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안전부 경찰국 및 지휘규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

        백승엽 한국경찰연구학회 2023 한국경찰연구 Vol.22 No.1

        Sinc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n 1948, “public security" has been the responsibility of the Minister of Interior(currentl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Police Act in 1991, "public security"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mportant policies regarding police affairs must be deliberated and resolved by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n advance.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ay directly direct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important policie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However, sinc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s a general law and the Police Act is a special law,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ust comply with the Police Ac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the Special Act.” Under the Police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only authorized to refer important issues to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f necessary, or to require the commission to discuss them again if it deems the content of the deliberations and resolutions to be inappropriate. On August 2, 2022,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mended the Presidential Decree to create the “Police Bureau”,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lso enacted and implemented the Regulations on the Command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from police officials, politician, related organizations, and scholars about such measures. There are three main criticisms, which the government needs to address as soon as possible. First, there is nothing "unconstitutional" about the newly created the Police Bureau itself. However, the natur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police department is not a‘subsidiary organ (Line)’ that carries out its duties attached to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but ‘assisting organs (Staff)’ that advice to the head of the agency through professional knowledge or technology so that the head of the agency can perform his duties more efficient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name of the newly office to 'Public order Policy Officer' or 'Public order Planning Officer', which means 'Staff'.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Rules, any important work of the police must be approved b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dvance.However, the "pre-approval authority" newly granted to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rticle 2 (1) of the Command Rules is not specifically delegated by the Police Act. Therefore, this provision is judged to be unconstitutional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s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Delegated Legislation".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remove this provision as soon as possible. Third, there are concerns about 'impartiality' and 'political neutrality' for police officials in the future. In order to dispel this concern,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transfer the "procedure for promotion to the senior superintendent's rank from the chief superintendent" currently organized by the "Central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the "ordinary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each police agency. 1948년, 「정부조직법」 제정·시행 이후 ‘치안’ 은 내무부장관(현 행정안전부장관)의 소관 사무였다. 그러나 1991년, 「경찰법」이 제정되면서 ‘치안’은 경찰청장의 소관사무로 바뀌었고, 경찰사무에 관한 중요 정책 등은 사전에 반드시 국가경찰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한다. 「정부조직법」 상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청의 중요 정책 수립에 관하여 경찰청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 그런데 「정부조직법」은 일반법이고 「경찰법」은 특별법이므로, ‘특별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법」에 따라야 한다. 행정안전부장관은「경찰법」에 따라 필요시 국가경찰위원회에 중요 안건을 부의하거나, 위원회 심의·의결 내용이 부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다시 논의하도록 요구하는 권한만 인정되어 있을 뿐이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 8월 2일자, ‘대통령령’을 개정하여 경찰국을 신설하였고, ‘행정안전부령’으로「행정안전부 장관의 소속 청장 지휘에 관한 규칙(지휘규칙)」도 제정·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조치에 대하여 그동안 경찰공무원, 정치인, 관련 단체 및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이 있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 세 가지이며, 정부는 빠른 시일 내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신설된 직제인 경찰국 자체는 ‘위헌성’이 없다. 그런데 경찰국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성격은 ‘보조기관(Line)이 아니라 ‘보좌기관(Staff)’ 이다. 따라서 그 직제의 명칭은 ‘보좌기관(Staff)’을 의미하는 ‘치안정책관’이나 ‘치안기획관’ 으로 변경하고 장관 직속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지휘규칙」 에 따라 앞으로 경찰의 중요업무는 사전에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지휘규칙」 제2조 제1항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새롭게 부여한 ‘사전 승인 권한’은 「경찰법」이 구체적으로 위임하지 않은 내용이다. 따라서 이 조항은 헌법상 ‘포괄적 위임입법 금지원칙’에 위반하여 ‘위헌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므로 이 조항은 빠른 시일 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앞으로 경찰공무원에 대한 ‘인사의 공정성’ 및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현재 경찰청(본청) 소속 ‘중앙 승진심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경정의 총경 계급으로의 승진심사 절차’를 각 경찰기관 소속 ‘보통 승진심사위원회’로 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행정안전부 순화 대상어 선정의 문제점 고찰

        서은아 ( Seo Eun-a ) 겨레어문학회 2021 겨레어문학 Vol.67 No.-

        이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7차례에 걸쳐 발표한 순화 대상어 1,416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순화 대상어 선정에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동안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순화 대상어 1,416개의 실제 사용 빈도가 388개(27.4%)로 매우 낮다. 아울러 현재를 기준으로 그동안 발표한 모든 순화 대상어가 순화 대상인지 가장 최근에 발표한 순화 대상어만 순화 대상인지 명확하지 않다. 새로 발표한 순화 대상어 목록에 기존 순화 대상어 일부가 포함되어 있어 누적 방식으로 볼 수도 있으나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순화 대상어 중 누락된 것들이 많아 순화 대상어 목록이 어떻게 선정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둘째, 사용 빈도가 낮거나 높은 순화 대상어를 목록에 포함할 것인지 제외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순화어 사용 빈도를 함께 살펴야 하는데 그러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그 밖의 문제점으로 순화 대상어 목록을 구성할 때, 일부는 단일어를 또 일부는 복합어를 순화 대상어로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일부는 표준어를 또 일부는 비표준어를 순화 대상어로 제시하고 있어서 일관성과 체계성이 부족하다. 아울러 로마자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problem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target words for purification announced seven times from 2011 to 2020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ual frequency of use was not considered when composing the list of 1,416 purified target word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frequency of use of 1,416 purified target words announced seven times from 2011 to 2020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20 press releases, only 388 (27.4%) were used. Second, the frequency of use of purified words was not taken into account when composing the list of 1,416 purified word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ird, the typographical error in the list of words to be purified was not corrected. In other words, the list of purified words is presented without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single words and compound words, standard words and non-standard words. Fourth, the list of target words for purification was not properly organized by type.

      • KCI등재

        人名用 漢字의 國際標準化 方案 硏究

        박종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3

        최근 國際 標準漢字의 標準化 事業 動向을 살펴보면 中國과 臺灣은 물론 日本에서도 이미 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實態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人名用 漢字의 國際標準化 사업은 이제 國家的 次元의 시급한 對外 課題가 아닐 수 없다. 본론에서는 먼저 國內 人名用 漢字의 管理 現況과 問題點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國際標準化 實務 節次와 方案을 논의하는 순서로 살펴보았다. 人名用 漢字 處理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漢字文化圈 전체의 難題이다. 이 問題의 解決을 위해 한자를 사용하는 나라들이 해마다 회의를 개최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가고 있다. 우리도 人名用 漢字의 硏究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標準 漢字와 非標準 漢字의 목록을 구분․정리하여 우리나라 인명의 電算化에 적극 참여해야 하며, 아울러 異體字 處理 問題, 新出漢字 確認 및 處理 問題 등을 위한 협력 체계를 갖추어야 함을 밝혔다. Unicode is a standard for developing all kinds of database and software nowadays. So we should apply Unicode consortium to digitalizing Korean name characters. This could make serious problems of developing database so that we will provide for the future work. This is a study for make a efficient data processing about Korean name characters. First we have to research Korean name characters re- present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nd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econd we should collect a new characters for admitting Unicode consortium. Lastly we should discuss the developing methods of checking out Korean name characters and make Korean name characters code table.

      • KCI등재

        정부조직 직무의 스마트워크적합수준에 대한 실증분석 - (구)행정안전부 사례를 중심으로 -

        안경섭 한국정책개발학회 2016 정책개발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ause and the level of smart work fit job centered 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som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types. And the percentage of representative jobs, the frequency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agencies,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and external agencies, The higher the spatial stability of job performance, the more likely it is to affect the possibility of smart work (-). On the other hand,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IT-linked electronic work performance and the smart work hope, affects the possibility of smart work (+). Furthermore, we estimated the number of possible smartwares and the probabilities of probabilities of smartwares, and compared them with the detailed departments,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ollow - up studies.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적합 직무 발견을 위해 행정안전부 사례를 대상으로스마트워크에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직무의 원인과 수준을 다양하게 비교 및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표직무의 비중(%)이 높을수록 현재 및 향후 스마트워크 가능정도가 낮으며, 직무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해관계자와의 대면빈도가 높을수록, 기관내 상하급자 등과 대면빈도가 높을수록, 다른부처나 외부기관과의 협조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의 보안성 정도가 높을수록현재 또는 향후 스마트워크의 가능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직무수행의 공간 고정성이 낮을수록 스마트워크의 가능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T와 연계하여 전자적 업무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워크에 대한 희망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현재 및 향후 스마트워크의가능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제한적이지만 인적특성에 따라서다소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담당직무의 특성과 인적특성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스마트워크의 가능횟수와 적합 확률을 추정하여 세부 부서별로 비교분석하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 및 추가적인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부조직 직무의 스마트워크 적합수준에 대한 실증분석

        안경섭(Kyung Sup Ahn) 한국정책개발학회 2016 정책개발연구 Vol.16 No.3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ause and the level of smart work fit job centered 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som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types. And the percentage of representative jobs, the frequency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agencies,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and external agencies, The higher the spatial stability of job performance, the more likely it is to affect the possibility of smart work (-). On the other hand,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IT-linked electronic work performance and the smart work hope, affects the possibility of smart work (+). Furthermore, we estimated the number of possible smartwares and the probabilities of probabilities of smartwares, and compared them with the detailed departments,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ollow - up studies.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적합 직무 발견을 위해 행정안전부 사례를 대상으로 스마트워크에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직무의 원인과 수준을 다양하게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표직무의 비중(%)이 높을수록 현재 및 향후 스마트워크 가능정도가 낮으며, 직무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해관계자와의 대면빈도가 높을수록, 기관내 상하급자 등과 대면빈도가 높을수록, 다른 부처나 외부기관과의 협조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의 보안성 정도가 높을수록 현재 또는 향후 스마트워크의 가능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직무수행의 공간 고정성이 낮을수록 스마트워크의 가능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T와 연계하여 전자적 업무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워크에 대한 희망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현재 및 향후 스마트워크의 가능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제한적이지만 인적특성에 따라서 다소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담당직무의 특성과 인적특성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스마트워크의 가능횟수와 적합 확률을 추정하여 세부 부서별로 비교분석하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 및 추가적인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찰국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정승윤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4 No.4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and conflicts regarding the police department established under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constitutionality and legitimacy of the police department, which emerged as the main issue of the controversy,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rule of law,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ism. Since all administrative rights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part of the sovereignty delegated by the people, its legitimac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and constitution, and all executive rights belong to the president because the current constitution defines the subject of executive power as the president. Since the police authority is included as part of the executive authority and belongs to the presiden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its legitimacy is based on the executive authority of the president born from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An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executive powers of the President shall be executed by the Prime Minister and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who are members of the State Council under the order of the President with or without deliberation by the State Council. Since police authority is also part of the executive authority of the President, the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and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an direct and supervise the exercise of authority by the Commissioner General and public officials under his control in ordinary cases, and in an emergency, delegate authority to the police chief and public officials under his jurisdiction. Therefo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an administrative agency to assist the authority of the President, Prime Minister, and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constitutional, the police department under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a constitutional.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iew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presented as a basis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olice, arguing that the police department violates the independence of the police. Police independence is a concept that does not exist under the Constitution and is a political slogan.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an external offic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ness of the administration and is only one of the current 18 external offices, not an independent external office composed of the remaining 17 offices and other constitutional principles. Although there is controversy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police, The police department in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rough consultations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gency Commissioner and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final settlement of the President of the police personnel in the police department centered on the police force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gency Commissioner and the President's Office It is evaluated as a system that strengthen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police because it can serve as a bridge to convert into transparent police personnel. The scope of police power to which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s applied is basically a police enforcement action for the public prescribed in the Police Officer's Duty Execution Act, and there is a passive limitation that police power should be exerci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The right to form a police organization, the right to organize a police budget, the right to personnel of police officials, the right to establish police policies, and the right to command and supervise police execution still belong to the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and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enacted i...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설치된 경찰국에 관하여 많은 논란과 갈등이 발생했는데, 논란의 주된 쟁점으로 드러난 경찰국의 합헌성과 합법성 여부를 국민주권의 원칙, 법치행정의 원칙 및 정부조직법정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모든 행정권은 국민이 위임한 주권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 정당성은 국민주권의 원리와 헌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현행 「헌법」이 행정권의 주체를 대통령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모든 행정권은 대통령에게 귀속된다. 경찰권 역시 행정권의 일부로서 대통령 에게 귀속되기 때문에 그 정당성은 국민주권의 원리에서 탄생한 대통령의 행정권에 기초한다. 그리고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의 행정권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치 거나 또는 심의 없이 대통령의 명에 따라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인 행정각부의 장이 집행해야 한다. 경찰권 역시 대통령 행정권의 일부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국무총리· 행정안전부장관이 통상의 경우에는 경찰청장과 그 소속 공무원의 권한 행사에 대하여 지휘 · 감독할 수 있고, 특별한 경우에는 경찰청장과 그 소속 공무원에게 권한을 행사하도록 명령하거나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권한을 직접 행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통령 ·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장관의 권한을 보조하기 위해 행정기관을 설치하는 조치는 합헌이고, 행정안전부장관 소속 경찰국은 합헌적 보조기 관이다. 한편, 경찰국이 경찰의 독립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경찰청 설치를 경찰의 독립의 근거로 제시하는 견해가 있는데, 경찰의 독립이란 헌법상 존재하지 않는 개념 으로 정치 구호에 해당하며, 경찰청은 행정의 독자성을 고려해 설치된 외청으로 현행 18개 외청 중 하나에 불과할 뿐 나머지 17개 외청과 다른 헌법원리로 구성된 독립 외청이 아니다.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논란이 있지만, 경찰 국이 경찰청장과 대통령실 사이에 이루어진 경찰대 중심 밀실 경찰인사를 경찰청 장과 행정안전부장관의 협의 및 대통령의 최종 결제를 통해서 경찰대 · 간부후보생· 공채 순경 출신 등 모든 경찰공무원에게 보직과 승진 기회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투명한 경찰인사로 전환하는 가교 구실을 할 수 있으므로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강화하는 제도로 평가된다. 법치행정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찰권의 범위는 기본적으로 「경찰관직무집행법」 등에서 규정된 개별수권 조항에 따른 대국민 경찰 집행 작용이고,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의 보호를 목적으로 경찰권이 행사되어야 한다는 소극적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찰권의 집행에 수반되는 경찰조직의 구성권, 경찰예산의 편성권, 경찰 공무원의 인사권, 경찰정책의 수립권 및 경찰집행의 지휘 · 감독권 등은 여전히 「헌법」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행정권의 수반인 대통령과 국무총리 · 행정안전부장관에게 귀속된다. 정부조직법정주의에 따라 제정된 「정부조직법」은 행정권을 행정각부에 배분하고 있지만, 규율의 밀도 측면에서 대통령이 법률의 개정 없이 행정각부의 수와 종류및 그 직무 범위의 대강을 변경할 수 없다는 의미에 불과하므로 행정기관 설치의 합법성 여부는 「정부조직법」만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다. 경찰국 설치의 합법성 여부는 「정부조직법」뿐만 아니라 「헌법」 ·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 「경찰관직무집행법」 · 「경찰 ...

      • KCI등재

        공공언어 표기실태 연구

        심보경(Shim, Bo-K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8

        이 연구는 공공언어의 효율적인 로마자·영문 표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공시설명인 도로표지에 대하여 행정기관별 로마자·영문 표기규정을 조사하였으며, 최근 제정·시행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훈령 제279호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도곡동, 삼성동, 역삼동의 도로표지 로마자·영문 표기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강남구 도로표지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훈령이 아니라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 국토교통부의 ‘도로표지 영문표기’가 반영되고 있었다. 현행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은 관련 행정기관이 공동연구를 통해 공공용어의 표기지침을 마련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현행안이 실질적인 효율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정·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서는 도로표지에서 전부요소는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요소는 속성의 의미를 영어로 표기할 것을 기준안으로 명시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에서의 음절 수 및 음절 길이 문제, 외국인의 한국어 습득 시 로마자 표기가 이해하기 수월한 점, 현행 로마자·영문 표기체제가 신조어로 인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부요소, 후부요소. 모두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표기지침의‘오거리(댓거리)’에서 ‘댓거리’의 비표준어 표기 문제, ‘삼거리(세거리)’, ‘사거리(네거리)’의 괄호 병기 문제, ‘편의시설명’, ‘상업시설명’ 등에 대한 세부지침 마련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examined the standards of Romanization and English notation of the relevant administrative bodies in order to find an efficient way to describe names of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as designated by the principle of writing road sign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by Romanization of road names,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by the English Writing Guideline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though the guidelines were based on the principle of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they lacked effectiveness due to the lack of specific guidelines for names of public facilities. Recent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stablished Guidelines for English Translation and Writing of Public Terminology under the auspice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a joint study by eigh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 study on the Road Cover in Gangnam-gu, Seoul and Writing Guidelines for Public Terminology found that the road signs of Gangnam District do not reflect the newly enacted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Land, Sports and Tourism. After reviewing the road signs, many of the road signs, such as "description in traffic", "description in education", "names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road names", were not writte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ut in "convenience". Guidelines for English Translation and Notation of Public Terminology proposes "Romanization of All Elements and Rearcher of Means but this study suggests Romanization of All Elements. It is also recommended to supplement detailed instructions on the meaning of the rear elements of mass names, the "convenient description" and the "commercial description" in the new designation.

      • KCI등재후보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공공관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이선우(Sun Woo Lee) 한국공공관리학회 200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2 No.1

        이 연구는 중앙인사위원회의 탄생에서 폐지, 그리고 행정안전부 속에서의 인사기능의 미래를 중앙인사위원회의 역사적 고찰과 중앙인사위원회 폐지와 행정안전부에로의 통합에 대한 우려, 그리고 향후 행정안전부의 인사기능수행에 대한 역할 등 세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일곱 가지의 우려사항과 여섯 가지의 쟁점사항들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중앙인사관장기구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거나 통합된 기구 속에서도 중심축으로 활용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를 외국정부들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국가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라는 측면에서 우려되는 점들을 인사행정학자들이 주로 제기하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several issues raised by the abolishment of the Civil Service Commission and Unific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unctions with other public affairs, like government organization management,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public safety and risk management affairs. Particularly, this research brings about seven kinds of concerns and six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the unification being carried out in the world trend of managing human resources in government allowing an organization to deal with human resource issues independently.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부조직체계 개편

        장현 ( Hyun Jang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을 이탈하여 한국에 정착하였거나 국외에 체류하고 있는 탈북자를 지원하는 정부 조직체계의 개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국내 거주 탈북자들이 대부분 경제적으로 자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자 재 입북과 간첩 사건 등 관리체계의 문제, 중국 등 국외 체류 탈북자의 신변보호 문제, 그리고 불법 난민 신청과 불법체류 문제 등 국내외의 탈북자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탈북자 지원 조직체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의 결론은 통일부가 주도하고 있는 국내 탈북자의 정착 지원 업무를 안전행정부로 이관하고 국외 탈북자 문제는 외교부가 담당하되 조직과 인력을 확충하자는 것이다. 그 이유는 첫째, 안전행정부는 지방자치단체를 관할하므로 탈북자 지원 기관들과 연계와 자원 동원이 수월하여 탈북자의 안정적 정착에 유리하며, 둘째, 탈북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경찰과 원활한 공조로 탈북자 간첩 사건 등 국민 불안 해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데 이는 곧 탈북자에 대한 인식 개선에 기여하며, 셋째, 산하의 이북 5도청 운영에 의한 탈북자 업무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업무 이관 시 시행착오의 최소화와 중복 지원 예산을 절감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국외 탈북자 문제는 외교부가 주체가 되어 탈북자 업무 전담 인력 배치 등 조직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은 정부조직개편 이론에 의해 뒷받침 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efficient reorganization of government`s re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and overseas. The current support system revealed its deficiencies within Korea as well as in foreign soils: domestically,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xceeded 20,000 and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ors` re-entrance to North Korea and continuous spy incidents remain unsolved; internationally, 50,000 North Korean defectors` safety in China as well as problems of illegal refugee applications by North Korean defectors in third countries are on the rise. To resolv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tters regard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current support system requires a reorganization in its structure. In this research, I argue for a bicameral system for managing North Korean defector matters: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OSPA) to take charge of domestic matters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to take charge of international matters. Domesticall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MOU) is to transfer its North Korean resettlement support duty to MOSPA, whereas MOFA is to take charge of international matters regarding the defectors according to its competenc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is logic well supports th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plan.

      • KCI등재

        국가경찰위원회제도의 실질화 방안 비교 분석 연구

        최종술(崔宗述)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3

        본 현행 국가경찰위원회 제도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단순 자문기관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경찰위원회는 법률상 심의ㆍ의결기관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자문기구 형태로 운영되어 왔고, 형식적ㆍ상징적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경찰위원회가 설치 목적에 부합하고 경찰의 중립성과 독립성 그리고 민주성을 달성하는데 실질적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경찰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 기구로 국가경찰위원회가 재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먼저 현행 국가경찰위원회 제도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제안된 국가경찰위원회 제도의 실질화 방안들을 비교 분석하여, 현행 국가경찰위원회 제도의 한계를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한다. Criticism has been constantly raised that the current National Police Commission system does not have a practical function and is only a simple advisory body. Although the Police Commission is stipulated as a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body by law, it has been operated as an advisory body and has been performing formal and symbolic functions and roles. The Police Commission should be redesigned as a practical control body over the police so that it meets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and can actually play its role in achieving police neutrality, independence and democracy.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system.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easure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proposed so far,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National Police Commission system are deduced, and development plans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