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과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윤영배,강보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6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per-service education related to music for young children, the actual stat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and re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xperience of taking a course in a subject of music for young children(79.9%) and in a subject of instrumental music(68.2%) through pre-service education, with difference found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type of institution. They perceived the biggest shortage in music education-related coping measur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terms of pre-service education content and showed the greatest need for practice experiences with mock lessons to teach actual music. Secondly, they found the biggest difficulty in giving a lesson with lack or absence of music education materials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The music activity they taught most was singing, and the music activity they had difficulties with teaching was "music drama." They also raised a need for body expression programs for the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inally, they had a high perception of need for reeducation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expected that their efficacy in music teaching would increase through reeducation. They requested for methods to utilize music teaching materials or media for the content of reeducation and wanted methods of progress based on lesson videos and materials for re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태,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을 통해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은 79.9%, 기악 관련 과목은 68.2%를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교육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 내용으로 교육현장에 활용 가능한 음악교육 관련 대처방안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적 음악을 가르칠 수 있는 모의수업 실습 경험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행 시 필요한 음악교육 자료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는 일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가장 많이 지도하는 음악활동은 노래 부르기이며, 지도하기 어려운 음악활동은 ‘음악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해 신체표현하기 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재교육을 통해 음악교수 효능감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재교육 내용으로는 음악교수자료 또는 매체 활용방법을 요구하였으며, 수업 동영상과 수업자료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진행방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의 음악교과교수법 사례 연구 : 일본 전통음악교수법의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홍주희(Hong Joo-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7

        Music is the medium to convey the human emotion directly to the human mind and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of language and custom with others.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 times and cultural zone in which the music was generated because music itself contain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cultural zone in which it was made. Furthermor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bject of music can excitingly attain the difficult objective of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of Korea has been reorganized seven times since the enactment and declaration of the 1st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aw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enacted in 1955. The nature of the music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includes an understanding of basic musical concepts, the experience of diverse musical activities, interests in music and the attitude of enjoying participation in it and reflects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e feature of each musical culture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by meeting diverse times, style and cultural zone as well as our music and comparing the heritage of our musical culture and that of other countries. Thereby, it is necessary to succeed to and develop our musical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new musical culture. This corresponds with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rough the music of diverse times and cultural zones. It is a high time to know that the music of other people as well as the music of one's people is valuable. When the musical value of other people comes to be understood in earnest, the musical educator of each country would come to have the 'comprehensive vision' and 'balance'. For this purpose, the musical educators of each country need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ask of the education of their traditional music and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when their mutual advantages are learnt and understood.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Japanese music and contribute to the teaching method of learner-teacher of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in the seminar in which I participated as the learner. The research method is the field study to understand traditional Japanese music while learning the representative Japanese string instrument of 'Goto' and the percussion instrument of 'Wadaiko'.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concerning the case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Japanese musical instrument of 'Goto' and the case of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 performed in the traditional festival conducted in real life in rela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rrent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provided for childr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mended 7th Curriculum.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in which I participated in the learner's position because it is the case study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concerning the teaching method of teaching-learning.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music should be focused on enabling students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 proper to a country and the knowledge or full story related to the music while experiencing the music of diverse countries. The teacher should develop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by cultivating the ability to know and recognize the value proper to diverse music of several countries. It is thought that the case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teaching method of our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In addition,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cerning the cases of field music education of diverse foreign countries.

      • KCI등재후보

        실용음악교육의 동향과 실천적 과제

        이에스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8 음악교육공학 Vol.- No.7

        Applied music takes a high percentage in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although it has incomparably shorter history and tradition than classical music. The reason is that it is the core element of a creative industry which creates a higher value-added industry such as culture contents industry owing to popularization of cultural art. Another reason is the objective of education laying emphasis on practical and functional education, the shift of valuation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in accepting the education. These circumstances brought into the modification of the education objective and its curriculum due to commer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business management for holding the comparativeness in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need practical music and more professional distributors increased. That resulted in rapid development of academies or colleges to cultivate professionals. Howeve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usic in terms of academic aspect and quality is unsatisfac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 objective and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s of practical music in college institutions in Korea and identify how these institutions are administered. Furthermore, it seeks to find the ways to develop colleges as an institution to educate and foster professionals in practical music field by solving pertinent matters which most colleges have. More academic, social, functional and artistic development in practical music field is expected and a more active and deeper study is anticipated. Applied music takes a high percentage in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although it has incomparably shorter history and tradition than classical music. The reason is that it is the core element of a creative industry which creates a higher value-added industry such as culture contents industry owing to popularization of cultural art. Another reason is the objective of education laying emphasis on practical and functional education, the shift of valuation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in accepting the education. These circumstances brought into the modification of the education objective and its curriculum due to commer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business management for holding the comparativeness in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need practical music and more professional distributors increased. That resulted in rapid development of academies or colleges to cultivate professionals. Howeve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usic in terms of academic aspect and quality is unsatisfac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 objective and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s of practical music in college institutions in Korea and identify how these institutions are administered. Furthermore, it seeks to find the ways to develop colleges as an institution to educate and foster professionals in practical music field by solving pertinent matters which most colleges have. More academic, social, functional and artistic development in practical music field is expected and a more active and deeper study is anticipat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전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교의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임미경 ( Mi Kyung Rim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음악교과를 전담하여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교육대학에서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음악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전담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의견을 설문 조사하였고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전담교사 양성 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제1회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방안을 수정하였다. 또한 음악교사로서 필요한 자질을 검토하였고 한국과 미국의 초등음악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수정한 전담교사 양성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제2회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 방안과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방안은 3가지인데 모두 교사자격증에 전담교과명을 병기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제1안은 교육대학교의 기존 심화과정을 통해 교과전담교사를 양성하는 방안이고 제2안은 제1안의 시행을 전제로 하면서 전담 교과에 한하여 심화과정의 학점을 6학점 ~ 9학점 정도 늘리는 방안이며 제3안은 교과전담 (음악, 미술, 체육, 영어 교육과) 학생에 한하여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윤리, 실과 교과의 각과교육을 모두 필수로 이수하면서 체육, 음악, 미술, 영어의 각과교육 중에서 하나만을 선택하는 방안이다. 3가지 양성방안에 따른 음악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을 3가지 방안 모두에서 고루 배정하여 필수 과목을 동결시키고 심화과정의 학점수가 증가할수록 음악실기 같은 교과내용학의 비율을 확대하여 음악적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었다. 음악프로그램의 교과목들은 3가지 방안에서 거의 비슷하게 제시하였는데 이는 프로그램을 현실적으로 더 쉽게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to the elementary teacher; 2)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s of the subject system in order to devise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subject specialist; 3)revised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first educational specialist council; 4) reviewed the musical competences for the music teacher and analyzed the Korean and American music education curriculum; 5) surveyed the revised educational system to the music education professo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consulted the revised educational system to the educational specialist council; 7) developed the music programs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three plans of the devised educational systems. The three plans are step by step and required the prescribed certificate as the subject specialist The first plan is the same credit as intensified program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econd plan is the expanded first plan, and the third plan is the enlarged plan because the credits for the specialist program are biggest among the others. Since music education majors do not take the other subject education cours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art eduction, English education, the whole credits for the specialist program are 33. The devised music programs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offer the same required music courses comprised of all areas of music performance, music theory,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As the credits increase, the selective music courses are augmented.

      • KCI등재

        아시아 국가의 일반 교육에서 음악교사의 역할: 국가와 이념의 경계를 넘어

        ( Masafumi O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이 논문은 음악교육에서 필수적인 두 가지의 질문에 대하여 검토한다: 일반교육에서 음악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리고 각 국가 사이에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교육에서 음악교사의 역할은 동일한가 아니면 다른가? 이에 관련된 내용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 바, 그것은 일본과 세계의 공립학교에서 음악교육에 관한 일곱 가지의 특징과, 일반교육에서 음악교사의 역할과 사명에 대한 것이다. 일곱 가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일반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의 목표는 심미적이고 도덕적인 경향을 지닌다는 것, (2) 음악교사들은 학생을 다루는 방식과 교수 양식 면에서 동일하다는 것, (3)일본과 아시아에서의 음악교육은 주변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 (4) 일본음악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 (5) 국가 수준의 교육을 제정할 때 타협과 정치적 압력을 피할 수 없다는 것, (6) 계명창 이론이 잘 이해되지 않고 음악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 (7) 일반적으로 음악교사들은 어려운 조건에서 가르치고 있다는 것.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육체제는 국가마다 서로 다르지만 음악교사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상황에 있다. 음악교사의 보편적 사명은 “음악을 통하여 어린이들을 기쁘게 하는 것”이다. 학교의 음악교육은 국가의 교육체제, 정치적 상황, 또는 경제적 수준과 상관없이 “교육안에서의 음악”이 아니라, “음악 안에서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wo essential questions in music education: What is the role of music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and whether the role of music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is the same or different despit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nations?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seven characteristics concerning music education in public schools in Japan and the world and the roles and missions of music teachers in general education. The seven characteristics are: (1) The objectives of music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in Asia tend to be aesthetic and moral. (2) Music teachers are identical in treating students and teaching style. (3) Music education tends to be used to the end in Japan and Asia. (4) Japanese music teachers must follow the curriculum guidelines for each teacher's policy. (5) Making National Curriculum inevitably faces compromise and political pressure. (6) The theory of solmization is not well understood and is effectively used in music classes. (7) Music teachers are generally working under harsh condi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are different nation by nation, but music teachers are essentially the same. It is proposed that the universal mission of music teachers is to "make children happy through music." Music education in schools, regardless of educational systems, political states, or economic status of nations, should be "education in music," not "music in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 연구현황 분석-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형환,박소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tatus on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ritten by years, academic abilities, and contents from 1970 through the first half-year of 2011.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til 2011, 196 papers from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65 papers from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233 papers from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published.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focused o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contents, these studies mainly featured concerns about teaching methods, status of activation, and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In the 1970s to 1980s especially, the initial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usually conducted rega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attitudes and educational interest. From the 1990s to 2000s,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rapidly grew quantitatively as did the variety of the research contents.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on of these studies expanded the approaches connected with various fields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Korean music education reflecting social interests. Also, new studies emerged comparing music curricula and music textbooks, or in order words, the analyses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t is inspiritingly that since 2010 the studies have incorporated more social issues, more Korean musical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as after school clas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ppreciating class materials. Furthermore, this paper expects that the following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need to more effectively develop the approaches to appreciating Korean music. 1970년대부터 2011년 전반기까지 이루어진 국악교육 관련 연구를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대별, 교육편제별, 주제별 연구 현황점검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악교육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국악교육학회는 2011년 현재까지 196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는 65편, 석사학위 논문 233편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대별로는 2000년대에 연구 성과의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교육편제별로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지도방안 연구, 교육실태 및 활성화,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1970~8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 초창기로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교육적 관심이 변화하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이 시기 연구경향의 특징이라 하겠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가 급격한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 경향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즉 다양한 분야와 형태를 접목시킨 국악교육 지도방안 연구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국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려는 연구 흐름들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비교와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국악교육 내용 분석 등 다양한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2010년 이후 연구는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국악교육, 특기적성 교육, 감상워크북 개발과 같은 새로운 연구들도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다만 국악교육 연구 분야 중 효과적인 국악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국악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향후 국악교육 연구의 새로운 연구 영역 분야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안을 위한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 고찰

        이수연 ( Yi Soo Y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8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의 수행률은 2011년부터 점차 증가하였고,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인 2020년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둘째,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 주제와 방법은 인식도 및 요구도와 만족도 요인, 현황 및 실태 조사, 방안 제시, 지도안 및 콘텐츠 개발과 적용, 수업 설계 등을 주제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온라인 콘텐츠 개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 셋째, 온라인 음악교육 방식은 콘텐츠 개발제공, 온라인 플랫폼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소통, 온/오프라인, 실시간/비실시간의 융복합 블랜디드러닝, 실시간 온라인 수업 진행, 실음 중심 및 자기 주도적 연습과 실천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온라인 음악교육 효과성 및 만족도 요인은 교수학적 내용의 난이도와 적절성, 이러닝 서비스 시스템 환경과 기술, 학습자 참여도와 자기주도 학습 능력, 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학적 전략, 상호작용과 소통에 있었다. 온라인 음악수업의 장점은 시공간 제약과 한계 극복, 교수법과 교구 교재의 창의적 개발과 활용, 학업 성취도 및 동기 부여의 자가 평가 가능이었다. 온라인 음악수업의 어려움 및 문제점은 소프트웨어 기술의 한계, 실음 중심 음악교과 수업 진행의 어려움, 수업의 참여도와 몰입도 저하, 교사 역량 부족이었다. 넷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음악교육을 위한 향후 요구도 및 대응 방안으로 온라인 콘텐츠 개발과 교육 환경 개선, 실음 중심 수업 진행 및 평가 방식과 시스템 구축, 다자간 소통과 교류 확대 방안 마련, 학습자 개별 관리 및 맞춤형 학습 시스템 구축, 교사역량 개발 및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음악교육 실태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각적 측면에서의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line music education research for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analysis of 48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1 to 2021 are as follows. First, online music education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from 2011, and the performance rate in 2020, right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creased rapidly. Second, the topics and methods were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demand, satisfaction factors, current condi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online music education, suggesting plans, development of guidance, class design, verification, content development and class design were conducted. Als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contents for online music education was actively conducted. Third, online music education methods were content or site utilization, communication with learners using online platforms and systems, on/offline, real-time/non-real-time convergence learning, real-time online classes, real sound-based or self-directed practice. The online music educ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factors were found the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contents, e-learning service system, learner participation and learning ability, pedagogical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advantages of online music classes were to overcome time-space limitations, creative development and use of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self-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online music classes were found to be limitations in software technology, difficulty in conducting music-oriented classes, lower participation, lack of teacher competency. Fourth, the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were music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practical sound classes and evaluation methods, multilateral communication, individual learner management and customization, learning system construction,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music education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for the Post-COVID era.

      • KCI등재후보

        국악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From our past, we used music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virtues of humanity such as allegiance, filial piety, manners, righteousness, and beliefs. Because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our personal humanity, we have to re-enforce humanity education through teaching Korean music. For this reason, it is logical and intelligent to establish humanity education utilizing Korean music and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rovision for it to be carried out.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al program to be of help to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irst, I examined the theory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for the sake of argument.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heir teaching contents as suitable for establishing humanity education. Next, I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Korean music pieces and selected the teaching contents. Korean music contains purpose, content, and a method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claim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is,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eaching contents, and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This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of seven separate topics. I specifically presented teach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its expression through activities,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music actualization in each of the seven topics. Looking forward, I hope that the study about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Korean music is incorporated into the music curriculum.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인성과 음악을 결부시켜 왔고 ‘충, 효, 예, 의, 신’ 등의 인성 덕목을 표현하는 도구이자 수단으로 악(樂)을 사용했다. 국악은 음악 자체가 인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악을 지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악교육 또는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매우 타당하며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악은 그 자체가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상당히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안해보았다. 먼저, 국악과 관련된 사상의 인성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적합한 국악 제재곡과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선정한 제재와 내용을 토대로 학교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유교․불교․도교사상은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가지 사상에서 주장하는 인성교육론을 살펴본 결과 각 사상의 인성교육 내용은 국악 제재곡에 녹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해 가능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부모님의 은혜’, ‘나라에 바치는 마음’, ‘마음 다스리기’, ‘위인들의 삶을 본받아’, ‘함께 하는 우리’, ‘마을 축제 속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등 7가지 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별로 표현활동, 감상활동, 생활화로 나누어 구체적인 지도 내용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해보았다. 이를 통해 국악은 지도할 수 있는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이 상당하며 그렇기 때문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학교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국악 중심 융합교육의 유형과 내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1

        Convergence education was introduced as one of the National Education Policies in2011. It’s center of operation focuses o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However,some are of the opinion that we also need impartial studies about convergence education,which focuses on the arts in various fields. As su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triedto select contents and to present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which focus on Koreanmusic.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dance (plays), art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ideas,and so on. Thus, I selec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for teaching the elements ofconvergence education as focused on Korean music. These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music, concepts, and tasks. I presented three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Korean music based on these three groups. These types are threefold: convergenceeducation focused on music theme,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concepts, and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tasks. In addition, I examine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following subjects integrated Korean music well: Korean, Society, Ethics, PhysicalEducation, and Arts. This is because Korean music is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cultureand art forms. Also, Korean music contain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culture,philosophy, dance, painting, craft, and so on. Through these, I can say that convergenceeducation focused on Korean music is also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Arts. It is hard to put in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Korean music usingthe existing STEAM teaching elements and methods. For this reason, I developed two new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called KAKESand KAKEPS. These are types according to convergence elements fused with Koreanmusic. KAKES stands for Korean Art, Korean, Ethics, and Society. KAKEPS is to addPractical Arts to KAKES. 2011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융합교육은 주요 교육정책으로 제안되었고 학교와 학계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으며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과학이나 기술,공학 중심 융합교육에서 벗어나 인문․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국악 중심융합교육의 유형과 내용을 선정하여 제시해 보았다. 국악 중심 융합교육의 유형은 기존의 융합교육 방법을 토대로 하여 악곡을 중심으로 내용을 융합한 주제 중심 융합교육, 국악과 관련된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 개념 중심 융합교육, 국악을 활용하여 과제나 문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문제 해결중심 융합교육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이에 따라 국악 중심 융합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도덕, 체육, 미술교과 등이 국악과 잘융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국악이 언어, 문학, 역사, 사상, 문화, 춤, 회화, 공예분야의 내용이 혼재된 문화예술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융합교육이 이공계 중심인 것과는 다르게 국악 중심 융합교육은 인문학 중심 융합교육이 되어야 한다. 특히 국악은 여러 요소 중 춤(놀이), 미술, 문학, 언어, 사상, 역사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이를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요소에 따른 국악 중심 융합교육으로 KAKES 융합교육과KAKEPS 융합교육 등 두 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KAKES 융합교육은 음악, 춤, 미술에 해당하는 ‘한국 예술(Korean Art)’, 문학과 언어에 해당하는 ‘국어(Korean)’, 사상에 해당하는‘도덕(Ethics)’, 역사에 해당하는 ‘사회(Society)’의 영어 첫 글자를 따서 만든 것이고,KAKEPS 융합교육은 KAKES 융합교육에 실과(Practical Arts)를 더 융합한 유형으로 이․공학 분야 중 국악과 융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요소를 포함한 것이다. 국악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은 여러 학문의 융합체인 국악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적합한교육 방법이며, 과학 교과 중심에서 벗어난 새로운 융합교육 방안이다. 학교교육에서 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수준에 알맞은 주제 및 내용 선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융합교육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교육 현황:미국 대학에서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류은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The online education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echnology enabled learning through PCs and mobile dev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led to the launch of the cyber university. Unlike the past, where the expectation was that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ould be difficult to train online because the applied part is centered, online education has been spreading in the areas of design, applied arts,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In particular, applied music educ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onlin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pplied music department at three cyber universities in two years. The cyber universities’ applied music department, which is spreading like this, needs to build a curriculum specialized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however, most of the universities operate offline education curriculum as it is, and there are few references and researches to improve it until now. Therefore, I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domestic cyber universities, and studied the curriculum of Kyunghee Cyber University,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 Seoul Digital University, Seoul Cyber University, and Sejong Cyber University, which are capable of awarding a bachelor’s degree. We further explore the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in America that domestic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can benchmark and make suggestions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Valley City State University has an 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e in each region, and it also takes offline classes for remote students as an integral part of the program, and is conducting effective blended learning in a blend of online and offline. Berklee College of Music, on the other hand, has been using 100% online lessons to take advantage of online classrooms that are not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It is necessary for the domestic universities to apply specialized online applied music education such as applying it to the domestic situation with reference to this. 인터넷과 테크놀로지 발달로 인해 탄생하게 된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PC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고, 사이버대학의 출범을 이끌었다. 실무적인 부분이 중심이 되는 예체능 계열은 온라인으로 교육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디자인, 응용예술, 체육, 음악 등의 분야의 온라인 교육도 확산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실용음악학과는 2년 사이에 세 개의 사이버대학교에 신설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실용음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렇게 확산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학과에서는 온라인 교육환경에 특화된 커리큘럼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는 오프라인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옮겨놓은 형태로 운영하는 대학들이 대부분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참고자료 및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국내 사이버대학의 실용음악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고, 그 중 4년제 학사학위 수여가 가능한 경희사이버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실용음악학과의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나아가 국내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미국의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을 조사하고 비교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밸리시티주립대학교(Valley City State University)에서는 각 지역에 연계교육기관을 두고 원거리 학생들에게도 오프라인수업을 필수적으로 수강하게 하여 온·오프라인의 융합적 형태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버클리음악대학(Berklee College of Music)에서는 100% 온라인으로 수업을 운영하여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수업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이를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는 등의 특성화된 온라인 실용음악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