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일본문학 교육의 현상과 전망 -온라인 교육의 특성과 이를 활용한 일본문학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연정 ( Yeon Ju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8 외국어교육연구 Vol.22 No.2

        2000年11月30日、學士課程7ヶ校、專門學士2ヶ校のサイバ―大學の設置が認められて以來、その數は17ヶ校に至ることになっており、2007年4月1日の時点において在學生と卒業生を合わせると十万人に達する時代を迎えることになった。サイバ―大學の短期間の量的な面での發展はこれからのオンライン敎育に對するもっと多い潛在的な需要が期待できるようにしてくれる。17ヶ校のサイバ―大學には122の學科が設置されており、その內、日本との關連がある學科が開設されている大學は6ヶ校であった。學科名は日本學科、日本語學科、實用外國語學科などであった。今度の硏究では、Kサイバ―大學の日本文學と飜驛練習という授業を通して講義の運營の現象を探ってみることができた。この考察を踏まえてこれからのオンライン上での日本文學の敎育は、一、動畵を中心としたこれまでの畵一的な敎育方法から脫すること、二、相互作用において開放された構造への變化を進めること、三、學習者の便宜性を用意すること、四、より素早い最新情報の收められる活發な授業空間に生まれ變え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を提案するところである。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esent and future of online Japanese literature education. November 30, 2000, nine schools have been authorized the installation of cyber universities. And April 1st, 2007, the number of students and graduates are more than 100,000 people. Expansion of the quantity of short time would be expected to more potential demand. There are 122 departments of 17 cyber universities, and 6 cyber universities have Japan or Japanese studies. This research is studied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an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future online Japanese literature education. The education through the cyber space will bring remarkable changes and benefits. In this paper we suggest four advices to improve online Japanese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현행 영어교육과 영문학 : 코로나 이후 온라인 토론 영미시 수업

        장선영(Seon Young Jang)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0 영미문학교육 Vol.24 No.3

        This essay firs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s official plan-Subject Pedagogy (25~35%) and Subject Contents (75~65%), and the reality of Teacher Appointment Exam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Pedagogy and Contents in English subject. Not only questioning the difference, it also disputes the validity of giving a large portion of the test to the area of English Education to the extent of 47.5% (2016-17), among English Education, Linguistics,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Second, commenting on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which constitutes the lowest percentage in Teacher Appointment Exam, it contends that the present situation of English education leans too much to the education for profit or economic growth. It points out that excessive concentration on the education for profit in teaching English could result in the lowering of English proficiency, especially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its accompanying thinking ability. Therefore, this essay pronounces on the necessity of invigorating English literature in EFL learning process since English literature as coupling English language and the humanities is crucial i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human compassion, as well as English proficiency. As a case study of English literature class for boosting students’ creativity and human compassion, it introduces English & American poetry class practiced with online discussion which was actualized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Lastly, this essay proposes the reform of English Teacher Appointment Exam such as making questions out of the selected must-read books so that teacher candidates could read English literature texts and collaborate in forming creative and interactive classroom environment with poems, novels, and drama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온라인 수업에서 소통하고 성장하기 - 교양 문학수업의 한 사례

        박수정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실천연구 Vol.5 No.1

        이 글은 필자가 부산 소재의 한 4년제 대학에서 2020년도 2학기 교양 문학수업을 온라인으로 운영하면서 겪은 시행착오와 성과에 대한 성찰의 기록이다. <문학이론과 감상> 과목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학 생활화’, 즉 문학 작품의 일상적 ‘향유’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이론에 대한 지식보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수업 설계에서 텍스트의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과 관점과 접근 자체가 달라야 하지만 급하게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교육목표와 작품 선정은 그대로 두고 방법론적 차원에서 온라인의 특성을 반영했다. 문학수업의 기본적인 활동인 텍스트 읽기, 이해와 분석, 토론, 글쓰기 중 텍스트 강독에 동영상 강의의 상당 부분을 할애하였고, 토론은 과제 형식의 텍스트 기반 토론으로 진행되었으며 이것은 자연스럽게 글쓰기 활동으로 이어졌다. 토론 과제는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활발한 소통을 일으켜 라포를 형성하고, 학생들은 문학 텍스트뿐 아니라 자신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생 주도 학습이 부족했던 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mistakes and accomplishments in an online literature course, opened for the second semester 2020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e ultimate objective of “Literary Theories and Works” was to encourage students to enjoy literary works in their everyday liv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is course, my primary concern was to choose the right literary texts for students since they would need aesthetic competence to read literary works rather than knowledge of literary theories. An online course is supposed to have views and approaches differentiated from an offline one. However, I had no other choice than to use the same class objectives and literary texts and to adopt a few methodological skills for online education when I was forced to transfer the prior offline course to a new online one under the circumstance of COVID-19. I spent much time citing lines from a literary work in lecture videos and required my students to answer two or three follow-up questions as a discussion assignment each week. I could interact with my students and build rapport with them through their writing and my feedback. The students could present their opinions about literary works and speak themselves: they all grew up through this course. On the other hand, this online course provided them with littl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eer students and to lead their own learning, which should be improved hereafter.

      • KCI등재

        온라인 중국어문 교육 콘텐츠 제작과 협업- 협업 플랫폼을 중심으로 -

        박정원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2

        Data sharing and collaboration are being activ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platforms. Data sharing can be said to be a condition that guarantees the utility and scalabili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if a large number of users can perform certain tasks through collaboration beyond sharing, more efficiency can be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time to perform tasks can be drastically reduced. In addition,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can be produced b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on a collaboration platform. Through this, not only the excellence of production but also the synergy effect through collaboration can be obtained. Using a collaboration platform can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cooperative content. Active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secur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sharing and collaboration, which are disadvantages of installing in the form of an app on a PC, and present a strategy to utilize online collaboration tools. When using the up platform, educators can directly create, share, and collaborate web-based content by logging in to the online web. Instantly, educational content can be serviced without a separate upload operation. Specifically, a strategy for using it in Chinese education was presented by classifying it into a document-based collaboration platform (Notion, Nuclino), a timeline-based collaboration platform (Sutori), and a board-based collaboration platform (Milanote, Padlet). The use of a collaborative platform absolutely saves time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of delivering and sharing information or data. If the collaboration platform is combined with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used creatively, th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of education will increase.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 공유와 협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데이터 공유는 정보의 효용성과 확장성을 담보해 주는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유를 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협업을 통해 특정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더 많은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과업수행 시간을 파격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집단지성으로 협업 플랫폼에서 상호협력하여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작의 수월성뿐만 아니라 협업을 통한 시너지 효과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협업 플랫폼을 활용한다면 비협업 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교육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에서 앱형식으로 설치하는 방식의 단점인 공유와 협업의 한계를 인식하고, 온라인 협업툴을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협업 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교육자는 온라인 웹에 로그인하여 직접 웹기반 콘텐츠를 제작, 공유,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별도의 업로드 작업 없이 즉시 교육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서기반 협업 플랫폼(Notion, Nuclino), 타임라인 기반 협업 플랫폼(Sutori), 보드 기반의 협업 플랫폼(Milanote, Padlet)으로 분류하여 중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협업 플랫폼의 사용은 절대적으로 시간을 절약하게 해주고 정보나 데이터의 전달과 공유 효율성을 증대시켜 준다. 협업 플랫폼을 중국어문 교육과 결합하여 창조적으로 활용한다면 교육의 참여와 효율성은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コロナ禍における日本近代文学の教育 - オンライン授業の実践と課題 -

        ( 崔俊鎬 )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4 No.-

        본고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하에서 시행된 일본 근현대문학 관련 전공과목의 온라인 강의 내용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기존의 강의형 과목을 온라인 강의로 전환함에 있어 필자는 강의 내용을 녹화하여 전송하는 온디맨드(On-demand)형식을 취하였으며, 과제 부여를 통해 수강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유도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강의 시행 초기에는 교수자의 경험 부족과 대학 측의 준비 부족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다. 예를 들어 강의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온라인 강의에 적합한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해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불안정한 LMS로 인해 한학기 동안의 전반적인 강의 진행이 매끄럽지 못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은 두 번째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면서는 많이 개선되었다. 다만, 수강생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는 온라인 강의 형태로 인한 한계를 넘어서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 들에 대한 대안책으로 필자는 온라인 강의 시에도 교수자가 통제 가능한 보다 공정한 평가 방법과 교수자에 의한 강의와 수강생에 의한 발표를 접목시킨 하이브리드 온라인 강의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코로나 팬데믹 상황 하에서 심도 깊은 논의 없이 갑작스럽게 전면적으로 시작 된 대학 교육의 온라인화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nts,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online lectures in Japanese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related major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In converting the existing lecture-type subjects to online lectures, I took the on-demand format in which lecture contents were recorded and transmitted, and I tried to induc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ssigning assignments. Nevertheless, in the early days of online lectures, various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of the instructors and the lack of preparation on the part of the university. Of course, these problems were greatly improved during the second online lecture. However,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because of the online lecture format in the evaluation method of student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se problems, I proposed a hybrid online lecture concept that combines a more fair evaluation method that the instructor can control even during online lectures and a lecture by the instructor and the presentation by the students. Finally,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one opinion was presented on the online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and completely started without in-depth discussion.

      • KCI등재

        팬데믹(Pandemic) 시대의 일본고전문학 교육의 가능성 시론(試論)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

        고영란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4 No.-

        本研究は、パンデミック時代に当り、大学の教科目である<日本古典文学史>をリアルタイムのオンライン授業として計画、実践したものを分析し、これを省察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リアルタイムのオンライン授業は非対面であるため、一見非効果的であるかも知れないが、逆説的に時空間的制約を乗り越え、オンライン上の教育技術(edu-tech)及びチーム活動を通じて、学習者の主導的、社会文化的認知学習を誘導することが出来た。また、日本大学所属の教授の特別講義を通して、日本古典文学に関する学習者自らの理解度を客観的に省察する時間を確保することも出来た。さらに、この授業では、チーム活動による日本と韓国の古典の比較により、日本文学に関する比較を試み、日本古典文学をより立体的に理解できたと思われる。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n the education abo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Pandemic era through the real time on-line education. Thus we planned the real time on-line <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class with lecture, special lecture from Japan, and the group activity. In the group activity, students could get the sociocultural cognition initiatively. Then, through the special lecture, students could think about their understanding o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Finally, they could get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o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group activity.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소설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성진(SungJin K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1920년대 한국 문학 작품을 교재로 하여 외국인 인력 지원 센터 소속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와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그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자의 내용을 살펴보며 연구의 방향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3장에서는 한국 문학 교육에 활용할 문학 작품 선정과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revealed in Chapter 1, and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were discussed, The research is to be explored an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is sought. In chapter 2,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literature education a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is examin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In chapter 3,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o be used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as made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was considered. Chapter 4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escribed,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 hope that learners will improve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인터넷을 통한 漢文科 문학과 문자 교육

        남은경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본 논문은 "한문과(漢文科)에서의 문학교육"이라는 주제 발표의 취지에 발 맞추어 "인터넷(Internet)"을 통한 한문과의 문학과 문자 교육에 초점을 두고 쓰여진 것이다. 1장에서는 인터넷 시대와 교육의 변화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2002년 한국은 인터넷 보급율에서 세계 제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우리의 후진들은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능숙하고 친근한 것이 필연적인 결과이다. 그러므로 인터넷들 통한 교육 방법 모색이 절실해진다. 이 때 고려해야할 중요한 사항은 이들 세대가 교육을 통해 즐거움을 추구하여 교육(education)과 오락(entertainment)이 합쳐진 '에듀테이먼트(재미난 학습: edutainment)를 즐기는 세대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에 익숙한 세대라는 점이다. 이로 인해 한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는 첨단 교육 공구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을 갖고 모색해야만 한다. 2장에서는 현재 사이버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온라인 한문학 교육에 대해 소개하였다. 현재 사이버대학교에 개설된 한문 교과목의 특징과 그 교육적 효과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통한 시청각의 이용이다. 이것은 문학 감상시에 절실한 감동의 효과를 낳는다. 둘째는 수시로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로의 제작이다. 이것은 학생의 수준별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는 다른 웹사이트로의 링크와 자유로운 정보 소개이다. 이것은 고전적인 내용을 가진 한문과 문학이 현대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실제적 존재양상을 알게 한다. 넷째로는 에듀테인먼트로서의 강의 형식으로 학생의 흥미 유발을 통한 집중력 강화를 가져온다. 다섯째는 질의응답과 게시판, 토론실의 활발한 상호작용 방식을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생간 또는 학생 상호간의 학습공동체로의 상장이 가능하다. 3장에서는 일반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경우로, 인터넷을 보조 자료로 쓰는 한문학 교육 방법에서 현실적으로 교수자가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다. 첫째, 시간적 공간적 제한의 극복을 위한 '수업용 자료 제시'가 가능하다. 학생들에게 교실수업에 임하기 전, 수업자료를 미리 읽고 생각해오게 하는 방법으로 인터넷 이용이 좋다. 둘째, 교육용 자료의 광범위한 조사와 이용을 위해, 각종 한문관련 사이트를 검색하고 링크를 걸어두는 것도 좋다. 셋째, 인터넷상에 제시된 다양한 한문 수업형식을 자신의 교육방법의 참고서로 삼아 배우는 것이 좋다. 넷째, 생생한 교육 내용의 가능성을 위해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교재의 개발을 시도해보아야겠다. 맺음말에서는 박지원(朴趾源)의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을 되새기며 우리 후진의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한문 교육을 위해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시도를 해야함을 주장하였다. This thesis has been prepared with focusing on the problem of internet education for a presentation of the subject o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at cyber universities in Korea. The ChapterⅠ dealt with the necessity of change of education at the internet age. In 2002, Korea has become a country ranked as the first in internet distribution rate in the world, and as a result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growing in this circumstance have been accustomed with computers and skilled at the use of internet. Thus, search for better methods for the internet education has become a pressing problem at the present. The important fact we have to take in consideration is that the youngsters are a generation who are looking for pleasure in the process of internet education and who are enjoying the so-called "edutainment", a mixture of education and entertainment, and who are familiar with various multimedia. Accordingly, chinese language and classic literature educators must find out a new method of teaching students with utilization of modern educational tools. The Chapter Two dealt with the present situation of onlin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t cyber universities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ir curricul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use of audio-visual method by multi media. This can provide students with a strong emotional impact which is essential for th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Second, Manufacturing of online contents which are useful at any time. They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the learning at various levels for students. Third, Linkage with other websites and free access to information. It can make possibl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way of existence of chinese language and classic literature in the modern society: namely understand how they are being received by audience in modern way. Fourth, The way of teaching student in the form of "edutainment" can provide students with strengthening of concentration effects by inducing their interests. Fifth, There can grow a "learning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with dynamic interactions by their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billboards and discussion rooms. The Chapter Three introduced the several methods of teaching which instructors at ordinary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can actually try to adopt in the chinese classic literature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as supplementary materials. First, The methods to provide students with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free from a time limit and a space restriction. It is advisable for teachers to let students use internet as reading materials and to think their contents before the class begins. Second, Searching various websites for chinese language and classic literature studies and making linkages to them for extensive research and use of educational materials. <End>

      • KCI등재

        온라인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방안 모색 - 비대면 강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오리사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This is a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ases of poetry writing activities in the courses operated in a complete non-face-to-face manner and explor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online education for poetry cre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distinct from face-to-face education, this researcher suggests online education for poetry writing as ‘writing poems as the literarization of life’, ‘writing poems as an imagified language of Punctum’, and ‘writing poems as a communicative act using a network’ and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at, this author designe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poetry writing as ‘the literarization of life through prolific work’, ‘writing single-line poems to reflect on everyday life’, ‘adapting works through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for sharing’, and ‘sharing bound works as a dynamic entity’ and applied them to secondary school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fter that, grounded on the products and the experienc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drew suggestions for online education for poetry writing. 본고는 전면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된 강좌에서의 시 창작 활동 사례를 통해온라인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 대별 되는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시 창작 교육을 ‘생활의 문학화로서의 시 창작’, ‘푼크툼의 이미지화된 언어로서의 시 창작’, ‘네트워크를 활용한 소통 행위로서의 시 창작’으로 제시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시 창작 교수⋅학습 활동을 ‘다작(多作)을 통한 생활의 문학화’, ‘일상을 성찰하게 하는 한 줄 시 창작’, ‘공유를 전제한 생산 및 소통을 통한 개작’, ‘역동적 실체로서 합본 공유’로 설계하여 중등학교 국어과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후 그에 따른 결과물과 예비교사들의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시 창작 교육에의 제언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한자·한문 교육과 옛 그림 및 다매체의 만남

        김기완 ( Kim Ki-wan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 이후 대학 교육계의 새로운 현실이자 화두가 된 온라인강의 현장에서, 동영상콘텐츠 강의라는 새로운 강의 매체에 적합한 강의내용의 선별 및 조직이 요청되는 시점이 되었다. 각종 시청각 영상 매체나 현대의 미디어 등을 이때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시대 회화처럼 과거의 유산 중에서 도입, 활용할 만한 시각 매체를 찾는 것 또한 의미있는 시도가 된다. 실생활적 활용과 밀접한 기초 ‘생활한문’ 성격의 교과목에서 학습 동기와 흥미 부여 측면에서 다매체 활용의 효용이 특히 크며, 현대 다매체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대학 강의실 밖의 문화적 기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한 온라인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매체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강의자의 강의와 학습자의 자율 탐구 과제가 일종의 동형성(同形性)을 확보하게 되는 온라인 class의 실현이 가능하다. 동영상콘텐츠강의 제작이라는 새로운 강의의 장(場)은 그 분절적ㆍ비연속적 성향과 그 자체로 온라인 시청각 매체의 일종이라는 속성상 각종 다매체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하겠다. 특히 전통시대 문학과 회화를 연계시키는 시각은 대학 강의 현장뿐 아니라, 고전문학과 한자ㆍ한문 방면의 교재 집필시에도 매우 유용한 강의자료가 될 수 있다. 한문 교육에서 문자ㆍ문학 외에 시각 자료 등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것은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단일한 성격의 자료에 의존할 때에 비해 학습자의 인지와 감각을 한층 확장시킬 수 있다. 전통시대 동아시아에서 동일한 테마가 문학과 회화 등 장르를 달리해가면서 병존ㆍ지속해 온 양상을 강의하는 것은, 현대의 학습자들이 ‘원소스멀티유즈’식 다매체의 공존을 과거의 문화유산에서 재발견하고 되짚어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online lectures, which have become a hot topic of discussion in the university education community, are demanding to select and organize suitable content for the new way of online lectures such as video content lectur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various audiovisual media and new media in a meaningful attempt to find visual media that can be introduced and utilized from the historical heritage such as traditional paintings. In terms of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utilization of multimedia is especially useful for the learners who study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multimedia utiliz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online class that ensures a kind of homomorphism between teacher’s lectures and learner’s autonomous exploration tasks. Due to its segmentation and discontinuity, the new lecture space such as video content lectures, which is a kind of online audiovisual medium by itself, can be a good environment to incorporate various media. In particular, the perspective of connecting traditional literature and painting is beneficial not only for university lectures in class, but also for writing textbooks o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r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use of various media such as visual materials in addition to letters and literature, can further expand the learner’s perception and sensibility compared to the dependence on the text-only materials of a single character. Lecturing on the coexist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ame artistic themes in East Asia,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modern learners to rediscover and understand the coexistence of multimedia like “one-source multi-use” from the past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