봇이 초등학교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로봇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가 고려되어야 하며, 교과와 연계된 로봇 활용 교과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ceptions of robot-based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194 teachers and 1,315 students of six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a survey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Independent-sample t-test was used to verify if there wer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alysis of the survey shows that there ar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robots in instruction. While students` perceptions were positive, teachers` perceptions were relatively negativ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al functions of robot-based instruction was highly related with their ages, careers as teacher, and digital experience. In contrast, students` perception was highly related to their gender and digital experience.This study implies that prior to diffusion of educational robots into elementary school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robots needs to be considered and improved. In order to maximize educational potentials of robot-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it is also necessary to integrate robot-based instruction into classroom instruction of various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로봇 벤치마킹을 통한 미래 유망분야 선정에 관한 연구

        박헌균 ( Heon Kyun Par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최근 로봇의 활용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하여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개발되고 있다. 세계로봇시장은 전자 기술 및 제조용 로봇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현재는 인간의 생활 범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용 로봇 기술 개발이 고성장을 주도하여,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한다. 한편, 선진국들은 로봇의 기술 개발에 끊임없이 연구,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연구 인력 및 자본이 취약하며, 로봇 생산 기반 및 체계적인 연구 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Needs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로봇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필요성을 느끼고, 차세대 로봇의 성장 동력으로 “가정용 로봇”과 관련된 기술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즉, 벤치마킹 사례를 통한 대략 400개의 로봇 사례를 가지고 유사 그루핑하여, 유형별 로봇 기술을 분류하고 여기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을 미래유망 로봇 산업으로 예측한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돼야 할 로봇 분야는 벤치마킹 사례 중, 2번째로 높게 나타난 가정용 로봇이며, 그 중 키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가정용 로봇은 가사일, 육아 도우미, 청소 등을 도와줌으로써, 개인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인간 삶에 있어서 필요한 생활 도우미 로봇이기 때문이다. As the level of utilization of robots has been recen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ies has been also increased and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develop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The world robot market has been formed focusing on electronic technologies and robots for manufacture, and it is expected t hat the development of the robot technologies for individual service which would provide the services in the life of humans will have high growth rate by taking the lead in high growth. Meanwhile, the advanced countries have constantly studied the development of robot technologies, and spent a huge amount of money in developing robot technologies. However, compared with the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insufficient R&D human resources and capitals for developing robot technologies, and therefore the infrastructure for robot production and the systematic R&D development have not been smoothly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development of robot technologies for satisfying the needs of users in various fields should be accelerated, and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technical development researches related to "home robots" as a growth engine of next-generation robots. In other words, this study carries out similar grouping with about 400 robots cases through benchmarking cases, classifies robot technologies by type, and finally predicts that the type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will be the future-promising robot industry. Thus, a robot area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s the home robot area, which is ranked second in the percentage, and in particular, the kitchen area should be focused on. This is because home robots can enrich the life of individuals by assisting household chores, child-care, cleanup, etc., and they are also living-assistant robots necessary for the life of humans.

      • KCI등재

        영화『아이, 로봇』에 나타난 로봇의 의인화와 살인

        김문주(Kim Moon Ju)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인간 중심적 사고로 탄생한 로봇의 존재와 그의 인간 살인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 텍스트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하여 2004년에 개봉한 영화 『아이, 로봇』이다. 전통적인 로봇은 인간과 분리되어 제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의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과 상호 교류하는 사회적 인공지능로봇이 나타나게 되었다. 인간은 자신이 인식하는 세계를 자신에게 익숙한 것으로 바꾸어 이해하려는 심리적 기제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사회적 인공지능 로봇을 의인화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점을 생각해 볼 때, 다른 로봇들과는 완전히 차별화되어 인간과 감정적 교류를 하는 『아이, 로봇』의 써니는 사회적 인공지능 로봇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아이, 로봇』에서 스푸너 형사는 로봇공학 3대 법칙을 창시한 래닝 박사의 죽음을 타살로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 살인사건이라는 범죄의 용의자로 써니를 염두에 둔다. 하지만 써니는 자신을 제작한 래닝 박사를 아버지라고 생각하고 그를 진심으로 사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써니는 그것이 무엇인지도 알지 못한 채 그의 부탁을 들어주겠다는 맹세를 하였다. 그런데 래닝 박사의 부탁은 인간 세상을 위협할 로봇의 유령인 비키를 인간 세상에 알리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죽여 달라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 범죄인 살인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등에 관한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될 다양한 문제 제기를 하는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a robot created by human-centered thinking and its meaning on human murder. The text to be analyzed for the study is the film I, Robot, which was released in 2004 based on the original novel by Isaac Asimov. Traditional robots have been separated from humans and have played the role of lab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that interact with humans have emerged. Humans have a psychological mechanism to understand the world they perceive by transforming them into something familiar to them. Therefore, humans anthropomorphize and represent social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Sonny of I, Robot, interacts emotionally with humans, can be said to be a social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However, in I, Robot, Detective Spooner considers the death of Dr. Lanning, who founded the three laws of robotics, to be murderous. He has Sonny in mind as a suspect in the crime of the murder. However, Sonny considered Dr. Lanning as his father. That s why Sonny swore to accept his request without knowing what it was. However, Dr. Lanning s request was to kill himself in order to inform the human world of VIKI, the ghost of a robo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raise various issues that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사 대상 로봇과 로봇활용효과에 대한 인식과 구성주의 신념의 관계분석

        심숙영,오정윤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2

        This study was constructed to find out teachers' perspectives of children's animism related to robot, analyze teachers' robot preferences and appearances for children, and examine teachers' idea of robot use effects on early child education program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robot and constructivist beliefs of teachers was examin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constructivist beliefs and technologies. Results shows that they perceived the robot related to children's animism and selected the robot like friends or playmates. Second, they were more likely to positively think the robot use on early childhood field and to emphasize children's self esteem of computer and technology for the robot educational purposes. Finall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erceive positively robot and robot use effect would like to prefer constructivist belief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게 될 교사들이 유아의 물활론적 발달특성과 관련하여 로봇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어떠한 로봇의 외형을 아동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 로봇과 로봇의 활용효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사의 구성주의 신념이 테크놀로지와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 테크놀로지 매체인 로봇과 교사의 구성주의 신념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로봇에 대한 아동의 물활론적 사고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아동이 선호할 로봇으로는 친구같은 로봇이나 놀이로봇을 선정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로봇활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고 로봇을 활용한 교육목적으로는 유아들의 컴퓨터와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향상이라고 하였다. 셋째, 로봇과 로봇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긍정적일 수록 구성주의에 대한 신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은 로봇에 대한 아동의 물활론적 사고에 근거하여 교사들은 로봇을 교수매체로써 활용해야 하며, 교사가 구성주의적 신념을 가지고 교수활동을 할 때로봇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현은자,박현경,연혜민,장주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보조로봇을 사용하고 있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로봇에 대한 정서와 교실 내 역할에 대한 인식이 사용시간에 따라 변화가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25명을 로봇 사용 후 1개월과 11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일대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로봇의 사용기간과 상관없이 유아들은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보였다. 둘째, 로봇의 교실 내 역할에 대한 중복응답결과 선생님으로 인식한 경우 사용기간과 상관없이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비해 친구와 사물로 인식했던 유아에게서는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유아가 로봇을 친구로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들은 로봇을 친절한 친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친구의 질에 있어서 애착, 자존심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로봇이 유아와 동반자적인 관계(companionship)를 맺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ver time in young children's emotion and role recognition of intelligent service robots in a kindergarten. The subjects, 25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during the first month (Time 1) and the eleventh month (Time 2) after they had used teacher assistive robots about for 10 months.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emotional responses to the robot, their recognition of its role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they possessed with the rob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isplayed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toward the teacher assistive robot in Time 1 and Time 2. Second, by Time 2, all of the children had come to consider the robot as a friend. Third, children recognized robot as a friend and used their interactions with it to increase their self-validation. Th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that a teacher assistive robot has the capacity to build companionship with young children.

      • 로봇의 권리

        이창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6 Law & technology Vol.12 No.3

        로봇은 법적으로 무생물인 물건으로 취급되지 만, 마치 반려동물처럼 인간과 친밀하게 교류한 다. 이러한 측면에서, 로봇은 동물과 닮아 있다. 동물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 라, 쾌고감수 능력을 가지는 동물에게 도덕적 주 체로서의 지위가 인정되고, 많은 나라들은 동물복 지를 위한 법제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아직 동물 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지는 아니하다. 로봇은 위임된 자율성 내에서 행동할 수 있다 는 측면에서, 도덕적 주체로서의 지위가 인정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동물보다 능력이 뛰어나고 인간과 효율적으로 교류할 수 있다. 로봇에게 위 임된 자율성이 커지면서, 로봇은 자기만의 의사와 이익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미래에 로봇 의 권리를 인정하는데까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로봇을 법인과 같은 기구로 보아, 독자적으로 거래하고 자기 재산을 가지고 책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로봇 설계자들은 로봇의 책임부터 절연되고 로봇으로부터 배당만 얻는, 회사의 주주처럼 행동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로봇을 법 인처럼 보아 로봇의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방안은 매우 쉽고 유용하다. 한편, 로봇과 로봇 주인간의 관계에서, 로봇 주 인인 인간은 인간의 도덕심, 인간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로봇을 보호할 의무를 부담하고 로봇은 그 에 대응하여 권리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로봇의 권리의 목록은 인간이 마련하여야 한 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 국내의 로봇 윤리헌장, EPSRC의 원칙 등 로봇과 인간의 관계, 로봇 설계에 대한 지침들이 있는데, 이러한 지침 은 인간 존중, 책임성, 명확성, 인간성의 보존을 위한 로봇 존중을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Robots are considered a non-living object legally and can interact with humans more intimately as pets. In this aspect, Robots is like Animals. As the understanding of animal status and right was changed, the animals with sentience are recognized being at the status as a moral subject, and many countries have organized the legislation for animal welfare. But, Animal rights were not accepted yet till now. Robots can act within the range of entrusted autonomy, so be recognized as being at the status as a moral subject. And, robots are superior to animals in many abilities and interact with humans efficiently. As the range of entrusted autonomy in robots become broader, robots will have its/his/her own will and interest. As a result, in the future, robots will be recognized having its/his/her own right. We can see robots as the vehicle, alike Juridical Person, so allow robot to transact in its/his/her own nam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esult of robot’s transaction with its/his/her own property. And then, robot designers will be isolated from the responsibility of robot’s transaction and acquire dividend from robots, as if they are a shareholder to company. Accepting the robot’s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in the way that consider robot as juridical person, is very easy and useful. In the relation of robot and robot’s owner, in the future, robot’s owner will take the duty to protect his robot to preserve Humanities and a sense of morality, corelatively robot will take the right. Human must draw up the list of robot’s rights. There are many guideline on the relation of human and robot, robot design, for example, Isaac Asimov’s three laws of robotics, charter on robot ethics in South Korea, EPSRC principles on robotics. the guideline have to stand on the foundations like this; human respect, responsibility, clarity, robot respect for preservation of Humanities.

      • KCI우수등재

        군집 로봇 운용을 위한 상위 수준 프로그래밍 언어 조사

        강우석,정은진,윤태준,허석행,하순회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11

        Robots used for unmanned tasks in various fields have been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operating multiple robots rather than using only a single robot. Since swarm robotics aims to outperform a single robot through cooperative control of multiple robots, it can efficiently perform tasks such as building local maps and searching for survivors. Although developing and operating such swarm robot systems requires a skilled developer,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s and frameworks that can support non-experts to easily specify and operate swarm robot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paper, we selected and introduced 11 swarm robot specification languages tested by simulations or using real robots. We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selected languages from the viewpoint of software and swarm robot operation. Finally, limitations of swarm robotics languages developed so far and future tasks are discussed.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을 무인화하는 데에 사용하는 로봇은 단일 개체로만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개의 로봇을 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군집 로봇 (Swarm Robotics)은 다수의 로봇을 협동 제어를 통해 단일 로봇 이상의 성능을 내는 것을 목표로 로봇 간의 협력을 통해 생존자 수색이나 지역 지도 작성과 같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군집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것은 숙련된 개발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전문가가 군집 로봇 운용을 쉽게 명세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및 프레임워크가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이루어진 여러 상위 수준 군집 로봇 운용 명세 언어 중 실제 로봇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행을 검증한 11개 언어를 선정하여, 이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및 군집 로봇 운용 관점에서 대상 언어들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군집 운용 언어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논의한다.

      • KCI등재

        만5세 아동의 로봇에 대한 물활론적 사고와 지각적 인식

        심숙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4

        Children's animism and perception of robot are an important unexplored area with robotics research considering that many robots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children. To examine children's animism and perception on robots, 71 children evaluated different robot images by interviewing and completing a questionnaire, which enquired about feeling and thought of robot, and perception of robot appearances and motion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preferred robot appearance and locomotion, such as the robot of animated animals or cars and robot having wheels. Second, children believed robot alive and expected different roles (e.g., dinosaur robot, smile robot, princess robot, friend robot).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design implications for robots and the use of robots in education contexts.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로봇에 대한 아동의 기본적인 생각과 물활론적인 사고를 분석하였으며, 지각적인 측면에서 로봇 외형(사람 대 애니메이트)에 대한 선호도, 로봇의 움직임 등에 대한 아동의 지각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로봇에 대한 아동의 물활론적인 사고와 지각적인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만 5세 아동 71명에게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인 측면에서 아동들은 로봇에 대해 다양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다양한 역할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공룡로봇, 미소로봇, 공주로봇, 친구로봇), 모든 아동들은 로봇이 살아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활론적 사고를 보였다. 지각적인 측면에서 아동들은 동물로봇이나 자동차 모양을 로봇을 선호하였으며, 굴러가는 바퀴모양의 로봇 움직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로봇에 대한 아동의 지각적, 심리적 인식이 성인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로봇개발자나 연구자들은 로봇의 외현상(얼굴표정, 얼굴표현, 음성), 기능상의 특정한 특징뿐만 아니라 아동의 지각적, 심리적 발달특성에 맞추어서 로봇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