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워치의 노인 소비자 수용과 사회복지사, 자녀의 평가 연구 -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전상민,구명진,유연주,심유조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aise older adult consumers’ acceptance rate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ir support. This study explored older adults’ acceptance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with various healthcare functions and senior user interface (UI) and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cceptance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It also surveyed social workers and adult children, the main supporters of the older adult generation, regarding their evalua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related welfare polici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consumers aged 60 years and older, 30 social workers, and 200 children with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necessity of the individual func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intention to use them were strong. Particularly, functions such as emergency rescue calls and heart rate, blood oxygen, and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lder adult consumer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household characteristics, healthcare conditions, and digital device proficiency. Among the four antecedent factors from the UTAUT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martwatch,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it. The impact of performance expectancy on intention to use was greater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an for those living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e impact of social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latter. For older adults with high digital device proficiency,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significantly increases their purchase intention. Finall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favored all healthcare functions of the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preferences among the functions showed similar pattern to older adults, who preferred emergency calls and physical monitoring func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acceptance level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age, health care conditions and especially digital device proficiency level.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older adult care personnel were chosen as the preferred support sources for older adults b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Social workers prioritized support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excluded from healthcare access. They also selected those who were enthusiastic about their health and had high digital proficiency for prior support. Social workers and children have proposed Senior-friendly UI and functions such as voice alarms, automatic sensor, and AI to improve older adults’ smartwatch usability, as well as repetitive face-to-face education and prompt network connectivity between the device and medical/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 consumers and the specific senior- friendly functions designed for the prototype device to create research model,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lder adults’ acceptance of the device. Furthermore, data from not only older adults but also their children and social worker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results’ reliability and draw multifaceted implications for practice.

      • KCI등재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이지영(Ji-Young Lee),이가옥(Ka-Oak Rhee)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은 과연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노인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60대에서 90대에 이르는 다양한 계층의 14명의 노인들을 심층 면접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인식한 죽음의 의미는 '삶의 소멸', '삶으로부터의 해방', '삶의 연장' 이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삶의 소멸'의 하위범주는 '죽음은 무(無)', '죽음은 끝', '죽음은 자연현상'이며, '삶으로부터의 해방'의 하위범주는 '힘든 삶에서의 쉼', '허무한 삶으로부터의 해방', '민망한 삶으로부터의 해방'이며, 마지막으로 '삶의 연장'의 하위범주는 '이승과 연결된 삶', '영원한 삶', '재생하는 삶'이었다. 60대나 70대 초반의 연구참여자들은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죽음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는데, 죽음은 회피하면 할수록 자신의 삶을 그대로 수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약 60대 초반이나 사회적 역할을 상실하는 은퇴를 전후하여, 노화와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how older adult in our country understand and accept death and how the recognition of death is reflected on their liv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s not from that of ours. To achieve this aim, we use a phenomenal approach among methods of qualitative study. Based on a method of phenomenal study, we speculate aspects of older adult who lead a lif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family and a society where they belonged, without isolating their recognition of it from their lives. In particular, we use Van Manen's analytical method of phenomenal study since we are determined that we can understand it better if we have data where we can see the structure of thought on which human behavior based in the study of death. To achieve this aim, we interviewed 14 older adult of different classes, ranging from in their sixties to in their ninetie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three moments when 14 older adult recognized death. First, when they frequently experienced it around themselves. Second, when they felt physical aging and had a disease resulted from that. And the last one is when they lost a social role which they had held. We see from this study that the attributes of death are so complicated that recognition on it doesn't tend to be identified as one notion and therefore is a complex and ambiguous process. We speculate twofold recognition, in terms of positiveness and negativeness, of four notions related to it: existence of it, fear of it, salvation after it and funeral service. Meaning of death 14 older adult recognized are classified into three: disappearance of life, liberation from life and extension of life.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disappearance were relatively young, in their sixties and seventies, and physically in good condition. Lower category of disappearance contains three: death is nothing, an end and a natural phenomenon.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liberation from life were poor in social and economic standing or lived alone. Lower category of liberation from life contains: rest from hardships of life, release from a meaningless life and release from a shameful life.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extension of life were devout in religion, positively accepted traditional values or had positive self-identity. Lower category of extension of life contains: life connected to this world, eternal life and revival of life. It is notable to see that 14 older adult showed a different life style according to how to recognize death.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disappearance had focused on keeping themselves healthy as a realistic task since they were scared of physical pain.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liberation from life felt that life were void and they had lead a dissipated life. And older adult who recognized it as extension of life had kept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in an anticipation that their existence could be extended after it. One of the reasons of why they positively accepted it is positive self-identity which had been formed through their lives and it appeared to play a great role.

      • KCI등재

        노인교육 관련 연구에 나타난 학습자로서의 노인

        전제아,김원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the old learners depicting the articles dealing with older adults education in major Korean journals from 1990 to 2014. Four major journals focusing on older adult education were selected to examine 51 articles regarding older adult learners in education. Results revealed three aspects of older adult learners in older adult education.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older adult education were mostly selected from the institute of older adult eduction. Seco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older adult learners emphasized affective aspects rather than cognitive or psycho-motor aspec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 learner focused on three aspects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older adults’ life i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erspectives of the older adult learners were someone who were deficient and residual, and then older adult learners were considered homogeneous in terms of participants in some institutional programs for older adul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older adult learners would considered in the study of older adults education regarding psycholog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older adults.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 6월까지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노인교육 관련 논문들이 보여 주는 노인학습자에 대한 시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4종의 학술지(『노인복지연구』, 『한국노년학』, 『평생교육학연구』, 『Andragogy Today』) 를 선정하고, 이에 게재된 관련 논문 총 51편을 분석하여 이러한 연구들이 노인학습자에 대한 시각을 어떻게 보여 주는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노인학습자에 대한 연구들은 노화에 따른 신체변화, 심리적 변화 그리고 환경생태학적 변화가 미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노인학습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있다는 점, 노인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목표로는 인지적 목표나 심동적 목표보다는 정의적 목표를 강조한다는 점, 노인학습자 가운데서도 특히 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런 결과를 통해 나타난 노인학습자는 결핍된 존재, 새로운 사회적 역할에 적응해야 하는 존재이며,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위주로 하는 교육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으며, 실제 연구과정에서 기관 이용자를 주요 연구 참여자로 선정함으로써 노인학습자는 매우 동질적인 집단으로 그려지고 있다. 향후 노인학습자 연구를 위해서는 노인학습자를 결핍된 존재로 보는 편향적 시각을 탈피해야 하며,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노인학습자 집단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 할 수 있도록 다각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령집단별 비교

        박채리,정순둘,안순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s stigma against older adults. By identifying the factors, solutions to lower stigma against older adults can be found. For this study, data from ‘2017 Age Integration Survey’ sponsor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collected on March 2017 were used. Subjects of this study are 854 survey participants residing in 15 districts of South Korea. They are 480 young people aged from 18 to 44 and 374 middle-aged people aged from 45 to 64. T-test, Chow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These are the results. Both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 have a similarly high level of stigma against older adult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stigma against older adults between the two age groups. Two common variables affecting stigma against older adults in young and middle-aged people are the recognition of how older adults are depicted in media and age flexibility. The better they recognize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in media and what an age flexible society is like, the stronger stigma against older adults they tend to have. On the other hand, sex,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opinion on how people treat older adults in their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only for the young people. And living district is a significant variable only for the middle-aged peop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ceptualized 'stigma' as a cause for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and focused on the stigmatizing subject, who are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 not the stigmatized subject, who are older adults in order to find solutions for lowering stigma against older adults. 본 연구는 젊은 세대가 노인세대에 대해 갖는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 이를 통하여 노인에 대한 낙인 해소 방안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젊은 세대는 크게 청년층과 중년층으로 구분하여 연령집단별 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이 지원한「2017 연령통합 설문조사」 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8~44세의 청년층 480명과45~64세의 중년층 374명으로서 총 8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t-test, chow test 및 다중회귀분석 수행 결과, 두 연령집단이 노인에 대해 모두 높은 수준의 낙인을 보였으며 낙인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공통적으로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미디어 속 노인인식과 연령유연성인식이었다. 미디어에서 노인차별이 심하다고 느낄수록, 연령유연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노인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낙인을 보였다. 반면 청년층에서만 유의미했던 변수는 성별, 월평균소득, 지역사회 노인인식, 그리고 중년층에서만 유의미했던 변수는 거주지역이었다. 본연구는 노인차별의 원인으로서 ‘낙인’을 개념화하고 낙인 대상인 노인이 아니라 낙인 주체인 노인 외의 세대를 연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노인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성-연령집단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이기선,이정화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older adults and ageism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pecifically aims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the image of older adults and ageism in relation to different age and gender groups of older adults. It also discusses ways to positively change the image of older adults held by individuals in the university student generation and to reduce ageism by stud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m. For this, 435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nationwide. The following methods were perform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university student have a more positive image of older adults and lower levels of ageism for older adults of the same gender. They also show a more positive image of older adults and lower levels of ageism for younger groups than for older groups. In addition, the image of older adult and ageism differed depending on experience with tolder adults, lectures related to older adults,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ing to work with older ad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or mass media content is needed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receive information that more objectively reflects the position of older adults in modern society.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increasing contact opportunit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older adults can reduce negative perceptions and discrimination of older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이는 대상 노인의성⋅연령 집단별로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8월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총 435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F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은 동성의 노인에게 더 긍정적인 노인이미지와 낮은 노인차별주의를 갖고 있었고, 연령이 높은 노인집단보다 연령이 낮은 노인집단에게 더 긍정적인 노인이미지와 낮은 노인차별주의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생의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는 대상 노인의 성⋅연령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노인을 성⋅연령별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대학생의 인식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집단별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를 다르게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는 노인과의 동거경험, 노인관련 강의 및 노인대상 봉사활동 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본연구에서는 노인의 지적인 경험을 살려 젊은 세대에게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세대공동체, 사회교류프로그램등을 확대하는 것의 필요성, 그리고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다양한 활동을 통한 젊은 세대와 노인과의 접촉 기회 증가가 노인에 대한부정적인 편견과 차별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노년담론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지영(Lee, ji you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3

        이 연구는 노인의 자아정체성과의 관련성 속에서 부정적 노인담론에 대한 노인들의 대응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총 14명이다. 이들은 노인정체성의 유무에 따라 크게 '부정'과 '수용'의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여기서 상위 집단인 '부정' 집단은 '전면적 부정'과 '선택적 부정'으로, 상위 집단인 '수용'의 집단은 '순순한 수용', '선택적 수용', '마지못한 수용'으로 구분되었다. '전면적 부정' 유형은 노인의 자아 인식과 노인의 상이 서로 극과극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상은 매우 부정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은 노인집단에 속하는 사람임을 부정한다. '선택적 부정'과 '선택적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을 두 가지로 구별한다는 특징이 있다. 노인의 상중에서 하나는 긍정적이며, 다른 하나는 부정적이다. 두 가지의 노인의 상중에서 긍정적 노인의 상은 자신의 자아 인식과 거리가 가깝고, 그에 비해 부정적 노인의 상은 자아 인식과 거리가 멀다. 여기서 '선택적 수용'은 현재 자신이 노인집단에 속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반면, '선택적 부정' 유형은 현재는 노인집단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순순한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과 자아 인식간의 거리가 가깝다. 그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상은 그다지 부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이 노인집단임을 자연스럽게 수용한다. '마지못한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과 자아 인식간의 거리가 가깝다. 따라서 자신이 노인이라고 수용을 한다. 하지만 '순순한 수용'과는 다르게, 이들 집단의 노인의 상에는 부정적 가치평가가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노인의 상을 수용하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현실적 상황 때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older adults have image of older adult with relation to their self-identity. Fourteen participants are interviewed in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ir response to image of older adult is divided in the form of 'denial' and 'accommodation' about social images of older adults. 'Denial' has 'total denial' and 'selective denial' while 'accommodation' includes 'acceptive accommodation', 'selective accommodation' and 'unwilling accommodation'. 'Total denial'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describe older adults very negatively, and they regard themselves as a person who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lder person they describe. 'Selective denial' represents that the participants have two types of older adults: negative and positive. They describe that they are close to the positive type of older adults themselves although they do not admit that they are older adults. 'Acceptive accommodating' does not describe older adults negatively, and they identify themselves as older adults. 'Selective accommodating' are very similar to 'selective denial' although the former differs from the latter in that they accept that they are older adults. 'Selective accommodating' also includes negative and positive types of older adults, and this type of participants admit that they are older adults, and believe that they belong to the positive type. In contrast to 'acceptive accommodating', 'unwilling accommodating' describes older adults very negatively. However, the participants belonging to 'unwilling accommodating' comes to accept that they are older adults due to irresistible realities.

      • KCI등재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

        한정란,박성희,원영희,최일선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older adults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alternative policy measures of it. While Korean society has been negligent in a deal with the population aging, social unrest emerging from negative prejudice and antipathy against the aged has been aggravated. One of the biggest issues is a vacuum of policy on older adults education. Legal bases of older adults education are the Elderly Welfare Act and the Lifelong Education Act.  However, the concept of older adults education was fallen within leisure welfare for the elderly in the Elderly Welfare Act and precisional basis on it was far to seek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Furthermore, government department responsible for older adults education has been shifted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ducational institutes for older adults education 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and seniors' classes, etc. have not provided professional educational activities for older adults. While projects for older adults education such as Training of Older Adults Education Professionals, Silver Lifelong Education Volunteers, Pilot-project for Older Adults Education Cours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the marginalized were executed, they were a great lack of continuity. Based on the analysis of older adults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deducted four basic directions to improve older adults education: the realizing educational welfare, expanding the variety of older adults education, intensifying the professionalism of older adults education, and strengthening competencies for active ag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ive policy recommendations: reorganization of laws about older adults education, clarification of the provision system of it, enhancing the quality of sectional educational programs, systematic supporting of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 training of professionals on older adult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고령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거부감을 해소하지 못하고 사회적 불안을 키워왔다. 이러한 가운데 노인교육에 대한 정책적 접근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교육의 법적 근거는 노인복지법 및 평생교육법이지만, 노인교육 개념은 노인복지법에는 노인여가복지의 범위에 들어있고 평생교육법에는 명확한 근거를 찾기 힘든 형편이다. 또한 노인교육 담당부처가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사이에서 전환을 거듭해 왔으며, 노인교육 수행기관으로 노인복지관, 노인교실 등이 있지만, 전문성 있는 노인교육 실행은 미진한 편이다. 그동안 노인교육담당자 및 전문가 양성, 금빛평생교육 봉사단, 노인교육과정 시범운영 지원, 소외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노인교육 관련 사업이 실행되긴 하였지만 지속성이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노인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향후 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의 4가지로 교육복지의 실현, 노인교육의 다양성 확대, 노인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전문성 강화,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역량 강화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으로 노인교육 관련 법제 정비, 노인교육 전달체계의 명확화, 분야별 노인교육의 내실화, 노인교육 수행기관의 체계적 지원, 노인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전기와 후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진섭,김제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이러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노인일지라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 독거노인을 전기(the young-old) 와 후기노인(the old-old)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적 모형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궤적의 초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그 외 도시보다는 대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이 초기 우울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변화율(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친교활동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을 많이 할수록 우울수준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초기값과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사이에 일부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후기노인의 경우 초기에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폭은커지는 반면 전기노인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전기노인이 후기노인 보다 초기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우울의변화폭이 컸다. 후기노인에게서만 초기에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초기 우울값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study of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our society, to determine how their depression changes over time and what factors affect their depression.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age among the same older adults, this study divided the female older adults into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o see how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ach group differ from each othe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appears to have a declining pattern over time. In the conditional model,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level of the depression trajectory among women living alone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depression values among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rather than non-metropolitan areas, better subjective health, and those who did not exercise. Next,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rate of change (slope) in depression among female living alone older adults and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the larger the metropolitan area,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the less socializing, and the more socializing, the greater the decrease in depression level. Fin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hways affecting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between the early and late older adults. Specifically, the higher the initial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greater the change in depression among the late older adul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early older adults. In the early older adults, better initial subjective health was associated with a larger change in depression than in the late older adults. Only in the late older adults did those who regularly exercised in the early years have higher initial depression values than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노인체육 정책에 관한 소고(小考) : 실제와 한계

        정경환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ity and draw out the limits of the sports policy for the older adult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focusing on the literature produced by the government. Resul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ality of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 total of seven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were oper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most of the programs operated by the policy were limited to exercise services, considering only the health aspect. Third, most programs operated by the policy were conducted in senior leisure and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of deriving the limitations of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was operated by two agencies, and it could be seen as a type of complex policy,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gencies, and the synergy that could be obtained from the complex policy was not being achieved. Second, most programs operated under the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were symbolized by gymnastics, dance, fitness and considered only the health aspects, indicating their narrowness, and so it was not possible to expect benefits beyond physical health. As a result, i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older adults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such as restrictions on sports rights and the rise of the new age. Third, most of the spaces where sport for older adults were operated showed inadequacy as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rather than sports facilities, and this was a lack of rationality in policies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s demand. Conclusion By examining the reality and limitations of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it can be possible to find clues to intervention points for the redesign of sport policy for older adults at a practical level.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체육 정책의 실제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한계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공공기관에 의해 생산된 문헌을 중심으로 귀납적 분석을 통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노인체육정책의 실제를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7개의 노인체육 사업이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체육 사업에서 운영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건강 측면만을 고려한 운동 서비스에 한정되었다. 셋째, 노인체육 사업에서 운영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여가복지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다. 노인체육 정책의 한계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체육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형태로써 일종의 복합정책의 유형으로볼 수 있다. 그러나 기관 간 상호작용이 없어서 복합정책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얻고있지 못하다. 둘째, 노인체육 사업을 통해 운영되는 체육 프로그램은 건강 측면만을 고려한 체조, 댄스, 피트니스로 상징화 되어 협소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체육을 통해 신체적 건강 이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없으며, 노인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스포츠권의 제약 및 신노년의 대두와 같은 행정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노인체육 사업이운영되는 대부분의 공간은 체육시설이 아닌 노인여가복지시설로서 노인의 체육활동에 적합하지 않다. 이것은 노인의 수요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 노인체육 정책의 실제 및내포된 한계의 규명을 통해 실무적인 차원에서 노인체육 정책의 재설계를 위한 개입 가능한 지점의단서를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 비공식적 사회관계망 접촉의 매개효과와 가구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찬우(Chanwoo Jung),최희정(Heejeong Choi)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는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가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접촉빈도에 의해매개되는지, 또한 비공식적 사회관계망의 매개효과가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2017년도 노인실태조사로 독거가구이거나 부부가구의 구성원이면서 동거하지 않는 성인자녀가 적어도 한 명 있는 65세 이상 응답자6,2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을 잘 하는 노인은 가구유형에 관계없이 성인자녀 및 친구, 이웃과 전화, 이메일, 편지 등을 통해 비대면 접촉의 빈도가높았으며, 그 결과 생활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동거 자녀와 대면접촉 빈도는 노인의 가구유형에 관계없이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친구, 이웃과 대면접촉의 매개효과는 가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부부가구 노인의경우 문자메시지 및 SNS 사용에 보다 능숙할수록 친구, 이웃과의 대면접촉이 빈번하고 그 결과 생활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이 낮았다. 그러나 독거가구 노인의 경우 친구, 이웃과의 대면접촉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부가구 노인과 비교하여 독거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가족, 친구, 이웃과의 비대면 접촉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증진시키기 위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ability to use text message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might be mediated by frequency of contact with adult children or friends and neighbors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act frequency might be moderated by household composition (living alone vs. living with a spouse). Data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2017.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6,264 older adults 65+ who were either living alone or living with a spouse and had at least one non-coresident adult child at the time of survey. For analyses,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Results indicated that older adults more skilled at exchanging text messages or using SNS reported more frequent contact with adult children as well as friends and neighbors via phone calls, email, or letter, and reporte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low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diating effect of contact via calls/e-mails/letters between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older adults living with a spouse. Face-to-face contact with adult children had no mediating effect among older adults; yet the mediating effect of face-to-face contact with friends and neighbors was found to differ by household composition. For older adults living with a spouse, the ability to use text message or SN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low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via more frequent visits with friends and neighbors. Yet, the same mediating effect of in-person contact was not found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Overall, our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because, compared to older adults living with a spouse, they are less skilled at using text message or SNS and had less frequent indirect contact with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