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초도감사보수 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감사인 강제교체기업과 자율교체기업의 차이

        최종학 ( Jong-hag Choi ),안성희(교신저자) ( Sung Hee Ahn ),황문호(공동저자) ( Mun 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2

        일반적으로 감사인은 신규 감사고객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일정의 보수할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초도감사보수할인은 교체 첫 연도의 감사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하는 한편 이들 간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도감사보수할인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이 감사인 교체사유(강제교체 vs. 자율교체)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연구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적용되던 2006년부터 2010년 중 외부감사인을 교체한 1,100개 표본을 분석한 결과, 자율교체 기업에서는 초도감사보수의 할인규모가 클수록 감사품질이 유의하게 하락하는 결과가 발견되었으나, 강제교체 기업에서는 초도감사보수 할인과 감사품질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이는 초도감사보수할인과 감사품질과의 관계가 감사인을 교체하는 사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율교체 기업에서는 후임감사인이 non-Big 4인 경우에 초도감사보수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뚜렷히 나타났는데, 이는 감사의견 구매와 같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의도가 감사인 교체 의사결정에 반영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Prior studies suggests that both frequent auditor switches and long auditor tenure could impair audit quality, through the impairment of auditor expertise and independence, respectively. Although the regulators abolished the 6-year mandatory rotation policy in 2010, it is still debating among politicians and media that the policy should be re-introduced to increase auditor independence. To resolve these conflicting views, Korean regulators adopted 3-year mandatory auditor retention and 6-year mandatory auditor rotation rules in 2003. Under the rules, after auditor change, clients need to hire the same auditor for at least 3 years, but have to change auditor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In this study, we define ‘mandatory auditor change’ as the change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while ‘voluntary auditor change’ as the change that occurred when auditor tenure is 3, 4, or 5 years. Unlike in the U.S. where the potential reasons for auditor change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auditor change are publicly reported through Form 8-K report, in Korea, any information that are potentially related to the reasons for auditor change is not disclosed. However, one can guess that there must be some reasons that clients voluntary change auditors before 6th year of maximum auditor tenure. Especially, clients have strong incentive to change auditors for the opinion shopping purpose. In that case, they are going to hire new auditors who are willing to acquiesce to client pressure (Choi and Chung 2015). In such a case, the low-quality auditors are likely to offer initial audit fee discounts. In contrast, it is less likely that mandatory auditor changes are related to opinion shopping motivations of clients, suggesting that the mandatory changes are less likely to lead to poor audit quality even in the case of low-balling. Thus, in this study, we tr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audit engagement year audit fee discount (i.e., low-balling) and audit quality in the auditor change year for voluntary versus mandatory auditor change clients. Through these analyses, we try to shed some lights into the potential reasons of voluntary auditor changes. We collect 1,100 auditor change observations from year 2006 to 2010 for the empirical analyses. It was the period that both mandatory auditor retention and rotation policy was in effect. We remove the observations that auditor was changed due to auditor assignment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e also remove the observations from banking and finance industry and non-December fiscal year-end. Among our samples, 732 observations are those with the mandatory changes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and the remaining 368 observations are those with voluntary changes. We define the low-balling as the case when actual audit fee is lower than estimated normal fee. Additionally, we use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s of client firms, estimated by using Kothari et al.’s (2005) method, to proxy for the audit quality.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both audit quality and hour of low-balling auditors is lower for the cases of voluntary auditor change. In general, low audit quality combined with smaller audit hour suggest that auditors exert relatively less audit efforts to lower the audit costs. Specifically, we observe that the poor audit quality occurs when success auditor is non-Big 4. However, in contrast to the case of mandatory rotation,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is not associated with low-balling. We also find that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was not differ between voluntary auditor change samples and mandatory change samples in the year before the auditor change. Thus, audit quality becomes poorer at the year of auditor change for the voluntary change samples when there exist low-balling.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Client firms opt to change incumbent auditors with shorter than 6-year of tenure (before the maximum length of the tenure) due to some specific reasons. For example, the client may fire incumbent auditor and hire new auditor who is likely to acquiesce to the request of the clients. When there exists low-balling, new auditors are not able to provide high-quality audit service due to the lack of enough resources or independence. However, for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because the changes are not driven by the clients’ incentives to shop for opinion, there is less possibility that even low-balling leads to impaired independence and thus poor audit quality. These findings have several valuable implications. Most importantly, regulators and practitioners need to aware of the potential audit risks of the clients who voluntary change auditors. Regulators may need to consider the disclosures of the reasons for the auditor changes. Investors also need to be watchful for the such firms.

      • KCI등재

        감사품질과 감사인 강제교체 및 자율교체

        김선미,유승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가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감사인 강제교체 제도가 감사인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기 위해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과 자율교체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6년-2007년에 감사인을 변경한 유가증권상장법인과 코스닥 등록법인 중 제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강제교체 대상기업 172개와 자율교체 대상기업 216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재량적 발생액(Dechow et al. 1995)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Kothari et al.)이 감사인 교체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감사인 강제교체와 재량적 발생액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인 자율교체 기업에 비하여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보였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의 분포를 실증분석 한 결과, 양(+)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의 경우와 상위 33.33%에 속하는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에서만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극단적(extreme)으로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기업에 대해서 감사인 강제교체가 감사인 자율교체보다 이익조정을 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감사인 교체유형별 감사인 강제교체가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BIG에서 Non-BIG으로 교체하는 기업에 대해서만 감사인 강제교체가 더 나은 감사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 강제교체 제도가 더 나은 감사품질 제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익을 조정하려는 유인이 강하다고 판단되는 기업에 대하여 강제교체 제도의 정책적 효과가 기대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tory/voluntary auditor changes and audit quality.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changed by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improve audit quality for non-finance firms during our sample period, 2006-2007. Auditor-selection mechanism has been switched from an assignment rule to the market competition since 1982. Under the current auditor-selection mechanism, firms may undermine auditor independence because of a possible threat of auditor dismissal and/or friendly relationship from the long-term audit engagement. In order to improve auditor independence,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has been enforced since 2006.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firms have to replace their incumbent auditors with new auditors if the firms are audited by the same auditors during the last 6 years. According to prior research, auditor changes are likely to occur due to different belief between auditors and managers in the free audit market. For example, auditor changes may occur when managers prefer to increase their earnings while auditors object it. If managers switch their incumbent auditors in order to positively manage their earnings, then the mandatory auditor retention regime would be more valuable as means of preventing managers' earnings manipulations and increasing audit quality.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may tend to provide lower audit quality because of the lack of experiences and expertises on new clients. Howev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implemented to improve the auditor independence, provides an additional benefit to newly engaging auditors in contrast to the voluntary auditor change regime. If the successor auditors expect an event that firms should replace incumbent auditors due to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then the successor auditors are likely to seek information about the potential clients. That is, audit firms, knowing that firms should change auditors after 6 years audit engagements, will try to collect prior information of potential clients, identify industries trends, or compose task force teams in order to engage new audit contracts. In the process, the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have more information about new clients than the successor auditors changed by firms' voluntary decision makings.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the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ill provide higher audit quality than the successor auditors changed by firms' voluntary decision makings. Our research hypothesis is that audit quality provid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is higher than audit quality provided by the voluntarily changed auditors In this study, we use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and 388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our sample period, 2006-2007. Specifically, we employ discretionary accruals based on Jones-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Kothari et al. 2005).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level and change of firms' discretionary accruals audit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are lower than those audited by the voluntarily changed auditors: The coefficients on the mandatory-change dummy variable (MCH) are significantly negative at least 1% level. The results of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re qualitatively identical. In addition, the coefficients of the level and change of discretionary accruals in top 33.33 percentile are significantly negative at least 1% level. We also find that the level and change of firms'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udit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are lower than those audited by the voluntary auditors at least 1% level. We conclude that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may provide the intented effect of improving audit quality, which is suggested by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mandatory auditor changes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provide an implication on evaluating the adequacy of the auditors' audit contract termination rights that is adopted since 2009.

      • KCI등재

        감사인 선임 유형별 감사품질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김문태(Kim Moon Tae),고대영(Ko Dae Yo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09 국제회계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여부와 감사인 교체사유, 감사인 비교체 사유 등이 감사품질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스템에서 감사인 선임관련 자료를 입수할 수 있는 표본이며, 감사품질은 총발생액, 수정 Jones 모형과 현금흐름을 반영하여 추정한 재량적 발생액을 대용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 교체여부와 감사품질의 유의적인 설명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감사인이 규제당국의 지정에 의하여 교체되었을 경우에 재량적 발생액이 매우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감사인 비교체 사유를 감사인 유지와 재계약의 경우로 분리하여 검증한 결과, 감사인 재계약 변수가 재량적 발생액에 양(+)의 설명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당국의 강행성으로 감사인이 지정선임되거나 감사인 유지규정이 준수될 때 감사인의 독립성이 확보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여부뿐만 아니라 어떠한 교체사유 혹은 비교체 사유가 감사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세부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관련당국이 감사인 선임 규정을 보완하고자 할 때 실무적 단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헌성을 인정받을 것이다. Recent events have provide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audit quality and auditor changing. These issues have focused the public's eye on the work of external auditors. For example, certain parties have called for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Some of results have supported that a new auditor by the policy of mandatory audit rotation would bring to bear greater skepticism and accounting transparency, implying that long-standing auditor-client relationships potentially may impair the auditors' independence. Conversely, some of opponents argue that mandatory firm rotation would curtail audit quality because the auditor would lack familiarity with the client and its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ndatory auditing rules increase audit quality. In Korea, regulatory authority(e.g FSS,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exercises mandatory auditor change, designation and retention. Although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mandatory auditor rotation as a means to protect auditor independence, prior research seldom showed audit quality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auditor changes'. For example, because auditor changes may be result from the designation of regulatory authority or voluntary of firms, we ne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ndatory or voluntary auditor changing respectively. In the same context, auditor non-changes can be generated from auditor retention or renewable contract.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infer that audit qualiti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because auditor designation and retention are mandated by regulatory authority, auditors are not vulnerable from firms. On the other hand, firms may change or renew auditors voluntarily in the end of mandatory retention(after 3 years). Because situations are up to firms, auditors' independences can be vulnerable and decrease audit quality. Obviously, we ascertain the differences of audit qualities between audit change, designation and retention, respectively. We hypothesize that 1) auditor change increases audit quality, 2) in the only auditor change group, audit quality of designation by regulatory authority is higher than that of firms' voluntary and 3) in the only auditor non-change group, audit quality of retention by regulatory authority is higher than that of firms' renewable contract. We define audit quality as the estimation of total accruals and discretionary accruals with modified Jones model and cash flow. High audit quality is more likely to detect accounting irregularities, object to the use of questionable accounting practices, and limit discretion over accrual choices for client firms. The test samples consist of 1,667(for full samples), 303(only for audit changes) and 1,364(no audit changes) selected from the Korea Stock Exchange(KSE) listed companies during the year 2002~2004.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we find that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significantly lower for firms with designated auditors than firms that freely select their auditors. We also find that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of audit renew has partly significant higher than auditor retention. Because these compound effects related to auditor changes, we are not sure that only auditor change can improve audit quality. Overall,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mandatory audit policies can enhance audit quality and the credi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This paper contributes to studying a forced auditor change setting (versus a voluntary auditor change setting). Futhermore, this paper allows for a more direct examination of how audit quality is affected by a mandatory auditor change and an increase in auditor independence.

      •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대기질 변화 추정 및 관련 정책 지원 연구

        이승민,최기철,최지원,나건수,이주희,권지수,허선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 2000년대부터 꾸준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노력에도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미세먼지 대기질 문제 ㅇ 미세먼지 및 전구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리정책을 이행한 결과 2010년대 초반까지 서울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초)미세먼지 농도는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 ㅇ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3년부터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7년부터 다시 소폭 감소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연평균 PM2.5 농도 25μg/m3 안팎에서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하는 경향 ❏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조건·기후변화 간의 관련성 규명을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책적 개선점 도출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 ㅇ 현재까지의 관련 연구들은 기후변화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규명 또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질 농도 예측 등에 대해서 일부 수행되고 있을 뿐 대기질과 기후변화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 ㅇ 과거의 대기관리정책은 상시적 배출원 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상시적 대책뿐만 아니라 고농도 당일에 대한 비상저감조치(2019.2 도입) 및 고농도 빈발 계절에 대한 계절관리제(2019.11 도입) 등 시간 규모에 따라 목표와 대상을 달리하여 정책을 다각화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변화 방향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기상과 대기질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정책적 활용 방안 도출 필요 2. 연구 목적 및 범위 ❏ 기상 및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기질의 관련성 분석 ㅇ 미세먼지 대기질과 관련 기상 요소의 중장기 변화 패턴 분석 ㅇ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상·기후 인자 분석 ㅇ 다양한 시간 규모(연평균, 계절평균, 고농도 사례 등)에서의 미세먼지 대기질 및 기상 관련성 분석 ㅇ 기후변화와 대기오염(미세먼지)간의 관련 기작 규명 ❏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 산정 및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대기오염 변화 전망 ㅇ 배출고정-기상변화 모델링 수행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 분석 ㅇ 미래 기후에서의 미세먼지 대기질 전망을 위한 미세먼지 영향 기상지수 개발 및 예측성 검증 ㅇ 미래 기후에서의 미세먼지 대기질 전망을 위한 모델링 기반 구축 ㅇ 미래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기상변화 및 배출량 저감 목표를 반영한 미세먼지 농도 예측 ㅇ 분석 결과의 검증 및 정책적 시사점 분석 Ⅱ.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여건의 관련성 - 연평균 분석 1.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 및 기상 요소 변동 추이 ㅇ 최근 4년간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6년 이래 3년간 감소하다가 2019년 다시 소폭 증가(그림 1 참조) ㅇ 2019년도의 기상 여건은 전년도에 비해 기온 상승, 풍속 약화, 강수량 감소로 미세먼지 농도에 좋지 않은 여건 조성(그림 2 참조) 2.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 확인 ❏ 기상변화에 따른 지역별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ㅇ 배출고정-기상변화 모델링을 수행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율을 분석한 결과, 2012년 이후에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초미세먼지가 높아지는 기상조건 형성 ㅇ 기상요인에 의한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변화 수준을 보였으나 일부 기간(2013~2016년)에서는 지역별 영향이 상이한 사례 존재(그림 3 참조) ❏ 2016년 대비 기상 및 그 외(비기상) 요인에 의한 농도 기여 ㅇ 2012년 이전까지는 배출 등 비기상 요인이 농도에 기여하는 비중이 크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2013년 이후에는 기상 및 비기상 요인 모두 뚜렷한 변화 없음(그림4 참조) ㅇ 이러한 결과는 2012년 이전에는 국내외 대기오염물질 배출 변화 등 비기상 요인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주도하였으나(기상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2012년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 수준과 함께 높아진 기상 영향으로 배출 저감에 따른 뚜렷한 농도 변화를 체감하기 쉽지 않음을 의미함 Ⅲ.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여건의 관련성 - 계절별, 월별 분석 1. 최근의 계절별 풍속 변화 추이 및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 분석 ❏ 계절별 풍속 및 풍속 정체일 수의 변화 추이 ㅇ 최근 20년 기간(2001~2019년)의 계절별 풍속 변화 추이는 2014년 이후 모든 계절에서 풍속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겨울철 풍속 감소 패턴이 뚜렷함 ❏ 배출고정-기상변화 모의실험에 따른 계절별 평균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 분석 ㅇ 계절별, 연도별 기상요인에 의한 PM<sub>2.5</sub> 농도 변화는 봄철과 가을철이 가장 낮으며,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큰 변화폭을 나타냄 ㅇ 겨울철의 경우 특히 2012년 이후 대부분 기간의 기상여건이 연구 기준연도인 2016년 대비 미세먼지 농도에 악조건을 형성하는 점이 특징적 2. 계절관리제 기간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추이 및 기상변화 기여도 분석 ❏ 계절관리제 기간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추이 ㅇ 초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계절관리제 기간(1~3월, 12월) 중 12월에 최젓값, 3월에 최고치 수준에 이르는 경향을 나타냈고, 2018년 말부터 2019년 3월까지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이후 급격한 감소(최근 5년 중 최저 수준) ㅇ 배출고정-기상변화 모의실험 결과, ’19년 12월~’20년 3월의 기상 여건은 전년 동월대비 전반적으로 유리한 조건이지만 최근 기간인 2016~2019년 전체와 비교하면 평이한 수준임. 다만 월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3월의 기상 여건은 2017~2019년 동월에 비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는데 호조건을 형성하여 미세먼지 농도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기여(그림 5 참조) 3. 2020년 계절관리제 기간 기상 요소별 여건 분석 ❏ 2015~2020년 기간 동안 계절관리제 기간에 대한 바람(풍향, 풍속), 기온, 강수 변화 ㅇ 바람의 경우 2020년에는 동풍 계열의 강한 바람이 주로 불었으며 이는 풍향 및 풍속면에서 모두 유리한 조건 ㅇ 기온의 경우, 2017~2018년이 가장 낮고 2020년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2020년이 매우 불리한 기상여건 ㅇ 강수량의 경우 최근 5년 중 2020년 3월에 강수량이 적은 편이나 1~2월은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였고, 이는 2020년 3월은 불리한 여건이나 1~2월은 유리한 기상 여건으로 판단 4. 비기상 요인 변화 추정: 국내외 배출량 감소 ❏ 계절관리제 기간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추이 및 원인 분석 ㅇ 계절관리제 기간의 초미세먼지 관측 농도의 경우 2016~2017년 약 31μg/m<sup>3</sup>, 2017~2018년 약 30μg/m<sup>3</sup>, 2018~2019년 약 33μg/m<sup>3</sup>, 2019~2020년 약 25μg/m<sup>3</sup>으로 연평균 농도 범위에 비해 높은 수준 ㅇ 배출고정-기상변화 모의실험 결과, 2016~2017년 대비 이후 기간의 기상 조건은 모두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비기상 요인에 의한 농도 감소분이 기상 요인에 의한 농도 증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함에 따라 2018~2019년 외 계절관리제 기간의 농도 급감 원인은 비기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 ❏ 모의실험 결과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변동성 원인 중 비기상 요인(국내 배출량 감소) 추정 ㅇ 수도권 지역의 교통량은 2019년 대비 2020년 계절관리제 기간에 감소하는 경향이며(1~3월 평균 기준, 한강대로 118만 1,000대/일 → 102만대/일, 청계천로 및 종로 92만대/일 → 84만 5,000대/일, 공항대로 96만 3,000대/일 → 95만 5,000대/일), PM<sub>2.5</sub> 농도는 2019년에는 도로변 대기 측정망이 도시 대기 측정망보다 대체로 더 높은 농도가 관측된 반면(한강대로 43μg/m<sup>3</sup> → 중구 35μg/m<sup>3</sup>, 청계천로 39μg/m<sup>3</sup> → 종로구 34μg/m<sup>3</sup>, 종로 36μg/m<sup>3</sup> → 종로구 34μg/m<sup>3</sup>, 공항대로 44μg/m<sup>3</sup>→ 강서구 39μg/m<sup>3</sup>), 2020년에는 두 측정망 간의 농도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 ㅇ 최근 기간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의 급감은 도심지역의 교통량 감소 및 PM2.5 관측 농도 감소 등의 국내 배출량 감소로 인한 비기상 요인 중 하나로 판단 ❏ 모의실험 결과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변동성 원인 중 비기상 요인(국외 배출량 감소) 추정 ㅇ 2016~2020년 기간의 한중 대기질 변화를 확인한 결과, 2020년 2월 전후로 우한시 주변 지역의 대기질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고(2019년 대비 2월과 3월의 AOD가 각각 15.4%, 17.2% 감소),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중국 곳곳의 공장 가동 중단, 교통량 감소 등의 요인으로 판단 Ⅳ.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여건의 관련성 - 고농도 사례 분석 1.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패턴 변화 분석 ❏ 고농도 미세먼지 연간 발생 빈도·강도 및 지속일 수 변화 ㅇ 서울시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 빈도를 살펴보면 대기질이 꾸준히 개선되었던 P1 기간에는 전체 고농도 사례 발생일 수도 꾸준히 감소하나 P2 기간에는 발생일 수 증감이 반복됨(그림 6 참조) ㅇ 대기질 개선 기간(P1)에는 장기간 고농도 사례의 빈도가 감소하지만, 농도 변화가 정체하는 기간(P2) 중 최근 기간(2017년 이후)에는 장기간 고농도 사례의 빈도 증가 ❏ 계절별 고농도 사례 발생 빈도 변화 ㅇ P1 기간(2005~2012년)과 P2 기간(2013~2019년)의 고농도 총 사례 일 수는 각각 575일, 436일이며, 연평균 발생일 수는 각각 71.9일, 62.3일로 전반적으로 고농도 사례 발생 자체는 다소 감소 ㅇ 계절별 발생일 수를 비교하면 P1 기간에 비해 P2 기간에 봄철(26.5% → 36.2%)과 겨울철(33.0% → 39.2%)의 발생 비중이 증가하고 여름철(21.0% → 13.1%)과 가을철(19.5% → 11.5%)의 발생 비중이 감소 ㅇ 최근 여름철 및 가을철에 비해 겨울철과 봄철의 풍속이 크게 약화되어 고농도 초미세먼지 발생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 2.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 ❏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일의 기상장 특성 ㅇ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일의 기상장 특성을 P1과 P2의 두 기간에 대해 분석해보면, 최근(P2) 기간에 한반도 서쪽으로는 유라시아 고기압이 약화되고 한반도 및 아시아 중위도 고기압이 강화되며, 한반도 동쪽으로는 알래스카 지역의 고기압이 강화되고 알류시안 저기압이 강화됨 ㅇ 한반도 서쪽의 기압계 변화에 따라 우랄블로킹이 약화되어 동아시아 지역 서풍 약화 및 대기 정체 유발하여 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 ㅇ 한반도 동쪽의 알류시안 저기압 강화는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발생 시 우리나라에 위치한 이동성 고기압이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블로킹으로 작용하여 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장기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 3. 기후변화와 한반도 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발생 간의 연관 가능성 분석 ❏ 기후적 관점에서 대규모 기상장의 변화가 미세먼지에 끼치는 영향 ㅇ 최근 기간의 초미세먼지 고농도 사례 빈발과 장기화에 영향을 미친 대규모 기압계 변화에는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온도 상승과 북극 해빙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 ㅇ 온난화에 따른 북극 지역 바렌츠해에서의 해빙 감소가 유라시아 상층 고기압 약화 및 동북아 상층 고기압 강화를 유발함으로써,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 상승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 ㅇ 북극 지역 베링해에서의 해빙이 감소하면서 강화된 알류시안 저기압에 의한 블로킹 현상 강화로 인해 한반도 지역의 대기 정체가 증가하여 고농도 사례 장기화에 기여하였을 가능성(그림 7 참조)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현행 미세먼지 관련 정책 보완 필요 ㅇ 최근 20년 기간에 대해 배출고정-기상변화 모델링을 수행하여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를 확인한 결과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 요인에 의한 기여가 비기상 요인의 비중과 비슷한 수준으로, 대기질 관리에 있어 배출 저감과 더불어 기상변화 고려 필요 ㅇ 미세먼지 종합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기상의 영향에 민감해진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배출 저감 목표량 강화, 일정 수준의 농도 범위 제시 등 구체적인 목표 설정 필요 ㅇ 국내 정책 추진 성과 평가 시 기상의 영향을 함께 평가하여 정확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정책 평가 및 개선점 모색 필요 ㅇ 기후변화와 대기질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대기관리와 기후변화 완화 정책을 연계 추진해야 하며, 기상 관련 계절 전망 및 중기 전망 등을 고려하여 대기질 전망 및 대기관리 목표 설정 필요 Ⅰ.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1. Necessity ❏ The air quality problem due to fine particulate matter has not improved dramatically despite efforts to reduce emissions of air pollutants since the 2000s. ㅇ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policy for fine particulate matter and its precursors, Seoul’s air pollutant emissions and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continued to decrease until the early 2010s. ㅇ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3 and then decreased slightly from 2017, but now it tends to be stagnant with fluctuations around the annual mean PM2.5 concentration of 25μg/m3. ❏ There are research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weather conditions and climate change, but studies to make policy improvements are insufficient. ㅇ Air quality-related studies to date have only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ir quality or to predict air quality concentrations according to future climate change. Research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quality and climate change is still inadequate. ㅇ In recent fine particulate matter-related policies, a detailed diagnosis of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target concentration presented in the ‘Comprehensive Plan on Fine Dust’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cent weather conditions and nvestig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and air quality at various time scales(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and emergency reduction measures) are being carried ou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and air quality from various angles according to such change in air management policy and to derive utilization plans for policy development. 2. Research purpose and scope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and climate chang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air quality ㅇ Analysis of mid- to long-term change patter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ir quality and related meteorological factors ㅇ Analysis of major weather and climate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ㅇ Analysis of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relevan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various time scales (annual average, seasonal average, high concentration cases, etc.) ㅇ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ㅇ Verific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analysis of policy implications ❏ Calculation of contributions of meteorological changes to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forecasts of changes in fine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due to climate change ㅇ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meteorological changes to th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ased on the fixed emission-weather change model ㅇ Development of a meteorological index for the impact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verification of the predictability for forecasting fine particulate matter air quality in the future climate ㅇ Establish the modeling base for forecasting fine particulate matter air quality in the future climate ㅇ Predi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reflecting climate change and emission reduction targets according to future climate scenarios ㅇ Verific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analysis of policy implications Ⅱ. Relationship between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Weather Conditions: Analysis of the Annual Average Levels 1. Annual averag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changes in meteorological factors ㅇ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in 2019 increased again, shifting from the deceasing trend of three years since 2016. ㅇ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weather conditions in 2019 created an un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overall, with the increase in temperature, decrease of wind speed, and decrease in precipitation. 2. Confirming the contribution of weather changes to the annual averag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 Changes in the annual average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y region due to weather changes compared to 2016 ㅇ After 2012, most regions saw meterological conditions tha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Taking a look at each region, most regions exhibited similar changes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level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different trends were observed by region. ❏ Contributions of weather and other(non-weather) factors to concentration compared to 2016 ㅇ Before 2012, the contribution by non-weather factors was dominant, but then it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Since 2012, the overall concentration has been stagnant without any obvious change in the weather and non-weather factors. ㅇ According to these results, before 2012, non-weather factors such as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air pollutant emissions were the leading cause for changes in fine particulate matter(weather impact was relatively low), and after 2012,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hard for people to feel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which occur due to emission reduction. Ⅲ. The Relationship between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Weather Conditions: Seasonal and Monthly Analysis 1. Analysis of changes in wind speed by season and the contribution of weather changes to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during the recent period ❏ Changes in wind speed by season and the number of days with stagnant air ㅇ Wind speed over the last 20 years(2001~2019) has shown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seasons since 2014, especially in winter. ❏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weather changes to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by season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of fixed emissions-weather changes ㅇ The contribution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to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simulation where a fixed amount of emissions and weather changes were applied for the period of the last 20 years. ㅇ Compared to 2016, the changes in PM2.5 concentration have been relatively small in winter since 2012(this tends to be the opposite in other seasons); in terms of the degree of fluctuation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y season, the weather effects in summer have the widest range of fluctuation while winter shows the narrowest range. ㅇ In the case of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each season,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tended to increase in most seasons(excluding autumn) due to weather factors. ㅇ When looking at the rates of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by period P1(2005~2012) and P2(from 2013 onwards, the weather in the period P2 acted as a bad condition for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air quality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 range of change in concentrations due to weather factors was relatively small. 2. Analysis of changes in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weather changes under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by region under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ㅇ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tended to reach the lowest level in December and the highest level in March during the seasonal management period, and the concentration rapidly increased from the end of 2018 to March 2019, and then decreased rapidly(the lowest in the last 5 years). ㅇ Fixed emission-weather change simulation results: The weather conditions in 2020 are favorabl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ut compared to the recent period of 2016-2019 overall, they are at a modest level. In term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in the average monthly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Korea, weather conditions in March are especially favorable with the low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mpared to 2017-2019. 3. Analysis of the conditions by weather factor during the seasonal management period of 2020 ❏ Wind(wind direction, wind spe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changes over the period 2015-2020 ㅇ In the case of wind, strong winds from the east were predominant in 2020, which is favorable for both direction and speed. ㅇ Temperatures were the lowest in 2017-2018 and the highest in 2020, which means it was a very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 for 2020. ㅇ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it was low in March 2020 during the past five years, but the highest rainfalls were recorded in January and February, which were determined as unfavorable conditions for March 2020 and favorable conditions for January and February. 4. Estimation of changes in non-meteorological factors : domestic and international emission reductions ❏ Trend and cause analysis of changes in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seasonal management period ㅇ In the case of the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observed during the seasonal management period, it was 31μg/m<sup>3</sup> in 2016-2017, 30μg/m<sup>3</sup> in 2017-2018, 33μg/m<sup>3</sup> in 2018-2019, and 25μg/m<sup>3</sup> in 2019-2020, all of which are higher than the average concentration range. ㅇ Simulation results of fixed emission-weather change: Weather conditions in both 2016 and 2017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the decrease in concentration due to non-meteorological factors was greater than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due to weather factors. ❏ Estimation of non-weather factors(reduction of domestic emissions) among causes of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variability in simulation results ㅇ Traffic volum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ends to decrease during the 2020 season management period compared to 2019(Hangang-daero 1,181 →1,020 thousand vehicles per day, Cheonggyecheon-ro and Jongno 920 →845 thousand vehicles per day, Gonghang-daero 963→955 thousand vehicles per day, based on the average of traffic volume by January-March), and while the PM<sub>2.5</sub> concentrations measured by two monitoring networks have not much difference in 2020, the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roadside monitoring network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by the urban air monitoring networks in 2019(Hangang-daero 43μg/m<sup>3</sup> → Jung District 35μg/m<sup>3</sup>, Cheonggyecheon-ro 39μg/m<sup>3</sup> →Jongno District 34μ g/m<sup>3</sup>, Jongno 36μg/m<sup>3</sup> →Jongno District 34μg/m<sup>3</sup>, Gonghang-daero 44μg/m<sup>3</sup> →Gangseo-gu 39μg/m<sup>3</sup> in 2019). ㅇ The sharp drop in the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recent period is considered to be cased by one of the non-weather factors due to the decrease in domestic emissions, such as a decrease in traffic volume in urban areas and a decrease in PM<sub>2.5</sub> concentrations observed. ❏ Estimation of non-weather factors(international emission reductions) among causes of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variability in simulation results ㅇ The changes in air quality in Korea and China during the 2016-2020 period confirmed that air quality around Wuhan City improved around February 2020(AOD in February and March decreased of 15.4% and 17.2%, respectively, compared to 2019), which can be attributed to plant shutdowns and traffic reduction in China due to the coronavirus. Ⅳ. Relationship between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Weather Conditions: Case Analysis of High Concentrations 1.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high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 Changes in the annual frequency, intensity, and the number of day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ㅇ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high concentration cases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in Seoul, the number of days with high concentration cases in the P1 period when air quality steadily improved decreases, but the number of occurrences in the P2 period repeatedly increases and decreases. ㅇ The frequency of long-term high concentration cases during the period when air quality improved(P1), but the frequency of long-term high concentration cases increases after the recent period of 2017(P2). ❏ Changes in the frequency of high concentration cases by season ㅇ The total numbers of high concentration cases in the P1 and P2 periods are 575 days and 436 day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annual occurrences are 71.9 days and 62.3 days, respectively, with the overall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 cases slightly decreasing. ㅇ Comparing the numbers of seasonal occurrences, the proportion of occurrences in spring(26.5%→36.2%) and winter(33.0% →39.2%)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occurrences in summer(21.0%→13.1%) and autumn(19.5%→11.5%) decreased during P2 compared to the P1 period. ㅇ It is estimated that the wind speed in winter and spring has recently greatly decreased compared to summer and autumn seasons, creat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generation of high concentrations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2. Weather condition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 cases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fields on the date of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ultra fine particulate matter ㅇ In recent years(P2) high pressure over Eurasia has weakened, mid-latitude high pressure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Asia has been strengthened, and noticeable changes have been made such as high pressure over Alaska and the Aleutian low pressure. ㅇ he weakening of Ural Blocking has weakened west winds over East Asia causing air stagnation and this results in high concentration case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lso, the cyclonic deviations over the northern part of Japan prevents the anticyclonic deviations over Korea from passing, resulting in long-term high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ㅇ The recent rise in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in Alaska and the eastern part of the Bering Sea may have caused air stagnation near the Korean Peninsula,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and the prolonged high concentration. 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igh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cases on the Korean Peninsula ❏ Effect of large-scale changes in the weather field on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a climate perspective ㅇ Despite the recent decrease in emis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umber of high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has increased since 2013, and the causes for this include various changes in weather fields. ㅇ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over the Korean peninsula may be attributed to the strengthened Aleutian Low following a reduction in geopotential height of the North Pacific which results from the decrease in Arctic sea ice, or the weakened high pressure over the upper part of Eurasia and the strengthened high pressure over the upper part of the Northeast Asia, led by the decreased sea ice in the Barents Sea. ㅇ The change in sea ice area is closely related to warm currents in Alaska and other regions, so the high concentration cases may have increased as fine particulate matter stay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resulting from the decrease in Arctic sea ice during the P2 period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Aleutian Low. ㅇ Changes in Arctic sea ice and large-scale weather systems due to the recent warming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ccurrence of the long-lasting high-concentration fine particulate matter cases in Korea. Ⅴ.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 Need to supplement current fine particulate matter related policies ㅇ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ntribution of meteorological changes to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through fixed emission-weather change modeling for the last 20 years, the recent contributions of meteorological factors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is relatively similar to that of non-weather factors. As su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limate change as well as emission reduction in air quality management. ㅇ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comprehensive fine particulate matter plan, it is necessary to set specific goals such as strengthening the emission reduction target amount and presenting a certain level of the concentration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relatively sensitive to the effects of the weather. ㅇ Whe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omestic polic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weather together and evaluate the policy in an accurate and correct way and seek improvement points. ㅇ Follow-up studies on mechanism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air quality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air quality forecasts and air management targets need to be set in consideration of weather-related seasonal and mid-term forecasts.

      • 기후환경안전사회 전환을 위한 중장기 환경정책 방향 도출

        신동원,심창섭,서양원,최기철,배현주,김용건,최영웅,양유경,류소현,이상엽,정은혜,간순영,오규림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ㅇ 기후 및 환경위기 가속화로 국민의 생존이 위협받고 삶의 질이 악화됨 - 지난 2020년 겨울은 가장 따뜻한 겨울이었으며, 여름은 역대 가장 긴 장마가 이어지는 등 기후위기가 심화되고 있음 - 전 세계적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 상승, 폭염, 태풍, 홍수, 전염병 등 기후재난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실물경제, 건강, 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고 있음 ㅇ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9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국가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상황임 ㅇ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137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을 공식 선언하고 법제화하는 추세임 ㅇ 가속화되고 있는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속도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정책이 실효성 있게 이행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정책 과제와 아젠다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큼 □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대기안전 관련 현황과 정책 여건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기후환경안전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탄소중립’, ‘대기환경’,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부문의 중장기 환경정책 과제를 제안함 Ⅱ. 탄소중립 부문 중장기 환경정책 과제 1.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에너지 전환정책 혁신과 제도 개선 □ 문제점 및 개선사항 ㅇ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의 확산과 이를 위한 시스템 구축은 필수적임 ㅇ 에너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 개선 - 현재 에너지 시장은 조세, 부과금, 부담금 등 복잡한 에너지 세제하에서 일관적 세율이 부재하고 소비자요금 규제로 도매시장의 비용 반영이 어려움 - 전력시장의 수직통합(발전, 송전, 배전, 소매)으로 인한 비효율성 극복 필요 ㅇ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및 확산 - 재생에너지 발전의 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비하고 피크수요에 대응하는 방안 필요 ㅇ 사회적 수용성 -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포용 및 정의로운 전환 방안 마련 □ 주요 아젠다 및 정책 방향 ㅇ 시장 중심적 재생에너지 확산 정책 필요 - 소매시장 부분 개방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계약이 단기적으로 허용됨 - 중장기적으로는 소매시장을 완전 개방하여 시장참여자가 자유롭게 경쟁하도록 함 ㅇ 실시간요금제로의 전기요금 체계 개편 추진 -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 및 계통 안정성 강화를 위해 실시간 시장 개설 ㅇ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역주민 사용성 강화 - 영농형 태양광 등 주민주도 사업에 대한 지원 강화 및 대형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보장 등 주민 이익공유 체계 구축 - 재생에너지 입지 규제 기준을 체계화하고 인·허가 절차 간소화 ㅇ 재생에너지의 전력계통 접속 보장을 위한 선제적 계통 보강에 대한 투자 및 제도 개선 2.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기반 마련 □ 문제점 및 정책 추진방향 ㅇ 탄소시장 기능 정상화를 통한 우리나라 저탄소 국제경쟁력 강화 촉진을 위해 시장 중심적인 거래 규제의 완화로 배출권거래제 개선 ㅇ 현재 10%에 불과한 배출권거래제의 유상할당 비중을 주요 교역국가와 유사한 수준으로 제고 ㅇ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탄소세제 도입 검토 □ 주요 정책과제 ㅇ 시장 중심적 배출권거래제도 운영을 위해 이월제한, 제삼자참여 제한 등 거래 규제 완화로 기업의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정부의 시장개입 투명성 확보로 시장 유동성 제고 - 이월제한 완화 및 철폐로 배출권거래제의 시간적 유연성 확보 - 배출권 가격이 발전급전 우선순위에 반영되도록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선 ㅇ 경매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배출권 가격 안정화 방안을 고안하여 탄소가격의 신호기능 강화 ㅇ 탄소세 부과대상, 부과 수준, 기존 에너지 세제의 조정, 세수 활용을 고려하여 탄소세 도입 방안 및 설계 - 배출권거래제와 탄소세를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활용하여 배출권거래제 비대상 부문을 탄소세 우선대상으로 하고 무상할당 대상 업종을 유상할당으로 전환 -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 확대로 인한 경매수입과 탄소세수는 기후대응기금의 재원으로 활용 3. 통합적 탄소중립 이행 체계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ㅇ 탄소중립 관련 정부부처가 다원화되어 있어, 전반적이고 일원화된 정책 추진이 어렵고 부처 간 칸막이 문제 가능성 발생 ㅇ 여러 국가계획 및 정책이 탄소중립과 모순되지 않고 연계성을 갖도록 정책 간 정합성 제고 필요 ㅇ 온실가스 및 기후변화 정책 수립 및 연구를 위해 통계자료의 구축 및 공개 필요 □ 주요 정책과제 ㅇ 정부조직 개편을 통한 통합적인 기후정책 거버넌스 체계 구축 - 기후·환경·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대통합 방안,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중통합 방안, 환경부에 재생에너지 보급과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추가하는 소통합 방안 등 통합적 부처운영 방안 - 부처운영에 따라 탄소중립위원회의 역할 조정 및 개편 ㅇ 기후-에너지-대기 전략 간 정합성 제고 및 공편익 추구로 시너지 창출 - 중기적으로는 관련 국가계획 간 위계 고려한 조정, 장기적으로는 공통적 컨트롤타워 구축 및 정책 통합 추구 ㅇ 기후-에너지 부분 통계자료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구축하고 활용성 제고 필요 -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하고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인 연구 수행 및 정책 지원 필요 - 사용자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온실가스 통합데이터포털로 관련 통계 간의 시너지 추구 - 일반 국민이 일상에서 탄소발자국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탄소중립 정책 참여 도모 Ⅲ. 대기환경 부문의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주요 기술정책 방향 1. 국내 탄소중립 시나리오 관련 핵심기술 파악 필요성 □ 핵심기술의 국내 현황과 전망을 파악하고 기술적 이행가능성과 정책 수요 분석 필요 ㅇ 2021년 발표된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에너지 전환과 CCUS가 주요한 감축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아래와 같은 세 가지 관련 기술의 국내 현황과 전망을 파악하고 기술적 이행가능성과 정책 수요를 분석함 - 신재생에너지 중 경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태양광 발전 기술 - 신재생에너지 연계성이 높은 수소 발전(그린수소) 기술 - CCUS 국내 기술 중 이산화탄소의 유기화합물화 기술 2. 국내 탄소중립 시나리오 달성을 위한 주요 기술의 현황과 전망 □ 태양광 발전 기술 수준은 세계적으로 선두에 있으나 태양광 발전 보급에는 효율 개선보다 정책적 요소가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 ㅇ 태양광 발전 기술 중 실리콘을 주원료로 하는 PV 유형의 태양전지 기술이 가격경쟁력 면에서 앞서고 있음. 국내 기업들의 수준은 세계적으로 선두에 있으며, 향후 태양광 발전 효율 개선의 여지가 큼 ㅇ 다만 태양광 보급 확산을 위한 경제성 확보에는 태양전지 효율 개선보다 전력요금 체계 등 정책적 요소가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국토가 좁은 국내 실정을 고려한 보급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CCUS 기술은 높은 감축효과가 기대되는 기술이지만, 기술 성숙도가 미흡하고 비용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수준으로 평가됨. CCUS가 탄소배출 저감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관련 R&D 투자를 확대하고 산학연의 유기적 연구 촉진 필요 ㅇ CCUS 기술을 구성하는 여러 하위 기술 중, 포집된 탄소를 다른 제품의 생산 원료로 활용하는 기술인 CCU 기술에 대하여 ‘Carbon to X’ 등 국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음 ㅇ 기존 제품의 생산이 대부분 석유화학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CCU 기술이 기존 생산 기술을 대체한다면 상당한 배출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ㅇ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존 생산과 수요가 많아 CCU 기술 적용 시 효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군은 메탄올, 일산화탄소, 경질 올레핀, 포름산 등이 있음 - 동 제품군에 대하여 국내시장 규모의 100%를 감 CCU 기술로 대체 시 활용되는 총 이산화탄소량은 3,200만 톤 이상일 것으로 예상됨 □ 수소 발전(그린수소) 관련 정부 정책은 현재 수소 판매 비용을 낮추기 위한 인프라 보급에 집중되고 있으나, 생산과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우선시되어야 함 ㅇ 생산과 운송에서 경제성이 확보되어 수소 생산량이 증가하면 역내 수요가 늘어 인프라 보급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기술, 인프라, 운송수단 수출이 가능해질 것임 - 수소 판매가격은 충전소 가동률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수요 증가에 의해 해결 가능 ㅇ 수소 생산의 경우 그레이 수소(부생수소 또는 천연가스 개질 수소)는 경제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였으나, 탄소중립 실현의 수단이 될 수 있는 그린수소(수전해 수소) 생산 비용은 아직 50% 이상의 원가 절감이 필요한 상황임 ㅇ 그린수소 단가는 2020년 기준 5~6달러/kg에서 2050년에는 1달러/kg으로, 약 80%의 하락이 전망됨 - 그린수소 생산 비용 절감은 수전해 시스템 기술이 핵심이며, 이 기술은 수소 연료전지에서도 활용되므로 기술 확보 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 ㅇ 블루수소(탄소포집 설비를 포함한 천연가스 개질 수소 등)가 그린수소의 수요까지 증대시키는 시작점이 될 것이며, 블루수소의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탄소포집 기술 개발이 핵심임 - 탄소포집 비용은 흡수탑 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수제 비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함 ㆍ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카놀 아민 흡수제는 자체 증발력으로 인한 손실, 부반응에 의한 손실 등으로 인해 흡수제를 지속적으로 보충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됨 3. 중장기 국가 대기환경정책 발전방향 □ 미세먼지 환경기준 달성을 위한 실천대책 강화 ㅇ 현재 구체화되어 있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 등의 전구물질을 포함한 감축목표 달성 필요 ㅇ 지자체의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 관리 거버넌스를 발전하고 지자체 정책지원과 책임과 권한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법」 등의 제도 개선 적용 필요 ㅇ 현재 배출 사업장 저감 이행에 혼선을 가져올 수 있는 관련 법령(예: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기관리권역법」, 「대기환경보전법」 등)의 간소화 및 법령에 명시된 조직(예: 미세먼지 특별대책 위원회)의 일원화 등 관련 제도의 명확화로 이행력 제고 필요 □ 인체 위해성을 고려한 대기오염 관리정책 개선 ㅇ 대기오염 농도의 저감뿐 아니라 노출 인구와 조기사망률이 감소 등을 정책목표의 하나로 포함시킬 필요 있음 - 고령화로 인한 순조기사망률 증가요인을 고려해야 함 ※ 2019년 연평균 초미세먼지 WHO 잠정목표2(25μg/m<sup>3</sup>) 기준을 초과하는 국내 노출 인구 수는 2019년을 기준으로 전체 인구에 약 34%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ㅇ 상대적 고농도의 민감계층 노출을 감안한다면 현재 지정된 권역을 일부 확대할 필요 있음 - 기초지자체 수준의 상대적 민감계층 노출 평가(위해성 고려) 등을 기반으로 권역에 대한 일부 확대 검토 필요 - 위해대기화합물질(HAPs)을 포함한 중장기적 위해성 평가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차원의 위해성 기반 대기정책의 우선순위를 논의하여야 함 ㅇ 실내공기질 관리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정부투자 확대 필요 - 강화된 「실내공기질 관리법」(2020) 이행을 위한 공기 정화 및 조화 장비의 기술 발전 및 보급 관리를 위한 정부 투자 확대 필요 □ 통합적 대기질 개선 관리기반 구축 ㅇ 미세먼지, 오존, 유해대기오염물질의 통합관리와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 있음 - 기존 「미세먼지특별법」, 혹은 「대기관리권역법」에서도 포괄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을 관리하고 저감할 수 있도록 세부조항의 신설 필요 - 지역차원의 포괄적 대기오염 관리를 위한 중앙정부-지자체간 거버넌스 및 관련 제도상의 개선 필요 ㅇ 대기오염 이차생성을 고려한 정책 지원 강화 필요 - CAPSS(국가 대기오염 배출통계)의 지역 차원의 정확도 개선 필요 - 측정 및 자료 보강을 통한 지역 차원의 전구물질(VOCs, NOx, NH<sub>3</sub>) 등에 대한 배출 및 농도 차원의 기여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 구축 필요 ㅇ 이원화되어 있는 온실가스와 대기오염 관리를 통합해야 함 - 탄소중립 및 대기오염에 대한 공편익을 파악하고 저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온실 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목록 통합관리 필요 □ 기후위기 대응 시대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선제적 대응 ㅇ 주변국과 국가 탄소중립, 대기정책 등을 고려한 중장기 대기질 전망 필요 - 주요 국가정책을 반영한 중장기 대기질 전망을 위한 통합평가모형의 개발과 활용 ㅇ 중장기 대기질 전망을 근거로 미래 대기환경정책 수립·이행 필요 - 미세먼지, 오존, 전구오염물질 등의 추이에 근거한 장기 중점 대책 발굴 - 오존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VOCs 저감 중장기 대책 마련 필요 Ⅳ.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부문 중장기 환경정책 과제 1. 기후위기 대응 관련 화학물질 및 환경보건(건강영향) 정책 여건 분석 □ 국외 기후변화와 화학물질 정책 동향 ㅇ WHO의 화학물질 로드맵 - WHO는 2020년과 그 이후의 목표에 대하여 보건 부문(건강영향)을 포함한 화학물질 관리 로드맵을 마련함 - 화학물질 관리 로드맵 분야는 위험 감소, 지식과 증거, 제도적 역량, 리더십과 협력 등으로 구성됨 - 지식과 증거 부문에 기후위기 또는 이머징 이슈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여러 화학물질 노출에 대한 복합 노출 등 위해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지식과 격차를 채우는 노력, 기후변화와 화학물질 사이의 연관성과 건강에 대한 잠재적 영향 연구 등) ㅇ EU의 독성 없는 환경을 향한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전략 - 유럽그린딜을 달성하기 위한 조치로, 화학물질 관리에 대하여 지구와 현재 및 미래 세대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그린화 및 디지털화 전환을 포함하여 사회의 기여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화학물질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독성 없는 환경으로 전환’하려는 장기비전이 수립됨 - 독성 없는 환경을 위한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전략은 5가지의 전략과 세부 추진전략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기후변화 및 환경위기 또는 그린뉴딜 추진 방향에 부합하는 전략을 검토함 ㆍ안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설계된 화학물질 촉진, 화학물질 생산의 그린화 및 디지털화, 화학물질 복합효과로 인한 인간과 환경 보호, 화학물질 데이터의 이용가능성 향상, 강화된 화학물질 과학-정책 간 인터페이스 등 ㅇ UNEP의 기후변화와 화학물질 그리고 폐기물: 상호작용과 통합 행동의 가능성 - 기후변화와 유해화학물질, 폐기물은 서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계되어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분야 간 연계를 통한 대응 방향을 제안함 -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해 기후변화는 유해화학물질 배출, 거동, 장거리 이동 및 화학 물질 시설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함 - 지속가능성을 향한 과제에서 기후변화와 유해화학물질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함 □ 국외 기후변화와 환경보건(건강영향) 정책 동향 ㅇ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 전략 계획(2018-2023) - 전략 계획에서는 환경보건 과학의 발전, 전환 촉진, 관리 및 지원을 통한 환경보건 강화 등 3개 주제에 대하여 세부 목표와 내용을 제시함 - 본 연구에 내용과 부합하는 주요 세부 목표는 복합 노출, 데이터 과학 및 빅데이터, 증거기반 예방 및 개입, 환경 건강 불균형 및 환경정의, 이머징 환경보건 이슈 등으로 검토됨 ㅇ WHO의 건강과 기후 행동 - 건강과 기후행동에서는 재생에너지, 지속가능한 운송, 농업, 산업 및 매립지 관리 부문의 에너지 생산 및 효율성 변화를 통해 건강에 해로운 오염물질(예: 블랙카본, 메탄 및 지상 오존)의 배출을 줄이는 정책을 포함하도록 함 ㅇ 미국 기후변화에 대한 비상 대비 및 대응: 환경보건 인력의 역할 - 주제별 기후변화 건강영향 정보,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기 위한 권장사항, 환경보건 인력의 역할을 제시함 2. 국내 이머징 리스크 연관 정책 검토 □ 기후변화 대응 관련 법 및 정책 ㅇ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 동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관련 조항은 제7조(국가비전 및 국가전략), 제37조(기후위기의 감시·예측 등), 제38조(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수립·시행) 등으로 검토됨 - 규정 내용을 검토한 결과, 환경, 건강, 보건 등의 개념은 포함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조항이나 조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환경보건정책과의 연계가 필요함 ㅇ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 환경보건과 관련된 주요 추진과제는 ‘기후변화 환경보건 서비스 거점 운영’과 ‘취약 계층 안전망 구축 및 보호사업 연구’로 제시함 -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피해, 예방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현재 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 환경보건과 화학물질과 연계된 추진사업은 미흡함 □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관련 법 및 정책 ㅇ 환경보건법 - 「환경보건법」상에서 현재는 기후변화나 환경위기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향후 기후변화 및 환경위기를 고려한 이머징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함 - 기후변화 및 환경위기를 고려한 이머징 리스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된 규정은 제11조(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제15조(환경 관련 건강피해의 건강 영향 조사 등)임 ㅇ 화학3법 - 화학3법은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며, 현재 기후변화나 환경위기를 고려한 법적 근거는 마련되어 있지 않음 - 환경위기와 관련될 것으로 검토된 규정은 「화학물질관리법」의 경우 제23조(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의 작성·제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의 경우에는 제24조(위해성평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의 경우 제8조(위해성평가 등)임 ㅇ 환경보건법 및 화학3법 관련 기본계획의 기후변화, 환경위기 관련 추진과제 현황 - 「환경보건법」과 화학3법을 지원하는 종합계획에서는 기후변화, 환경위기와 관련된 추진과제는 다음과 같음 ㆍ환경보건 종합계획: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대응력 강화, 환경유해인자 사전예방적 대응 체계 구축 등 ㆍ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 개발사업 추진(2022~2025년) ㆍ화학물질의 평가 등에 관한 기본계획: 화학물질 유해성 비동물시험법 개발·확산에 대한 계획으로 생활화학제품(혼합물) 유해성평가, 노출 평가기술 등 R&D 추진 (2020~2027년) 3. 주요 아젠다 및 정책 방향 도출 □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부문 아젠다와 중장기 환경정책 과제 도출 ㅇ 국내외 기후변화 등 환경위기 대응 및 정책 동향 분석을 통해 파악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WHO, EU 및 UNEP 등 국제적 화학물질 분야의 환경위기 대응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화학물질 노출 변화와 누적 노출 등을 고려한 위해성 평가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화학물질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화학물질 생산 공정의 디지털화 및 화학물질 관련 데이터의 이용성 제고가 강조되고 있음 - 환경보건 분야에서는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 및 WHO 등의 향후 전략과 기후위기 대응 동향을 살펴본 결과 환경유해인자의 누적 노출에 대한 대비, 환경 취약계층 등 수용체에 대한 고려와 데이터 중심의 증거기반 정책 마련 및 새로운 환경보건 이슈에 대한 대비 등이 중요한 동향으로 파악됨 - 국내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관련 기본법이 제정되었으며 기후변화 적응대책 등이 수립되었으나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에 관한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분야의 추진사항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이며, 환경보건법 및 화학3법에 기후위기 대응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 조항은 마련되어 있지 않음 - 다만 해당 분야의 관련 기본계획 및 연구사업 등에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된 추진과제가 일부 제시되고 있어 해당 과제의 구체화를 통한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ㅇ 이와 같은 국내외 현황 분석을 토대로 향후 추진이 필요한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분야의 핵심전략을 ‘이머징 리스크 대응을 위한 환경보건 패러다임 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화학물질 관리기반 구축’의 두 가지 부문으로 설정함 ㅇ 주요 아젠다는 ‘유해인자 복잡화 대응을 위한 취약성 및 건강영향평가 체계 강화’, ‘수용체 관점에서의 환경보건 의사결정 및 환류 체계 구축’,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과정 복합 위해성평가 및 위해저감 체계 마련’, ‘화학물질 메타데이터 구축 및 안전관리 수단 디지털화를 위한 기반 마련’ 등으로 도출함 ㅇ ‘유해인자 복잡화 대응을 위한 취약성 및 건강영향평가 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환경유해인자 변화 및 신규 환경유해인자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와 ‘환경유해인자의 누적 노출 시나리오를 고려한 취약성 및 건강영향평가 체계 마련’을 제시함 ㅇ ‘수용체 관점에서의 환경보건 의사결정 및 환류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환경유해인자의 지역별 모니터링 기반 연구 주제 발굴 및 정책 활용 지원 체계 구체화’와 ‘환경보건 이슈 도출-정책 수립-성과 평가-개선 단계로 구성되는 탄력적 의사결정 및 환류 체계구축’을 정책과제로 제시함 ㅇ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과정 복합 위해성평가 및 위해저감 체계 마련’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전 과정에서 지속가능성 및 위해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체계 구축’과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한 화학물질 관련 환경기준 및 위해관리 체계 보완’을 정책과제로 제시함 ㅇ ‘화학물질 메타데이터 구축 및 안전관리 수단 디지털화를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과제로 ‘정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화학물질 및 화학사고 메타 자료 생산 및 관련 DB 고도화 방안 마련’과 ‘화학물질 분야 안전관리 수단의 디지털화 및 정책적 활용 방안 마련’을 제시함 Ⅰ.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 Background and significance ㅇ The accelerat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crisis threatens the survival of people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life. - The 2020 winter was the warmest on record and the climate crisis is intensifying with summers accompanied with the longest rainy seasons ever. -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d scale of climate disasters such as sea level rise, heat waves, typhoons, floods, and infectious diseases are expected to increase, and as a result, the economy, health, and environment will also be negatively affected. ㅇ Korea is the ninth largest emitter of greenhouse gases among all countries, and now is the time for us to make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ㅇ Currently, 137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have declared that they will go carbon neutral. ㅇ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accelerating pace of the response to the global climate crisis and effectively implement carbon neutrality policies, there is a need to derive mid- to long-term policy tasks and agendas and establish strategies to achieve them. □ Research purpose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policy trends related to climate and energy, atmospheric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health, identify problems and derive possible improvements, and propose mid- to long-term environmental policy tasks for each sector for the transition to a climate-proof society. Ⅱ. Medium and Long-Term Carbon Neutrality Tasks 1. Innovations and improvements of policies for energy transition □ Problems and solutions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use of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and construct a system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ㅇ Improving policies affecting the energy market - The current energy market has complex energy taxation, does not have a consistent tax rate, and does not reflect the cost of the wholesale market. -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retail of the electricity market. ㅇ Developing and expanding renewable energy technology - It is necessary to be prepared for problems of renewable energy expansion and to respond to the peak demand. ㅇ Social acceptability -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y to promote social engagement and just transition for vulnerable classes that may emerge during the energy transition process. □ Major agendas and policy ㅇ Market-based renewable energy expansion policy - Liberalizing the retail market partially by permitting the direct contract between generators and customers - Liberalizing the retail market completely to let market actors compete freely ㅇ Introducing real-time electricity pricing - Establishing a real-time market to enhance the stability of renewable energy and the power systems ㅇ Encouraging the local residents to use renewable energy more - Sharing the benefits from renewable energy with local people such 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Developing the regulation on the location of renewable power plants and shortening the process of obtaining a construction license ㅇ Strengthening the electricity network to guarantee power connection 2. Building the foundation for reduc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 □ Problems and policy solutions ㅇ Normalizing the carbon market and relaxing the regulations to improve the emission trading system ㅇ Decreasing the percentage of free allocation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major trading partner countries ㅇ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carbon taxe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 Policy tasks ㅇ Alleviating the regulation to promote the optimized decision making of companies and enhancing the transparency of the government’s market interruption - Abolishing the carry-forward restriction and improving the temporal flexibility - Applying the emission price to generation dispatch ㅇ Graduall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uction and stabilizing the emission price ㅇ Designing carbon tax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ubject, rate, existing energy taxation, and the use of tax revenue - Connecting the emission trading system and carbon tax - Utilizing the revenue from auction and carbon taxation for climate action fund 3. Constructing the integrated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system □ Background and necessity ㅇ Difficulty in pursuing the unified carbon policies due to the distributed governmental responsibilities ㅇ Necessity to strengthen the interconnectedness among different national strategies ㅇ Constructing and releasing the data and statistics related to greenhouse gases and climate change □ Policy tasks ㅇ Restructuring the governmental body for integrated climate policy governance - (Plan for large-scale integration) The Ministry of Climate, Environment, and Energy, (Plan for medium-scale integration) The Ministry of Climate and Energy, (Plan for small-scale integration) adding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policy to the plolicies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Adjusting the role of the 2050 Carbon Neutrality Committee ㅇ Raising the mutual consistency among climate-energy-atmosphere policies - Adjust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national plans in the medium-term and constructing the common control tower for the related policies ㅇ Establishing the data and statistics of climate and energy and maximizing the usability - Supporting the selection and establishment of necessary data - Constructing the Integrated Greenhouse Gas Data Portal for users’ accessibility and synergy - Providing the citizens with the carbon footprint calculation methodology and promote their participation Ⅲ. Medium and Long-Term Tasks for the Atmospheric Environment 1. Medium and long-term tasks for air quality management □ Implementation of current policy measures to achieve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ㅇ Efficient measures to reduce diverse precursors including NOx, SOx, VOCs, and ammonia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ㅇ There is a need to developing the local governance to better implementation of current air quality policies. ㅇ There is a need to simplify and clarify the current complex laws such as special laws on fine particle pollution, and special laws supporting regional air quality management. □ Developing ai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that take human health impacts into consideration ㅇ The national ai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need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population exposed to air pollution and the number of premature deaths. - Those policy also need to consider the aging of the domestic population. ㅇ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more regions for special regulation based on the vulnerable population exposed to higher levels of air pollution. -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 exposed to higher levels of air pollution is necessary to develop regional air quality management that takes human health into account. - Evaluation of long-term human exposure to HAPs on a regional basis is necessary, which can help set priorities when developing air pollution policies. ㅇ Needs for national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 National strategies to develop the indoor air purification technology and government investmen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lated devices/instruments for controlling indoor air pollution are necessary. □ Establishing policies for integrated air pollution management ㅇ Integrated assessment tools for air pollutants in general such as particulate matter, ozone, and HAPs need to be developed. - Air pollutants need to be managed comprehensively in the current policies including the Special Act on the Reduction and Management of Fine Dust and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Air Control Zones. - Improvements in governance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for the comprehensive air pollution management at the local level are required. ㅇ Developing policies on secondary air pollution - Enhanced accuracy of the national and regional inventories of air pollutants (CAPSS) is necessary. - Data construction based on regional measurements of air pollutants and precursors (VOCs, NOx, NH<sub>3</sub>) and information on the precursors contributing to secondary air pollution (PM and Ozone) are needed. ㅇ Developing a system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reenhouse gases and air pollutants -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oth greenhouse gases and air pollutants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co-benefits created by reducing air pollutants. □ Long-term policy measures based on global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ㅇ Long-term projections of national carbon neutrality policies, air quality management policies, and futur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are necessary. - The integrated assessment models need to be developed for national policies. ㅇ Long-term air quality management plan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future air quality projections. - Long-term policies to support air pollution management (such as PM, ozone, and precursors) based on the future projection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re needed. - Long-term policies to control VOCs emissions might be critical in reducing future potential ozone pollution. Ⅳ. Medium- and Long-Term Tasks for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s 1. Analysis of policy conditions for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s (health impact) related to climate crisis response □ Overseas climate change and chemicals policy trends ㅇ WHO Chemical roadmap - WHO has prepared a roadmap for the management of chemicals, including the health sector (health impacts), for 2020 and beyond. - The chemical management roadmap consists of risk reduction, knowledge and evidence, institutional capacity, leadership, and coordination. - The knowledge and evidence section covers climate crises or emerging issues (e.g. efforts to fill gaps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and actual risk assessment, including complex exposure to multiple chemicals; research on the link between climate change and 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health, etc) ㅇ EU Chemicals Strategy for Sustainability Towards a Toxic-free Environment - In line with the European Green Deal, the strategy strives for a toxic-free environment, where chemicals are produced and used in a way that maximizes their contribution to society including achieving the green and digital transition, while avoiding harm to the planet and to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chemicals towards a toxic-free environment consists of five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strategies. Among them, strategies suitable for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crisis, or the Green New Deal are reviewed. ㆍ Innovating for safe and sustainable EU chemicals, greening and digitalizing the production of chemicals, protecting people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combination effects of chemicals, improved availability of chemical data, a strengthened chemical science-policy interface ㅇ UNEP Chemicals, Wastes and Climate change: Interlinkages and potential for coordinated action - Climate change, hazardous chemicals, and waste are interconnected and interact in various fields, so it is suggested that the response should be planned taking the linkage between fields into account. - Various literatur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limate change can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hazardous chemical emissions, chemical fate, long-range transport, and chemical facilities. - In tasks to achieve sustainability, opportunities were sought to simultaneously address climate change and hazardous chemicals. □ Overseas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health (health impact) policy trends ㅇ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8-2023 strategic plan - In the strategic plan, detailed goals are presented under three themes: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promotion of transition, and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health through management and support. - The main sub-goals consistent with the content of this study are found to be complex exposure, data science and big data, evidence-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nvironmental health disparities and environmental justice, and emerging environmental health issues. ㅇ WHO health and climate action - Health and climate action should include policies to reduce emissions of pollutants that are harmful (e.g. black carbon, methane and ground ozone) to health by making changes in energy production and improving efficiency in renewable energy, sustainable transport, agriculture, industry and landfill management. ㅇ U.S. emergency and climate change response: the role of the environmental health professionals - In emergency and climate change response, information on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by topic, recommendations to reduce negative consequences,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health personnel were presented. 2. Review of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emerging risks □ Climate Change Response Laws and Policies ㅇ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limate Change Response - The provis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s specified in the Act are as follows: Article 7 (National Vision and National Strategy), Article 37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Climate Crisis, etc), Article 38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 According to the review, although the regulations include concepts such as environment and health, there are no specific provisions or measures, and it is necessary to link the regulations with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n the future. ㅇ The Thir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 Major task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are presented as ‘operating a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health service base’ and ‘establishing a safety net for the vulnerable and conducting research on protection projects’. - Although health damage due to climate change and prevention are included, projec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 substances are insufficient in the curr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s Law and Policies ㅇ Environmental Health Act - In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there are currently no specific details on climate change or environmental crisis, and legal basis needs to be prepared to prepare for emerging risks in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is. - Regulations identified as relevant to emerging risks in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es are Article 11 (Risk Assessment and Control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Factors) and Article 15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etc. of Environment-Related Harm to Health) ㅇ 3 Chemicals Acts - 3 Chemicals Acts are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Consumer Chemical Products and Biocides Safety Control Act. Currently, there is no legal basis in terms of climate change or environmental crisis. - The regulations reviewed a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crisis are as follows: Article 23 (Preparation and Submission of Pla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emical Accident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rticle 24 (Risk Assessment) of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rticle 8 (Risk Assessment) of the Consumer Chemical Products and Biocides Safety Control Act. ㅇ Status of task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is in the master plan for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 substances - In the comprehensive plan supporting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and the 3 Chemicals Acts, the tasks to be promoted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is are as follows: ㆍ Comprehensive Environmental Health Plan: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respond to health effects caused by climate change, establishing a preventive response system for environmental harmful factors, etc. ㆍ Basic plan for chemical management: promo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o respond to chemical accidents (2022~2025) ㆍ Basic plan for chemical substance evaluation, etc.: a plan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non-animal testing methods for chemical toxicity, promoting R&D such as hazard evaluation of consumer chemical products (mixture), exposure assessment technology, etc. (2020-2027) 3. Setting major agendas and policy directions □ Agenda in the sectors of environmental health and chemicals and midto long-term environmental policy tasks ㅇ The core strategy is set in two areas: ‘a paradigm shift in environmental health to respond to emerging risks’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managing chemical substances to respond to climate crisis.’ ㅇ The main agendas are set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vulnerability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system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hazardous factors,’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health decision-making and feedback system from the receptor point of view,’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nd risk reduction system for carbon neutrality and climate change response,’ ‘establishing chemical substance metadata and digitizing safety management measures.’ ㅇ Policy tasks for ‘strengthening the vulnerability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system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hazardous factors’ include ‘the enhance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new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vulnerability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cenario of cumulative exposure to environmental factors.’ ㅇ Policy tasks for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health decision-making and feedback system from the receptor point of view’ are ‘identifying regional monitoring-based research topics for environmental factors and developing a detailed support system for policy applications’ and ‘establishing a flexible decision-making and feedback system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phases: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issues, policy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ㅇ Policy tasks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nd risk reduction system for carbon neutrality and climate change response’ includ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comprehensively evaluate sustainability and changes in risks in the entire process of chemical substances’ and ‘improving environmental standards and risk management system for chemical substances to respond to climate crisis.’ ㅇ Policy tasks for ‘establishing chemical substance metadata and digitizing safety management measures’ include ‘produc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chemical accident metadata to support policy decision-making and developing plans to upgrade related database’ and ‘digitization of chemical safety measures and policy utilization of the digitized measures.’

      • Ensur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Ukraine

        Olha Oseredchuk,Mykola Mykhailichenko,Nataliia Rokosovyk,Olha Komar,Valentyna Bielikova,Oleh Plakhotnik,Oleksandr Kuchai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3 No.11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ducation in Ukraine, as an independent entity creates and ensures quality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which allow to properly implement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state, develop the economy and society as a whole.The purpose of the article: to reveal the crucial role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to create quality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show its mechanism as an independent entity that creates and ensures quality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and society as a whole. The mission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is to become a catalyst for positive change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a culture of its quality. The strategic goals of the National Agency are implemented in three main areas: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scientific results, ensuring the systemic impact of the National Agency.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exercises various powers, which can be divided into: regulatory, analytical, accreditation, control, communication.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for 2020 has been proved.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183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Ukraine conducted by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are shown. Emphasis was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l quality assurance system." The international activity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are shown.

      • Ensur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Ukraine

        Olha, Oseredchuk,Mykola, Mykhailichenko,Nataliia, Rokosovyk,Olha, Komar,Valentyna, Bielikova,Oleh, Plakhotnik,Oleksandr, Kuchai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2 No.12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ducation in Ukraine, as an independent entity creates and ensures quality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which allow to properly implement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state, develop the economy and society as a whole. The purpose of the article: to reveal the crucial role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to create quality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show its mechanism as an independent entity that creates and ensures quality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and society as a whole. The mission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is to become a catalyst for positive change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a culture of its quality. The strategic goals of the National Agency are implemented in three main areas: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scientific results, ensuring the systemic impact of the National Agency.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exercises various powers, which can be divided into: regulatory, analytical, accreditation, control, communi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for 2020 has been proved.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183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Ukraine conducted by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are shown. Emphasis was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l quality assurance system." The international activity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are shown.

      • KCI등재

        감사인 교체와 감사품질

        박종일,곽수근 韓國公認會計士會 2007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6 No.-

        Auditor change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both regulators and academics. The regulator's interests are due to a concern that auditor changes are motivated by management opportunism. In spite of this concern, academic research finds little or no evidence of opportunistically motivated auditor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or change and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s.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auditor changes. If there exist demands for high-quality audit service, it is possible that client firms change to high-quality auditors who lower the discretionary accruals from lower-quality auditors who allow higher level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However, if the client firms change auditors in order to manipulate accounting numbers more freely, it is possible that the former auditor is the auditor who provide higher quality audit service than the new auditor. As a result, the magnitude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would increase after the auditor change. With 2,762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over the period from year 2000 to 2005, we empirically test these predictions. The sample firms are all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Exchange, December year-end firms, and firms do not belong to banking industry. Among total sample, 332 firm-year observations are those who change auditors (i.e., auditor change sample) and the remaining 2,430 firm-year observations are those who do not change auditors (i.e., auditors no-change sample). The discretionary accruals are measured by using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Kothari et al. 2005).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auditor no-change sample, auditor change sample show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ositive (i.e., income-increasing) discretionary accruals at the last year with incumbent auditor. Second, the change of the magnitude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from the last year with former auditor and the first year with new auditor is significantly positive for the auditor change sample, compared with that of auditor no-change sample. The use of either modified Jones model or performance-matched model all yield qualitatively identical results. In summ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ient firms change auditors to more lenient one who allow the aggressive earnings management from more conservative auditors. This finding is also consistent with our conjecture that auditor changes are precipitated by managers who wish to leave auditors who pressure them into making conservation accounting choices. These findings could be provide valuable policy implications to the regulators who introduced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policy recently.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여하에 따라 재량적 발생액에 주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만일 차별적 감사수요가 존재하면 감사인 교체기업은 높은 품질의 감사인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전임 감사인의 지나친 보수성이 감사인 교체의 원인이라면 낮은 품질의 감사인을 선호할 수도 있다. 전자는 재량적 발생액이 억제될 것으로 예상되며, 후자는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법인 중 금융업을 제외한 최종표본 2,762개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중 감사인 교체표본은 332개 기업-연 자료이고, 대응표본인 감사인 비교체기업은 2,430개 기업-연 자료이다. 이익조정 측정치는 재량적 발생액(Dechow et al. 1995)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Kothari et al. 2005)이 모두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체기업과 비교할 때 감사인 교체기업은 감사인 교체연도에 유의한 양(+)의 재량적 발생액 값을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둘째, 감사인 교체기업은 비교체기업보다 감사인 교체 직전연도와 비교하여 교체연도에 재량적 발생액의 변화분이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량적 발생액 및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측정치 모두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상의 발견은 재량적 발생액에 영향을 주는 일정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감사인을 교체한 기업들은 감사인을 유지한 기업들보다 교체후 이익조정을 상향조정하거나 직전연도에 비하여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경험적 분석을 통해 감사인 교체기업들은 회계처리를 보다 공격적으로 수행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덜 보수적인 감사인을 고용함으로써 이를 실현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기관에게 2006년부터 도입된 감사인의 강제교체제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품질관리검토시간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

        송재원(Song, Jae-Won),김용식(Kim, Yong Shik)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8 No.2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상장회사의 연도별 자료 4,580개를 표본으로 품질관 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 그리고 감사보수와 경영자 교체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감사인 교체직전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이 높을수록 감사인 교체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인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감사보수를 상호 작용변수로 추가하여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교체사이의 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감사보수는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교체사이의 관련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보수가 크면 클수록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을 약화시켰으며 이는 감사보수가 크면 클수록 감사인의 독립성이 약화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감사인 교체현상과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선행 연구된 경영자 교체를 상호작용변수로 추가하여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 결과, 경영자 교체는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임경영자는 협조적인 감사인을 선호함으로써 경영자 교체가 발생한 경우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과 감사인 교체사이의 관련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공헌점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14년도 외감법 개정으로 공시되는 ‘외부 감사실시내용’ 자료를 이용한 실증연구의 외연을 넓히는데 기여 하였으며 과다한 감사보수를 지급하는 회사와 신임 경영자가 감사인을 교체하는 회사의 경우 정부감독당국에서 회계감독을 더 강화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s 4,580 annual data from domestic listed companies from 2014 to 2016 and demonstr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on effect of audit fee and CEO turnover.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s that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before the auditor change is high and the higher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the more likely it is to change auditors. Meanwhil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by adding the moderating variable of audit fee that is expected to affect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shows that the audit fee i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arger the audit fee is, the weaker is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by adding the moderating variable of CEO turnover that has been studied in advance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uditor change shows tha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EO turnov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It is interpreted that in the event of the CEO turn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the auditor change is strengthened because the new CEO wants to prefers a cooperative auditor. The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presented by this study include: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regul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supervising companies with excessive audit fee contracts and companies with auditors change by the new CEO. And this study contributes to widen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 KCI등재

        파트너 강제교체제도와 감사품질 향상에 대한 실증분석

        이상호,이용규,박경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6

        Under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there is a rule about mandatory rotation of audit partner. The rule prohibits audit partners who have performed audit services for consecutive three years from providing additional audit work for next three years in order to prevent the violation of independence caused by the collusion between audit partners and audit clients. However, the adoption of this rule raises some questions. First, mandatory audit partner rotation has the possibility of audit failure due to the auditor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auditees’ operation. In addition, the rule raises question as to the inequities between Big 4 and Non-Big 4 auditors. Non-Big 4 can be exposed to more risk factors caused by audit partner rotation because they are smaller and have lower market shares than Big4 audit firms which allied with the foreign audit firm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mandatory rotation of audit partner really improves audit quality through higher auditor indepen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audit partners are mandatorily rotated, the audit quality is improved than before. However, when we compare the results after dividing the sample of audit partner rotated firms into two groups: audit partner rotation in the same audit firms and audit partner rotation caused by audit firms change, we cannot find any difference in audit quality between after and before mandatory audit partner rotation in the sample of audit partner rotation in the same audit firm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dit partner rotation caused by audit firms change, audit quality after audit partner change is higher than audit quality before audit partner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by mandatory audit partner rota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effect of audit firms change. Second,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before and after audit quality of auditor partner rotated fir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ig 4 audit firms or non-Big 4 audit firms. The results show that audit quality between after audit quality and before audit qualit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ig 4 audit firms or non-Big4 audit firms. In addition, when we test the difference in audit quality by dividing the sample into the audit partner rotation in the same audit firms and audit partner rotation caused by audit firms changes,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 quality between Big 4 audit firms and non-Big 4 audit firm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 of mandatory rotation of audit partners in the same audit firms. The prior studies about the effect of mandatory auditor change do not investigate the audit partner rotation in the same audit firm. As the name of the audit engagement partner, unlike the name of audit firm, is not publicly disclosed on audit reports in Korea, it is difficult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 partner rotation rul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vers 5,897 firm-years from 2005 to 2011 by combining Korean Security Exchange(KSE) market firms and the KOSDAQ market firm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lso have major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ose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mandatory audit partner rotation.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서는 회계법인에 소속되어 있는 파트너와 피감사기업의 유착으로 독립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이사의 연속감사업무를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피감사기업의 사정과 위험을 잘 이해하고 있는 파트너가 3년마다 교체됨으로써 전문성 결여에 따른 감사실패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Big4 회계법인에 비해서 회사의 규모가 작고 시장점유율이 낮은 중소형 회계법인의 경우에는 파트너의 교체에 따른 부담과 위험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어서 제도의 불공평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독립성 강화를 위한 강제교체제도가 정말로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트너가 강제교체된 기업의 경우, 파트너 교체 후에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제교체표본을 동일회계법인 내에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와 회계법인의 변경으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회계법인 내에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에는 교체 전과 후의 감사품질에 차이가 없었으나, 회계법인의 변경으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에는 교체 후의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파트너 강제교체로 인한 감사품질의 향상은 동일회계법인 내의 파트너 교체보다는 회계법인 변경으로 인한 파트너 교체가 전체적인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파트너를 강제교체한 기업의 경우, 파트너 교체 전과 후의 감사품질이 Big4 회계법인과 Non-Big4 회계법인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그룹 사이의 감사품질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제교체표본을 동일회계법인 내에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와 회계법인의 변경으로 파트너가 교체된 경우로 구분한 경우에도 두 그룹 모두에서 Big4 회계법인과 Non-Big4 회계법인 사이에 파트너 교체에 따른 감사품질에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