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취관리지역 실태조사와 감시 시스템 구축

        한진석,이민도,임용재,구윤서 한국냄새환경학회 2008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7 No.4

        Odor management area was introduced by Odor prevention laws in 2004. Odor is generated a lot of sources. It is generated from various process as well as stack outlet. So it is hard to control od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velops the system to control odor. Nineteen areas were selected as Odor management area. Odor management area should be conducted for periodical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dor is normally measured by Odor analysis method.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conduct by Odor management area because of measurement frequency, limitation of areas and high cost. Therefore we need to figure out how to reinforce this performance in Odor management area. So we have checked possibility of monitoring system with realtime odor monitoring, electron sensor, mobile communication and odor modeling system. The Odor monitoring system is consis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electron sensor system. The Odor monitoring system could be checked for odor concentration and source of odor by accessing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경기도 악취관리지역의 악취실태조사 평가

        나경호(Kyung-Ho Na),오천환,권보연 한국냄새환경학회 201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9 No.4

        2005년부터 5년 동안 경기도내 악취관리지역인 4개 산단에서 실시한 악취실태조사와 악취자동측정망 결과를 비교 평가한 결과 경기도내 4개 산단의 복합악취농도는 2006년 이후 점차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악취기준초과사례는 반월산단 9회, 시화산단 7회, 반월도금, 아산산단 각 1회로 나타났다. 개별 악취성분은 매년 초과성분이 달랐으나 황화수소의 경우는 2006년, 2007년과 2009년에 지속적으로 초과하였다. 한편, 복합악취와 악취지정물질이 기준초과한 시점이 일치한 경우는 전체의 40.9%로 이외의 경우는 조사대상 지정물질 이외에서 기인한 것이거나 정도관리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복합악취결과와 민원발생과의 상관성(R²)은 시화산단 0.434, 반월산단 0.878, 아산산단 0.434로 나타나 일정한 상관성을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복합악취와 악취측정망 자료와의 상관성(R²)은 시화산단 0.145, 반월산단 0.964로 나타나 시화산단의 경우 복합악취에 대한 측정지점이나 정도관리에 대한 검토가 일부 요구된다. When it evaluates the odor actual investigation of the odor control restricts in Gyeonggi-do during 2004 and 2009 year, The complex odor at 4 industrial complexes was appeared gradually to be decreased after 2006 year, Excess cases of standard in Banwol, Sihwa, Banwol plating, and Asan industrial complexes were 9 times, 9times, one times and one times respectively, Excess odor substances changed every year in S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but Hydrogen sulfide is exceeded odor emission standards in 2006, 2007, 2009 year continually. On the other hand, the cases that complex odor and specified odor substances were exceeded simultaneously were 40.9% of total, and the rest of cases were estimated as to be caused by the other appointment compounds or the lack of quality control. The corelation (R²) of complex odor concentra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 complaint was 0.434 at Sihwa industrial complex, 0.878 at Banwol industrial complex and 0.434 at Asan industrial complex. also, corelation (R²) of complex odor and data of odor auto monitoring was 0.145 at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0.964 at Banwol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Sihwa industrial complex is partially demanded the check of sampling site and the quality control on the complex odor.

      • 한국인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 어구 분류

        김현욱,최홍림,이기형,김재혁,권우택,김기범 한국냄새환경학회 200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3 No.3

        Environmental odors are generally described with four sensory parameters, i.e., threshold concentration(the lowest concentration at which an odor can be detected or recognised), odor intensity, hedonic tone(degree of pleasantness or unpleasantness associated with odor), and odor characters(words describing perceived odor). Recently, due to increased number of complaints related with odors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ndustrial area, landfill sites, livestock husbandry farms and so on, a number of researches on odor are being studied. However, unlike western european countries, Japan, and northern america, research on odor in Korea does not long history. Moreover, We Koreans do not have systematic standard expression words characterizing odor. For better understanding of odor generation and mitigation, words and phrases to well characterize a korean's sense on odor need to be organized. In this study, an in-depth investigation on korean phrases describing odor characters has been performed. Both foreign and korean literatures were searched and survey was performed to collect phrases describing odors.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milarity in meaning to develop a wheel type table of odor descriptors classified into 10 main odor subjects. Then, each main odor subject is divided into descriptors(total 142 sub odor descriptors). Then, a way of graphically presenting frequency of odor descriptors chosen by odor panels is proposed to easily compare the results of the odor panel character. 관능법을 이용하여으로 냄새를 평가할 때에, 일반적으로 냄새 한계농도(odor threshold:사람이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한계 농도), 냄새 강도(odor intensity:감지되어지는 냄새의 세기), 냄새 심미도(hedonic tone:냄새의 불쾌한 정도), 그리고 냄새 성격(odor character:다른 냄새와 구별되는 냄새의 특성)등을 이용한다. 최근, 하수처리장, 공단, 매립지, 가축 사육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로 인한 민원의 증가로 냄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그에 따른 많은 연구들도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냄새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온 서구나 일본등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냄새에 대한 연구는 초보단계에 있으며, 표준화된 냄새 표현 단어들조차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악취발생 혹은 저감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먼저 한국인들의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어구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사 표현어구들의 미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및 국내 문헌 조사 그리고 설문을 통하여, 표현 가능한 냄새 특성을 조사하고, 조사된 자료를 유사한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한국인들의 정서에 맞는 냄새 표현 어구 및 단어들을 정리하고, 유사 냄새와 비교하여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표준 냄새 표현 어구 분류표(standard odor descriptors)”를 제안하였다. 표준 냄새 표현 어구 분류표(standard odor descriptors)는 냄새 특성을 먼저 10개의 주요 냄새 표현 단어들로 분류하고, 각각의 표현에 대해서 3~20 개의 상세 표현단어들로 세분화하여 총 142개의 냄새표현 어구들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안된 표현들을 직접 관능법에 의한 냄새 평가에서 얻은 결과에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냄새 특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특히 가축시료(계(鷄)분뇨, 돈(豚)분뇨 그리고 젖소 분뇨)와 같은 비슷한 성격을 갖는 시료의 냄새 특성을 자세히 시각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2차 냄새 표현 어구 그래프”를 도입하여 유사 냄새 특성을 갖는 시료들의 차를 구분하여 시도하였다.

      • 무궁화 열차 내 화장실 악취농도에 관한 연구

        박상진 한국실내환경학회 2014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13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odors emitted from toilets in Mugunghwa trains. Two parameters, odor intensity and odor concentration, were used for odor estimation. A direct olfactory method to observe odor intensity for 67 toilets and a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o estimate odor concentration for 6 sample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odor concentrations in toilets in trains ranged from 6 OU/m3 to 30 OU/m3, and odor intensity in 67 toilets varied from 0 degree to 3.3 degree. The results suggest that odors emitted from existing toilets should be controlled because the odor intensity in 16 toilets reached a level that resulted in complaints about the odor.

      • KCI등재

        하수처리시설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지정악취물질의 실태조사

        조현준(Hyeon-Jun Cho),윤수철(Su-Chul Yoon) 대한환경공학회 202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6 No.3

        목적: 악취는 발생물질의 종류와 배출원이 다양하고, 여러 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생활환경과 사람의 심리상태에 따라서 오염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발생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방법: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생활악취 발생원 중 하수처리시설과 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악취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계절별 악취 발생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악취기여도를 통해 하수처리시설 및 사업장 악취에 기여하는 물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결과 및 토의: 연구 결과, 하수처리시설은 고농도로 배출되는 물질이 Propionic acid, isoValeric acid, n-Valeric aicd 등의 지방산류 물질인 반면, 사업장은 Toluene, Xylene, Butyraldehyde, Trimethylamine, iso-Valeraldehyde 등 다양한 악취물질들이 배출되었다. 결론: 발생농도와 더불어 악취기여도도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하수처리시설과 사업장의 특성상 악취를 유발하는 약품이나 제조과정에서의 차이인 것으로 사료되나, 두 시설 모두 주요 악취 원인물질이 Trimethylamine과 n-Valeric acid 물질로 나타났다. Objectives : Odor emissions pose a challenge due to the diversity of odor-producing substances, their various sources, and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compounds. Moreover, peoples perception of odor intensity can vary based on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tate,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manage and develop mitigation measures for odors, in contrast to other air pollutant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focuses on two prominent sources of residential odors, namely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industrial estate. Methods : Through on-site data collection,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ssions and analyze seasonal trends in odor generation. Ultimately, the study seeks to assess the substances contributing to odor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industrial estate through odor contribution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predominantly emit high concentrations of fatty acid substances such as Propionic acid, iso-Valeric acid, and n-Valeric acid. In contrast, industrial estates release a variety of odor-causing substances, including Toluene, Xylene, Butyraldehyde, Trimethylamine, and iso-Valeraldehyde. Conclusion : Significant differences are observed both in terms of odor concentration and odor contribution. These disparities are attribut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industrial processes that induce odors. Nevertheless, in both types of facilities, Trimethylamine is identified as a major contributor to odors.

      • KCI등재후보

        민원발생 사업장의 악취 저감방안 연구(화양농공단지를 중심으로)

        김양기,박송인,박현수,하훈,이지헌 한국냄새환경학회 201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odor reducible solution in Hwayang agricultural industrial complex. Civilcomplaints have lasted because of odor caused by recycled plastic produc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issioncharacteristic and concentration of key odor components, we investigated the complex odor and 17 odorcompounds at 3 sites of five chemical facil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3. The results of complex odor showed8~12 at a boundary of 5 facilities. The results of complex odor showed 6694, 3000, 1442 at an emission (stack)of 3 facilities, which exceeded the emission standard. The highest compound and its concentration of each sitewas different because each facility has different processes and use different raw materials. We suggested thesuitable prevention facility for each company to reduce odor. We analyzed the odor contribution with the emission(stack) point of S, I, B and the inside point of W, J. S plant was Acetaldehyde (45%), I plant was Trimethylamine(32%), B plant was Styrene (35%), W plant was Hydrogen sulfide (42%), J plant was Hydrogen sulfide(41%). An objective of study is odor management area and will apply odor strict emission standards. A suitable preventionfacility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based on survey data to reduce odor.

      • KCI우수등재

        서울시 관악구 도림천 복개 정도에 따른 환경 악취 요인 분석

        박소영,Gökçe Nur Ayaz,김희원,윤형기,권태홍,김성균 한국환경보건학회 202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50 No.2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apid increase in environmental odors and notable rise in civil complaints near Dorim Stream in the Gwanak-gu area of Seoul.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al compound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odors in the Dorim Stream and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that inf luence odor 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setting up 41 sampling points, selecting panels for direct sensory evaluation to assess odor intensity, measuring dissolved oxygen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and using all-in-one low-temperature desorption gas chromatography (ATD-GC) and thermal desorp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D-GC/MS) analysis to identify odor-causing compounds. Results: The evaluation of Dorim Stream revealed that in areas with complete meandering, there were lower dissolved oxygen levels (4.5±2.67 mg/L) and higher odor intensity (4.0±0.92), while in partially meandering sections, higher dissolved oxygen levels (7.8±1.15 mg/L) and lower odor intensity (2.8±1.06) were observed. Hydrogen sulfide levels measured with sensors in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s, especially in the afternoon hours (12:00~14:00). Acetaldehyde was the dominant odor compound detected in both the Bonglim Bridge (0.4 ppm) area and Guro Bridge area (0.867 ppm), with concentrations more than twice as high near Guro Bridge. Odor-causing compounds identified by TD-GC/MS indicated a pungent, sulfurous odor in the Guro Bridge area and a musty odor in the Bonglim Bridge area.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sources of odor in Dorim Stream in Seoul based on meandering patterns and the distribution of sewage facilities, highlighting the potential odor issues associated with combined sewage systems and sewer junctions and suggesting policy improvements.

      • KCI등재후보

        악취관리지역 실태조사와 감시 시스템 구축

        한진석,임용재,구윤서,이민도 한국냄새환경학회 2008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7 No.4

        Odor management area was introduced by Odor prevention laws in 2004. Odor is generated a lot of sources. It is generated from various process as well as stack outlet. So it is hard to control od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velops the system to control odor. Nineteen areas were selected as Odor management area. Odor management area should be conducted for periodical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dor is normally measured by Odor analysis method.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conduct by Odor management area because of measurement frequency, limitation of areas and high cost. Therefore we need to figure out how to reinforce this performance in Odor management area. So we have checked possibility of monitoring system with realtime odor monitoring, electron sensor, mobile communication and odor modeling system. The Odor monitoring system is consis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electron sensor system. The Odor monitoring system could be checked for odor concentration and source of odor by accessing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악취관리지역은 2004년 악취방지법이 제정되면서 악취관리지역의 개념이 도입 되었다. 악취의 발생원이 다양하고 배출구이외의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원의 관리 방법으로 해결이 어려워 지역전체의 관리차원으로 계획을 세우고 효율적 관리가 되도록 하였다.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악취실태조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현재 19개 지역이 지정되어 있다. 악취를 측정하는 방법은 악취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악취의 측정빈도, 공간적 제한성, 고비용의 측정비용 등으로 악취관리지역에서의 실태조사는 좀더 보완이 필요한 때이다. 이에, 현장연속측정시스템, 취기를 측정하는 전자센서, 이동통신, 악취모델링 기법을 도입한 감시시스템의 구축방안과 이에 대한 가능성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악취감시시스템은 현장연속측정시스템과 전자센서로 구성하며 인터넷과 이동통신방법으로 연결되어 악취농도 예측, 배출원 규명 등의 목적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확산 모델을 이용한 악취배출허용기준 개선 필요성 연구

        윤희영,구윤서 한국냄새환경학회 201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2 No.2

        Even though offensive odor control law was enforced in 2005, the civil appeal of odor doesn't decrease all parts of the country. On Effluent Quality Standard site, the reason why the civil appeal is filed could be the restriction which is regulated by odor concentration(dilution threshold) without considering odor emission. When regulating odor concentration only, the different scenario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for diffuse form through odor concentration, stack height and flow rate using AERSCREEN. Odor compounds from the analyzed scenarios were fluctuated by not only odor concentration but flow rate. Therefore, flow rate regulation introduction is necessary because odor concentration regulation of Effluent Quality Standard doesn't make the civil appeal reduce. Now, Odor Effluent Quality Standard is managed by Effluent Quality Standard like air pollutants in Korea. It means, the concept conversion of Receptor-centric is need for preventing civil appeal and complaint of odor. For the odor management of receptor-centric, workplace emission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odor concentration at receptor. but it's hard to regulate all of workplace respectively because all workplace condition is different each other. In Japan, odor diffusion modeling for calcul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ceptor and emission is used for the method to figure out the problem. By expanding odor automatic monitoring network that some of local governments have, odor emission management and continues receptor current status analysis are needed to combine and operate for resolving odor problem. 2005년부터 악취방지법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악취 민원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고 있다. 민원 발생의 증가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배출허용기준 측면에서 본다면, 악취의 규제기준이 배출량을 고려하지 않고 악취농도(희석배수)로만 규제하고 있는 제한점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악취농도만 규제할 경우의 확산 형태를 보기 위해 AERSCREEN을 이용하여 악취농도, 배출구높이, 배출유량을 달리하여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최대착지거리와 악취농도를 분석․검토 하였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확산된 악취물질은 악취발생농도 뿐만 아니라 배출유량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행 악취배출허용기준의 악취농도규제만으로는 민원 발생을 차단할 수 없고, 배출유량 규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국내 악취배출허용기준이 일반 대기오염물질과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배출원 규제기준의 달성여부 관점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수용체 중심으로 민원 및 불만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으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용체중심의 악취관리를 위해서는 수용지점에서 농도기준(부지경계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사업장 악취배출량을 규제해야 한다. 그러나 악취배출 사업장의 조건은 다양하므로 일괄적인 규제는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과 같이 수용체와 배출원과의 인과관계를 계산하기 위한 악취확산모델링이 해법이 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악취자동측정망을 확대하여 악취배출원 관리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수용체에서 악취의 현황을 파악하여 악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현장후각측정방법의 국내 적용 연구

        김영진,한진석,김성태,장현섭 한국도시환경학회 202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0 No.1

        Odor is sensory pollu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living environments, causing displeasure people’s daily lives. In order to manage such odor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learly identify the odor phenomenon around the sources. In Korea, a method is applied to collect air from a site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ilution and 'designated offensive odor substances'. Germany and the U.S. are managing odors by a mixed standard of frequency and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regulating them with their measurement concent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in the field, and in Germany, a grid is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odors occurring, and a grid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during the total visit by a olfactometry panels based on statistical rules for a period of six months or one ye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rough a study on how to investigate odour by applying the German grid method to domestic environmental base facilities. First, it was able to reflect seasonal effects, time changes, and types of odors. Thus,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use of the odor, the affected areas and countermeasures. Second, the domestic version from the German grid method allows for Investigation of odor conditions. Third, recording the type and intensity of odors when measuring field odor helps analyze the more obvious effects when selecting the cause site. Fourth, nevertheless,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applying field odor in Korea, but difficulties in using the IoT technology can be improved. 악취는 생활환경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공해로써, 생활환경 내에서 불쾌감등을 유발한다. 이와같은 악취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악취현황을 명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국내에서는 현장의 공기를 포집하여희석배수 및 지정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 독일 및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국내에서의 방법과 같이 단일 농도값을 기준으로 악취영향을 규제하기 보다는 악취가 발생하는 빈도와 농도의 복합적인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약한 악취의 발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인정수준을 포함하고 있으나, 최소의 악취불쾌감이라도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악취의 발생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독일에서는 이와 같은 악취발생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악취발생지역을 일정간격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6개월 또는 1년동안 기간을 정하여 통계적 규칙에 기반하여 악취판정사가 현장에 방문하고, 직접 악취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한 후 총 방문기간동안의 악취빈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방법인 격자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식 격자법을 이용하여 국내형으로 변형하여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격자법에 의한 악취실태를 조사하는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절적인 영향과 시간적인 변화, 냄새의 종류등을 반영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악취의 원인과 영향지역, 대응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독일식에서 축소된 국내형으로도 악취현황파악에 적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현장악취 측정시 현장악취 측정시 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기입하여, 원인 사업장의 냄새를 선별하는 경우 좀더 명확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악취에 대한 국내에서 적용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나, IoT기술을 접목하여 활용시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