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선교 방향

        김성운 ( Kim¸ Sung Woo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52 No.-

        취업, 유학, 결혼, 난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국에 들어와 머무는 무슬림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선교적 관점에서 볼 때, 이주 무슬림의 증가는 이슬람 국가들에서처럼 제한을 받지 않고 무슬림들에게 자유롭게 복음을 전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과 이슬람 포교 활동이 증가한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 그리스도인들 가운데는 이슬람의 한국 유입과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부담과 주님의 가르침에 따라 이주 무슬림들을 사랑하고 전도해야 한다는 사명 사이에 갈등하는 자들이 있다. 이 둘은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한국교회는 케이프타운 서약 2부 IIC 1항이 요청하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순종하여 그들의 이웃”이 되어야 하며, 또한 “우리는 온유하되 그저 순진하지는 않으며, 분별하되 쉽게 속지는 말며 위험 앞에 깨어있지만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않아야 한다.” 한국교회는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이 마음대로 이슬람을 전파하도록 방관해서는 안 되지만, 이들을 무조건 거부하고 배척해서도 안 된다. 이런 태도는 둘 다 교회나 사회에 유익을 주지 못하고, 이슬람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도 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이주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이슬람이 한국에 확장되는 것을 막고 땅끝까지 복음을 전하라고 명령하신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방법임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먼저 무슬림들이 이주한다고 해서 그 사회가 이슬람화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을 수용하는 국가나 교회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비이슬람 국가에 이주한 무슬림들이 취했던 행동들을 유형별로 살펴본다. 논 논문은 이어서 한국에 거주하는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출신국가, 종교활동, 한국어 구사 능력 등과 같은 상황을 살펴본다. 이주 무슬림 노동자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는 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을 선교하고 있는 단체들의 활동을 살펴보고 평가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무슬림 이주노동자를 위한 선교 방향을 1) 무슬림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 2) 이주 무슬림에 대한 이해 3) 이웃으로 찾아감 4) 전문적인 사역자와 선교팀 육성 등 4가지로 제시한다. The number of Muslim migrants in Korea is steadily rising.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the rise of Muslim migrants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The positive aspect of the presence of Muslim migrants in Korea is that it allows us to freely share the gospel with them without the strict obligations imposed by Islamic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Muslim migrants lead to the rise of Islamic mission work in Korea. As Christians, we are under a dual responsibility to resist the influx and promulgation of Islam in Korea while following the Lord’s order that we must love these migrants and share the gospel with them. The two ideas can coexist without contradicting each other. The Cape Town Commitment says, the Korean Church should “strive not only to see them as neighbours, but to obey Christ’s teaching by being neighbours to them.” In addition, it must remember that “we are called to be gentle, but not naive; to be discerning and not gullible; to be alert to whatever threats we may face, but not ruled by fear.” While the Korean Church should not onlook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Muslim migrants, it must not ostracize or reject the group. Such attitude is not beneficial to the church and the society at large, nor it fundamentally solves the spread of Islam. This study argues that preaching the gospel to Muslim migrants will prevent the spread of Islam to Korea. The study also directs mission approaches that specifically appeals to Muslim migrants. First, the study will examine the various behavior previous cases and categories of Muslims who migrated to non-Islamic countries. This is in order to prove that the presence of Muslims through migra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to the Islamization of society and reveal how the responses of receptive country and its church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outcome of the arrival of Muslim migrants. Secondly, the study will look at the Muslim migrants who are currently residing in Korea and their circumstances such as originating countries, religious activities, and linguistic fluency in Korean. Thirdly,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mission work towards Muslim migrants, this study will assess various mission organizations that are working with Muslim migrants. Through this approach, this paper identifies that mission work for Muslim migrants must be based on 1) a change of awareness towards Muslims 2)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migrating as a Muslim 3) approaching as them as neighbors 4) upbringing and training specialized ministers and mission teams.

      • KCI등재

        한국이주 남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집단화 -남아시아 무슬림의 에스닉 집단화에 관한 연구-

        김효정 ( Hyo Jung Kim ) 한국이슬람학회 2008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18 No.3

        Korea has been converted from outflow country of labor to inflow country of labor rapidly after late 1980`s and many worker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economically low leveled developing countries have come to Korea. The class of foreigners in Korea has been diversified due to increase of marriage 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after 1990`s. Especially the number of Muslim increased dramatically. Most of migrants in Korea are workers and most of them are Muslims from South Asia or Southeast Asia. Therefore it could be very meaningful in multi-culture discourse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uslims in Korean society. Migrants Muslims in Korea have made ethnic group based on their own religious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have kept their own collective identity. Therefore the ethnicity based on religio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 in the research of migrants Muslims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uslims in Korea society. This thesis is the first individual research of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Migrant Muslims in the Korean Society: for the Coexistence Kosli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it will present ethnic grouping of South Asian Muslims under the subject of influx and organization of South Asian Muslims.

      • KCI등재

        국내 무슬림 유학생 선교전략

        정혜원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uslims in Korea, which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alization due to the increase in migrants, has become a social issue. Muslims, in particular, tend to be perceived as objects of fear and wariness even by Christians, and are missionally marginalized among migrants. On domestic campuses, the number of Muslim students who voluntarily came to study from closed areas continues to increase. It is necessary to mission more actively with a strategy on how to mission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uslim students on domestic campuses and suggests that Muslim student missions are a strategic opportunity for world missions and campus missions for Muslims who have moved to opened areas to the gospel.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presented for Muslim student missions suitable for the domestic campus environment. There needs to be a shift in the perception that Muslim students are also targets of campus missions. Campus workers should be developed as Muslim missionary resources through missionary education and field training based on Islam and Muslim understanding. Muslim student mission targets should meet individually, but ministers should strategically evangelize to a small group team. We need to have an attitude of respecting them and practicing the love of Christ, satisfying their needs such as learning Korean, and engaging in interactive evangelism to preach Jesus Christ. Through contextualized evangelism through dialogue, we should provide wise answers to Muslims' questions, testimonies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nd biblical narratives that are similar to the Qur'an, and so on. This should be done to suit the situation of Muslim students. 이주민의 증가로 다문화사회화되고 있는 한국 내 무슬림의 증가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무슬림은 그리스도인에게도 두려움과 경계의 대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 국내 이주민 중에서도 선교적으로 소외되는 대상이기도 하다. 국내 캠퍼스에 닫힌 지역에서 학업을 위해 자발적으로 온 무슬림 유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들을 어떻게 대하며 선교해야 할지에 대한 대안과 전략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선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캠퍼스의 무슬림유학생 현황을 살펴보고, 무슬림 유학생 선교가 복음에 열린 지역으로 이주한 무슬림을 전략적으로 선교할 수 있는 세계선교와 캠퍼스 선교의 기회임을 제안한다. 국내 캠퍼스 환경에 맞는 무슬림 유학생 선교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무슬림 유학생도 캠퍼스 선교의 대상이라는 인식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캠퍼스 사역자들을 이슬람과 무슬림 이해에 기초한 선교교육과 현장 훈련을 통해 무슬림 선교자원으로 발굴, 개발해 나가야 한다. 무슬림 유학생은 개별적으로 접촉하되 사역자들은 소그룹 팀 선교 전략으로 관계전도를 해나가야 한다. 그들을 향한 존중의 태도와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며, 한국어 공부 등의 필요를 채우며, 예수그리스도를 전하는 대화식 전도가 필요하다. 대화를 통한 상황화 전도를 통해, 무슬림의 질문에 대한 지혜로운 대답,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의 간증, 꾸란과 유사성을 지닌 성경 내러티브 내용 등으로 무슬림 유학생 상황에 맞게 전략적으로 전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MENA 지역 유출 이주민 유형 분석과 적용

        이수정,박보라,양정아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0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4 No.3

        This article suggests a new category to explain migrants from the Middle East & North Africa(MENA).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for migrants does not show the whole landscape of migration from MENA, which limits the perspective of observing the ongoing change in countries with Muslim migrants from MENA. First, this study analyzes migrants statistics from MENA: their origin, immigrant countries, and the relevant statistic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iculties of explanations based on former migrant categories. Lastly, this article suggests a new categorization for MENA migrants: 1) labor migrants, 2) high-skilled migrants, and 3) survival migrants, and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istics. It can be able to analyze the specific purpose of migrant based on this new categorization.

      • KCI등재

        코로나 19와 무슬림 이주민의 종교적 실천의 디지털화 : 한국 거주 인도네시아 무슬림을 중심으로

        신지원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ligious practices of Indonesian Muslim migrants in South Korea have been digitized after COVID-19. The present study developed constructs to investigate private religious practice, public religious practice,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and digital religious practice in South Kore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Surveys, and 189 respondent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vate religious practic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In contrast, public religious pract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Furthermore,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had a positive (+) effect on digital religious practice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was also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partially mediates between private, public, and digital religious practic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imply that COVID-19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practices, and that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practices of minority groups such as Indonesian Muslims in Korea can be strengthened during restricted situations. Finally, the positive effect of public religious practice on the digital religious practice in COVID-19 implies that digital religion can function as a new public sphere in a restricted situation.

      • KCI등재

        소외의 공간, 방리유와 무슬림이주민의 통합

        김숙경(Sookkyong Ki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2

        오늘날 프랑스에서 무슬림의 이주와 통합문제는 치안과 국가안보의 차원으로 전환되어 가는 것으로 보인다. 〈샤를리 엡도〉사건을 포함한 테러사건들은 자국의 이민출신 청년들에 의한 것으로, 이는 동화정책, 식민통치, 사회 · 경제적 불평등과 반이민정서의 확산 등과 관련 깊다. 하지만 이 뿌리 깊고 구조화된 문제들은 불완전한 통합을 상기시키는 물리적 공간, ‘방리유’에 의해 설명된다. 무슬림 1 · 2세대는 국가번영과 경제성장에 공헌했음에도, 오랫동안 소외되어왔으며, 식민통치의 피해의식과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함으로써 이들의 통합은 난항을 겪고 있다. 9/11이후 무슬림에 대한 치안화가 증가했으며, 치안은 이들의 통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짐으로써 방리유의 젊은이들은 치안관계자들의 주목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이 문제의 근원은 통합정책의 실패에 기인하며, 동화주의의 비타협적인 기조와 성향이 변하지 않는 한, 이들의 불완전한 통합은 테러재발의 여지로 남을 것이다. 이민정책은 정치전통과 이념에 기반한 정부가 주도해서는 안 되며,이주민들을 온전한 시민으로 통합하려는 국가의 의지는 그 어떤 정치적 이념이나 전통보다 중요하다. In today"s French society, migration and integration of Muslims seem to be shifting to national security issues. Terrorist attacks including Charlie Hebdo shooting caused by young French muslim immigrants, are deeply related to France"s Assimilation policy, colonial history, social-economic inequality and the spread of anti-immigrant sentiments. But these deep and structured problems are explained by "Banlieue’, a physical space that reminds us of their incomplete integra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immigrants contributed to national prosperity and economic growth, have long been isolated and their integration has been difficult by maintaining the victim mentality of the colonial times and muslim identity. The securitization of muslims has increased since the 9/11 terror attacks, the young muslims have been the focus of security officials as French security is closely related to Muslim’s integration. However, these problems are due to the failure of the integration policy, and their incomplete integration will remain room for terrorist recurrence, unless the uncompromising keynote and tendency of assimilationism changes. Thus the migrant integration policy should not be l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political disposition, the political will to integrate immigrants as true citizens is more important than the political tradition of a nation.

      • KCI등재

        독일 무슬림 이주여성에 대한 폭력 논의

        최대희(Choi Dae h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9 No.-

        독일의 이주여성 폭력을 둘러싼 논의에서 ‘서구 대 이슬람’, ‘민주주의 대 전(前)민주주의’, ‘인권 대 폭력’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담론적 할당이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방적 할당이 허용될 수 없으며 독일에 거주하는 토착 독일여성과 이주배경을 가진 여성의 현실에 적합한 묘사가 아니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독일 이주여성 폭력 관련 데이터의 경험적 분석은 “터키 출신 여성의 다수는 극단적 전통적인 및 폭력적인 파트너관계에서 살고 있지도 않고, 독일 출신 여성의 다수가 폭력으로부터 벗어난, 동등한 역할분담의 근대적 파트너관계에서 살고 있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주여성들이 고강도의 폭력에 노출되는 것은 그녀들이 무슬림이기 때문이 아니라, 언어능력 부족, 교육 결핍과 같은 그들의 사회적 상황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소들을 도외시 하고 폭력과 양성평등 문제를 일방적으로 ‘이슬람’ 문화에게 할당하는 이른바 폭력의 ‘문화화’는 독일 다수사회에서의 가정폭력과 양성평등 결손의 문제를 비가시화 하는 결과를 낳는다. 사회적 차이를 종교적 차이로 치환하는 이슬람비판가들의 ‘문화화’ 논지는 정치적 차이를 종교적 차이로 설명하는 급진적 이슬람주의자의 논지를 닮아 있다. In recent discussions on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the prevailing discourse focused on the axis of “the West vs. Islam,” “democracy vs. pre-democracy,” “human rights vs. violence.”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such polarization and generalizations do not describe adequately the reality of women with migration background in Germany.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on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majority of women of Turkish origin do not live in traditional and extremely violent partner relationships. Migrant women are exposed to violence not primarily because they are Muslims, rather because their social circumstances such as lack of language ability or education. If such social factors would be disregarded and the problem of violence and gender inequality would be attributed to only “Islamic” culture, then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and lack of gender inequality in German majority society could be made invisible. This “culturalization” arguments replacing the social difference by the religious one closely resemble the arguments of the Muslim-fundamentalists explaining the political difference by the religious one.

      • KCI등재

        북아프리카 튀니지 제르바섬의 다인종 공동체의 종교문화적 특성에 관한 고찰

        장훈태(Chang, Hun T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2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1 No.-

        마그레브 지역은 지중해와 대서양을 끼고 있는 서양문화의 관문일 뿐 아니라 유럽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을 잇는 지정학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그 가운데 튀니지공화국은 서구 헤게모니에서 다중심주의 국가로 변화하는 가운데 민주화라는 커다란 산과 경제적 정체기를 겪으면서 빈부격차가 심화하였고 국내 혹은 해외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북아프리카의 토착 민족인 베르베르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이주민 중 하나로, 북아프리카의 넓은 지역에 걸쳐 흩어져 생활하고 있다. 대도시에 흩어진 베르베르족은 전통적인 종교에서 벗어나 642년과 649년 사이에 일어난 아랍군의 마그레브 원정으로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았다. 베르베르족의 삶의 터전으로 침입해 온 이슬람 세력은 경제적‧사회적‧종교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베르베르족 삶의 많은 영역에 영향을 끼쳤다. 이로 인해 베르베르족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게 되었으며, 아랍 베르베르족, 아랍화한 베르베르족, 베르베르 디아스포라, 베르베르주의(카발리즘) 등으로 나누어졌다. 튀니지 제르바섬에는 말레키즘(malékism)과 하나피즘(hanéfism)을 비롯해 이슬람화 된 베르베르족뿐 아니라 유대인과 각국에서 이주해 온 이주민 등의 다양한 민족이 살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튀니지 제르바섬은 정주민과 이주민의 혼합문화에 의해 특수성이 형성된 상태에서 지중해라는 독특한 환경이 더해져 재창조된 이종교배의 현장이 되어가고 있다. 현재 제르바섬에는 자유와 더 나은 삶을 위해 이주한 리비아 무슬림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다양한 유럽문화와 아랍문화, 그리고 한류 문화까지 유입되어 혼합된 문화의 토양을 형성하고 있다. 제르바섬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유입은 위기와 안전, 전략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경계와 상호의존을 통하여 발전 기회와 실패, 협력과 갈등, 전통과 현대라는 갈림길에 서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랍 베르베르족의 공동체 형성과 신종교의 신념체계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오늘날 베르베르족의 상황을 통한 미래세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튀니지 제르바섬의 문제는 외부의 개입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서로를 포용하고 협력하는 자세를 가지고, 서로 소통하며 해결해야 하는 과제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 지역의 발전과 선교를 위해서 이 지역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과 함께 살아가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기도로 준비해야 함을 상고하고자 한다. The Maghreb region is a gateway to Western culture that spans the Mediterranean and Atlantic Oceans. It is also a geopolitically,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 important place connecting the continent of Europe and Africa. Among them, the Republic of Tunisia has crossed the great mountain of democracy while Tunisia prospered from Western hegemony to a multicenter state.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people migrating domestically or abroad is increasing rapidly,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deepens while experiencing an economic stagnation. The Berbers, an indigenous people of North Africa, are one of the oldest settlers in the world, living scattered throughout a large part of North Africa. The Berbers scattered throughout the metropolitan areas escaped from traditional religion and were influenced by Islam through the Arab army"s expedition to Maghreb between 642 and 649. Islamic forces, which have invaded the Berber homes, have influenced many areas of the Berber life, including economic, social and religious. For this reason the Berbers speak a variety of languages and are divided into Arab Berbers, Arabized Berbers, Berber diaspora and Berberism(Cavalism). On the island of Djerba in Tunisia, a variety of ethnic groups live, including malékism and hanéfism, as well as the Islamized Berber tribes, Jews and migrants from different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the island of Djerba in Tunisia is becoming a site of cross-breeding recreated by the special environment of the Mediterranean Sea with the specialty of the mixed culture of settlers and migrants.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Libyan Muslim immigrants on the island of Djerba for freedom and a better life. In addition in recent years, various European cultures, Arab cultures and Korean Wave(Hanryu) cultures have been introduced to form a mixed culture. The influx of diverse people and cultures on the island of Djerba forms a new paradigm of crisis, safety and strategy, and through the boundaries and interdependence of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failures for development, problems of cooperation and the status lie between tradition and the present. Therefore, in this thesis, I will examine the future world through the situation of the Berbers today,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Arab Berbers" community and exploring the belief system of new religions. Through this the problem of Tunisia"s Djerba Island cannot be solved by external intervention but it is a task that must be addressed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having an attitude of embracing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for the development and mission of this region, it is necessary to first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we will have to pray to solve problems while living with them.

      • KCI등재후보

        초기 유입과 정착 과정에서의 영국 이주 무슬림 공동체와 한국 이주 무슬림 공동체의 비교연구: 기독교 선교적 함의

        권지윤,김아영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2022 Muslim - Christian Encounter Vol.15 No.1

        As migration caused by various issues is on the rise, migrants of diverse ethnic backgrounds are also entering South Korea consistently as migrant workers, foreign students, expatriates, and refugees. In particular, Muslim refugees are characterized solely by their religion and have become targets of discrimination.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which have experienced these trends generations before South Korea has, always appear as exemplary case studies during discussions of such issue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processes of Muslim communities into the UK and South Korea in an effort to identify aspects from our past to avoid repeating. By doing so, the authors propose that cooperative efforts between Koreans and migrants, and identifying the missional implications in them, are necessary for migrant Muslims to become a member of Korean society. 다양한 이유로 이주민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한국 사회에도 다양한 민족적 배경의 이주민들이 이주노동자, 유학생, 주재원, 난민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들 중 특별히 무슬림 난민들은 다른 이주민들과 달리 종교적으로 특징지어지면서 한국인들의 배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보다 몇 세대 전에 이러한 일을 경험하였고 지금도 여전한 사회 문제로 안고 살아가고 있는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이러한 담론에서 언제나타산지석의 예로 등장한다. 본고에서 저자들은 영국과 한국의 이주 무슬림 공동체의 초기 유입과 정착과정에 나타난 특성을 비교연구하면서 한국 사회가 밟지 말아야할 전철의 진정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논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주 무슬림들이 한국사회의 시민으로 정착하기 위해 한국인들과 이주민들의 공통의 노력이 있어야함을, 그리고 그 속에서 분명한 선교적 함의를 찾을 수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沧州回族的祖先移民传说

        丁慧倩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8 아시아연구 Vol.- No.3

        창주(滄州)는 하북성(河北省)내에 있으며 화북지구(華北地域)에는 중국 최대규모의 회족(回族)이 모여 살고 있다. 회족은 이 지역에서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 정착하여 살아왔으며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민국(民國) 22년《滄縣 志. 天方表》의 기록을 보면, 당시 창현(滄縣)내에는 청진사(清真寺) 47자리가 남아있으며, 4970호의 무리를 가르쳤다고 기록되어있다. 회족(回族)들은 자신들의 조상들은 창주(滄州)에 오랜 세월 거주하며 살았으며 유구한 역사과정 속에 위치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 여러 종류의 술화(述和)와 전설(傳說)이 남아 있는데 그것들은 지방지, 집안의 족보, 비석에 새긴 그림이나 글자에 남아있고,또 사람들의 구두를 통해서도 전승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예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는 현지 한족(漢族)들 사이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전해지는 홍동대괴수이민(洪洞大槐樹移民) 전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 이야기에는 회족들이 거주지를 옮겨 살게 되는 원인과 그들의 안타까운 형편들이 나타나있다. 본문에서는 대량의 민간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기점과 공간 기점에 따라 회족이 이주한 원인과 창주(滄州)지구의 회민(回民)의 조상이 먼저 옮겨 왔다는 전설을 확인하고 있다. 창주(滄州) 회민(回民)의 선조가 이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전설을 살펴보면, 이민의 과정은 명조시기부터 발생하고, “明朝初年”에 이르는 시간에는 빈번하게 나타난다. 현지에 살고 있는 회족(回族)의 보첩(譜牒)의 기재를 살펴보면, 현지의 한족민의 선조가 드러나고 있다. 이주자에 대한 전설을 살펴보면 공간 기점 상으로, 한민족의 홍동대괴수이민(洪洞大槐樹移民) 전설과는 같지 않다. 회민의 선조는 산서공동현(山西洪洞縣)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남경(南京)의 일개 “이랑강(二郎崗)”의 지방에서 왔다는 것이다. 이민자들을 움직이게 하는 원인은, 회민(回民)의 선조가 먼저 이주하였다는 전설인 “수룡보가(隨龍保駕)”에 나타나며, 떠나는 자들이 고향을 떠나기 어렵고 슬프고 처량한 마음과 불만스러운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에서는 하북(河北) 홍동대괴수이민(洪洞大槐樹移民)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본지 회민(回民)에게는 많은 전설이 전해진다. 현지 회민(回民)의 전설인 홍 동대괴수이민(洪洞大槐樹移民)이 한가지의 다른 사례라 하더라도 이 전설이 지금 까지 전해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명조와 청조의 구체적인 역사 아래 이러한 전설은 옳을 수도 있고 옳지 않을 수도 있다. 본지에 살고 있는 민중에게 이 전 설은 자신들의 선조들이 이주하는 과정을 역사의 과정에서 어떻게 설명할 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Cangzhou, situated at southeast Hebei province, is near by the Bohai Sea in east and depends on Beijing and Tianjin in north. Across the sea, Cangzhou faces the Shandong Peninsula and the Liaodong Peninsula. The ancient canal flows through the city. Cangzhou subordinated Hejian prefecture, located in North Zhili province, and ruled Nanpi, Yanshan, Qingyun three counties in Ming Dynasty. In the early period of Qing Dynasty, the organization system of Cangzhou did not change. Cangzhou was directly under the North Zhili province since 1725 and ruled Nanpi, Yanshan, Qingyun, Dongguang four counties. In 1731, Cangzhou ruled by Tianjin prefecture. In 1913, Cangzhou changed her name into Cang County. Now, Cangzhou is a prefectural-level city of Hebei province, which rules two urban districts, Xinhua and Yunhe, four county-level cities, Botou, Renqiu, Huanghua and Hejian, and ten counties, Cang, Qing, Dongguang, Haixing, Yanshan, Suning, Nanpi, Wuqiao, Xian and Mengcun. Cangzhou is one of the biggest Hui muslim minority inhabiting regions in Hebei province and even north China, where the Hui people have settled down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local chronicle in 1933, there were 47 mosques in Cang County and 4,970 households who believed in Islim. And the Cangzhou city has 6 mosques, holding 1,300 households. Another 41 mosques distributed in 30 villages, holding 3,670 households. Now, the Hui muslim population in Cangzhou is nearly 200,000, which surpasses the entire province Hui muslim total population 1/3. So no matter in the past or present, it’s very easy to meet Hui muslim people and find mosque here. The Hui people in Cangzhou claim that they are immigrant descendant. There are some legends about how the Hui people’s ancestors moved to Cangzhou and made their pitch. These legends has been prevalent in Cangzhou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 and is also seen in a number of lineage records and stele records. The main plots of these stories such as the ancestral home place and the reason for migration are different from the migrant legend of the Big Pagoda Tree in Hongtong, Shanxi, which has been prevalent in local Han nationality. The migrant legend of the Big Pagoda Tree in Hongtong , Shanxi has been prevalent in North China also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Many people believed that the legend telled the truth and many scholars paid more attention to it. Researchers commonly see the legend as reflecting the great migration during the Hongwu and Yongle reigns of the Ming Dynasty. And Hongtong is thus regarded as a transit point for migrating flows in the government project of forced displacement of the time. Comparing with the the migrant legend of the Big Pagoda Tree in Hongtong, the migrant legend of the Hui people’s ancestors hasn’t been bring to researchers’ atten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legend is very small. But this legend spreads widely in Hui people of Cangzhou and has its own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wants to tease out and discuss the migrant legend of the Hui people’s ancestors from the time beginning, the spatial beginning and the migrant reason through the massive folk literature material. According to the migrant legend of the Hui people’s ancestors, Hui people moved to Cangzhou in Ming Dynasty. We can find “in the early period of Ming Dynasty” in lineage records of Hui easily when people recorded their ancestors’ history. This time not only frequently appears in lineage records of Hui, the local Han people also declare that their ancestors moved to Cangzhou of the time. “In the early period of Ming Dynasty” becomes the mutual migration time beginning which belongs to the Hui and Han people. Their migrant legends begin at the same time. In despite of the same time beginning,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Hui and Han migrant legends. According to the migrant legend of the Big Pagoda Tree in Hongtong, the Han people’s ancestors came from Hongtong, Shanx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