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무르고 싶은 지역이란? -지방정부 서비스와 재정이 지역애착과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정영아(鄭英兒),김윤지(金玧志) 한국지방자치학회 2021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3 No.3

        지방자치 발전과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의 적정인구 유지가 필수적인 바, 현재 한국의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 및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인구 소멸과 낮은 참여는 우려할 만 하다. 한편 자치와 분권화의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민의 지역애착은 의미있는 지방자치에 있어 중요한 동기요인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지역요인이 주민의 지역애착과 거주기간에 영향을 미치고 지방정부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2020년 「한국 커뮤니티웰빙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에 거주하는 주민 16,258명) 와 지방정부 재정, 서비스 및 환경 자료를 이용하여 지방정부 요인이 주민의 지역애착과 거주기간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애착에는 문화기반시설 수, 하수도보급률, 재난방재민방위 지출 등 지방정부의 서비스 인프라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의 경우, 수도권 여부, 지역경제수준(1인당 GRDP) 등 거시환경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공공선택론에서 강조하는 지방세(1인당 징수액, 최근 3년 증가율)는 지역애착과 거주기간에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서 지방정부는 인구유출 억제/인구 유인보다는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삶의 질을 위한 인프라 조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효과적인 정책임을 시사한다. The year 2021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revival of local autonomy in Korea, and there are continued efforts to promote more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In particular, the 2020 amendment of the Local Autonomy Act empowers citizens to promote more community-driven local autonomy. A strong sense of local attachment is important for sustained, meaningful participation in local autonomy. Meanwhile,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faced with the challenge of shrinking population due to out-migration, low birth rates, and aging. What collective factors affect local residents’ local attachment and length of residence? How do local government services and finance matter? We combine 2020 national survey data of 16,258 residents in 226 local districts (Korea) and local services and finance data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nd Local Finance Integrated Open System to explore the drivers of local attachment and length of residence. Our hierarchical linear models (HLM) show different drivers for local attachment and length of residence. Local attachment is driven by greater levels of local services, such as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sewer service ratio, and disaster prevention expenditures. For length of residence, macro-environment conditions, such as be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aving a larger local economy (measured by GRDP per capita) matter. Localitie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 larger local economy have more newcomers with shorter length of residence. Local taxes (local revenue per resident, average increase in local taxes over 3 years) - something emphasized by public choice theories –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ither attachment or length of residence. Our results imply that the current focus on retaining residents and/or attracting new residents using economic incentives may be ineffective and instead, calls for a shift in focus to increasing local attachment of residents through better services.

      • KCI등재

        광주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양은주(Yang, Eun Ju),길진모(Khil, Jin Mo)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8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신체 계측 및 혈압측정,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세였으며 한국 평균거주기간은 5.3년이었고 연령 분포는 20~29세가 40명 (48.2%), 30~49세가 43명 (51.8%)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체중은 53.7 kg, 평균 신장은 156.3 cm 였으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그룹이 5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체중, BMI,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식품군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20~29세 그룹에 비해 30~49세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같은 연령대의 우리나라 여성과 비교하면 과일류, 육류, 당류 섭취량이 낮고 계란류, 어패류,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량이 높은 편이었다. 영양소 섭취상태를 살펴보면 총 에너지섭취량은 1,641.0 kcal였으며 20대 조사대상자의 85.0%가 에너지필요 추정량 이하로 에너지를 섭취하였으며, 30~40대의 76.7%가 에너지필요추정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칼슘,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6, 비타민 C, 엽산 등은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다. 20대 그룹에 비해 30~40대 그룹이 비만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채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식생활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조사대상자를 거주기간으로 구분하여 비교하면 거주기간이 5년 이하인 그룹이 5년 이상 거주 그룹에 비해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계란이나 우유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세로 비교적 젊고 건강하여 한국 이주 후의 식생활 변화에 의한 건강상의 변화에 큰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영양섭취상태는 사회 경제적 여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혼이주 여성의 올바른 식생활 정착 및 다양하고 경제적이며 건강한 식품선택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혼 이주 여성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인터넷 등의 교육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주부의 건강한 식품선택과 올바른 영양관리는 가족전체의 식품섭취와 영양상태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건강한 사회의 초석이 되므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 in Gwangju, Korea by analyzing daily food and nutrient intake. Methods: Eighty-three female immigrants completed a surve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obtained, and dietary food intake was assessed using a 1-day 24 hour recall method.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was 5.3 years, and mean age of subjects was 31.0 years old. The home countries of subjects were Vietnam (50.6%), China (24.1%), Philippines (13.3%), and others (12%). Due to the length of resid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p < 0.05), BMI (p < 0.05), percent body fat (p < 0.05),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5). The subjects who were 30~49 years old consumed more vegetables and less seaweed than the subjects who were 20~29 years old. The other kinds of consumed foods were similar among groups in different age groups or lengths of residence in Korea. Average energy intake of subjects was 1,641.0 Kcal. The group with less than 5 years of residence showed higher cholesterol intake than the group with 5 or more years of residence in Korea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between the groups of different age or length of residence.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among dietary cholesterol intake and consumption of egg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blood pressur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length of residence affects rate of obesity and nutritional status. Further extensiv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changes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well as for their successful adaptation to develop a more active and long-term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 연구

        주월랑(Ju Woal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각 변수(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적,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기간에 따라 문화적응(F=3.076,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기간에서는 언어불안(F=2.829,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이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국적별로 분리하여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높아질수록 언어불안이 낮아지지만,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문화적응이 높아져도 언어불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의 상관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학습기관은 문화적응이나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살핀 본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히 제2언어 환경에 단순히 노출되는 상황이 지속 되더라도, 문화적응을 높이면서 언어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iscuss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of femalemarriage immigrants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To begin with, average values of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were measured and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of female marriageimmigrants(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the study carried out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me up with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esidence-length-based cultural adjustment(F=3.076, p<.05) while nodifferences in nationalities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observed. Regarding lengthof Korean language learning, only language anxiet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F=2.829, p<.05). In addition, when the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language anxiety, cultural adjustment andeach of the variables, it learn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ould not affect correlationsbetween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However, the nationality -based correlationsurvey showed 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their language anxiety andcultural adjus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en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ose results confirm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the higher their cultural adjustment gets,the lower their language anxiety gets while in term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Vietnam, even when their cultural adjustment increases, their language anxiety doesn’t decre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t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ad to correlations with language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and yet, no correlations with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anxiety were caused b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What the results above signify is thatin spite of exposure to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and social efforts shouldbe required not only to increase cultural adjustment but also to decrease language anxiety.

      • KCI우수등재

        지방정부서비스에 대한 기대불일치가 거주기간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유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영아,김윤지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2

        Despite continued decentralization efforts in Korea, many local governments are at risk of “extinction” due to depopulation. Moreover, while recent efforts to increase local autonomy are expected to strengthen democracy, the current level of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in Korea is rather low.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roblems of depopulation and low participation from a local government perspective. Specifically, considering that service delivery is a key task of local governments, we analyze how residents’ expectancy disconfirmation of local services (i.e., the distance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ffects the length of residency and participation. We also explore whether and how local attachment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Data are from the Global Community Institute’s 2020 Community Wellbeing Survey (Korea) of 9,759 residents of 226 local districts. The survey asked respondents to assess the level of importance of and their satisfaction with 20 local services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their length of residency, participation levels, and local attachment. Our path analysis model shows that as the distance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increases, the length of residency decreases, whil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creases. Furthermore, local attachment weakens bot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particip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local governments struggling with depopulation and low participation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local attachment and decreasing expectancy disconfirmation by both better identifying which services their residents value and upgrading these services for greater satisfaction. Lastly, the results provide indirect evidence that supports the applicability of Hirschman's (1970) exit, voice, and loyalty model in Korea. 한국은 지속적으로 지방자치를 추진해왔으나 현재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 등으로 많은 지방정부가 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를 통해 민주주의의 근간을 강화할 수 있다는기대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의 주민 참여는 다소 낮은 수준이다.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적절한 인구 유지 및 지역문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가 중요하며, 이런 점에서 다양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역주민의 이주를 방지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지방정부의 역할이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인구유출과 참여의 문제를 지방정부 시각에서 접근한다. 구체적으로 지방정부의 주요 역할을 지방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보고 지방정부 서비스에대한 주민의 기대불일치(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주민의 거주기간과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또한 지역사회유대가 이들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본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2020년 「한국 커뮤니티웰빙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에 거주하는 주민 9,759명)를 활용하여 총 20개의 지방정부 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기대불일치와 지역주민의 거주기간 및 참여 사이의 관계와 지역사회유대의 조절효과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들의 지방정부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차이(기대불일치)가 증가할수록 거주기간은 짧아지고 참여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유대는 기대불일치와 거주기간 사이의 부정적 관계를 완화하는 한편 기대불일치가 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 지방정부는 지역주민의 이탈을 방지하고 거주를 독려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유대를 강화하고 주민이 중요하다고 평가하는 지방정부 서비스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한편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가 지역주민의 거주기간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관계에 있어서의 지역사회유대의 역할을 살펴봄에 따라 구성원의 불만족에대한 대응 방안으로서의 이탈(exit), 항의(voice), 충성(loyalty)(Hirschman, 1970) 기제의 작동가능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외국인 부동산 투자에 의한 관광개발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 및 관광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제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이유안,남민정,김인신 한국호텔관광학회 2014 호텔관광연구 Vol.16 No.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1) identify the effects of tourism development by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tourism development supports, and (3) test whether the resident's length of residency plays a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development effects and residents' quality of life. To test the proposed model empirically,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the residents who live in Jeju in Korea and the data collected from 220 residents was analyzed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findings revealed that (1) three of four tourism development impact factors applying to the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economic, social, cultural & environmental effect) had significant impacts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2) residents'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ourism development supports, and (3) the residents' length of residenc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only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mpact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vid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OECD 모델조세조약상 개인인 이중거주자의 거주지 판단기준(tie-breaker rule) - 대법원 2019. 3. 14. 선고 2018두60847 판결을 중심으로 -

        손형민(Hyungmin Son) 한국국제조세협회 2020 조세학술논집 Vol.36 No.1

        OECD 모델조세조약 제4조 제2항은 개인이 양 체약국의 법령에 의하여 양 체약국의 거주자가 되는 경우, 중복과세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국가의 거주자로 간주할 수 있는 거주지 판단기준(tie-breaker rule)을 규정하고 있다. OECD 모델조세 조약은 항구적 주거,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 일상적 거소, 국적, 상호합의를 순차적으로 판단하여 개인인 이중거주자의 거주지를 정하고 있다. 최근 선고된 대법원 2019. 3. 14. 선고 2018두60847 판결은 OECD 모델조세조약 제4조 제2항과 내용이 같은 한ㆍ일 조세조약 제4조 제2항을 적용하여 한국 국적의 축구선수가 일본 프로 구단과 계약을 체결하고 활동하는 경우, 구체적 사정을 고려하여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가 한국이 아닌 일본에 있다고 판시하였다. 위 대법원 판결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국내 하급심 판결은 항구적 주거(제1순위)가 양 체약국에 있다고 인정하고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제2순위)를 통해 거주지를 판단하고 있어 일상적 거소(제3순위)와 국적(제4순위)을 명시적인 고려 요소로 판단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대부분의 판결은 일상적 거소의 주요 판단 요소인 체류기간을, 일부 판결은 국적을 각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 판단을 위한 구체적인 사정으로 고려하였다. 체류기간은 거주지 판단기준의 항구적 주거(제1순위)에 비하여 직관적이고 명확하며 조세회피 가능성이 적은 편이고, 더 오래 체류한 국가가 과세관할권을 갖는 것이 개인의 연고를 보다 더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적 또한 국가의 보호와 혜택에 대한 대가적 관점에서 거주지 판단 시 고려할 필요가 있고, 항구적 주거에 비하면 조세회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현재의 OECD 모델조세조약 제4조 제2항에서는 체류기간과 국적을 제3순위 이하에서 규정하므로,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제2순위) 판단을 위한 주요 고려 요소가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합리적인 거주지 판단을 위하여 OECD 모델조세조약 제4조 제2항은 이중거주자의 거주지를 항구적 주거부터 상호합의까지 단계별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다만 실효적 관점에서는 최소한 모델조세조약의 주석에 체류기간과 국적을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의 고려 요소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납세의무자의 법적안정성 및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고 국가 간 통일적 해석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한 판단요소를 선정하여 모델조세조약이나 그 주석에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Article 4 (2)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sets out the tie-breaker rule that, when an individual becomes a resident of two Contracting States under the laws of both Contracting States, the individual could be regarded as a resident of one country in order to prevent double taxation.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determines the residence of an individual resident of two Contracting States by sequentially assessing the resident’s permanent home, centre of vital interests, habitual adobe, nationality and mutual agreement.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60847) which was recently ruled on March 14, 2019, provided that the centre of vital interests of a Korean soccer player who signed with and played for a Japanese professional team was in Japan, not Korea, in consideration of specific circumstances by application of the Article 4 (2) of Korea-Japan Tax Treaty which has the same content as Article 4 (2)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Similar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most Korean lower courts ruled that permanent home (1st priority) is in both Contracting States and determined the residence through a centre of vital interests (2nd priority). Habitual adobe (3rd priority) and nationality (4th priority) were not considered as explicit factors for determining the residence. At the same time, however, most of the decisions considered the length of stay which is the main judgment factor of the habitual adobe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vital interests, and some decisions considered the nationality, as well. The length of stay is intuitive, clear, and less likely to avoid tax evasion compared to permanent home (1st priority). Having a tax jurisdi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has stayed longer seems to be more reflective of the individual"s connections. Nationality also needs to be considered to decide residence in consideration of the protection and benefits from the state. Compared to permanent home, it is believed that the tax evasion concerns relating to nationality will be relatively small. In theory, however, as the current Article 4 (2)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specifies the length of stay and nationality in the third or lower ranking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a major consideration for determining the centre of vital interests (2nd priority). In order to make reasonable judgments on residence, Article 4 (2)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needs to be amended to determine the residence of a dual resident not in an order of priority from permanent home to mutual agreement, bu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each factor. From an effective point of view,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commentary of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at least specifies the length of stay and nationality as considerations in determining the centre of vital interest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lect more important judgment factors and reflect them in the OECD Model Tax Convention or its commentary in order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for taxpayers and interpret the Tax Convention uniformly between states.

      • KCI등재

        지역의 사회자본과 인식, 거주기간 간 관계 분석: 살고 싶은 지역은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

        강서윤 한국도시행정학회 2022 도시 행정 학보 Vol.35 No.4

        Making the place residents want to stay long is important in order to respond to the serious population decline that local governments are facing nowaday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within region, perception of the region, and the length of residency; by analyzing the 2021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process, the types of social capital were divided into neighborhood, participation, and govern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region was also specified into perceived safety and a sense of belonging. The result shows that: (1) neighbors and government variable as social capital within regio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erceived safety and a sense of belonging; (2) neighborhood, participa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can increase the length of residency; (3) perception of the region’s mediating effect 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period of residency was significant only for neighborhood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on Supporting Depopulation Areas’. 지방정부가 직면한 심각한 인구감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거주민이 오래 머무르고 싶은, 살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내 사회자본과 지역에 대한 인식, 그리고 거주기간 간 관계를 규명하고자, 2021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역 내 사회자본은 이웃, 참여, 정부로 유형을 세분화하였으며, 지역에 대한 인식 역시 안전인식과 소속감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내 사회자본 중 이웃과 정부는 지역에 대한 인식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점과, 지역 내 사회자본 중 이웃과 참여, 그리고 지역에 대한 소속감은 거주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지역 내 사회자본이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역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는 이웃과 관련될 때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 고려할 사항들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 중심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고찰과 개선 방향

        윤용석(Yoon, Yong-Suk) SH도시연구원 2014 주택도시연구 Vol.4 No.1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rovement and review of Maeulmandeulgi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for community oriented urban renewal development. It finds problems of resident’s participation system, through the research that are based on literature, articles, expert interviews, and then it proposes the approvement upon review on problems of this system. So it find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ngth of residence in city, the sense of survival community and the dif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in order to approve this syste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elect a village expert as a resident leader and to establish a village design center which a village expert work in ;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encourage resident’s participation such as it is to complete first project that resident’s major opinion is mostly reflected.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재귀사 `자기` 습득

        정해권 ( Jeong Haegwon ),서지혜 ( Suh Jihye ),이선영 ( Lee Sun-young ) 이중언어학회 2017 이중언어학 Vol.66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the Korean reflexive `caki`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ing a picture-sentence verification task. Korean and Chinese reflexives are different from the English reflexive `-self` in that long distance binding interpretation is allowed (e.g., Mary<sub>i</sub> thinks that Susan<sub>j</sub> likes herself<sub>i/j</sub>), whereas it is not in English (e.g., Mary<sub>i</sub> thinks that Susan<sub>j</sub> likes herself<sub>*i/j</sub>). However, the Korean reflexive `caki` is different from the Chinese reflexive `ziji` in terms of its preferred interpretation: long distance binding interpretation is more preferred to local binding in Korean, whereas it is the opposite in Chinese. This study focused on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nderstand `caki` in Korean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based on a picture-sentence verification task with 31 learners (13 intermediate and 18 advanced) and 30 native controls showed that learners accepted local binding interpretation about 70% of the time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general proficiency, whereas native speakers accepted it only 50% of the time. The results indicate the influence of L1 transfer. Other possible influential factors were also discussed such as length of learning and length of residenc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을 중심으로

        주월랑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이 구어 어휘 습득 및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방법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1:1 인터뷰 자료를 통해서 자발화표본 100개를 추출하였다. 어휘 사용 측정은 어휘 복잡성의 하위 범주인 어휘다양도, 어휘밀도, 어휘세련도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SPSS Ver.21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어휘 사용이 거주기간 및 학습기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은 어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습기간은 어휘다양도의 D- Value, 어휘밀도의 기능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 : 거주기간과 학습기간은 모두 여성결혼이민자의 어휘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이 명백하다. 이에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언어 학습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study on the acquisition and use of spoken vocabulary of immigrants. Methods: After extracting 100 spontaneous speech samples from 1:1 interview data with immigrants, the lexical use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sub-categories of lexical richness such as lexical variation, lexical densi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After that, using the SPSS Ver.21, the correlations of lexical use,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learning of immigra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lexical amount used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of immigrants.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learning had effects on the D-Value of lexical variation, and functional vocabulary of lexical density.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and length of learning have effects on the acquisition and use of language.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continuously providing the language learning following the prolonged length of residence of im- 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