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묵재일기(默齋日記)』에 나타난 자녀교육과 갈등의 형상

        조은숙 ( Cho Eun-su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본고는 16세기 중반 사대부 묵재 이문건(1494~1567)의 개인 한문 일기인 『默齋日記』속에 나타난 자녀교육과 갈등 형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470년 전에 기록 된 한 사대부 남성의 일기를 추체험함으로써 오늘날 자녀교육을 되짚어 생각해보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16세기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일기 자료는 이문건의 『默齋日記』, 유희춘의 『眉巖日記』, 오희문의 『?尾錄』등이 있다. 이들의 일기는 1535년부터 1601년까지 대략 70여 년의 연속성을 보여주는데, 당대 생활 일기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 이 일기 중에서 본고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묵재일기』인데, 특히 이문건의 일기 기록 시기가 42세부터라는 점은 당시 자녀 교육의 실제 모습을 엿 볼 수 있는 중요한 일기 자료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16세기에 기록된 일기 기록 중에 자녀를 양육하던 당시의 실제 모습을 체험적으로 보여 준 일례가 희귀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까지 남아 있는 16세기 일기의 대부분은 작가의 노년에 해당하는 기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문건의 『묵재일기』는 자녀 교육과 갈등의 형상을 여실하게 형상화한 보기 드문 작품이다. 일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기 고백적인 글쓰기다. 이문건 글쓰기는 서로 병치할 수 없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이문건이 글로써 자신을 온전히 그리고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는 것은 글쓰기가 갖고 있는 치유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이문건은 자식의 못남을 낱낱이 보여 주었다. 그리고 자신이 행한 부도덕하고 치부가 될 수 있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직접 표현은 하지 않았지만 이문건의 자식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이문건의 지나친 솔직함으로 일기를 읽는 독자가 오히려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이문건의 괴로움도 그만큼 큰 것이었음에 대한 반증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문건 글쓰기는 폭력성을 내포한다. 자신의 행위에 대한 정당성의 나열이지 반성이 없다. 회한과 한탄이 있을지언정 구체적인 후회의 감정과 자신의 행위에 대한 개선의 의지로써 반성이 없다는 점에서 그의 글은 폭력적으로 읽힌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연습 없이 시작된다. 모든 부모가 자녀를 교육하며 겪는 시행착오가 있기 마련이다. 『묵재일기』는 유교적 엄숙주의와 경건주의, 그리고 가문계승과 출세지향이라는 강박증을 지닌 한 조선 사대부 이문건이 겪은 초보 아버지로서의 민낯이다. 더불어 『묵재일기』는 어쩌면 현대를 살아가는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돈과 권력지향적인 강박증에 살고 있는 우리 부모의 또 다른 모습일지 모른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This study reviewed Child education and related conflicts shown in `Mukjae Ilgi (Mukjae`s Diary)`, a personal diary of Lee, Mun Geon(1494~1567) whose pen name was Mukjae. It wa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y tracing the diary of a noble man written 470 years ago, this study intends to have a chance to think over Child education of today. There are several diary documents that show the lifestyle of the 16th centuries: including LEE Mun Geon`s `Mukjae`s Diary`, Yu Hee Chun`s `Miam Diary` and Oh Hee Mun`s `Soemirok`. These diaries have continuity for about 70 years from 1535 to 1601,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ries of that time. Among them,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Mukjae`s Diary. Lee started to write the diary when Lee was at the age of 42, which suggests that it can be a valuable source to look into actual Child education in the 16th century. Diaries in the period seldom offer such experimental record of raising a child. Most of the diaries of the 16th century remained to the present described the senior life of the writers. Lee Mun Geon`s `Mukjae`s Diary` is a rare piece that vividly described child education and conflicts with them.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diary is that it was written in a self-confessional form. Lee`s diary has inconsistent ideas that cannot be juxtaposed. Namely, Lee could express himself via writing entirely and plainly, which is the healing power of the writing. Lee disclosed his children`s weakness without reservation. Also, he revealed his behaviors in detail which might be even immoral or disgraceful. His excessive candid description makes readers uncomfortable in some way, which may be the counter-evidence that Lee`s agony was severe that much. On the other hand, Lee`s writing implies violence. He continuously justifies his act without self-reflection. He may regret or lament, but such feelings failed to become an introspection to improve his behaviors, and that makes his writing feel violent to the readers. Becoming a parent begins without a drill. Every parent undergoes trials and errors while raising a child. Mukjae`s Diary shows a bare face of an inexperienced father named Lee Mun Geon, a noble man in Joseon Dynasty who was obsessed with Confucian stoicism and pietism, as well as a sense of obligation for family succession and desire for success in terms of career. And, it may also give us implications for parents in modern days, as it reflects our behaviors that are selfish, self-centered and obsessed with wealth and power.

      • KCI등재

        『묵재일기』 연구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기법의 인문학 적용 가능성

        김대홍 ( Daeh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채택하여 최근 역주 작업이 완성된 『묵재일기』를 분석해 보았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기법은 인문학에서는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이전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방대한 양의 텍스트 전체를 짧은 기간 내에 한층 객관적으로 분석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워드 클라우드, 토픽 모델링, 사회 연결망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워드 클라우드를 통해서는 『묵재일기』 각 책별 키워드와 특징을, 토픽 모델링을 통해서는 각 책별 ‘묵재’의 관심사를,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서는 각 책별 ‘묵재’의 인물 관계도를 분석해 볼 수 있었다. 각 분석기법이나 분석 프로그램에 개선해야 할 문제점들 있지만, 빅데이터 분석기법은 연구결과에 있어 시각적인 효과가 분명히 다르고 기존의 연구방법으로는 얻기 힘든 분석결과를 산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인문학에 있어서도 유의미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text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dopted amo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to analyze Mukjae Diary. This is because the text network analysis method is a new research method in the humanitie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methods and can analyze a vast amount of text more objective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 specifically applied word cloud,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keywords of each book through the word cloud, the interests of each book through topic modeling, and the person relationship of each book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 the Mukjae Diary. Although there are problem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each analysis method and the analysis program, big data analysis method can be significantly applied to humanities in the future because they have distinctively different visual effects and can produce analysis results that are difficult to obtain with existing research methods.

      • KCI등재

        默齋 李文楗의 『養兒錄』에 나타난 祖孫 葛藤에 대한 一考

        정시열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養兒錄}은 默齋 李文楗(1494-1567)이 손자를 양육하면서 남긴 기록물이다. {양아록}의 저자인 이문건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星州, 자는 子發, 호는 默齋, 休叟이다. 그는 靜庵 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와 을사사화를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경북 성주에 20여 년간 유배되었다가 결국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16년간의 기록인 {양아록}은 크게 3단 구성을 보인다. 먼저 제1단에서는 묵재 본인의 自序와 손자 출생 시의 기쁨을 담은 율시 한 수, 출생 당시의 상황과 改名에 대해 언급한 산문 한 편, 성주 목사와 조카 李爓이 보내준 축시가 등장하며, 제2단에서는 본격적인 양아의 내용을 35제의 시로 담아냈다. 그리고 마지막 제3단에서는 음주에 대한 경계, 가족에 대한 소개, 世系, 축원문, 자신의 성품에 대해 자책하는 글로 마무리 했다. 본고에서는 {양아록}에 나타난 조부와 손자의 갈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아록}의 여러 측면 가운데 유독 조손 간의 갈등에 초점을 둔 것은 서술의 주체인 묵재의 마음에 자리한 애증의 양가감정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양아록}에는 묵재의 심리적 추이가 잘 나타나 있는데, 특히 손자에 대한 사랑과 기대가 갈등과 실망으로 이행되는 모습을 보노라면, 인간관계에 존재하는 愛憎의 거리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연구 목적에 맞는 정확한 논의를 위해 제2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근본적 발생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구체적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갈등의 원인과 양상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성찰의 자료로서 {양아록}이 현대인들에게 주는 전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This study takes as its text {Yangarok}, the record written by Mukjae Lee Mun Geon (1494-1567) about his grandson rearing and examines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The reason i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particularly among many aspects of Yangarok is that the paper notices the dual feelings of love and hatred lying in the mind of Mukjae,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Because the record of grandson rearing plainly reflects the dual elements of the grandfather, love and hatred,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and hope and resignation, it shows the acute conflicts between the two persons well. At the time of the grandson’s birth, Mukjae went through a gloomy period both in family and socially. He had to taste tremendous frustration in the status as an exile pushed back from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and his only son was handicapped, so he could not expect his caring after that. Spending each day in such frustration, he faced the birth of his grandson just like a miracle. However, the excitedness and expectation he had in the beginning of the child raising were turned into disappointment and complaining as time went by. His change lets us think about the distance between love and hatred existing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Yangarok bu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for further discussion, so it attempts to understand Yangar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irst of all, Chapter 2 of this article notices the fact that cause results in effect and examines the ultimate factors raising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Next, Chapter 3 considers the concrete aspects of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on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conflicts, Chapter 4 focuses on the value that Yangarok has as the material for introspection and lays the ground to think about the messages that this record implies for contemporaries.

      • KCI우수등재

        『묵재일기』,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문화적 성찰

        최기숙(Choe, Keysook)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이 논문은 이문건(李文楗. 1496-1567)의 『묵재일기(默齋日記)』에 서술된 감정 기록에 대한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수사학과 담론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16세기 조선양반의 감정 경험과 인지, 재현 방식에 담긴 개인적, 사회적 의미를 탐색했다. 『묵재일기』에 기록된 긍정감정은 총 2,794건이고 부정감정은 총 4,112건이다. 이 문건은 42세부터 사망 2년 전까지 [감사≫고통≫기쁨/즐거움≫분노≫슬픔≫불평≫걱정≫위로≫무사]의 순으로, 감정의 인지·경험ㆍ교환했음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한 감사에 대한 기록은 일상생활을 지탱하는 배경 감정이자 정서적 장력의 역할을 했다. 『묵재일기』에 기록된 감정은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을 인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간주된 경우가 많다. 감정은 일상적 삶의 질을 결정하며, 감정 경험에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판단력이 작동했고, 인생관과 가치관이 매개되었다. 감정은 주체를 통해 신체화ㆍ행동화되었으며, 배경 감정이 특수한 판단과 결합해 사건화되어, 다시 신체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일기에 재현된 감정 수사 및 기록을 통해 이문건이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가족과 노비, 이웃과 지친의 감정을 관리하는 과정이 파악된다. 이문건은 지친과 이웃의 고통에 책임감 있게 반응하고 돌봄에 관여함으로써 사회적 연결망을 형성하고 유지했다. 감정은 사적 차원에서 인지, 재현, 교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제도적으로 의례화된 형식으로 삶의 의미를 구축하는 매개로 작용했다. 일기에 잦은 기록을 보이는 점술과 굿은 이문건이 자신과 가족의 걱정, 불안, 공포를 관리하는 일종의 감성관리의 장치였음이 확인되며, 이들을 매개로 노비와 마을 공동체와 신분적 위계를 넘어 감성적 커뮤니티를 형성했던 정황이 파악되었다. 『묵재일기』를 통해 감정이란 자신과 타인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매개이며, 감정 기록은 일상을 의미론적으로 갈무리하는 장치였음이 확인된다. 『묵재일기』의 감정 기록을 통해 보건대, 삶이란 감정의 인지, 경험, 표현, 교환, 공유로 점철되며, 안부를 주고받고 감사를 표하는 행위는 타인에 대한 배려를 표하는 사회적 기호이자 스스로를 존엄하게 하는 인문성 확인의 장치이자, 일생을 통해 불변하는 관계성의 항수다. 감정은 일상적 상황과 사건에 따라 하루의 흐름을 결정하는 정서적 배경이자, 사건과 관계를 이어 다음 시간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첩의 기능을 했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person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16th century Joseon yangban’s emotional experience, cognition, and reproduction method by analyzing rhetoric and discours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motional words recorded in Yi Mun-geon’s diary. A total of 2,794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s were recorded in the diary and a total of 4,112 expressions of negative emotions. Yi Mungeon recorded that he had recognized, experienced, and exchanged emotions from the age of 42 until two years before his death, in the order of [gratitude≫pain≫joy/enjoyment≫anger≫sad≫complaining≫worry≫comfort≫safe], etc. The emotions recorded in the diary are often regarded as information to recognize and judge the identity of oneself and others. Emotions determine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In the emotional experience, judgments about humans and the world worked, and the view of life and values were mediated. Emotions were embodied and acted through the subject. Background emotions were combined with special judgments to become events, which in turn affected the subject’s physical state. Through investigating the records of the emotions represented in the diary, it can be analyzed the process of Yi Mungeon’s control of his emotions and of his family, the servants, maids, the neighbors and relatives. He formed and maintained social networks by responding responsibly to the suffering of his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and being involved in care. Emotions were not only recognized, reproduced, and exchanged at the private level, but also became commonplace in social and institutional ritualized forms. Fortune-telling and shamans’ performance (gut) frequently recorded in his diary confirm that these were kinds of emotional devices to manage worry, anxiety, and fear of oneself and his family, and through them.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formed and shared emotional community between hima and his family and servants/maids, village community. By analyzing Mukjse’s diary, this paper confirmed that emotion is a medium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oneself and oth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record was a device that meaningfully reconstructed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cord written in the diary, life is marked by the recognition, experience, expression, exchange, and sharing of emotions, and the act of giving and receiving regards and expressing gratitude is a social sign that expresses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humanities that dignify themselves. Emotion is a device for confirming humanity that dignifies the subject itself, and it is a constant in a relationship that is unchanged throughout life. Emotion is an affective background that determines the flow of the day according to everyday situations and events, and functions similar to the hinge of time that leads to the next time by connecting events and relationships.

      • KCI등재

        묵재 이귀의 정치활동과 경세론

        김용흠 역사실학회 2023 역사와실학 Vol.82 No.-

        묵재 이귀는 왜란과 호란, 즉 양란으로 조선왕조 국가의 존립이 위협받은 시기에 선조, 광해군, 인조대에 걸쳐서 국가의 유지 보존을 통해 백성들을 보호하려는 경세론을 제출하고 적극적으로 실천에 옮긴 정론가였다. 그는 인조대에 정권의 보위를 위한 토역론, 왕권 중심 예론, 사회경제 분야에서의 변법론, 붕당 타파를 위한 조제론, 후금에 대한 주화론 등을 제창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경세론은 선조‧광해군대의 정치적 실천에서 이미 드러났으며, 그가 인조반정을 주도한 배경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귀의 정치활동과 경세론을 관통하는 원칙은 국가의 존립이야말로 정치를 담당한 사람이 책임져야 할 가장 중요한 책무이며,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가 없이는 생산자 인민을 보호할 수 없다는 인식이었다. 이러한 그의 경세론의 본질을 잘 보여준 것이 바로 국사와 민사의 일치를 지향하는 보민론에 입각한 군정변통론이었다. 이러한 이귀의 경세론은 이후 실학과 탕평론으로 계승 발전되었다. Mukjae[默齋] Lee Gwi[李貴] was a political theorist who proposed and actively put into practice a theory of governance that sought to protect the people through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the nation throughout the reigns of King Seonjo[宣祖], Gwanghaegun[光海君], and King Injo[仁祖] during a time when the existence of the Joseon Dynasty was threatened by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s, namely two wars.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he advocated the theory of subduing rebel[討逆論] for the security of the regime, the theory of royal power-centered politics[王權 中心 政治論], the theory of modification in the social and economic field[變法論], the theory of Joje[調劑論] to break down factions, and the theory of reconciliation with the Manchurians[主和論]. It was already revealed in, and it was also the background to why he led the Injo Rebellion[仁祖反正]. The principle that runs through Lee Gui's political activities and management theory is the recognition that the existence of the nation is the most important responsibility of those in charge of politics, and that the people cannot be protected without a strong centralized state. What clearly demonstrated the essence of his theory of governance was his theory of military government transformation[軍政變通論]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otecting people[保民論], which aims for unity between national affairs and civil affairs. Lee Gui's theory of governance was later developed into Silhak[實學] and Tangpyeong theory[蕩平論].

      • KCI등재

        默齋 金墪의 南冥學 繼承 樣相

        구경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Sangsan Kim Family'(商山金氏)ve lived Sancheong(山淸) for 630 years. And They led ideas, academics, and literature. Nammyong(南冥) Cho Sik(曺植)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status. Kim Haeng(金行) is the son-in-law and disciple of Nammyong. Not only that, Daehajae(大瑕齋) Kim Kyung-geun(金景謹, 1559-1597), Jonyangjae(存養齋) Kim Eung-gyu(金應奎, 1581-1648), Dunjae(遁齋) Kim Bok-mun(金復文, 1590-1629), Yucheong(幼淸) Kim Hwak(金確, 1615-1690), Goejeong(槐亭) Kim Sang-geup(金尙, 1621-1686), Sosan(小山) Kim Seok(金碩, 1627- 1680), and Mukjae(黙齋) Kim Don(金墪, 1702-1770) are all disciples of Nammyong. In the 17th century, Nammyung Studies was suppressed by regime change, and they were even more persecuted by the riots that took place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ituation, the disciples of the Nammyong School revised 『Nam-Myongjip(南冥集)』 and organized list of students for the sake of mental solidarity. At this time, Kim Don received family tradition. And He was inherited Nammyong's School vein. His performance can be seen from the participation in correcting Sisal(廝殺) way of training was maintained through Irilsin(日日新) and Gubangsim(求放心) An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nd writing the epilogue of the book. Kim D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cluding Sangudang(尙友堂) Kim I-pyo(金履杓, 1812-1881), Dangye(端磎) Kim In-seop(金麟燮, 1827-1903), and Mulcheon(勿川) Kim Jin-ho(金鎭祜, 1845-1908). 산청지역 법물리의 상산김씨는 630년을 한 지역에서 세거해오면서 이 지역의 사상·학문·문학을 주도하는 위상을 갖추며 오늘날까지 이어가고 있다. 특히 상산김씨 가문의 위상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는 南冥 曺植을 빼 놓을 수 없다. 남명의 문인으로는 남명의 사위였던 金行을 비롯하여 大瑕齋 金景謹(1559-1597), 存養齋 金應奎(1581-1648), 遁齋 金復文(1590-1629), 幼淸 金確(1615-1690), 槐亭 金尙 (1621-1686), 小山 金碩(1627-1680), 默齋 金墪(1702-1770) 등이 있다. 남명학파는 17세기 癸亥政變을 겪고 18세기 戊申亂을 치르는 동안 100여 년이 넘도록 정치적 탄압을 받아 滅失되는 위기에 처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명학파의 문인들은 남명학파의 결집을 다지기 위해 『남명집』을 개정하고 門人錄을 정리하였고, 남명의 문묘종사에 대한 청원을 이어나가 남명학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金墪은 가학을 통해 남명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 김돈의 남명학 계승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日日新과 求放心을 통해 남명의 廝殺的 수양 자세를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명의 문집 부록의 문인록인 『山海師友淵源錄』을 교정하고 그 발문을 지어, 남명을 程朱學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그의 학통을 정립하고 潰散된 남명학파의 명맥을 밝혀 남명학파를 결집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김돈의 이와 같은 행적은 후손 尙友堂 金履杓(1812-1881)·端磎 金麟燮(1827- 1903)·勿川 金鎭祜(1845-1908) 등 19세기~20세기의 법물리 상산김씨를 주도하는 인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16세기 양반 남아(男兒)의 성장 과정과 교육 - 이문건의 『묵재일기(默齋日記)』와 『양아록(養兒錄)』을 중심으로 -

        이성임 한국고문서학회 2023 古文書硏究 Vol.63 No.-

        In the above, the growth process and study method of Sook-gil were examined using Lee Moon-gun’s Mukjae Ilgi and Yanga-rok as data. As “Yangarok” is based on “Mukjae Ilgi,”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review these data in order to properly grasp the growth process of Sukgi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ext to comprehensively compare and review these materials. In a strict sense, Lee Moon-gun’s Mukjae Ilgi corresponds to a general parenting diary, and Yanga-rok is a collection of poems that focuses on specialties in the parenting process. With the birth of Suk-gil, the Lee Mun-gun family turned around Suk-gil. In his diary, Lee Moon-gun carefully depicted Suk-gil’s movements and every move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person observer. This contains the hope that Sukgil will continue generations and prosper the family. There were originally four children between Lee Mun-geon and his wife Kim Don-yi, but all of them grew up to the end. When he was young, he was relatively smart, but when he was young, he suffered from fever and bad temper, making it difficult to live a normal life. At that time, the couple was constantly worried and worried about their son. Fortunately, On remarried to Kim Jeung-soo’s daughter in Cheongju and had four children between them. Among them, Sook-gil was the object that Lee Moon-gun was interested in and put his heart into. Expectations for his son have shifted to his grandson. In that sense, Lee Moon-geon also wrote a collection of poems called “Yangarok.” His preference for boys was quite clear, so he classified five rice paddies. I tried to systematically study Lee Moon-geon’s long-cherished path. However, Sook-gil was not talented and weak-willed, and it was difficult to study properly because he suffered from various diseases. Moreover, Sook-gil indulged in alcohol and eventually came further away from studying due to the symptoms of being drunk. Despite e Mun-geon’s great success, Suk-gil failed to pass the examination in the past.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Sukgil served as a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Since then, the Seongju Lee family has not flourished much, but it is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aspect of the family with Lee Mun-geon’s interest and sincerity.

      • KCI등재

        16世紀 조선시대 治病을 위한 巫俗활용 양상 - 李文楗의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

        박재홍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reatment patterns of diseases by shamanism as a method of disease treatment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Mukjae Diary’ by Lee Moon-gun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hen a person is sick, it is natural to rely on medical treatment technology, but in the era when medical technology was not developed, the general public prayed for the cure of the disease in other ways such as shamanism and fortune-telling. In particular, if it is judged that medical treatment is impossible because intellectuals who were faithful to Neo-Confucianism like Lee Moon-geon were no exception, the cause and prognosis of the disease were relied on shamanism for treat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many intellectuals studied medicine based on the idea of studying abroad and engaged in therapeutic activities. They were called ‘Yuyi’, and there were people who theoretically systematized traditional medical care away from folk remedies and acquired high-quality treatment skills through patient treatment. Nevertheless, the Joseon Dynasty had no choice but to conduct integrated medical practices through medicine, fortune-telling, and shamanism due to the limitations of medical technology, and Lee Moon-gun's ‘Mukjae Diary’ is a good object to study the case of such integrated medical practices. Through Lee Moon-gun's diary, this paper tried to help understand the Confucian healing method of medicine and medicine and the healing system of traditional folk beliefs such as shamanism form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본 연구는 조선시대 질병치료의 한 방법으로써 무속에 의한 치병 양상을 조선 중기의 유학자인 이문건의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오늘날에는 사람이 아프면 과학적인 의료기술에 의존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의료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전근대 사람들은 무속 행위나 점술 등의 비의학적인 방법으로 질병의 치유를 기원하였다. 당시의 양반사대부들도 이문건의 사례 에서 보듯이 의학적인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무의식적으로 무속에 의지하였다. 조선조에는 유학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의학을 연구하고 치료활동을 하였던 지식인들이 많았다. 이들 유학자 지식인들은 醫藥을 小道로 인식하고 인간의 생활에 꼭 필요한 분야로 여겼다. 儒醫라고 불리는 이들은 전통의료나 민간요 법에서 탈피하여 의학을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고, 다양한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쌓인 경험을 토대로 의료기술을 향상시키고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6세기 조선시대는 의료기술의 한계로 의학이라는 과학적 방법만으로 모든 질병을 다스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의료환경이 열악했던 당시 사람들은 환경에 굴하지 않고 迷信이라 여기는 무속 행위나 점술 등을 통하여 질병을 극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자세하게 기록한 『묵재일기』 는 당시 사람들의 질병에 대한 대처와 인식 그리고 무속치병의 양상까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연구자료였다. 특히 유학이념에 충실해야 하는 유학자가 무속의 힘을 빌리는 것이 비록 유가의 이념에 배치되지만, 공자의 가르침인 “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 也.”는 이문건의 무속치병 행위가 유가의 덕목에 反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에게서 받은 소중한 몸을 병들지 않게 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오히려 ‘孝’의 시작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약과 무속의 통합적 치료는 조선 중기의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취약한 의료환경을 극복하려는 당시 지식인들의 시대적 사명이자 정신이었다는 것을 『묵재일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묵재일기(默齋日記)에 나타난 조선 중기 아동의 생활

        백혜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조선 중기에 기록된 개인일기인 묵재일기를 통하여 당시 사회에서 아동의 생활을 조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동기가 어떻게 규명되었는지, 그리고 아동기의 시기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하는 점이 먼저 조명하였으며, 아동기의 시기에 따라 아동의 생활은 어떠하였으며 연령에 따라 이러한 아동의 생활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났는지 등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먼저 아동기를 1~5세(만 0~4세), 6~10세(만 5~9세), 11세(만 10세) 이후 등으로 아동기가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별히 11세(만 10세) 이후, 아동은 성인과 같이 대우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사회에서 아동이 다양한 놀이를 즐겼다. 아동의 놀이는 6세(만 5세) 이전 뿐 아니라 11세(만 10세) 이후에도 나타났으며, 특별히 11세(만 10세) 이후에는 아동의 놀이를 풍류를 즐길 수 있도록 허용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먼저 아동의 생활에 있어서 공부는 매우 중시되었는데 아동에게 공부를 가르치는 과정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아동이 공부함에 게으름을 부리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까워하였다. 넷째, 조부모와 손자간의 관계 등의 가족관계의 특징으로서의 친(親)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xplore how the people of the middl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conceptualized childhood, this study examines the Mukjaeilgy, or personal diary of Moonkun Lee, who recorded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his young grandson, Soobong Lee. An examination of Lee's Mukjaeilgy reveals that people of the time recognized childhood as being divided in ages from 1-5, 6-10 and after 11. As well, the Mukjaeilgy notes many kinds of play activities and toys for the children of the period. Moreover, play activities were not prohibited even after 11 years old. The kinds of toys and play activities differed according to age. However, though children after age 11 were still allowed to play, they were, nonetheless, recognized as adults and expected to behave as adults, that is, they were to manage servants, and participate in the worship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s.

      • KCI등재

        『이충정공장소』 소재 묵재 이귀 장소의 일 고찰 - 붕당론 관련 4편의 상소를 중심으로 -

        윤재환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7 No.1

        묵재 이귀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의 한 사람으로, 수많은 상소를 올려 당대 대신들에게 수없이 비판받았던 인물이다. 그는 상소로 인해 소벽 또는 소마라는 평가까지 받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상소가 그만큼 빈번하고 과감 했으면서 당대 관료들의 일반적인 의식과는 다른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귀의 상소는 수많은 비판과 함께 충정의 인정을 같이 받았다. 이귀의 상소 중 붕당론 관련 4편의 상소를 보면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있는데, 첫째는 상소의 논리로, 이귀 상소의 논리가 본질적이고 원론적인 부분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상소의 서술 구조로, 이귀의 상소는 자신의 상소에 대한 비판과 부정을 반박하기 위해 비판과 부정의 내용을 제시하고 그 비판과 부정의 내용을 다시 하나하나 반박하는 일대일 서술 구조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셋째는 비판의 논리와 방법으로, 이귀는 본질적이고 원론적인 부분에 근거를 두고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해명을 통해 자신의 상소에 대한 부정과 비판 논리를 반박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귀는 상소가 임금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상소로 인한 정치적 곤경을 면할 수 있었고, 그의 상소에 대한 부정도 논지와 논리가 아니라 현실적인 적용의 문제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또 그렇기 때문에 이귀는 비판의 대상을 가리지 않고 과격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직접적이고 직설적인 표현으로 상소하였지만, 상소한 충정만큼은 누구에게도 부정되지 않을수 있었다. Mukjae LeeKwi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reaucratic writers of the mid-Joseon Dynasty, who was criticized countless times by the ministers of the time for posting numerous petition to the king. He was even rated as Sobyeok(疏癖) or Soma(疏魔) by petition to the king. The reason was that his petition to the king was so frequent and bold that it contained content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nsciousness of bureaucrats at the time. However, Lee Kwi's petition to the king received loyality's recognition with numerous criticisms. If you look at four petition to the king related to the theory of a faction among LeeKwi’s petition to the king, you can see several characteristics. The first is the logic of the petition to the king, and the logic of LeeKwi’s petition to the king is based on the essential and principled part. The second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petition to the king, which consists of a one-on-one narrative structure that presents the contents of criticism and denial to refute the criticism and denial of the petition to the king and refutes the contents of the criticism and denial one by one. Third is the logic and method of criticism, and LeeKwi refuted the denial and criticism logic of his petition to the king through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ase based on the essential and principled part.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LeeKwi’s petition to the king was not accepted by the king, but he was able to escape the political difficulties caused by the petition to the king, and the denial of his petition to the king was not a point of argument and logic, but a matter of practical application. Also, for this reason, LeeKwi appealed in a direct and direct expression that could be said to be radical regardless of the subject of criticism, but the loyalty of the petition to the king could not be denied by any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