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한 경험적 미디어아트 전시공간구성 연구
이윤채,이현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면서 20세기 중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변모해 온 미디어아트는 예술 창작, 존재, 감상 방식에 있어서 전통 미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특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이나 전시 방법론과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축적이며 공간 디자인적 맥락의 논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들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전시공간구성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미디어아트는 관람객의 적극적 개입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으며, 그 감상 경험이 전통미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디어아트의 미적 경험은 새롭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전시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각 공간 연구들이 가지는 특성과 가치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적 접근의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정량적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의미와 가치, 미디어아트에서의 미적 경험을 작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적 관계가 실천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신체적 참여와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주목한 존 듀이와 그의 논의를 발전시킨 리처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해 정성적 측면에서 접근해본다. 이러한 미학적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기존의 건축적 논의에서 도출된 전시공간구성 유형 논의 중 ‘연속적 전시공간구성’이 관람객들에게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미적 경험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미디어아트의 전시공간구성으로서 적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Media Art has started with breaking the traditional art form with experimental art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is has increasingly developed with the power of technology in the mid 20th century. The media art shows a different way of viewing and appreciating art when compared to the way of creating traditional art, and its existence of viewing art. However, exhibitions spaces or systems research lack of exhibit the Media Art. And existing research have been focused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and design discussion. Add to this, this study argues that new method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focusing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t to draw spectators are often actively involved, the aesthetic experience is present in a different form from traditional arts characteristics. For this, this study therefore, will explore way previous research on space and each spac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has a view on significance that previous quantitative research have been complemented by aspect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media art exhibition space discourse. Especially, through the discussion from the aesthetics of Pragmatism will discuss the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exhibition that provides an aesthetic experience to visitors. The pragmatism of artistic values are not finalized but the process is taken in consider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and interaction, the Media Art medium’s values support this. Based on these discussion, supporting a new approach Media Art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draw conclusion that sequence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is pertinent to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of Media Art.
리자신,김규정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1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art are integrated in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edia ar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rt and traditional Chinese art. The research methodology combines the theory of Chinese media art with the aesthetic principles of modern art, reveals its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and analyz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 and integration process between media art and traditional art. The study covers representative works of Chinese media art since 1990 and five recent typical cases of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ink techniques with traditional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Chinese media art borrows elements of traditional calligraphy and ink painting and activates the structure of images through traditional narratives, which not only innovates from a visual perspective, but also injects a new cultural context into traditional art. As a sublimated form of traditional culture, Chinese media art extends traditional art characteristics through new media.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fusion of media art and traditional art can provide dynamic and interactive display possibilities for traditional art and bring new aesthetic inspirations for media art.
권수진 문학과영상학회 2023 문학과영상 Vol.24 No.1
The article discusses ‘Media Archaeology’ in the 1980s to understand ”media archaeology as art” and its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edia theory and media archaeology today. Also, discuss what ”media archaeology art” is in terms of post-media art that how media archaeology and junk media borrow repeated recycling, reproduction, and archiving to write the history of art, proving that they are various technology uses, development, or practice (painting, sculpture, video, film, literature, etc). For the core discussions, Robert Rauschenberg’s combine art and Paul Demarinis’s media art Pygmy Gamelan (1973) as methodologies and ideas hav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junk media and post-media art, which considers and experiments with the art of the post-media era as a media archaeological methodology. The first is a conceptual discussion of ’Junk Aesthetic’ in post-media and media archaeological terms. The second is the possibility that media archaeology and art can be defined as ’media archaeology art’ beyond methodology through analysis and discussion of media artworks by media artist Paul DeMarinis. In conclusion, present ideas for future research on media art a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archaeology in the post-media era, suggesting ideas on how these two similar concepts from different eras in post-media and media archaeology can be presented simultaneously in junk art form.
홍미희(Hong, Mi-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2
1950년대 대량생산을 포함한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대중적’이라는 표현이 이슈가 되면서 ‘일상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미술계에서는 팝아트라는 예술양식을 도출하였다. 미디어 아트는 현대에 매체가 발달하면서 미술을 TV 나 모니터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60년대 백남준, 빌 비올라 등의 작가들을 통해 부각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카페, 공원, 패션쇼, 공연 등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팝 아트의 다양한 기법이 미디어아트에서 어떻게 차용되고 영향을 주었는지를 백남준 작품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우선 팝 아트와 백남준 미디어 아트의 표현기법과 특성들에 대해서 각각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을 찾아보았다. 백남준 미디어 아트와 팝 아트는 기존에 등한시 했던 다양한 일상의 평범한 것들을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매체를 확장하였다. 그 다음으로 백남준 작품에 나타난팝 아트의 특성은 관객의 참여다. 과거의 예술은 특정인만이 이해할 수 있고 누릴 수 있는 고급 문화였는가 하면, 팝아트나 백남준 미디어 아트는 다양한 계층이 특정한 지식이 없이도 즐길 수 있도록 예술의 대중화와 관객의 참여에 앞장선 예술사조이다. An interest in "ordinary things" has been increased because public things become issues as the influence of mass media including mass production has been increased in the 1950s. And this phenomenon drew an art style of pop art in the world of art. Media art means that the fine arts are expressed by means of media such as TV and monitors because media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rn society. It started emerging through the artists such as Nam June Paik, Bill Viola, and others in the 1960s. Recently, it can be easily accessible not only at the art museum but also in everyday life such as cafe, park, fashion show, performance, and etc. This study analyzed that how many different techniques of pop art were borrowed by especially Nam June Paik media art and how they influenced it. Accordingly, this study respectively analyzed expressive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pop art and Nam June Paik’s media art and then searched for their similarities based on the analysis. Both Nam June Paik’s media art and pop art extended media by using various ordinary things in everyday life neglected previously as a material. Next, the characteristic of pop art shown in Nam June Paik’s media art is participation with audience. While the arts in the past were high-level culture that only certain people could understand and enjoy, pop art or Nam June Paik’s media art is an art trend that has led the popularity of fine arts and audience participation in order to let diverse classes enjoy without any specific knowledge.
미디어아트에서 모방론에 관한 연구-<화인(化人)>을 중심으로-
양지현,정재식,김규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Aristoteles, in Poetics, said that the art is embodied through an imitation of nature and placed a meaning on the essence of art form. In this respect, artists have been trying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viewers on art works by integ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into the work. According to John Dewey, who emphasized that art works can maintain the aesthetic standing only through the human experiences, today’s media art which induces view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actile experience, can be referred as the art pursuing the most active experience. Media art has been developed by imitating or combining the previous art forms using digital media. The course of art work using digital media follows the theme of traditional art that dealt with the essence of human and nature, or changes the viewers’ experience from passive state to active with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viewers. In this way, Media Art imitates a traditional art form and aesthetic categories of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new concept by changing the art form with different mediums and tool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rough case work how the embodiment process – that bega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nature and art, and human and art - is implemented in today’s media art. This study also present the media art work, Fine, which generates active human experience with the subject of nature and analyze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t is formed in the work.Aristoteles, in Poetics, said that the art is embodied through an imitation of nature and placed a meaning on the essence of art form. In this respect, artists have been trying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viewers on art works by integ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into the work. According to John Dewey, who emphasized that art works can maintain the aesthetic standing only through the human experiences, today’s media art which induces view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actile experience, can be referred as the art pursuing the most active experience. Media art has been developed by imitating or combining the previous art forms using digital media. The course of art work using digital media follows the theme of traditional art that dealt with the essence of human and nature, or changes the viewers’ experience from passive state to active with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viewers. In this way, Media Art imitates a traditional art form and aesthetic categories of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new concept by changing the art form with different mediums and tool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rough case work how the embodiment process – that bega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nature and art, and human and art - is implemented in today’s media art. This study also present the media art work, Fine, which generates active human experience with the subject of nature and analyze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t is formed in the work.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예술은 자연의 모방을 통해 형상화된다고 하였으며, 예술 행위의 본질에 대하여 의미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가들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소재로 하여 작품 안에 통합함으로써, 관객들의 작품 감상 경험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예술작품은 사람의 경험을 통해서만 미적 상태(aesthetic standing)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 존 듀이에 따라 관객의 자발적 참여와 통감각적인 경험을 유발시키는 최근의 미디어아트는 가장 적극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미디어 아트는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작품으로 이전의 예술형식을 모방하거나 많은 부분 결합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작업의 과정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본질을 다루어 왔던 전통 예술의 주제를 답습하거나 더 적극적으로 작품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활용하여 관객의 경험을 수동적인 상태에서 능동적인 경험의 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아트는 기존의 예술이 가졌던 미적 형식과 주제의 범주를 모방하는 동시에 매체와 도구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며 새로운 개념을 확장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자연과 인간, 자연과 예술, 인간과 예술의 관계에서 시작된 예술의 형상화 작업이 최근의 미디어아트에서 어떻게 구현이 되는지를 사례작품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자연을 소재로 하여 인간의 경험을 능동적으로 발생 시키는 미디어아트 작품화인(化人)을 제작하고, 작품 안에서 형성되는 대체 자연과 관객의 상호작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커뮤니티 기반 미디어 아트: 지역 사회적 맥락과 자원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아트
차유나,박진완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5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8 No.2
Media art has evolved significantly by integrating divers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xpanding its conceptual boundaries.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standardized terminology to describe media art practices that explicitly incorporate regional contexts, social dynamic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is terminological ambiguity by propos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defining and categorizing region-based media art practices. Drawing up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is research identifies and defines key terms such as "region-based media art," "site-specific media art," "cultural archetype-based media art," "socially engaged media art," and "public media art." Each term is systematically outlined with distinct conceptual boundaries and characteristics, while acknowledging the interrelations and potential overlaps among them. This framework seeks to provide a clearer understanding and language for diverse media art practices grounded in place, community, and cultural specificity.
미디어아트 구독서비스 모델의 활용 가능성과 비교실험 연구 -국내외 사례 중심으로-
문선우,김정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미디어아트는 백남준의 작품을 통해 국내외에서 대중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글로벌 예술가로서 미국과 유럽에서 큰 주목을 받으며 미디어아트가 중요한 예술 장르로 자리 잡는 데 이바지했다. 미국에서는 팝 아트와 결합하여 대중문화 예술로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유럽에서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실험적인 예술을 전개하면서 미디어아트의 예술적 표현의 영역이 더욱 확장되었다. 오늘날 미디어아트는 공공미디어, 상업 공간에서도 사용되며 대중의 일상 속에서 친숙한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어 대중은 새로운 예술 형식을 경험하며, 미디어 아티스트는 활동 범위를 확장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미디어아트 구독서비스 모델을 바탕으로 미디어아트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미디어아트가 디지털 경제와 문화 산업에서 가지는 문화적 및 경제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먼저, 미디어아트의 학술적, 문화적 흐름, 대중적 특성과 미술품 구독서비스를 분석하고, 미디어아트 구독서비스 모델 중 사용자 접근성이 우수한 플랫폼(VIDO와 Sedition Art) 두 곳을 선정하여 활용사례연구와 비교실험을 진행했다. 본 연구자가 직접 9,000x800(px) 규격의 full 3D, 10초 분량 미디어아트 영상물‘구름 베이커리(Cloud Bakery)’와 1,920x1,080(px) 규격의 full 3D, 15초 분량의 미디어아트 영상물 ‘A cozy statue(포근한 조각)’을 제작하여 미디어아트 작품의 구독서비스 플랫폼 등록 과정과 결과를 통해 두 플랫폼을 비교, 분석하여 경제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비교실험결과, 국내 플랫폼 VIDO는 예술가의 작품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구독료를 지불하여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이는 예술가에게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고품질의 예술을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국외 플랫폼 Sedition Art는 디지털 작품의 소유와 스트리밍을 모두 가능하게 하며, 작품마다 에디션을 설정하여 소장 가치를 높이고, 이를 통해 작품의 재판매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이러한 미디어아트 구독서비스 플랫폼은 미디어아트가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상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제적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본 연구자는 미디어아트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작품 활동을 이어나가 수익구조 검증과 결과를 후속 연구로 진행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디지털 예술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과 창작 방식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edia Art began to be recogniz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rough the works of Nam June Paik, who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U.S. and Europe as a global artist. This recognitio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Media Art as a major art genre. In the U.S., attempts were made to integrate Media Art with Pop Art, blending it with popular culture, whereas in Europe, experimental art was developed using various media technologies, thereby expanding the scope of artistic expression in Media Art. Today, Media Art is widely consumed in public media and commercial spaces and is becoming a familiar part of daily life. In particular, through digital platforms that offer real-time streaming, the public can experience new art forms, and media artists have broadene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edia Art industry based on the Media Art subscription service model and investigated the cultural and economic value of Media Art within the digital economy and cultural industries. (Method) First, the study analyzed academic and cultural trends in Media Art, its popular characteristics, and art subscription services. Two Media Art subscription service platforms with superior user accessibility—VIDO and Sedition Art—were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comparative experiments. The researcher personally created two full-3D Media Art videos: “Cloud Bakery” (9,000x800 px, 10 seconds) and “A Cozy Statue” (1,920x1,080 px, 15 seconds). By registering these media artworks on subscription service platforms and comparing the registration processes and outcomes,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conomic value of both platforms. (Results) The comparative experiment showed that the domestic platform VIDO offers media artists the opportunity to stream their work, with users paying a subscription fee to access various artworks. This model provides artists with a stable revenue stream and allows consumers to access high-quality art more easily. The international platform Sedition Art allows for both ownership and streaming of digital artworks, with each artwork offering editions to enhance its collectible value, enabling the potential for resale. (Conclusions) Media Art is evolving beyond just an art form and is becoming a key medium for expanding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in modern society. In the future, this researcher plans to continue his work on Media Art digital platforms and conduct follow-up research to verify the profit structure and results. He plan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profit models and creative methods in the Digital Art market.
최선영(Choi, sun-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미디어 아트 창작물” 이라는 대상 자체를 예술과 과학 분야 사이에 상호보완관계로 설명하고 새로운 관점에 예술 비평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통 예술 분야는 특수한 사고의 영역이 강조되어 예술가와 예술작품이 일원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현대에 이르러 “미디어아트 (media art)”는 미술사나 미디어연구에서 아직도 다양한 시각에서 논쟁을 지속하고 있다. 현대에 다매체를 활용한 각종 예술 영역은 "학문간 융합" 또는 "상호 학문간 연구"라는 교환을 통해서 제도적 간격을 와해하고 있는 것이다. 2장에서는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예술 사이에 제도적 간격의 개념과 의미의 구분을 통해 예술과 과학의 교환 현상과 두 분야의 착종 양상을 설명한다. 다양한 착종형태의 현대미디어 아트는 예술가의 사고영역과 기술자의 표현기술들로 만들어진다. 3장은 기술과 예술이 착종된 창작물과 창작형태의 의미를 분석하고 현대 예술의 일반론으로 설명한다. 미디어 아트의 창작물은 작품의 탄생과정에서 예술가와 기술자 사이에 협업과정 중 누구나 작품 창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학과 예술의 상보적 관계를 다양한 유형의 과학적 연구들과 예술적 실험들을 통하여 두 문화의 통섭을 설명하고 기존 연구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논문은 현재 미디어 시대의 ‘예술(art)’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king the base for new perspectives on art criticism. Contemporary media arts creates between arts and sciences what are describe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ut the modern world is "art media (media art)" and still continue to debate various perspectives in art history and media studies. Up to now, special emphasis thinking has been being in the area of traditional arts. The tendency is also the artists and artworks unification. However, contemporary art area to utilize multimedia has collapsed the institutional gap through the exchange of "interdisciplinary fusion" or "mutual-interlaboratory research". In the Chapter 2 is the description of exchange between the arts and the sciences based on phenomena aspect of entangling. Distin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 mean of institutional separation between media technologies and media arts. Contemporary media art in a variety of entangling form is interpreted as a variety of factors, specific think of artists or technicians o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then communicate to audiences. The scope depends on point of view of the active creator of interpreting the creative work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possibility of debris between artists and technicians. Chapter 3 is the analysis of technologies and arts entangling with the creations and meaning of creative forms. That is to explain the generalities of contemporary art. Creations of media arts influent (to) the creative works of all, artists and technician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in the birth of the work. In conclusion, contemporary art has a distinctiveness of structural similarity of arts and sciences. This similarity emphasizes that the reductive interpretation that does meaningless. Various types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s and arts describe the consilience of two cultures through scientific researches and artistic experimentations and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reas. Thus this paper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art (art) " of the media age .
미디어 예술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호주와 미국의 미디어 예술(Media Art) 교육과정 분석 연구
김시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structure of media arts education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to ge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media art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media arts are independent subjects in arts areas,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s guidelines are presented in the media arts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four findings as following. First, the media art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se two countries is not only referring to media art in the field of fine art, bu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visual culture areas such as television, film, video, newspaper, radio, games, internet and mobile media. In addition, it encourages systematic education in media arts and enables mor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to be acquired. Second, media arts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ims to improve multilateral media literacy, such as access to media, analysis, evaluation, and creative ability. Third, 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media arts within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in detail by grade group, and by emphasizing the creative language with its own rul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rammar, syntax and metaphor system of the visual language of the media. Fourth,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by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compose a class by linking artistic thinking and production process with interdisciplinary classroom contents centering on cross-curricular topics or big ideas.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호주의 국가 수준 미디어 예술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디어 예술교육의 내용과 성취기준, 구성체계 등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여 미디어 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미국과 호주는 예술 교과목 내에 미디어 예술이 미술 과목과 독립되어 있으며, 미디어 예술 교육과정에 구체적인 미디어 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 성취기준, 평가지침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이 두 나라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두 나라의 교육과정에 명시된 미디어 예술은 순수예술 영역의 미디어 아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신문, 라디오, 게임, 인터넷 및 모바일 미디어 등 광범위한 시각문화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고,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미디어 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장려하고 좀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두 나라의 미디어 예술교육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 분석, 평가, 창조 능력 등 다각적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구체적인 미디어 예술영역의 지식과 기능, 성취기준을 학년군별로 자세히 제시하고 있으며, 미디어 예술만의 창의적인 언어를 강조함으로써 미디어의 시각적 언어의 문법, 구문 및 은유 체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넷째, 미디어 예술교육을 융합교육과 통합교과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역사, 지리, 과학, 기술 및 예술을 통합하여 범교과적 주제나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학제 간 교실 컨텐츠와 함께 예술적 사고와 제작 과정을 연결하여 수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일의 미디어아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쾰른 미디어아트 미술대학을 중심으로 -
최문선,윤준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1
Because of development of technology, what is basement of media art, and the continuous emergence of new media technology, moreover because of quantitative, and the range of the fastest growing area of the application areas of the media arts, so the role of media art in many cultural is nowadays emphasized. As well as in Korea, also in abroad, after 1990 new media is often used in art area, and it has attempted to combine many different media with new media. Such reasons, in various countr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media specialist Museum of Art, w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that movement, In this paper, I want to research about media art, what emerge relatively late in the art area and now expand its area,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media art in many institutions around media art area. Researching area is limited in Germany, it will treat situation of media art, German institutions for media art, and it will research specially about Academy of media art. Cologne. With researching its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rganization and Situation of Curriculum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how Germany has prepared for this changing of media as expression medium and to mak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edia art. With this observation it could be also very helpful to prepare or to improve educational system of media art in Korea. 미디어아트의 근간이 되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지속적인 등장, 그리고 양적으로나 영역적으로 그 부피와 적용범위가 급성장 하고 있는 미디어아트의 응용영역은 최근 미술의 영역뿐 아니라 여러 문화적인 부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비단 한국에서뿐 아니라, 나라마다 그 시기의 차이는 있으나, 1990년대 이후 미디어 매체가 적극적으로 예술작업분야에서 이용되고 많은 다른 매체와 접목되는 시도들은 각 나라에서 시도되어져 왔고, 이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기관과 연구기관 그리고 미디어아트 전문 미술관들도 속속 생겨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미술의 영역보다 비교적 새롭게 미술의 영역에서 그 자리를 넓혀나가고 있는 미디어아트와, 그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많은 기관 중에서 미디어아트 교육기관을 연구해보고자 하며, 그 범위를 독일을 중심으로 하여 미디어아트의 현황, 독일 미디어 아트 기관의 현황 그리고 독일의 대표적인 미디어 아트 교육기관인 쾰른의 미디어아트 미술대학의 건립배경, 교육이념 및 목표 그리고 세부적으로 학과편성을 연구함으로써, 독일이 위에서 언급한 미디어아트의 양적으로 그리고 영역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늘어나는 시기를 어떻게 대처하고 그 결과물로 어떠한 구조의 미디어 교육기관을 만들어 내게 되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한 조망을 함으로써, 한국 미디어 교육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