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한 문제중심학습(PBL)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김대들,이병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at mechanical design subject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n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 career decision typ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between the groups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lecture teaching, I compared the average value of key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applies Problem based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applied lecture group. Therefore in improving of key competencies, the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e lec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after comparing the high level with the low level group which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group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group.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conduct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factors the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student’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comparing the group which decide to get a job with that decide to go to college in the group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those two groups.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perform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matters that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career decision type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인 문제중심학습(PBL)을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하여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이 교수․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학업 성취 수준과 진로 결정 유형을 배경 변인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방법과 직업기초능력’, ‘학업 성취 수준과 직업기초능력’, ‘진로 결정 유형과직업기초능력’ 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설계과목이 학교 교육과정에 편성된 OO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개반 86명의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8주 동안 각 반별로 6차시씩 총 24차시의 수업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강의식 수업 보다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중 문제해결능력과 수리능력에서 문제중심학습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정도의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 성취 수준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 수준과 관계없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의 향상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 결정 유형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과 상관없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PBL 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 개발 및 적용

        은태욱,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whole-brain-learning approach applied model on problem-based learning as effective instruction in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methods of research divided into step of analysis, development, application are as follows:First, the analysis step was derived linkages of PBL and whole-brain-learning through analysis of the whole-brain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PBL. Second, in the development phase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problem-based learning and whole-brain-learning how to integrate technical subject and set the standard applicable in the course of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s specific whole-brain development was how to develop. After conceptualization model of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sis and search process. And by subdividing each step learning process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model has been completed. The validity of completed model was performed by the expert group Third, in the application phase, whole-brain-learning approach applied model on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was applied to class of automation-equipment subject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수업방법인 PBL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분석, 개발, 적용의 단계로 나뉘며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전뇌교육 관련 문헌 분석 및 PBL 분석을 통해 PBL과 전뇌학습의 연계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개발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기반 학습과 전뇌학습의 통합적인 접근 방법의 기준을 설정하여 전문교과 수업에 적용 가능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의 구체적인 개발 방법을 탐색하였다. 분석과 탐색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재구성하여 문제기반 전뇌학습의 개념화 모형을 만든 후 각 단계별 학습과정을 세분화 하여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형은 전문가 집단의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셋째, 적용 단계에서는 개발된 PBL 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동화설비 수업에 적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회계학 교육에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 방식 적용사례

        최미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7 No.2

        [Purpose]PBL(Problem-Based Learning) is appropriate for business education emphasiz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reality. PBL is a learner-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where learners acquire relevant knowledge in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in teams. [Methodology]This case study shows how an innovative learning method, PBL could be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different academic programs. This study introduces PBL cases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Korean at undergraduate programs at B university. [Findings]The detailed description of critical factors of PBL, problems creation, team cre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 is provided based on several years’ in-class experience. [Implications]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PBL to be effective in terms of activ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ey success factors when applying PBL is provided in this paper and the paper also addresses some limitations of the PBL approach. [연구목적]본 연구는 학생중심 교수법으로 알려진 PBL방법론을 중급회계 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PBL(Problem-Based Learning)은 구조화되지 않은 특정의 문제를 학습자들이 팀별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해 나가는 학습자 주도 협동학습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기업의 현실문제 해결능력을 중요시 하는 경영학 교육에 필요시 되는 적절한 학습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방법]본 사례는 B대학교의 중급회계 교과목의 학부과정 한국어 강의에 적용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PBL교수법의 핵심적인 성공 요소인 문제개발, 팀구성, 진행 및 평가의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수업적용사례 및 전문가컨설팅에 기초하여 제시한다. [연구결과]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주제와 많은 양을 다루어야하는 중급회계수업에서도 주제에 따라 또는 수강자의 수강목적 및 특성에 따라 PBL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학습효과를 산출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문제개발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후속 수업적용사례 및 연구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의 주요 기여도 중의 하나이다. 본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들을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BL방법론을 다른 학습법과 병행 적용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회계교육 효과 향상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재무회계학 교육에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방식 도입 사례

        최미화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3

        [Purpose]PBL(Problem-Based Learning) is appropriate for business education emphasiz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reality. PBL is a learner-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where learners acquire relevant knowledge in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in teams. [Methodology]This case study shows how an innovative learning method, PBL could be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different academic programs. This study introduces PBL cases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Korean at undergraduate programs at B University. [Findings]The detailed description of critical factors of PBL, problems creation, team cre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 is provided based on several years’ in-class experience.It implies that bette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ill lead to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accounting courses based on the PBL approach.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mplications]The detailed description of key success factors when applying PBL is provided in this paper and the paper also addresses some limitations of the PBL approach. [연구목적]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법으로 알려진 PBL방법론을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PBL방법론의 수업적용을 통해 PBL방법론에서 지향하는 자기주도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이러한 능력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PBL은 비구조화 된 특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필요한 지식을 습득해 나가는 학습자주도 학습법으로 B대학교의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의 학부과정 강의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PBL방법론의 핵심적인 성공 요소인 문제개발, 팀구성, 수업진행 및 평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문가컨설팅에 기초한 수업적용사례를 제시하며 수업진행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정도 및 이를 통한 PBL수업효과와 학업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한다. [연구결과]PBL 수행 이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이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3요인 중 2요인(학습계획, 학습실행), 문제해결능력 5요인 중 3요인(문제명료화, 대안개발, 수행평가)이 학습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많은 주제와 학습양을 다루어야하는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수업에서도 주제에 따라 또는 수강자의 수강목적 및 특성에 따라 PBL방법론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선행연구들은 원가관리회계 교과목 관련을 주로 다루었으나,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에서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고, PBL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요인인 수업에서 개발한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PBL수업의 시도를 위한 연구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PBL수업진행 후,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친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PBL수업의 실제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PBL에서 문제특성이 PBL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노혜란(Roh, Hyela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에서 PBL 문제특성이 PBL의 주요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A대학교에서 운영한 PBL 12개 강좌를 수강한 4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효한 응답자 총 218명에 대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문제특성 중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을 제외한 문제분석 및 계획, 팀학습, 해결안도출, 성찰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 문제특성 중 ‘실제성’은 5가지 모든 학습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BL 문제특성 중 ‘주제통합성’은 PBL의 학습활동 중에서 팀학습을 제외한 4가지 학습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첫째, PBL에서 문제를 개발할 때 ‘실제성’이 중요한 문제특성임을 시사하며, 둘째,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보다는 팀학습과, ‘주제통합성’은 팀학습보다는 개인학습과 더욱 관련된 문제특성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BL((Problem Based Learning) problem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arning activities of PBL in university’PBL. For this stud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400 students who took 12 PBL subjects at A University. A total of 218 valid respondents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thinking promot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team learning’, ‘solution derivation’, and ‘reflection’ except ‘individual learning’.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realistic’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ive learning activities.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subject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our learning activities except ‘team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 ‘realistic’ is an important problem characteristic in developing problems in PBL, second, ‘thinking promotion’ is related to ‘team learning’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and ‘subject integration’ is related to ‘individual learning’ rather than ‘team learning’.

      • KCI등재

        PBL(문제중심학습)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하오선(Ha, Ohsun),정주원(Jung, Joo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갖춰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PBL을 적용한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교에 개설된 PBL 적용‘소비자의사결정’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PBL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작성한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경험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BL 수업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어 PBL 수업의 긍정적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성찰일지에서 학습자는 PBL 수업을 통해 실제적인 문제해결과정과 적용에 대한 성취감을 얻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방법과 효과를 직접적으로 체험하며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시대적 변화에 요구되는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해 PBL 수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개발되어 체계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emphasized as important competenc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classes apply problem-based learning (PBL),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targeted 26 students who enrolled in PBL-applied ‘Consumer Decision Making’ classes at D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BL classes, so 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BL classes. Furthermore, it analyz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students’ reflection logs. As a result, the PBL class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verifying their the positive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flection log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gaine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actual problem-solv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through the PBL classes, and acquired confidence by directly experiencing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and the resultant effects. This result shows that PBL classes need to be operated systematically after being developed and applied into various fields in order to strengthen learners’ capacity building as required in these changing times.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문제 개발 사례 분석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한 문제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문제에 대한 학습자 평가 등을 종합, 분석하여 PBL 활용 글쓰기 문제를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을 살펴보는 데 있다. PBL을 대학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그런데 대학 글쓰기 교재에는 PBL 활용 글쓰기 문제가 없고, 연구 논저에서도 문제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PBL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분야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의 개발 과정은 ‘교과목 학습 목표와 내용 선택→학습자 특성 파악→학습 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의 주제 선정→문제 초안 작성→(필요시) 학습 지원 자료 준비→문제 작성→문제 타당성 점검’이다. 그리고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는 ‘비구조성, 실제성, 복잡성, 학습자 관련성, 교육과정에 근간을 둠, 활동의 명확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얻은 의견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문제 개발을 위해 유의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blems us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analyze learners’ assessments of these problems, and to determine what to pay attention to when developing writing problems using PBL. The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gained thr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BL is tremendous. However, there are no writing problems that use PBL in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so it is difficult to find problem development processes in statement wri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problems using PBL is as follows: choosing subject learning goals and contents → understanding learner characteristics → choosing a topic of practical contex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 writing a problem draft → (when needed) preparing study support material → problem making → examining problem validity. Additionally, writing problems using PBL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non-structural, practical, complex, related to the learner, based on educational courses, and clear in ac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learners to obtain their assessments of problems. The collected opinions were analyzed, and matters that need attention for problem development were highlighted.

      •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강지혜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odel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students felt. This study initiate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rom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the scenario was modified. The proble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ge activity (problem analysis, PBL class suitability judgment, contents analysis, learner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PBL operating environment decision, PBL class) and Strategic Design (problem situation design, learning resource design, Facilitation design, operational strategy design, evaluation design, PBL operating environment design). Based on the initial scenario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oblem - based learning through learners’ reflective diarie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ere improved in the first PBL problem situation, and the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as utilized.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the first problem-based learning and students' opinions about modification will be used for the second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course design.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PBL course development and expects further application and research.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임정훈(Leem Jungh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 문제를 적용하여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을 혼합한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실제로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부천시 소재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6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문재중심학습 전략을 수립한 뒤, 학습 계획서와 지도안 작성, 온라인 학습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 개설, 문제중심학습 실행, 성찰 노트와 만족도 검사, 개별 심층 면접의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는 문제중심학습에 적합한 문제로 확인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 및 개별 면접 결과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활동에 대한 사전 훈련, 교사들의 다양한 문제 개발을 위한 노력, 협동 및 협력, 온라인 토론 기회의 제공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blem' appropriate for problem-based learning and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on 42 studen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er developed 'problem' for problem-based learning with textbooks for the 6th grade, established strategies bas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y. Next, researcher implement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community site for on-line learning. After finishing instruction,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lection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as a appropriate problem for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total satisfaction score was 3.81. General satisfaction score was 3.84, and satisfaction score about education effect was 3.79. Third,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view and reflection notes,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each other, utilized information resources effectively, and kept learning motivation during offline and online learning. Furthermore, they kept try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for cooperative learning in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can be implemented usefully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For better instruction, pre training as to learner roles for problem-based learning, reorganizing curriculum to reduce student's learning load,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online discuss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고전문학 수업에서 PBL의 적용 - 시나리오 작성을 중심으로 -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이 논문은 PBL을 고전문학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PBL이란 Problem Based Learning의 약자로 문제중심학습을 일컫는다. 즉 학습자에게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 학습자는 그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공 지식을 활용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이다. 이러한 PBL은 처음 의과대학에서 출발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 상황은 이전의 경험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상승되게 되자 이후 PBL은 다양한 전공으로 확장되었고 이제는 인문학으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 되었다.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떻게 문제해결을 하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고전문학은 이론 중심의 교과목이기 때문에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여의치 않고, 그것의 결과로 문제 해결과정과 학습의 연결도 여의치 않다. 요컨대 시나리오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의 문제가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難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전문학의 PBL 시나리오 작성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경험이 아닌 상황의 假定을 기반으로 작성되는 고전문학 PBL 시나리오는 그 방식에 따라 현실을 기반으로 응용한 사례, 흥미유발에 기초한 사례, 미래의 직업을 예측한 사례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시나리오는 PBL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유무나 학년 등에 따라 내용 구성이 다르다. 이는 시나리오를 작성 할 때 학습자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로써 PBL이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참여 및 학문의 실용성을 높이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PBL refers to problem-oriented learning; in other words, learners are presented with problems that they need to solve. In this process, learning occurs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of majors; this is a learner-centric way of learning. PBL was first established in medical schools. In addition, the problems presented to learners targeted their previous experiences. As a result,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creased; since then, PBL has expanded to various majors, including the humanities.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that occurs when utiliz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is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learners can learn by solving problems a classical literature is a theory-based subject. Therefore,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present relevant problems; as a resul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learning. In short, the issue of creating scenario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process of us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Thus, this paper discussed way in which scenarios could be created to establish PBL for l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three ways to create classical literature PBL scenarios based on a hypothesis of circumstances, not experience: application based on reality; examples based on interest; and examples predicting future jobs. In addition, the three scenarios differ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content,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with PBL or their grade level. This indicates that different aspects of a learner"s skill se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reating scenarios. Conversely, this study is based on actual class examples. It considers PBL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increased practicality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