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

        허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8 No.-

        Whether it is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Literary Sinitic study or Han-character education, Han-characters is an essential element of all these educational contents. Han-characte education is a necessary contents in all aspects of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Sino-words and Literary Sinitic. On the contrary, if there is no need for the use of Han characters or the value of words and Literary Sinitic,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will also lose its useful value when it is no longer necessary. In this way,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is not a subject that exists or should be done because of the education or utilization of Han-characters, but the necessity and goal of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re fully recognized, and Han-characters are learned to achieve this need and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overed by Han-character education through discrimination from Han-character studies. Through this research, we once again confirmed that Han-character studies are humanities and Han-character education is curriculum education. The research goals of humanities and curriculum education are not the same. Only using same characters as one of the subjects of the same study, these two area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Han-character education in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formal School, is a means factor to achieve the goal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nd the Han-character education itself cannot be the purpose. Therefore, the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should be defined and prescriptiv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its own case and its own type. 본 연구는 한문교과교육에서 다루는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을 한자학 연구와의 변별성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필요성을 인정받기 위한 첫 단계는 미래의 인재가 한문교과의 학습을 통해 취득될 수 있는 지식과 정보가 미래사회에 왜 필요하며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설득을 통한 사회적 합의이다. 한문교과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바탕 위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한자교육연구에 관련된 여러 논의를 정치하게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밝혔듯 한문교과에서의 한자교육은 중국어교육이나 일본어교육에서 말하는 한자교육 이나, 인문학 연구로서의 한자학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는 것과는 다른 연구 영역이다. 한문교과에서 의 한자교육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합의된 한문교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내용 요소의 선정과 위계화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한자와 관련된 제 요소를 재규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교수-학습, 평가하-는- 도구를 개빌히여 적용함 수 있는 내용 체계와 .요소를 개발• 적용한을 목적으로한다.

      • KCI등재

        한자문화권 한문(古典文言文)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영역에 관하여

        許喆(Heo, Chul)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漢文(古典文言文)은 漢字라는 문자체계와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어법형식을 공유한 文言을 가르킨다. 한문(고전문언문)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과 중국의 주변 국가에서 자국어문과 함께 사용되면서 관어(官語)이자 지식과 문화 교류, 축적과 생산의 도구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별 국가들은 전근대 어문 개혁 이후에도 한문(고전문언문)을 死語化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으로서의 한문(고전문언문)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정하고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한문』교과’라는 제한된 영역을 벗어나 현재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과 관련된 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연구 영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적 한자문화권에 속하였던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첫째, 개별 지역과 국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며, 둘째, 한문 교과 내적으로 볼 때는 한국에서의 한문 교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재, 평가의 방법 등의 모색해 이바지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셋째,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으며, 넷째,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고유한 특성 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Literary Sinitic refers to the Han-character system and to the form of grammar based on ancient Chinese. Literary Sinitic was a standard language and instrument of knowledge, cultural exchang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after the outbreak in Chin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out the Middle Ages. Due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dividual countries recognize and maintain the value and need of Literary Sinitic as an education, despite the abolition of Literary Sinitic after the reform of the pre-moder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my research and specific areas of research related to Literary Sinitic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each region and country, beyond the limited scope of Han Mun in Korea. Reviewing the Literary Seminary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longed to traditional Sino-sphere i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individual regions and countries, and secondly, within the Literary Semantic curriculum, we can not only explor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xtbooks, evaluation methods, etc.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new Sino-sphere.

      • KCI등재

        近現代韓、中語文政策與漢文(古典文言文)教育的變化

        許喆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1 한자연구 Vol.- No.29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debate and decision-making on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fter modern times.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space and time background, South Korea and China have very similar development process and outcome in many aspects, such a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debate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language policy. The dual structure of this study, which has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modern times. And this kind of difference is also the present appearance of Sino-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