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나타난 생활공간디자인 변화 경향 분석 -1994∼2018년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박현옥,이종숙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s of interior design through the contents and themes of Seoul Living Design Fair from 1994 to 2018. The method of research is analysis of contents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rends and the articles of Living Design Fai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s concept shown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the high-tech designs and the modern trends in 1990's, the sustainable design consider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2000's and the return to traditional & minimal trend in 2010's. Second, the trends of the Living Design Fair in five stages are the introduction period, the settlement period, the reflection period and the prosperity period, and now the new communication period. Finally, It is diversified into modern-natural in the introduction period, hybrid, natural, traditional and eco-zen in the settling period, and it has appeared evenly from the reflection period. In the prosperity period and communication period,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s widening, and it can be seen that digilog-self design tendency to perform their own space is prominen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living space design will show a variety of products that support a design that reflects their individual needs, and furniture and convertible tools that can easily bring about space changes like simple recipes.

      •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의 주제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트렌드 변화 연구

        이수민(Lee, Soo-Min),김은빈(Kim, Eun-Bin),박수연(Park, Soo-Yeon),김영주(Kim, Yo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design tr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mes and the contents of the major spatial design exhibition in Korea - Kyung Hyang Housing Fair and Seoul Living Design Fair- based on the periodical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from 1986 to 2013.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Periodical information about each exhibi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earch and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guidebook were added for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ince t980s, there was an increased need and interest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the 1st Kyung Hyang Housing Fair was opened in 1986. In 1990s, design quality improvement was emphasized based on the issues of IMF and shoddy and fault construction such as collapse of Sam Poong department store. Due to the broad dissemination of internet, globalization, and emergence of diverse household type, demand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was diversified after 2000s. Additionally, the global concept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energy saving, and green growth were influenced to spatial design field. Lately, interaction design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proliferation of SNS and smart mobile equipment. Meanwhile, there is a continuing trend for emotional design in recent years.

      • KCI등재

        연구논문 : 정주형 생활유산에서의 지역주민 공정성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중심으로-

        황희정 ( Hee Jeong Hwang ),윤현호 ( Hyun Ho Y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정주형 생활유산에서의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중심으로 공정성 문제를 분석하였다. 마을관광에서의 공정성 문제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관계를 동등한 관계로 인식하고 마을에서 발생하는 편익을 공정한 과정과 절차로 분배하는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주형 생활유산인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관광객간 상호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입장에서 지역주민 공정성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진술내용에서 관광활동 과정에서의 공정성, 관광편익 분배의 공정성 모두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양동마을 관광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 공정성에 대하여서도 대부분의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불공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 공정성 제고를 위하여서는 각 마을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이해, 지역 및 지역주민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접근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지역에 대한 경제적 혜택 부여를 강조하고, 관광객의 ``책임``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지역주민 공정성 문제가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주민 공정성 제고를 위하여서는 각 마을이 지니고 있는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이해, 지역 및 지역주민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을 이해주체로서 인식하고 동등한 거래주체로서 지역주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념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주민 공정성에 대하여 양동마을이라는 정주형 생활유산에 적용하여 경험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정`` 개념을 국내 정주형 생활유산을 포함한 마을단위 관광에 적용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irness issue in the living heritage, the Yangdong village,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local residents on tourists and the perspective of tourists on the residents. In studying the fairness issue, in an area of the village tourism, it is important for the researchers to be equipped with a fair view on residents and tourists. Also, it is necessary for them to have a viewpoint that the conveniences arising from the village tourism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and shared by residents and tourist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e perspectives of residents on tourists and the perspectives of tourists on residents in Yangdong village. Likewise, the research compares the residents` views with the tourists` views so as to scrutinize the fairness issue based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statement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in Yangdong village, they perceive the tour activ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conveniences as unfair. The result reflects the fact that the prevailing living heritage tourism does not fully consider residents` needs,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rather, it has built the notion of fairness by emphasizing the financial benefits from the industry and by imposing a great responsibility on tourists.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new approach, taking into account the residents` needs, desires,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embrac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cognize the residents as participants who will share not only the awareness of the living heritage but the fair trade. This study takes an empirical approach by mainly dealing with ``the Yangdong village`` where the living heritage has been established. At this poin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at only incorporate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likely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ourism because it applies the concept of the ``fairness`` into the village tourism including the living heritage.

      • 공생주의로 본 공정무역에 관한 연구 : 일본 NGO 공정무역을 중심으로

        이시이 사이키 한국평화NGO학회 2022 평화NGO연구 Vol.2 No.-

        본 연구는‘NGO들이 공생주의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될까?’라는 질 문에서 시작했다. 공생주의는 이상사회의 경제적 측면을 다룬 개념인 동시에 특히 소유의 측면을 다룬 개념이다. 지금까지 공생주의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정립 되어 있지만, 실천적인 운동 사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상세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운동을 모색하여 사상을 실천으로 옮기는 활발한 연구가 필요 하다. 그리하여 저자는 실천적인 공생주의 연구로 공정무역에 주목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일사상의 경제이념인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공정무역을 고 찰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참사랑이 흐르는 공생주의 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경제운동으로 공정무역이 유의미한 가치를 지님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문헌조사를 통해 공생주의와 공정무역의 이론을 정리했으며, 일본 NGO 공정무역 의 사례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다. 공정무역이란 개발도상국에서 만든 농작물이나 제품을 적정한 가격으로 계속적 으로 거래함으로써 생산자의 생활을 지탱하는 무역이다. 국제협력이나 자금원조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의존하는 관계성을 형성하고 원조하는 측의 사정에 따라 좌우되어 계속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그에 비해 공정무역은 소비자가 일상생 활에서 커피나 바나나, 초콜릿 등 상품을 구입하는 데서부터 생산자의 생활을 지탱 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빈곤 문제 해결책의 하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공정무역을 볼 때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긍정적인 검토를 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공정무역 제품의 유통과정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생산부터 소비까지 모든 관계자들의 정성과 사랑이 함께 흐르는 공생주의 의 물심일여(物心一如)의 통일적 과정과 상통하다. 둘째, 공정무역은 공생주의의 특징인 통일산업 중 개별상을 지닌 지역적 특수산업을 중요시한다. 셋째, 공정무역 은 공정무역 원칙 중 양호한 노동조건 지원을 준수하여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생주의의 특징과도 상통하다. 넷째, 공정무역은 근본적으로 기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의 역량 강화나 자립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식량문제 해결 을 지향하는 공생주의의 이념과 유사하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can NGOs put Co-Livingism into practice? Research on Co-Livingism has been established theoretically, but research on practical examples of movements has been insufficient. To realize the ideal world, we need to seek out concrete movements and conduct active research to put our ideas into practice. Therefore the author focused on fair trade in this study of practical Co-Living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fair trade from the perspective of Co-Livingism, the economic philosophy of Unification Thought. Through this, I will try to show that fair trade has a meaningful value as an economic movement for realizing the Co-Living ideology through which God's true love flows. This thesis summarizes the theor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Livingism and fair trade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case studies of NGO fair trade in Japan. Finally, the case studies are analyzed, and suggestions are drawn, and a proposal for NGO Fair Trade is presented. Fair Trade is a trade that supports the livelihood of producers by continuously trading crops and products made in developing countries at a fair pri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financial aid form a relationship in which developing countries depend on developed countries, and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continuity as i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of developed countries. In contrast, fair trade is a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support the livelihoods of producers through the purchase of products such as coffee, bananas, and chocolate in their daily lives,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solutions to poverty issues. Looking at Fairtrade from the perspective of Co-Livingism, the following points can be considered positively. Firs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Fairtrade products is in line with the unified process of Co-Livingism, where the sincerity and love of all parties involved,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live together for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developing countries. Second, fair trad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gional special industries that transcend individual images among the unified industri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Co-Livingism. Thirdly, Fairtrade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ivingism, which adheres to the support of good working conditions and aims to promote welfare among the principles of Fairtrade. Fourth, fair trade is similar to the Co-Livingism principle, which aims to solve the food problem by implementing programs that help producers strengthen their capacity and become self-reliant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hunger problem. In this thesis, I will define communal ownership as the benefits that are distributed to all producers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until the goods produced are delivered to consumer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are presented: revitalizing Co-Livingism, improving civil society's awareness of poverty issues, and public relations for NGO fair trade.

      • KCI등재

        최저임금법의 패러다임 탐색

        강현주(Hyun Joo Kang)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3

        그간의 경제성장에 대한 분배 차원에서 최저임금법(근로기준법에서 분화·제정)을 이해하고 평가하기에는 많은 문제와 과제가 있다. 현재까지 최저임금 미만율이 높고 최저임금 준수율이 낮은 문제 등을 보면 저임금근로자의 생활은 나아지지 않았다. 더불어 근로기준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에 처해 있는 근로자들이 전체 근로자의 50%에 육박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의 근로기준법 개정을 경제발전에 대한 보상이라고 보기에 경제정책과 노동정책 간의 긴장관계는 여전하다. 우리나라의 최저임금법(나아가 근로기준법)에 상응하는 법으로 미국은 공정근로기준법을 제정·시행하고 있는데,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정성(fairness)’이 최저임금, 법정 최장근로시간, 연장근로와 가산임금, 아동노동보호 규율의 근간이다. 최저임금법의 패러다임 탐색의 일환으로 이 글은 상당히 성공적인 제도로 평가받고 있는 미국 공정근로기준법의 ‘공정성’ 개념과 그 함의를 살펴본다. Historically, there existed and still exists a great deal of challenge an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Korea’s minimum wage laws as prescribed by the Labor Standard Act in its effort to foster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The rate of workers earning below the minimum wage has been fairly significant, and the rate in compliance with the law considerably low, as those, whose working conditions fall short of the standard level, approach near 50% of the total labor force. Moreover, recent reform efforts and changes made to the Labor Stand Act, which have been hailed as an improved compensatory measure towards further economic development, still have yet to allay the precarious relationship and tension between the economic and labor policymakers. While Korea’s minimum wage law and its Labor Standard Act, which are modeled after and may appear to correspond closely to the United States’ The Fair Labor Standard Act (FLSA), the fundamental discrepancy lies primarily in the appellation of the US law, notably the inclusion of the word “Fair” in FLSA, which, by extension, naturally reinforces the concept of fairness and thereby helps to promote fair minimum wage, fair maximum working hours, and fair child labor conditions. It then behooves the policymakers of Korea to explore,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fair”,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US policymakers or of the inner paradigm in the creation of the FLSA.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fine and make transparent the concept of fairness that is achieved through fair competition between two bargaining parties, and to raise a collective awareness on fair minimum wage laws through the lens of fair bargaining power balance. Additionally, through such understanding of fairness,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legal boundary of minimum wage laws to include a broader range of the labor force.

      • KCI등재

        미국의 연방 최저임금법, 주 최저임금법, 그리고 생활임금법

        강현주(Hyun Joo Kang)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5 노동법논총 Vol.33 No.-

        This article explores minimum wages and living wages in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describe the foundation of the living wage movement and its current presence, and will analyze its legal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primary reason for the local living wage movement is that the federal minimum wage has failed to provide workers with sufficient wages to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Recent victories have provided a surge of energy and enthusiasm for those who support the rights of self-sufficiency for all workers. The challenge is to sustain that momentum and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numbers of workers who are entitled by law to earn living wages. Insufficient wages in Korea may be supplemented the notion of living wages.

      •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의 주제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트렌드 변화 연구

        김영주(Kim, Youngjoo),이수민(Lee, Soomin),김은빈(Kim, Eunbin),박수연(Park, Sueye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부터 2013년 현재까지 국내의 주요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의 주제 및 내용 분석을 통해 공간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시기별로 나타나는 주요한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배경과의 관련 속에서 디자인 트렌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주거, 실내디자인 및 건축과 관련된 관심이 높아지면서 1986년 경향하우징페어를 필두로 국내에서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후 1990년대는 서울 리빙디자인 페어를 비롯하여 건축, 인테리어 및 디자인 관련분야의 다양한 전시회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부실시공과 IMF 사태 등으로 인해 건축업계가 축소되었고 이를 계기로 품질개선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2000년대는 인터넷 활성화 및 글로벌화가 부각되던 시기로 가구 및 인구구조의 다양화에 따라 주택수요 및 공간디자인에 대한 요구 역시 다양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지속가능 발전 세계정상회의(WSSD)와 G20 정상회담의 개최로 자연, 녹색성장, 저탄소 등 친환경과 관련된 개념이 강조되면서 주거,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2010년 이후에는 특히 소셜 네트워크(SNS), 스마트 기기의 활성화로 인터렉션디자인(interaction design) 분야가 발전하는 동시에 아날로그적 감성을 중시하는 디자인이 관심을 받았다. 본 연구 결과 공간디자인 트렌드는 당시의 시대적인 요구 및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나는 결과 또는 그렇게 변화해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design tr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mes and the contents of the major spatial design exhibition in Korea - Kyung Hyang Housing Fair and Seoul Living Design Fairbased on the periodical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from 1986 to 2013.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Periodical information about each exhibi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earch and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guidebook were added for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ince 1980s, there was an increased need and interest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the 1st Kyung Hyang Housing Fair was opened in 1986. In 1990s, design quality improvement was emphasized based on the issues of IMF and shoddy and fault construction such as collapse of Sam Poong department store. Due to the broad dissemination of internet, globalization, and emergence of diverse household type, demand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was diversified after 2000s. Additionally, the global concept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energy saving, and green growth were influenced to spatial design field. Lately, interaction design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proliferation of SNS and smart mobile equipment. Meanwhile, there is a continuing trend for emotional design in recent years.

      • KCI등재

        Drug Sentencing and Racial Inequality

        Leticia G. Patino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9 No.3

        The American Criminal Justice system has finally recognized, with strong help from the U.S. President, Barack Obama, the errors of its Criminal Justice System. This comes after decades of unfai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U.S. population. President Obama has always declared that changes were desperately needed. Recently, President Obama was able to make the necessary changes and did so quickly. As a result, a Drug Policy model was immediately launche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ncouraged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through our allies. The National Drug Control Strategy was created, allowing an expansion of treatments and assistance needed by some of the convicts. These treatments are now made available for those needing treatment. Current policies throughout the 50 states of America have begun to modify their criminal systems. President Obama’s plan to reform the Na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may have seemed, to some, to be folly. However, Obama’s leadership has led to several significant changes and reunification of some families. Further, The Justice System has vowed to discontinue profiling, another significant step to fairness within the system. This will be a large stride toward fair sentencing and a safer environment within the American Justice System.

      • KCI등재

        개인가치, 공정관광행동 그리고 지각된 관광갈등의 영향관계 : 정주형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이일룡,김남현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7

        본 연구는 최근 정주형 관광지에서 나타나는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의 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개인가치와 공정관광행동경향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즉, 이타사회적 가치를 가진 사람들이 자기중심적 가치를 강조하는 사람들보다 지역주민들의 입장에서 느끼는 갈등에 대해 더 잘 공감할 것이며 이에 따라 공정관광행동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따라서 개인가치(이타사회적 가치와 자기중심적 가치)와 공정관광행동, 지각된 관광갈등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주민과 관광객의 갈등이 빈번하게게 발생하는 정주형문화유산 관광지를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민속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그결과, 이타사회적 가치가 공정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자기중심적 가치는 공정관광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정관광행동은 지각된 관광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객들이 공정관광을 하는 것은 이타사회적 가치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사사되며, 이러한 관광객들은 지역주민이 지각하는 갈등을 더 잘 이해할 것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관광객들과 지역주민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관광객의 공정관광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