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 영화평 협동글쓰기를 중심으로

        황영미,이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Educa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nto smart education environment. Nevertheless, following contents and models of education are not various enough and underutiliz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 education model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ease the problem. Since students are more familiar with visual media, the most effective format of writing education could be film review. In this sen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smart education model through film review writing. A film review can be written in individual, but it can create better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one in off-line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n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 students work through crossing correction. In this case, only students in the same group can share their works while the whole class can share the works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study proposes 4 step-model for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e model premised upon the condition that students see the film text before the class. The first step is checking attendance and answering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using Clickers. For second, students solve pop-quiz which consists of subjectiv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ird, the instructor leads students to brainstorm using Kakao Talk group chat. In this step, the instructor first suggests one or two topics that can help students to participate in chat. Then let students rais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by their own. Kakao Talk group chat enables longer conversation and later helps the class share group members’ replies. In class, instructor shares answers for the questions or quiz, and Kakao Talk chat room through screen. Using this, instructor can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film text and class. Add on that, students can compare their answers which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xt. Lastly, complete a collaborative writing of film review using Google Doc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film review writing on Room (2015), directed by Lenny Abrahamson, through crossing correction and the case of collaborative film review writing on Poetry (2010), directed by Chang-dong Lee, using smart devices. Through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the latter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new education model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case using film and smart devices. 교육환경은 스마트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교육콘텐츠나 교육 모델은 다양하게 개발되지 않아 실제 활용도는 낮은 것이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상세대인 요즘 학생들에게 글쓰기 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은 영화평 쓰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영화평쓰기를 통한 스마트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화평은 개인으로 쓸 수도 있지만, 협동학습으로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으로 하는 영화평쓰기 협동학습과 스마트환경에서로 구분하여 접근하여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오프라인의 경우 영화평을 완성하여 조별로 서로 교차첨삭을 하면서 협동학습을 하는 경우인데, 조원끼리는 공유되지만 전체 수업에서 공유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환경에서는 전체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환경 조별 협동 영화평을 쓰기까지 총 4단계로 진행되는 모델을 제시한다. 학생들은 각자 해당 영화텍스트를 보고 수업에 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첫 단계로 수업 시 출결체크와 함께 클리커를 활용하여 객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두 번째 단계로 수업에서 교수자가 설명한 내용을 팝퀴즈를 통해 주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쓴다. 세번째 단계로는 카카오톡 조별 채팅방을 교수가 개설하여 영화평을 쓰기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유도한다. 이 때에 생각해 볼 문제 한 두 문제를 먼저 제시하여 채팅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학생들이 자유롭게 문제도 제시하고 답을 쓰게 한다. 카카오 톡 조별 채팅은 팝 퀴즈보다 조금 더 긴 글로 대화를 하면서 조원들의 답변을 함께 볼 수 있다. 교수자는 전자교탁 pc버전으로 객관식 및 주관식의 모든 답이나 카카오 톡 채팅방 전체를 스크린을 통해 한꺼번에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며, 영화 텍스트 이해도와 수업 내용 이해도 평가가 가능하다. 학생들도 동료들의 답과 자신의 답을 비교해 보며 텍스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로는 구글문서를 활용하여 협동영화평쓰기를 조별로 1편 완성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유형으로는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의 영화 『룸』을 보고 영화평 쓰기 수업과 동료교차 첨삭을 한 협동학습 사례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유형으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의 협동영화평 쓰기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영화를 통한 협동글쓰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의 다양화 방안 - 교육 대상·교육 형식·교육 내용의 다양화 방안을 중심으로 -

        이윤빈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9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foreign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s that overcome limitations of mainstream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 and seek diversification. Thus,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 topographic map of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s that could be used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From the early 2000s to the present, in the field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 process-centered writing education model using the common curriculum has been mainly used for university freshmen. This research first raised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mainstream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s that were proposed as alternatives to the mainstream model, by classifying them as follows: ⑴Models that diversify educational subjects, ⑵Models that diversify form of education, ⑶Models that diversify contents of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educational models could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but could be used in conjunction and in conjunc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prerequisit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model. 이 연구는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으로부터 나아가 다양화를 모색한 국내외의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들 및 주요 시행 사례를 탐색하여, 그 이점과 한계를 확인했다. 그럼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 교육 모형의 지형도를 구축하고자 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이 본격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는 ①대학 신입생 대상의 ②공통 교육 과정을 통한 ③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 모형이 주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연구는 먼저, 주류적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이 갖는 한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환기했다. 이후, 주류적 모형을 대체할 대안으로 제시된 국내외의 다양한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들을 ⑴교육 대상의 다양화 유형(WAC 교육, 고학년 대상 심화 교육), ⑵교육 형식의 다양화 유형(계열별 글쓰기 교육, 교과 및 강좌 선택 교육), ⑶교육 내용의 다양화 유형(WAW 교육, 주제 다양화 교육, 의사소통 혼합 교육, 과제 연계 교육)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정의․하위 유형․시행 현황․이점과 한계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각 교육 모형이 독립적으로 시행될 수도 있으나 상호 결합 및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을 대학 당국 및 담당 교원의 측면에서 점검했다.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1

        This study is subject to: if any foreign university student has to be difficult for a social writing course, it i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culture learning for using a language included the formal model rather than the ability forming contents from functions expressing a language. From various writing types, a foreign university student with the Korean language ability than the intermediate level pursues to writings of social and academic purposes. Just, a language to them is an instrumental factor for communication. Therefore, learners as a writing subject have to communicate its position and opinion for own insistence with readers, conduct the work re-constructing from a general document to a formal one to present own story, and recognize the writing culture which readers and listeners are centered on a writing. The writing education model for the communicative writing is aimed to provide a familiar ability to write a language for readers and listeners using Korea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education model which is connected from the copy to the expansion. And its model is introduced to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then its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is aimed to check and discuss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a social writing ability or not. The writing education model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is based on the copy of the traditional method for a language education. The model writing targeted for the copy is extracted from typical discourse makers of the social writing as expression factors. The education course is reflected the discussion course between learners related to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of the language culture of learners. It is mostly designed to the free-writing course which autonomously utilizes the formal aspect like expression factors for successful conduction of academic and social writings. By this course, we is induced a learner who i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writing included the formal speaking. And we allow that they internalize formal and cultural factors by themselves, and try to check whether learners are improved the writing ability re-structuring to the creative form or not. 본고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술적 글쓰기의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이 언어표현 기능 중 내용구성능력에 있지 않고, 형식적 모형을 포함하는 언어사용의 총체적 문화 습득 여부에 있음을 전제로 한다. 중급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소지한 외국인 대학생에게 목표가 되는 글쓰기는 사회적 목적, 학문적 목적의 글쓰기이며 사용언어는 소통을 위한 도구적 요소이다. 그러므로 쓰기 주체로서 학습자는 자신이 주장하고자 하는 입장과 의견을 독자와 소통하고, 학업의 과정으로 자신의 글을 대중 앞에서 발표하기 위해 공적 말하기 대본인 발표문으로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독자와 청자를 글의 중심에 놓는 쓰기 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소통적 글쓰기를 위한 글쓰기 교육 모형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독자와 청자들에게 익숙한 쓰기 언어 사용 능력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 이에 본고에서는 모방에서 확장으로 이어지는 글쓰기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쓰기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이루어진 글쓰기 결과물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공적 글쓰기 능력이 제고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논의의 목적을 두었다. 교육 현장에 도입된 쓰기 교육 모형은 언어학습의 전통적 방식인 모방에 기반을 두었으며, 모방의 대상이 되는 모범 문형은 학술적 글장르의 대표적 구조 및 수사적 표현을 추출하여 제공하였다.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언어문화의 수용과 내재화에 관련된 학습자간 토론의 과정을 반영하였고, 학술적 글쓰기, 발표문 쓰기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표현 기능 등의 형식적 측면을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자유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학습자가 발표문 쓰기를 포함하는 학술적 글쓰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글쓰기 도구로서의 언어에 대한 형식적, 문화적 요소를 주체적으로 내재화하며 창의적으로 재구조화하는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 쓰기교육의 이해와 발전 전략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대학작문 교육은 여러 갈등적 요인들을 안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학작문교육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가능한 한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동시에 그런 이론적 갈등 속에서도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기본적인 방향을 찾아보고 있다. 대학작문 그리고 작문이 갖고 있는 큰 어려움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문이 필자와 독자 사이의 소통의 수단인데, 필자와 독자가 같지 않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이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작문의 과정이 내용을 다루는 과정과 이 내용의 언어적 표현을 다루는 매우 상이한 두 과정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은 본래부터 어려운 일이다. ‘대학작문 교육’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개념들이 들어 있다.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내용이 ‘작문’이라는 점, 그리고 대학생에게 작문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세 내용들은 이론적, 실제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때로는 상호 갈등적인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에 새로 입학한 1학년 학생이다. 대학 1학년은 고등학교 교육의 뒤에 이어지며 대학 교육의 처음이라는 위치에 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 대학에서의 교육은 추구하는 이상이나 구체적인 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점이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은 4학년까지 있고, 대학 공부에서 작문이 더 필요한 것은 고학년에서인데, 대학에서 실제 작문을 가르치는 대상은 신입생인 1학년 학생들이다. 그래서 현재의 대학작문 교육이 대학이라는 전체 기간 속에서 제 위치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학교육은 대학 졸업 후 사회에서의 생활과 직장에서의 직무수행과도 긴밀히 이어져야 한다. 그런데 오직 1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작문 교육은 대학교육 후에 이어지는 이런 사회나 직장의 요구에 맞출 수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작문 이론이 수사학에 기초한 종래의 선조적(linear) 모형에서 인지심리학에 기초한 최근의 회귀적(recursive) 모형으로 바뀌었다. 선조적 모형은 글을 중심으로 하는 모형이며, 회귀적 모형은 글을 쓰는 사람의 정신 과정을 모형화한 것이다. 회귀적 모형의 대표적 학자인 Flower는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하는 작문의 계획, 내용의 생성, 글 및 내용의 구조와 조직, 그리고 고쳐쓰기 및 편집, 이 네 가지가 포착할 수 없을 정도로 회귀적으로 일어난다는 보고 있다. 이는 작문 과정이 근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정신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귀적 모형이 얘기할 수 있는 내용은 작문 과정이 구체성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불확정적’이라는 말 한 마디뿐이다. 그런 점에서 회귀적 모형은 모형화할 수 없는 것을 모형화한 모형이다. 바로 이점이 작문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되는 것이다. 셋째, 작문의 정신 과정을 포착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래서 교육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문은 교육되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의 과정이나 절차는 작문의 정신 과정과는 판이하게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진행된다. 강좌라는 이름으로 구체적인 학기 내에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교재로, 매주 수업 시간에 강사의 지도하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매우 실제적인 것이 바로 교육이다. 이 같은 구체적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육 이론은 비시간적이고 비공간적인 정신 이론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 점이 또한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들어 주고 있다. 대학작문 교육이 갖고 있는 ‘대학’과 ‘작문’과 ‘교육’은 서로 각기 이질적이다. 이 세 가지 중에서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구체적인 방안은 ‘교육’측면이라 생각한다.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대학작문 교육의 발전적 지향점이라 생각한다. Teaching writing at college undertakes many complex and theoretically disagreeable components in itsel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to find some theoretical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actuality. Teaching writing is in itself a very difficult task. Two main reasons are at hand. One is the gaps of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 second i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writing processes, that is, the process of generating/organizing content,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ontent in words.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ncludes at least three heterogeneous conceptual components. These are, as we can see in the words of the ‘college teaching writing’, ‘college’, ‘teaching’, and ‘writing’. The very reason of the difficulty of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s because of the conceptual unmatchness among these three conceptual components. Firstly,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of college writing are college students, mainly freshmen who entered college or university in that year. College freshmen are those who have graduated highschool just before, and are beginning to learn academic contents at college level. But learning at highschool and learning at college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or say, the purpose of learning, the teaching method,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attitudes of students. These differences ar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college writing difficult. Moreover the fact that, while writing is necessary more and more as students go up higher grades at four-year college, the students receive only one-year writing class when they are freshman, is another factor. Nextly, college students should be taught and prepared for the job-related writing when they are at college. But they receive writing class almost only when they are at the first year of college, which is far away in time from the job-related works in the society. To say in short,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at present is unable to meet the practical needs and conditions of writing at college level. Secondly, the writing theory has been changed from the rhetoric-based linear model to cognition-based recursive model. The linear model of writing is text-based, while the recursive model is human(writer)-based. Text-based linear model of writing takes the four procedures of writing as planing, generating, designing, and editing in their order. But writer-based recursive model of writing takes the mental processes in which the four procedures are very recursive in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It could be said that the recursive model models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which can not be modeled. The only thing the recursive model could say is that, the writing processes are so complex and recursive in their nature, they can not be captured in any mode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makes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reality. Thirdly, even though the processes of writing in cognition is too complex to model it, writing should be taught in the class. This educational conditio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curriculum and programs. Activities in mental ocesses are recursive beyond the time and space boundary. But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eaching writing should be under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Teaching college writing should be realized in the lecture, under the guidance of the lecturer, using any textbook/materials, by the students in real classroom. These educational conditions are another factor that makes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difficult.

      •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에 입각한‘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모형-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

        박현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1 사고와표현 Vol.4 No.2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eans a writing training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for raising creative persons. Thecreative writing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writing training thatcombines reason with emotion. Especially, the writing training thatutilizes a movie has the advantage of integrating reason and emotioninto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process. This article proposesthe principles of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odeland shows a case for it. Creative writing education aims at the writing that expresses uniqueargument by new, various and critical approaches to a topic, freefrom the established ways of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I developed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a teaching methodthat integrates both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into acreative thinking. 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contains threecharacteristics. First, the model use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aWeb-based strategy of learn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Itcombines on-line learning with off-line learning. It integrates manyfactors of learning such as goal, method, time and space, media andinteraction. Second, it has a strategy of ‘Open Writing.’ This means the principalof interaction in each process of an approach to a topic. Through theinteraction, We are able to learn various opinions and raise the abilityof converging the different opinions. Third, it pursues the student-centered model. The relation betweenteacher and student is facilitator and leader in the creative thinkingand writing training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은 지식을 창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이다. 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을 결합한 글쓰기 교육에 적합하다. 특별히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 모두를 작동하여 통합적인 창의적 사고와 표현을 촉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글은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수업모형의 원리를 제안하고 그 사례를 제시한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기존의 사고에대해 비판적이고 새로운 사고로 접근하여 독창적인 논지를 담은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확산적이면서도 수렴적인 창의적 사고방식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교수법,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방법을 활용한다. 이 학습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만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방법, 학습시간과 공간, 학습활동, 학습매체, 상호작용 방식 등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웹기반 학습 설계전략이다. 두 번 째 ‘열린 글쓰기 전략’이다. 하나의 주제에 접근하는 모든 과정에 상호교류의 원칙을 적용한다.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주제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을 접하고 갈등하거나 상충하는 의견들을 자기주도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와 학생의 관계는촉진자와 주도자의 관계로 편성된다. 학생중심의 학습모형을 추구한다.

      • KCI등재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 모색

        변경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long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versification. Therefore, it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principles of human behavior change and the process of chang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system was proposed and its effectiveness was explored. Based on the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college writing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this study suggested a college writing education system.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system of this study has the structure of Plan-Develop and Construct-Evaluation. First, in the Plan stage, the performance objectives are written based on the core educational goals of college writing. In the Develop and Construct stages, the program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stag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 model. Finally,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ogram is evaluated holistically. And refluxed by correcting the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and complement.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y suggesting a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proving its necessity and effectiveness.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양적⋅질적 다양화와 더불어 교육과정 수준에서의 체제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이에 기여할 수 있는 대학글쓰기 교육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간 행동 변화의 원칙과 변화 과정을 통합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기반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수법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과 범이론적 모형 탐색을 바탕으로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했다. 본 연구의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는 계획-개발 및 적용-평가의 구조를 지닌다. 먼저 계획 단계에서 대학 글쓰기의중핵적 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성취 목표를 구성한다. 이후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크게 3단계로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총체적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환류 체계를 갖춘다. 이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 그것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계화에 기여했다는 의의를지닌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손다정,정다운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교재를 분석해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보고서는 장르적 특징이 명확하여 교양 글쓰기 교재에서도 보고서라는 장르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보고서 쓰기 교육에 장르 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 모형을 확인한 결과 ‘장르 이해하기-협력적 쓰기-독립적 쓰기’ 단계로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교재에서 구현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서 쓰기 교육은 교재 내에서 그 교육 내용과 방법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보고서’라는 장르의 사용 맥락과 텍스트의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학습 활동 없이 학습 내용으로만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직접 보고서 장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또한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협력적 쓰기’를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개별 활동 후 학습자 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게 하는 활동이 일부 있기는 하였지만 이것은 ‘협력적 쓰기’ 활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마지막 ‘독립적 쓰기’도 쓰기 절차별 안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과제가 교재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강의에서 보고서 쓰기 교육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장르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보고서 장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고 분석하고 교사가 설명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협력적 쓰기’ 단계에서는 교사, 동료, 교재와 협력하면서 장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텍스트를 써 보게 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립적 쓰기’ 단계에서는 글쓰기의 절차에 따라 자신의 보고서를 스스로 써 보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보고서 쓰기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identify the content included and method employed in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 academic essay writing is characterized as a distinctive genre, and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provid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cademic essay genre. Accordingly, a genre-based approach to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 genre-based writing pedagogical model was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ages: genre understanding,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nalyzed how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ere incorporated in textbooks.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some elements of content and methodology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the textbooks. To begin with, the context of using the academic essay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 were often presented to learners as learning content without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ies. Hence,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experience and fully understand the academic essay genr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revealed that most textbooks did not present cooperative writing as an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some activities instructing learn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 after completing individual activities, they were not considered cooperative writing activities. Finally, tasks for independent writing, in which learners were fully informed about each step and allowed to write freely, were not proper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irst, in genre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tep wherein learners ask questions and analyz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n, the teacher should provide an explanation to enhance learners’ independent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essay genre. Next, in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it is necessary to instruct learners to write the actual academic essay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genre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colleagues, and the textbook. Finally, in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learners need to write academic essays by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ated writing procedure. The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 유비쿼터스 시대의 융복합 교양 교육과정 모델 개발 - 읽기, 쓰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권성호,김진량,강경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0 교양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 learning model of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optimal for ubiquitous environments after reviewing the education goals and contents of the three skills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university.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as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learned in multidisciplinary or media literacy teaching. Especially, development on text comprehension ability and creative reproductive ability needs to be focused. This perspective of this study defines the goal of communication edu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s as reproduction of valuable information through cooperation of communicators themselves. The sub-abilities to be developed through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involve three competences: ability to persuade and draw agreement ; media literacy; ability for critical and creative reproductive thinking. For a teaching & learning model of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to attain such competences, we developed “AUREUM” model. In the light of several parameters in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odels, the “AUREUM” model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Active Student” for the student element,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element, “Reflectiv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and “Utilizing Media Learning” for the element of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and lastly “Multi Literacy Education” for the learning substance element. We expect that the “AUREUM” model will be served as a foothold for many universities to develop a variety of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education making the most of their own learning environments and students’ featur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정으로서 쓰기/ 읽기/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의사소통 교육의 관점에서 재검토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교육으로서 쓰기/ 읽기/말하기 교육은 학제간 교육 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반의 텍스트 해독과 창조적 재생산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를 의사소통 주체의 협력을 통한 가치 있는 정보의 재생산으로 규정하였다. 의사소통 교육을 통해 키워야 할 하위 능력으로는 첫째, 설득과 합의를 이루어내는 능력,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셋째, 비판과 창조적 재생산 능력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검토 과정을 거쳐 유비쿼터스 환경의 쓰기/ 읽기/ 말하기 영역의 교수학습 모델로 “아우름(AUREUM) 모델”을 개발하였다. 아우름 모델은 교수학습 모델 개발의 여러 변인을 고려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하였다. 학습자 요소로는 “능동적 학습자(Active Student),” 학습 환경 요소로는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요소로는 “성찰 학습(Reflective Learning),” “체험 학습(Experience Learning),” “미디어 활용 학습(Utilizing Media Learning),” 학습 내용 요소로는 “멀티 리터러시 교육(Multi Literacy Education)”을 제시했다. “아우름 모델”을 기반으로 각 대학의 학습 환경과 학생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쓰기/ 읽기/ 말하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협력 활동 한국어 쓰기 교수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임진숙(Lim Jin Suk)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연구는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한국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게 동일하게 모델텍스트를 제공하고 실험 집단에게는 쓰기 전 단계에 모델텍스트를 파악할 때 협력 활동으로 해결하도록 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개별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여 쓰기 수업을 진행한 다음 쓰기 결과물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쓰기 결과물 분석을 위해 상황ㆍ맥락적 지식, 주제ㆍ내용적 지식, 구조적 지식, 표현적 지식으로 나누어 한국어 쓰기 지식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를 협력 활동으로 활용한 쓰기가 개별 활동을 한 집단보다 쓰기 지식 사용이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 중에서도 표현적 지식과 구조적 지식에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에 상황ㆍ맥락적 지식과 주제ㆍ내용 지식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의 필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모델텍스트를 활용한 쓰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협력활동으로 쓰기에 대한 부담감도 줄이고 자신만의 쓰기 전략을 찾아내어 자기주도적 쓰기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델텍스트 활용은 단순히 모방과 답습으로 그칠 위험이 있으므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협력 활동에 참여하여 쓰기정보와 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조화하여 쓰기에 필요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모델텍스트 파악하기 단계의 협력 활동이 쓰기 지식을 균형적으로 포함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if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be effective for producing outcomes of a higher completion level containing the knowledge of writing in Korean in balance.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subjects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provided them with a model text. In the pre-writing stage, the experiment group was asked to figure out a model text through collaboration,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do so individually in a writing lesson before the completion of their writing outcomes. In an effort to analyze writing outcomes, the study set four criteria of writing knowledge, and they were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topic and content knowledge, structural knowledge, and expressive knowledge.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proved that writing based on collaborative activities at the stage of figuring out a model text would result in more significant usage of writing knowledge than writing based on individual activitie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ollaborative activities had especially much influence on expressive and structural knowledge.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situation and context knowledge and topic and content knowledge, which raises a need for their lear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arners accepted writing based on a model text positively, made an easier approach to a difficult task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in writing and thus reduced their burden with writing, and identified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to assist their self-initiated writing. There is, however, a risk that the utilization of a model text will remain at the level of simple copy or imitation. It is thus required to instruct students to systemize and structurize wri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taking active par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organize knowledge needed in their writing.

      • KCI등재

        대학 기초・교양교육에서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구성과 활용 방안

        김성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Recently, ‘Reading (reading)’ and ‘Writing (writing)’ courses, which form the center of communication in the basic and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ies, are operated in a connected and integrated form. In additio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s combined with ‘discussion(reading)- speaking(discussion)-writing(writing)’ combined with speaking(discussion) classes. In many universities in Korea,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a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subjects, or connected and integrated forms, which serve as the basis of basic and libe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introduce and operate ‘reading and writing’ courses suitable for basic and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ise contents and methods based on detailed research on them,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that can fully implement these curricula. In other words, today’s college found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in which the importance of human education is emphasized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raise th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human value of life, we must actively introduce and activat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methods using classical text as a universal text to inqui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and constructs the creative class structure and use method of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actual class structure and operation case of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and ultimately, I want to help expand it. 최근, 대학의 기초・교양교육에서 의사소통 영역의 중심을 이루는 ‘읽기(독서)’나 ‘쓰기(작문)’ 과목은 연계・통합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읽기와 쓰기 교육은 말하기(토론) 수업과 결합하여 ‘읽기(독서)-말하기(토론)-쓰기(작문)’가 통합된 과목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이제 국내의 많은 대학에서 ‘읽기’ 와 ‘말하기’와 ‘쓰기’는 학문 간 의사소통 교육의 바탕을 이루면서 독립된 과목, 또는 연계・통합된 형태로 개설되어 기초・교양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학 기초・교양교육으로서 읽기와 쓰기 교육의 질적인 제고를 위해서는‘쓰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가 연계되고 통합된 교수학습 방법을 여러 각도에서 모색하고 한층 혁신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글을 쓰는 과정이 언제나 그 준비 단계로서 자료 탐색과 읽기 과정을 떼어놓고 생각할 없다는 여러 연구 결과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대학에서의 읽기-쓰기 수업은초・중등 과정과 차원을 달리하여 텍스트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력 및 그에관한 창의적 내용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글을 쓰는과정에서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수준 높은 텍스트를 찾아 읽고, 그 텍스트 내용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과제에 반영하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대학 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술적 글쓰기를 창의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학의 ‘읽기-쓰기’에 관한 교육적 상황을 고려할 때 기초・교양교육과정에 적합한 ‘읽기-쓰기’ 강좌를 도입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세밀한 연구에 기반을 둔 교육 내용과 방법의 고안, 그리고 이러한 교육 과정을 충분히 실천할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일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4차 산업혁명의 과학기술 담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과 함께 여전히 창의적 인문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의 대학기초・교양교육 현실에서 읽기와 쓰기 교육 전반의 새로운 도약과 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세계의 현실과 삶의 인문적 가치에 대한 근본적질문을 제기하고 탐구하는 보편적 텍스트로서 고전・명저 텍스트를 활용한‘읽기-쓰기’의 통합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성화하여 실제수업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읽기-쓰기’ 의 통합 운영에 관한 수업 구성과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읽기-쓰기’ 통합교육의 구성과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해나가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