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말 경주 옥산서원의 운영 실태

        조명근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Gyeongju Oksan Seowon is a representative Seowon in Yeongnam dedicated to Hoejae Lee Eon-jeok, and served as the center of the society of country villages. However, its status declined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change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 particular, it was in a very difficult state financially. Lost the Seowon slaves, who were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ould not receive any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al office, Oksan Seowon could not but rely solely on income from farm rents. In the mid-1930s, disputes over land arose, and in the process, the Oksan Seowon's finances deteriorated further as they owed large amounts of debt to cover the costs of litig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ksan Seowon re-enacted its rules, the basic principles of Seowon operation, in 1940 to reorganize the operating system. The core of these rules was to have a director in charge of finance only and to deliberate on various issues of the Seowon through a council. Thereafter, Oksan Seowon convened a council to carry out debt adjustment to drastically reduce the burden of interests by replacing the existing high-interest loans with low-interest loans from Chosun Trust Company. In addition, on this opportunity, the Oksan Seowon tried to manage the head family's property, but it was not successful due to the head family’s refusal. Along with the settlement of the debts of the Oksan Seowon, the Seowon’s property was entrusted to the Chosun Trust Company. It was the result of satisfying the interest of Oksan Seowon which was trying to solve various problems through the policy goal of wartim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during the war period and consigned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Oksan Seowon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and promote the survival of the Seowon through a series of system reorganization.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경주 옥산서원은 일제강점기 들어 재정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에 있었다. 조선시대 서원의 경제적 기반이었던 원노비와 원속 등을 상실 하였고, 관의 원조를 전혀 받을 수 없었던 옥산서원은 오로지 소작료 수입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1930년대 중반 서원 소유 토지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 였고 이 과정에서 소송비를 감당하기 위해 거액의 채무를 지게 되면서 옥산서원의 재정은 더욱 열악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옥산서원은 1940년 서원 운영의 기본 원칙인 규약을 다시 제정하여 운영체제를 정비하였다. 이 규약의 핵심은 재정을 전담하는 이사를 두고 평의회를 새로 설치하여 서원의 각종 현안을 심의하 는데 있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평의회 의결을 통해 채무 조정을 단행하여 기존의 고리채 개인 차입을 조선신탁주식회사 저리 차입금으로 차환함으로써 이자 부담을 대폭 경감하였다. 또한 이 기회에 종가 재산을 서원 측에서 관리하고자 했으나 종가 측의 거부로 성사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서원의 채무 정리와 더불어 서원 재산을 조선신탁주식회사에 위탁 관리하였다. 일제 말 옥산서원은 일련의 제도 정비를 통해 난국을 타개하고 서원의 존속을 도모하고 있었다.

      • KCI등재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이병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7 No.-

        이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선발과 직무, 시기별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과 직무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남아있지 않다. 원임의 선발기준이 엄격하게 준수되었던 16세기 후반에는 자격을 갖춘 인사들을 옥산서원 인근이라는 제한된 지역에서 선발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특정 인사들의 원임직 중임이 서원건립 초기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오면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제고되고, 타읍에서 이주해온 사족들이 증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원임을 선발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서원이 운영되었다. 한편으로는 후손들의 원임직 참여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였다. 18세기 들어오면서 문벌의식의 확대와 문중서원의 건립에 따라서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원유(院儒)들의 이탈이 증가하였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 범위를 경주부 남쪽으로 확대하는 한편, 후손(驪州李氏)들의 원임직 참여를 적극 허용하였다. 후손들의 참여 확대는 원유들의 이탈뿐만 아니라 실제 원임에 임명될만한 자격을 갖춘 자들 중 후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18세기 이래로 19세기 중반까지 원장과 유사의 직임에 후손들의 참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후손들도 분화되어 서원운영에서 밀려난 계파(系派)는 파조(派祖)를 제향하는 문중서원을 건립하고 옥산서원에서 이탈하였다. 이처럼 서원 운영을 책임졌던 타 가문의 원유들뿐만 아니라 후손가의 이탈이 확대되면서 서원 운영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서원 운영의 어려움과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인사를 원임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19세기 중반부터 타읍 출신의 명망있는 전직 관료를 원임으로 선발하다가, 19세기 후반부터는 경주부윤과 관찰사를 원장으로 선발하였다. 후손들은 유사, 별유사 등을 담당하면서 서원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결국 옥산서원은 건립 이래로 여러 가문이 참여하여 경주를 대표하는 서원으로서 자리 잡았지만, 정치·사회적 변화와 재지사족의 분화 등으로 후손가와 일부 특정가문만의 참여로 유지되어 왔다. 그것은 경주부내 옥산서원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옥산서원 문중서원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19세기 강당 중건과 치제를 계기로 다시금 도약하였던 옥산서원은 후손들의 원장직 참여를 억제하면서 경주부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전환되어 갔다.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election, job, and changes by period of the Wonim in Oksan Seowon, Gyeongju. There is no detailed record in the regulations on the selection and job description of the Wonim in Oksan Seowon. Aroun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when strict regulations were applied to Wonim selection, it was not easy to select qualified persons in the restricted area of nearby Oksan Seowon. Therefore, the important duties of certain Wonim were clarified from the very beginning.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17th century, the reputation of Oksan Seowon improved, and because the number of people moving in from other regions increased, this enabled a relatively more stable selection of Wonim. As a result, the Seowon could operate in a more stable way. On one hand, this was the time when their descendants started to take Wonim positions.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an expanding awareness of lineage and the establishment of Moonjung Seowo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nim members leaving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This extended the range of Wonim selection to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and their descendants were actively allowed to take Wonim positions. This was not only to prevent further people leaving but also to ensure that the most qualified persons were included as Wonim membe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thi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abrupt rise in the number of descendants who held similar positio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as that the descenda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were divided, and those who were excluded from the operation left the Oksan Seowon and established Moonjung Seowon, which respected the founders of the community. As the number of descendants, as well as members from other familie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Seowon, who were leaving continued to increase, it became more difficult to manage Seowon. To solve this issue, it was necessary to designate a more influential person as a Wonim in order to overcome such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to deal with social changes. As a result, starting in the mid-19th century, renowned ex-government officials from other areas began to be selected. Star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head officer in Gyeongju and the provincial governor were designated as the heads of the Wonim. Their descendants were responsible for field jobs and general affairs. As a result, Oksan Seowon became one of the most renowned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y families since its establishment, but due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s well as the division of families, it was sustained by descendants and certain families. This finally brought about a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Oksan Seowon in Gyeongju and accelerated the change to Moonjung Seowon. However, based on the re-structuring of the auditorium and the ritual ceremony, Oksan Seowon made another step toward becoming a typical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by restricting descendants from taking the head position.

      • KCI등재

        경주 옥산서원의 강학 활동과 그 성격

        이병훈 한국교육사학회 2019 한국교육사학 Vol.41 No.2

        This paper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lecture activities of Gyeongju Oksan Seowon(書院,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and its meaning of social history. memorial service[ceremony] and education were essential functions of the seowon and essential to maintain the social status of the seowon. on Injobanjeung(仁祖反正), Gap sool-hwan guk(甲戌換局), Moosinnan(戊申亂) and after, The political groups in the Yeongnam area, which had been claim to support to the Nam-in(南人), were utterly expelled from the political world. This made it difficult for the local ministry to actively cooperate with the people in the Yeoungnam, and had a certain adverse effect on the management of the Seowon. Oksan Seowon invited Jang-HyunKwang to lecture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un. In the mid-17th century, when the economic base was stabilizing, a practice boarding study(居齋)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student of Confucianism. Although it is not known whether or not boarding study(居齋) was regularly carried out, it has been regularly observed that the the student of Confucianism rituals participated in the Geojeob(居接) rituals from the late 17th century. At the same time, it was practiced irregularly since then. How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es of the student of Confucianism in the Okshan Seowon, the mountain temple was established every year and the Geojeob(居接) was regularly executed.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operation of the Oksan Seowon has been difficult, try the company had been revamping its overall management. At this time, Yongsan Seowon was succeeded by Geojeob(居接). In addition,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was succeeded to the lecture tradition through the Soonje(旬題) and BaekIljang(白日場) where the cost is relatively low in the Seowon. Furthermore,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discussion with Yongsan Seowon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was discussed. For consequence the Oksan seowon wanted to prevent departure of the Confucian scholar. Thus, since the 17th century, the Oksan Seowon has made efforts to educate the Confucian scholar by changing the form of le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ow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reg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Gyeongju by strengthe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Confucian scholar and preventing the departure from seowon. 이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의 강학 활동 실태와 그것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제향과 교육은 서원의 주요기능이자, 해당 서원의 사회적 위상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 요소였다. 정치적으로 남인계를 표방하였던 영남지역 사족들은 인조반정, 갑술환국, 무신란(戊申亂) 등을 겪으면서 정계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다. 이는 영남 남인계 서원으로서는 지방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기 어렵게 만들면서 서원 경영에도 일정한 악영향을 주었다. 특히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거재와 거접 등의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서원이 증가해갔다. 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지역을 대표하는 서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옥산서원은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 초반에 침체된 유생 강학을 위하여 장현광을 초빙하여 강회(講會)를 개최하였다. 이후 경제적 기반이 안정화되어가던 17세기 중반에는 거재(居齋)를 실시하면서 유생들의 서원 참여를 강제하였다. 이후 거재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지만 『심원록』을 참고하면, 17세기 후반부터 타읍 출신 유생들도 참여하는 거재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아울러 당시부터 부정기적으로 거접(居接)도 시행하고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거접은 과거를 준비하는 유생들을 위하여 시행하던 강학방식이었다. 그러나 18세기 초반부터 옥산서원에서는 유생들의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기 위하여 매년 산당(山堂)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거접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중반이후 옥산서원 운영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영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쇄신(刷新)을 추진하였다. 이때 매년 진행하던 거접을 중단하고, 이를 경주부(慶州府) 남쪽의 용산서원(龍山書院)이 승계하였다. 아울러 18세기 말부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순제(旬題)와 백일장(白日場) 등을 통해 강학 전통을 계승하고, 유생들의 서원 이탈을 방지하고자 했다. 나아가 19세기 중반이후에는 용산서원과 함께 거재를 시행하려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이처럼 옥산서원은 유생의 교육을 위한 노력을 17세기 이래로 이어오면서, 정치·사회적 변화와 서원의 운영 상황을 고려하여 강학의 형식을 바꿔왔다. 이를 통해 유생들의 서원 참여를 강화하고 이탈을 막음으로써 경주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이자, 향촌운영기구로서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경주 옥산서원의 위상 변화

        이병훈 ( Lee¸ Byoung-hoo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경주 옥산서원은 조선시대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초창기에 건립되어 대원군의 원사 훼철 시에도 존치되었던 곳으로서 한국 서원의 변천사를 대표하는 곳 중의 하나이다. 옥산서원은 건립 당시부터 경주지역 수원(首院)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위상은 제향인의 위상과 사액의 유무를 기본으로 정해진다. 여기에 사회·정치적 기능, 경제적 기반, 출판·도서관적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옥산서원은 이러한 요소가 시기별로 상호작용하면서 그 위상이 부침을 거듭하였지만 경주지역 수원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이 없었다. 옥산서원은 문묘 종사 대현인 이언적을 제향하는 서원으로서 경주부윤과 향인, 후손, 문인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건립되었다. 또한 건립 직후 사액이 되면서 국학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건물과 장서를 온전히 보존하였던 옥산서원은 전란 이후 경주지역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위치했다. 17세기 중반 이후 거재와 거접 등의 강학을 강화하면서 유생 교육의 중심처로 위치하였다. 당시는 당쟁이 심화되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향된 이언적이 당색과 무관한 인물이었으며, 서원의 운영 방향도 당쟁과 거리를 두면서 당색을 불문하고 많은 인사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또한 지방관의 방문도 계속 이어지면서 옥산서원의 사회적 위상이 제고되는 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경주부내의 당파간 신분간 분쟁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으면서 18세기부터는 경주부 남쪽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한편 문중서원의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서원 운영에 참여하던 원유들의 이탈로 서원 운영에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각종 규정을 제정하고, 원임의 선발 범위를 경주부 전역으로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시도하였으나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정조의 즉위 이후 이언적의 학문에 대한 국왕의 관심이 커지면서 그를 제향한 옥산서원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져갔다. 그 결과 인조반정 이후 단절되었던 치제가 재개되고, 서적의 하사도 이어지면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제고되었다. 이때부터 옥산서원은 도산서원과 더불어 영남의 양대 서원으로 위치하였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서원 운영의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면서 원장의 선발도 도내로 확대하고 후손들의 서원 참여율도 더욱 증가하였다. 그러던 중 1839년(헌종 5)의 구인당 화재로 서원 재정은 악화되었지만 재사액과 국왕의 특명에 따른 치제가 거행되면서 서원의 위상은 재정립되는 효과를 얻었다. 그 후 원장에 경주부윤이 천망되면서 서원운영에 도움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서원 운영의 핵심가문인 경주손씨와 학문연원 시비가 발생하면서 19세기 중반 이후 손씨들이 옥산서원에서 완전히 이탈하였다. 나아가 신향들의 원임직 소통을 둘러싼 시비도 격화되어갔다. 그러나 대원군의 원사 훼철에도 존치되면서 더욱 위상이 높아져서 1884년(고종21) 복제개혁 반대 만인소를 주도하기도 했다. Oksan Seowon in Gyeongju was built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Seowon system was introduced, and was preserved even when the original temple of Daewon-gun was destroyed. Oksanseowon has served as a Suwon in the Gyeongju area since its establishment. In general, the status of the seowon was based on the status of the ancestral pers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ivate money, and the socio-political function, the economic base, and the publishing and library functions were combined. Oksanseowon's status as a Suwon in the Gyeongju region remained unchanged as these facto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different periods. Oksan Seowon was a scholar dedicated to Lee Eon-jeok, the Daehyun of Munmyojongsa, and it became a private residence immediately after its establishment, and had a status comparable to that of national studies. As a result, from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there has been active support from Gyeongju Buyun and other descendants and literary literaries. Oksan Seowon, which preserved buildings and books intact during the Imjin War, was locat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Gyeongju area after the war.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t has been positioned as the center of education for larvae while reinforcing lectures such as Geojae and Geojeop. At that time, even though the party was intensifying, the scholar Lee Eon-ji was a person who had nothing to do with the party, and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eowon was also separated from the party, and many people regardless of party were visited. As local government visits continued, the social status of Oksan Seowon was improved. However, from the 18th century,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was lost without being involved in the disput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ew and old in the village society. In addition, as the construction of the Munjung Seowon began in earnest,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Seowon occurred due to the departure of crude oils participating in the Seowon operation. Therefore, various measures were attempted, such as enacting various regulations and expanding the selection range of senior directors to Bunam, but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In the meantime, the king's interest in the science of Yieonjeok grew after the throne of King Jeongjo. As a result, the government resumed, which had been cut off after the artificial rebellion, and the status of Oksan Seowon was improved as the sergeant of books continued, and it was positioned as two major Seowons in Yeongnam along with Dosan Seowon. However, in the 19th century, as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scholarship intensified, the selection of directors expanded to the province,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descendants in the scholarship also increased. In the meantime, the finances of the Seowon deteriorated due to the fire of Guindang in 1839 (the 5th year of King Heonjong), but the status of the Seowon was re-established as the rehabilitation amount and the remedy under the king's special order were held. After that, Gyeongju Bu-yoon was scolded by the director, and he received great help in the operation of the Seowon.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 dispute occurred with Gyeongju Son, the core family of the Seowon operation, and after the mid-19th century, the Sons completely departed from Oksan Seowon. Furthermore, the dispute over the communication between new hyangs and senior officers has intensified. However, as Daewon-gun was preserved in the ruins of the original material, its status rose even further, leading the opposition to the cloning reform in 1884 (Gojong 21).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嶺南地方 書院藏書의 淵源과 性格

        裵賢淑(Pae, Hyon-Su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6 No.-

        본고는 올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결정될 9서원 가운데 영남지방의 6서원을 대상으로 그 문고의 성립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6서원은 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이다. 이들 서원은 장서를 하였고, 서적을 수장할 공간으로 문고 또는 장서각을 건립하였다. 이들 서원문고의 장서는 오늘날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 다. 장서는 장서마다 특징이 있게 마련인데, 서원의 장서도 마찬가지이다. 서원은 설립자와 원규에 따라 장서의 성격에 차이가 있었다. 서원의 장서는 주향자의 수택본 이관본, 국왕・지방관인・사인 기증본과 구입본으로 증대되었다. 서원의 초기 장서 가운데 주향자의 서적을 이관한 경우는 소수서원・남계서원・도동서원은 전무한 상태이고, 도산서원의 경우 일부 서적은 확인되었고, 병산서원・옥산서원은 가능성은 있지만 확신할 수 있는 서적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 6서원 초기의 장서에는 서원 자체 간본이 나 교환으로 증대된 서적의 증거는 볼 수 없었다. 다만 도산서원에는 송지인책본이 극소수 있었을 뿐이다. 서원마다 기증본 가운데 지방관인 기증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국왕하사본은 소량이지만 중시되었다. 구입본은 소수서원의 경우 장서의 기반이 되었고, 도산서원은 지방관인의 기증본 다음으로 큰비중을 차지하였고, 남계서원・옥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은 주기가 없어 알 수 없다. 자체제작본은 병산서원에서는 하권의 대다수를 차지할 정도로 상당히 큰 비중을 보이고 있다. 서적의 주제는 대개 유학의 경서와 유가의학설이 중심이고, 다음이 역사 서적이었다. 그러나 여타 자부서적은 거의볼 수 없었다. 신재는 교육에 있어 서적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서원의 장학과 관계되는 尊賢錄 ・ 學田錄 ・ 藏書錄 을 동등한 수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그 결과 소수서원 창립기 서적의 규모와 입수방법을 알 수 있다. 신재는 서원의 창설뿐만 아니라 장서구축과 서목의 작성에큰 공을 남겼으니, 그 공이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rigion of book collections stored in 6 seowons in Yeongnam Province, which are going to be registered in UNESCO. They are Sosu, Namgye, Oksan, Tosan, Todong and Pyungsan seowons. All of these seowons had book collections and library buildings to store them. These collections acted as college libraries of nowadays. The collections of seowon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like other collections. The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founders and regulations of seowons. In the process of collections, books were accumulated by donations from the persons whom enshrined, kings and provincial officials, privately donated and from purchases. The books donated from the person whom enshrined were not found at Sosu, Namgye and Todong seowons. At Tosan seowon, only a few books were fou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ksan and Pyungsan seowons had them, but they were not found. There was no evidence found that books published in each seowon and exchanged. Although at Tosan seowon there were 2 kinds of books stored which papers were sent to other publisher and printed there. It looks like a large number of collections of seowons were accumulated by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Books donated from kings were small amounts, but were regarded highly. At Sosu seowon majority of them were books purchased, but at Tosan seowon majority were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Namgye, Oksan, Todong, Pyungsan seowons had no records to show. At Pyungsan seowon a large proportion of books stored were written at its own seowon. The main subjects of collections at most seowons were the Confucian classics, Confucianism and history. Other philosophical books were hardly found. Sinjae Ju Sebung, founder of the first seowon ie. Sosu seowon realized that books were an indispensable part of education. He wrote 「On the sage of seowon」・「On real estate of seowon」 and 「On the book collection of seowon」, all of them on the same level. Through these books, we can understand the founding, the size of collection, and the means of acquisition of the book collections. Sinjae is credited with not only founding the seowon but also the collection and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of the seowon books. His dedication to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was admirable.

      • KCI등재

        理学背景下武夷精舍与玉山书院周边的“人居环境” 比较研究 - 以中国武夷九曲和韩国玉山九曲为中心

        彭鴻緖 ( Peng¸ Hong-xu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본 논문은 중국 武夷山 武夷精舍와 玉山書院 주변의 ‘人居環境’을 武夷九曲과 玉山書院九曲을 중심으로 비교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이뤄져있으며 중국 九曲園林과 한국구곡원림의 연원관계, 한중 구곡원림의 공간분포, 한중 구곡원림의 비교로 기술되어있고, 마지막에는 결론 부분과 옥산구곡서원의 발전방향에 대한 조언이 담겨있다. 1장 <한국 서원 밖의 인거환경>에서는 중국에서 九曲이 설정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조선시기 서원들이 서원 밖의 ‘인거환경’이 주자의 무이구곡을 모방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했다. 2장 <한국의 구곡원림과 중국의 배경연원>에서는 조선시기 유학자들의 朱子 숭배와 당쟁에 대한 회의로 산수자연을 이상향으로 간주하면서 구곡원림이 설정되었다는 점과 구곡의 造型상의 특징을 기술했다. 또한 무이산 하천과 한국의 하천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언급하고 구곡이 들어선 입지를 설명했다. 3장 <한국 구곡원림의 공간분포>에는 전국에 분포된 구곡을 지역별로 통계를 내고, 구곡이 집중된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연원을 설명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에서 현재까지 설정된 구곡도 설명했다. 4장 <한중 구곡원림 비교>는 무이구곡과 옥산구곡의 특징을 각각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두 곳을 비교했다. 이곳에서는 지형과 지질, 구곡의 설정자와 후대 학자, 문화와 사상, 시화와 석각, 경관 구성, 경의의 부여 등 여러 방면으로 나눠 상세하게 설명했다. 5장 <연구 정리와 발전 건의>는 이상의 연구를 정리하고 옥산서원과 옥산구곡이 갖는 현대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옥산서원과 옥산구곡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몇 가지 조언을 했다. This study is about compa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between Mooijungsa in Mount Mooi, China and Oksan Seowon, focusing on Mooi Gugok and Oksan Seowon Gugok. This study consists of the total five chapters about the relations of origins of Gugok gardens in China and Korea, spatial distributions in both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and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and finally there ar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ksan Gugok Seowon. Chapter 1 < Residential environment outside the Korean Seowons > explains the background to set Gugok in China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outside Seowons in Joseon mimicked Zhu Xi’s Mooigugok. Chapter 2 < The Korean Gugok Garden and the Origin from China > describes that Confucians in Joseon worshiped Zhu Xi and they also considered natural landscapes of mountains and waters as utopia due to their regret for factions and then, Gugok gardens was set and the garden’s characteristics in desig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ivers in Mount Mooi and in Korea are mentioned with the explanations on the locations of Gugok. Chapter 3 <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Gugok Gardens > contains the statistics of Gugok gardens in Korea by region and explain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origin of the regions concentrated with Gugoks. In addition, the Gugoks set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and the present are also described. Chapter 4 <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ugok Gardens > describes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Mooi Gugok and Oksan Gugok and then compares both the places based on them. The chapter offers detailed descriptions with several sections including topography and geology, who set Gugok and next generations of the scholars, culture and ideas, poetic drawing and stone carving, landscaping, and making the meanings in the landscapes. Chapter 5 < Summary an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 summarizes the study, explains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Oksan Seowon and Oksan Gugok,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m.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소수, 도산, 도동, 옥산, 돈암서원 등 5개 서원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서원 강학(講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서원별 강학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타당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고, 자료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규약류·강학 시행 기록·강학 의례·강학 재정 관련 기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규약류 자료를 통해서는 학파, 당파별 원규의 계승과 절목에 나타난 원규의 변용, 서적의 간행과 유통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학 시행 기록 중강안류 자료를 통해서는 참여자의 규모와 소임 및 고강성적, 일기류 자료에서는 강학의 절차와 시행 방법 및 서원에서의 하루 일과, 강록류 자료에서는 통독 시 토론 방법과 문답의 수준, 토론 시 훈장의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학 의례에서는 정읍례나 상읍례의 정식적 의례 외에도 경독, 개접례, 파접례, 지례(贄禮), 수창시 등 관습적 의례를 살펴보았다. 넷째, 강학 재정 관련 자료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각 서원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양사청, 강학계 등 강학 전담 재정기구를 설치하여 강학 개설을 시도하고자 했던 각 서원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학 의례 중 ‘지례’는 조선시대 관학에는 없었던 ‘택사(擇師)’의 교육적 의미, 근대교육이 결한 사제관계의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며, 상읍례와 정읍례를 통해서는 도덕적 마음과 관계의 훈련이 의례를 통해 어떻게 훈련되고 내면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원 강학의 마지막 절차가 시험이나 평가가 아니라 각자 강학에서 얻은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공유하는 수창시로 갈무리된다는 사실은, ‘이택지력(麗澤之力)’을 실현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서원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서원 강학 의례의 교육적 의미는 관계에 대한 훈련의 문제가 매우 절실한 현대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o classify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ch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su-Seowon, Dosan-Seowon, Dodong-Seowon, Oksan-Seowon, Donam-Seowon.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rchives, I divided educational archives into four types: the record of rules of Seowon education, the record of actual education, the record of ritual, and the record of financial. First, through the record of rules, I have identified how the rules are passed down and changed from Seowon to Seowon and impact of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n changes in Seowon Curriculum. Secondly, through the record of educational practice, I have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eowon education, the role of officer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daily routine in Seowon, the methods of discussion and questions in lecture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discussions etc. Third, through the record of rituals, I examined customary rituals such as Gyeongdok(敬讀), the rites for opening class(開接禮) and the last class(罷接禮), and the rites for Master-Disciple Relationshipe(贄禮) in addition to official rites such as Jeongeuprye(庭揖禮) and Sangeuprye(相揖禮). Fourth, through the record of financial, we could see howthe late Joseon Seowon tried to continue the education by setting up a financial institution dedicated to education despite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typification method of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for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However,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ed further. In addition, if a methodology can be developed to collect a wide range of materials that have been scattered over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typification of the material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Seowon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19~20세기 영남지역 향촌사회와 경주 옥산서원의 동향

        이병훈 ( Lee Byoung Hoon ) 한국서원학회 2017 한국서원학보 Vol.4 No.-

        통문은 유생들이 공통된 의견을 결집하거나 혹은 공동의 관심사를 공론화하기 위해 왕래하는 일종의 연락문이었다. 그러나 발급주체와 사안에 따라 통문을 무시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을 표방하기도 했다. 그렇기에 긍정적인 여론을 결집하기 위해 통문의 수급대상은 신중히 선별되었다. 조선후기 유생 공론의 거점이었던 서원은 사회ㆍ정치적 기능이 강화ㆍ확대되면서 수ㆍ발급한 통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다. 현재 안동의 도산서원과 더불어 단일 서원으로는 경주 옥산서원 통문이 많이 남아있는 형편이다. 주지하다시피 도산서원과 옥산서원은 영남의 首院으로서 해당 지역은 물론이거니와 사안에 따라 도내 여론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렇기에 현재 이들 서원에 남아있는 통문이 당시 사회적 현안을 모두 다룬 것은 아니지만 당시 영남지역 사족사회의 주요 현안을 개관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 소장 통문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향촌사회의 동향을 개관하고, 그러한 변화속에서 옥산서원이 가지는 위상을 확인하였다. 옥산서원에 소장된 통문은 대부분 19~20세기 초에 생성된 것이다. 이들 통문의 발급처를 통해 19세기 중반까지 옥산서원은 경상좌도에 소재한 원사 및 가문과 교류가 빈번했으며, 특히 안동지역 원사와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안동지역과 교류는 20세기 초까지 계속 이어지는데 주목되는 점은 대원군의 원사 훼철이후 경상우도와 타도에서의 통문도 증가했다는 것이다. 대원군 훼철령에서도 존치되었던 옥산서원은 그 이후 위상이 보다 높아졌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통문의 내용은 19세기 초반에는 서원을 운영을 둘러싼 신ㆍ구향 내지 구향간의 갈등이 많았으며, 선조 내지 제향인 현양을 위한 문집간행ㆍ원사 신설 내지 중건에 관한 부조가 뒤를 이었다. 19세기 말에는 서세동점의 시기에 맞선 유생들의 儒會개최, 가문 간 대립이 첨예해지면서 나타난 山訟, 양반을 능육한 자들에 대한 儒罰 등과 관련된 내용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특히 선조 우열 경쟁에서 나타나는 문자시비와 같은 鄕戰이 심화되고 있었다. 한편으론 무너진 유교 윤리 회복을 위한 교육과 기강을 강조하면서 孝烈人에 대한 정려와 표창을 청원하는데 동침해 줄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증가하였다. 20세기에는 문집간행, 훼철되었던 원사원 중건, 효열인에 대한 표창과 비 건립 등의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옥산서원은 여러 곳으로 발송된 통문에서 항상 제일 첫 번째 수급처로 명시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色目과 지역을 불문하고 원사 건립의 여론을 형성하고, 배전을 모금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요구받기도 했다. 옥산서원은 경주를 중심으로 한 인근 고을의 여론을 주도하였기에 모든 사안에 대하여 극단적인 결론보다는 주로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것은 옥산서원의 의견이 사회에 미치는 파장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신중론은 경주부내의 사안에 대해서 더욱 그러했다. Tongmun was a kind of correspondence that collected common opinions of Confucian scholars and made public opinions of common interest. Seowon was place of public opin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To strengthen and expand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s and to have relatively many Tongmun. The Tongmun reminded of scope of exchange of each Seowon as well as pending problems of current time of Hyangchon community. Oksanseowon at Gyeongju was prime Seowon in Yeongnam to take the lead in opinions in Gyeongju and province. The Seowon`s Tongmun did not deal with all of social affairs at that time and was thought to take view of pending problems of Sajok society in Yeongnam. This study took view of trends of Hyangchon community in Yeongnam based on the Seawon`s Tongmun to verify position of the Seawon. Most of Tongmun of the Seowon were made 19th to early 20th century. The Tongmun were thought to release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Wonsa and family in Gyeongsangjwa-do until middle of 19th century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Wonsa in Andong until early 20th century. After Daewongun`s destruction of Wonsa, number of Tongmun in Gyeongsangudo and other provinces increased. Oksanseowon that remained even at Daewongun`s order of destruction of Seowon raised reputation. Tongmun`s contents included conflicts between old town and new town and between legitimate child and bastard, and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orks for ancestors and religious service men, and help for new construction and repairing of Seowon and/or Sau. At the end of 19th century, Confucianism scholars opened meeting against foreign power`s demand on international trade to strengthen confrontation between families and to increase Sansong and/or punishment against the one who insulted Yangban. Hyangjeon of distinguishing of right and/or wrong of letters at competition of ancestors was worsened. Education and disciple for recovery of Confucianism destroyed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and to ask for petition of commendation and selection of devoted child. Early 20th century, reconstruction of Seowon and Sau destroy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building of monument for the devoted child, and participation in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orks rapidly increased. Oksan Seowon was thought to produce public opinions and to supply Tongmun firstly except for Hyanggyo and to be asked to form opinions of construction of Seawon regardless of political party and regions and to collect money. Oksan Seowon collected opinions in Gyeongju and neighboring areas to decide upon affairs carefully rather than extreme conclusion considering great influence upon the society. From th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paying homage to the ancestors and other businesses were done in Yeongnam, Debate on wright and/or wrong was made and Oksan Seowon joined in pending subject to cooperate and mediate and to have influence upon Yeongnam.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배향 인물 영정의 현상적 접근

        오수원(吳壽元),권혁중(權赫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ortraits of enshrined characters in the World Heritag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and to identify the role and status of the portraits of each Seowo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in charge of Neo-Confucianism education and served as a ritual for the enshrined person.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y, which was added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9, is home to nine portraits of Ahn-hyang(安珦, 1243-1306) and Joo Se-bung(周世鵬, 1495-1554) in Sosu-seowon, Namgye-seowon, Oksan-seowon, Dosan-seowon, Piram-seowon, Piram-seowon, Dodong-seowon, Gyeongsan-Seowon, and Donam-seowon. Namgye-seowon only houses the portrait of Jeong Yeo-chang(鄭汝昌, 1450-1540), and Choi Chi-won(崔致遠, 857-?) in Museong-seowon. In all Seowon, rituals are hel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and in Seowon, where portraits are enshrined, rituals are held by serving portraits along with memorial tablets. Given that Sosu-seowon, who received the Bestowal of Title Boards for the first time, is being held as an example, it is hoped that Seowons necessity will be recognized even in a Confucian academy without portrai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