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윤리 관점의 성평등한 아동돌봄정책: 덴마크 소셜 페다고지

        백경흔 한국사회정책학회 2022 한국사회정책 Vol.29 No.3

        Although the existing child care policy researches are centered on de-familiarization concept, this study approaches from an ethical perspective. As an example of the ethical care policy, we introduces Danish social pedagogy. Among Germany, the UK and Denmark, Denmark shows the best gender equality with the highest employment rate and the lowest part-time employment rate of women with children while prioritizing de-familiarization policy with the the highest registration rate of child care institutions, the lowest proportion of informal care and a parental leave system that supplements familiarization policie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Danish social pedagogy are as follows. First, Denmark not only promotes individual development of children as an autonomous human being, but also integrates them into society as a democratic citizen. Second, the rights to care of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re guaranteed. Third, Denmark guarantees a triangular care system that involves complex social relations, rather than bilateral relations. Fourth, overcoming the prototype of motherhood, care is institutionalized as a new profession with the possibility of de-genderization and responds comprehensively without hierarchical segmentation. Finally, policies are implemented to guarantee the right to care for all citizen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policy are presented. 기존 아동돌봄정책 논의는 탈가족화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는 윤리적, 철학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접근한다. 윤리적 돌봄의 예로 소셜 페다고지를 제도적으로 실천하는 덴마크 사례를 분석한다. 덴마크는 독일, 영국과 비교해 유자녀 여성 고용률이 제일 높고, 시간제 고용도 제일 낮아 고용이 성평등하며, 아동돌봄 기관 등록률이 높고, 비공식 돌봄 비중이 매우 낮고, 육아휴직 등 가족화 정책은 보완 역할을 하는 탈가족화 우선형이다. 돌봄윤리의 규범적 원칙에 따라 소셜 페다고지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덴마크는 아동을 보호, 관리 대상이나 규율, 훈육의 대상이 아니라 자율적 주체로서 개인의 발달을 도모할 뿐 아니라 민주적 시민으로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아동, 부모, 교사의 돌봄권이 보장되고 있다. 셋째, 덴마크는 양자관계가 아닌 복합적 사회관계가 개입된 삼각화 된 돌봄제도를 보장하고 있고, 넷째, 엄마 일의 원형을 극복하고, 탈성별화 된 가능성을 가진 제3의 새로운 전문적 실천으로서 제도화되고 있으며, 위계적 분절화 없이 아동에게 필요한 돌봄에 전체적 접근으로 통합적 대응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8세 미만 아동에 대한 모든 시민 아동을 위한 돌봄권 보장 관점에서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해서 한국 정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배려 중심의 홀리스틱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

        송민영(Song, Min Yo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논문에서는 현 사회적인 상황과 함께 그 의미가 한층 중요시되고 있는 배려교육론과 그의 실천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Noddings의 배려교육론에 대해 '배려 실천으로서의 교육, 배려 윤리와 교사의 역할, 배려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 구조와 배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홀리스틱 교육과 교수-학습 방법, 배려와 홀리스틱 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홀리스틱 배려의 특징으로 '전심, 동기부여의 전이, 배려 받는 측에서의 응답'에 대해 제시하고, 배려하는 교사의 조건으로 '포용'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즉 홀리스틱 교육에서 제시하는 세 가지 키워드, ‘관계성(connection)’ '조화(balance)'와 '포용․통합성(inclusiveness)'을 갖고 홀리스틱 교육과 배려가 추구하는 교육의 방향의 유사성을 설명하였다. 셋째, 배려 중심의 홀리스틱 수업방법으로 Noddings가 배려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모델링(modeling)과 대화(dialogue)의 기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NLP(신경언어프로그래밍: Neuro-Linguistic Programming) 기법을 활용한 모델링 수업 및 홀리스틱 임상교육(臨床敎育)'을 활용한 실천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Caring is raised by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holistic education by one of the most basic time with a recovery of continuing and spirit. The North American philosophy in education person taking charge of an edit commissioner on “Holistic Education Review(To change to Encounter from 1998.)” paper by the 1st person of ‘Caring pedagogy’, too proposes correcting scholastic in general and an educational existence system fundamentally by the point of view by which Nel Noddings calls you Caring and reorganizing education as practice of Caring. By writing, present, Caring where its meaning is esteemed further as well as the social situation, I searched to educational theory and his practice casting plan. Its meaning as well as the present social situation searched more this manuscripts to esteemed caring educational theory and the practice casting plan. First, it was checked to curriculum of education as caring practice, caring ethics, th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caring center to caring educational theory of Nel Noddings. The second was analyzed to holistic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caring, the condition(inclusion) of the teacher who makes professor learning method, the condition of the caring as relationship and the caring(devotion, move of motive giving and reply on the side where care is received) and the care holistic education. Thirdly, the practice method for which NLP technique, image work and holistic clinical education' were utilized to holistic class way and a case in the caring center where a modeling and a dialogue were utilized.

      • KCI등재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 개념과 교육적 담론의 복원

        이주호 ( Ju Ho Lee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포스트모던 철학자 푸코의 근대 계몽주의 비판은 근대에 뿌리를 둔 교육학에 심각한 도전이다. 이에 푸코를 수용한 교육 및 학교 비판론은 대체로 근대 교육학의 기본 가정들을 흔듦으로써 비관적이고 자기 파괴적인 교육담론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푸코의 입장에 대한 수용은 대체로 그의 초기 철학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아이디어들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훈육적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 푸코의 주장은 교육적 가능성 및 인간상의 전제들을 부정할 정도이다. 하지만 푸코가 후기 저작, 특히 『성의 역사』에서 전개한 사상적 변모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인간관을 보여준다. 여기서 ‘윤리적 주체화’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자기배려’(Le souci de soi) 개념은 푸코 스스로 무너뜨린 근대 교육적 담론을 복원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주며, 그로부터 도덕 교육론적 시사점과 같은 교육 실천적 지침도 도출할 수 있다.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특징인 학교교육은 자기배려의 사회적 성격과 부합하며, 교사가 학생들의 발달의 모델로서 자기배려를 촉진시키는 타인의 역할을 가진다는 점에서 자기배려는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다. The critics against modern enlightenment by Michel Foucault as postmodern philosopher is an severe assault on the education based upon the modern order. Therefore, the most of the critical papers which were inspired from Foucault`s social criticism have led pessimistic and self-destructive educational discourse by shaking the fundamental assumptions of modern pedagogy. This acceptance of Foucault`s Perspectives seems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various ideas of his early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disciplined subject concept of Foucault and its implications goes so far as to cause destruction all the premises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a desirable human character. But if we investigate the transfiguration process of his thought which came out in his late work, especially 『Sex and History(Hisoire de la sexualite)』(1976~1984), we can make sure that there he is presenting the autonomous and active human being. From the concept ``self-care(Le souci de soi)``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subject``, we can also restore the modern educational discourse and draw an educational practical guideline such as moral education. Firstly, as schooling is managed basically by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it accords with the social character of self-care. Secondly, teachers are role models for students and take a role as ``others`` to facilitate self-care of students.

      • KCI등재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의 도전

        김유곤(Yug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와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와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 연결과 공유, 개별 맞춤형, 체험과 실감을 중심으로

        양성진(Sung-Jin Y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1

        본 논문은 교육과 기술이 융합된 에듀테크(EduTech)의 특성과 방향을 규명하며,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할 것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을 세 가지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분석한다. 첫째,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과 지능형 에듀테크 플랫폼은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지닌 에듀테크이다. 둘째, 학습 분석과 학습 지원 시스템은 학습자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대안을 제안하는 개별화 맞춤형 에듀테크이다. 셋째, 가상․증강현실과 메타버스의 기술은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더욱 실감나게 체험하는 에듀테크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에 따라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한다. 첫째,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가진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거시적인 접근에서 연결과 공유의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가정, 학교, 신앙공동체, 지역사회, 가상세계가 연결과 공유하여 하나님 나라 백성을 양성한다. 둘째,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미시적인 접근에서 개별 맞춤화 돌봄 교육이다. 지식과 정보의 단순한 가르침을 넘어서서 목회적 돌봄으로 양육하는 것이다. 셋째, 체험과 실감의 시스템을 갖춘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체험과 실감의 이야기 교육이다. 이야기는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한다. 특별히 이야기 교육의 변증법적 해석과 상상력은 개인의 이야기, 신앙공동체의 이야기, 경전의 이야기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하며,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which combines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in three technical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at EduTech has the value of connecting and sharing based on technology of cloud-based platforms and intelligent EduTech platforms. Secondly, Edutech enables the learners to experience an individualized customized learning that proposes alternative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learners with learning analytics and learning support system. Lastly, EduTech allows learners to engage in real and virtual worlds more realistically based on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nd Metaverse.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duTech. Fir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needs to form a Christian education ecosystem that entails connection and sharing in a macroscopic approach. Families, schools, faith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and the virtual worlds connect and share with each other to nurture the people of God. Second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enables learners to experience personalized care education in a microscopic approach. It means nurturing with pastoral care which goes beyond teaching. La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pursuing vivid experience and realization, needs to approaches it with narrative pedagogies. Stories connect and bulid the Christian educational ecosystem. In particular, dialectical interpretation and imagination in narrative pedagogies connect individual stories, stories of a faith community, and stories of scriptures, allowing them to connect, share, and experience each other vividl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に紹介された欧米教育学説における「体育」の扱い方

        中野浩一(Nakano Koichi),李吉魯(Lee GilR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1

        1868년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은 서양의 진보주의에 기초하여 주로 구미의 사상과 과학의 도입에 역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일본의 교육학은 서양교육학설의 영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일본에 소개된 구미교육학설의 번역서와 일본인들에 의해 집필된 도서를 연대순으로 정리해 봄으로서 ‘체육’에 대한 언급의 유무, 그리고 그에 관한 추이와 개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체육’에 대해 번역교육서에서 언급의 유무를 검토한 결과, 1870∼90년대에는 체육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으나 1900년대 이후에는 극도로 감소하였다. 1870∼80년대에는 신체교육의 의미로서 언급되어졌고 1890년대에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900년대 이후에는 신체교육의 의미로서의 체육에 대한 언급이 극히 소수에 한정되어졌다. 1890년대부터는 신체보호로서의 의미가, 1900년대 이후에는 운동교육으로서의 의미가 사용되어졌다.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Japan attempted to introduce physical education. This paper establishes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educational translation books,” the Western educational theory books that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compares the books with reference/non-reference to the term physical education; and provides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concepts of the term. The examination of the number of references concerning physical education in educational translation books shows that, while the term is referred to in books written during 1870∼1890, it is seldom referred to after 1900. In a continued examination of the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only the education of the body can be seen in the books from 1870∼1880, and reference to it gradually decreases in 1890, with a drastic decrease in the early 1900s. References to the care of the body can be seen in the books after the 1890s, and few references to educ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are seen after the early 19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