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르시시즘의 거울 만들기로서의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

        정홍섭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7

        This treatise is the successive work of the previous one which confirmed that narcissism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is one of the important essence of Lee Gwang-su’s literature and it is a proper method for understanding Lee Gwang-su’s literature to grasp the relation of the two element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m in the relation. Succeeding the previous work which scrutinized the rel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cissism and the biographical writing of Lee Gwang-su’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ee Gwang-su’s meeting with Tosan, this treatise considered what changes and continuity of the narcissism Lee Gwang-su’s autobiographical writing shows before and after Tosan’s death. As with the previous period, in the period this treatise treated, we can find the ‘narcissism of the leader of his peopl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But the narcissism demonstrates significant changes as well as continuity before and after Tosan’s death and when the Liberation came after Lee Gwang-su had led pro-Japanese activities. The work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period and the latter one are His Autobiography and “Obscurity”‧“The Record of Selling the House”, and The Stone Pillow‧My Confess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 cast a long shadow to Lee Gwang-su’s life and (autobiographical)writing no less than Tosan is Tanjae Shin Chae-ho. His influence can be found in many works of Lee gwang-su, but the fact that Tanjae’s death like that of Tosan impacted greatly on Lee Gwang-su’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he narcissism in it can be found most distinctly in His Autobiography. Lee Gwang-su wanted the late Tanjae as well as the late Tosan to ratify the justice of his life and deeds represented through his narcissism. That intention is clearly found also in My Confession which he wrote in the turbulent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이 논문은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글쓰기가 춘원 이광수 문학의 한 가지 중요한 본질이며 이 양자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 속에서의 양자의 변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이 춘원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적절한 방법임을 확인한 이전 논문의 후속 작업이다. 춘원 이광수와 도산 안창호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 시기 춘원 이광수 문학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글쓰기의 연관성과 변화 양상을 살펴본 이전 논문의 작업에 이어서, 본고에서는 도산의 죽음을 전후로 하여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에서 나르시시즘이 어떤 변화와 연속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본고에서 살핀 시기에도 이광수의 ‘민족의 지도자 나르시시즘’은 계속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도산의 죽음 이전과 이후에, 그리고 도산이 죽고 나서 이광수가 친일에 앞장서고 해방을 맞이한 뒤에 자전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나르시시즘은 연속성과 함께 중요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전자와 후자의 시기의 그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 각각 『그의 자서전』과 「무명」·「육장기」, 그리고 『돌베개』·『나의 고백』 등이다. 한편 도산 못지않게 이광수의 삶과 (자전적)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 단재 신채호다. 그 영향은 이광수의 여러 글에서 발견되지만, 도산의 죽음과 마찬가지로 단재의 죽음이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와 그 속에 담긴 그의 나르시시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그의 자서전』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도산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죽은 단재를 통해서도 그는 예의 나르시시즘으로 표현된바 자신의 삶의 행적의 정당성을 추인받고자 했다. 이러한 의도는 해방 이후의 격변하는 상황에서 쓴 『나의 고백』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 KCI등재

        이광수의「李方子殿下御歌九首謹譯」연구

        박상현 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日本文化學報 Vol.0 No.63

        First, Lee Gwang-su had ‘Lee Bang-ja’s Nine Royal Verses’ published in both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Through the original Japanese version, he aimed to spread Japanese language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e Korean version targeted to make Koreans turn into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ire (so-called ‘Hwangguk Sinminhwa’). Second, Lee Bang-ja expressed his opinion on the Pacific War and conscription system in ‘Lee Bang-ja’s Nine Royal Verses,’ and Lee Gwang-su quite agreed with it. After all, these circumstances made Lee Gwang-su translate Lee Bang-ja’s wakas into Korean. Furthermore, Lee Gwang-su adhered to the five-seven-five-seven-seven pattern of waka in translating the Japanese verses into Korean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Lee Gwang-su was so internalized and absorbed into the rhythm enough to write his own waka. Second, he had so much love and respect for the wakas of Lee Bang-ja, the last crown princess of Korea.

      • KCI등재

        계몽의 감옥과 근대적 통속의 시간―춘원문학에 대한 흥행시장의 전유

        이승희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7 No.-

        This article aims to apprehend the time of modern commonness through observing historical progress of negotiation between Lee Gwang-su’s literature and entertainment market from the colonial to liberal era. This is a clear example of the asymmetry between reader-public and audience-public. Obviously the audience-public seemed to reveal solider and more consistent common sense than the reader-public. The reaction of the entertainment market was centered upon Maeui-taeja and Danjong-aesa. This was relevant to the reception phase at that time, that novels became contextualized as an allegory under the political situation of encountering with essential condition of colonization. However, those two aesas (sorrowful history) had to meet respective fates as per their politics as its validity as an allegory expired. Maeui-taeja survived as a play while Danjong-aesa had to be evicted from the stage. In the same context, Lee’s contemporary ones were able to be produced as commercial recreations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the time which had to feel the nostalgia of the age of enlightenment via ‘Lee Gwang-su-likeness’. However, after the liberation, dramatization of novels covering contemporary period disappeared again while Maeui-taeja kept on playing, and Danjong-aesa was reinstated by Kim Choon-gwang. The reason why historical novels among Lee’s many other works were mainly dramatized was that the historical novels constituted the field where the institutional limit of the entertainment market and expectation of audience-public encountered. This is how ‘shin-pa’ was able to survive in the entertainment market for a long time,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why Lee’s contemporary novels could not have public appeal in the entertainment market. In short, ethical self realization or the enlightenment of people which Lee sought became non grata since they exceeded the commonness criteria of the entertainment market, while those common emotions which reminded people primitive scenes bringing ‘Lee Gwang-su’s symptom’ became the object of contact. What is interesting here is that Lee’s novels started being filmed again after the Korean War and reached its peak in the 1960s. Among the list of those filmed novels, quite a lot of contemporary ones are found. This change connotes discontinuous switch. Lee’s novels overcame its ethnic feeling of solidarity or ethical discomfort which audience-public might felt in the past, and became able to be accepted as one of the popular culture contents. In that sense, the vigorous picturization of Lee’s novels after the liberation signifies the settlement process of Lee Gwang-su’s legacy from the colonial era to liberation and wartime, and its end as well. 이 연구는 식민지시대로부터 해방기에 이르기까지 이광수 문학과 흥행시장의 교섭이 특징적으로 이뤄지는 역사적 추이를 통해 근대적 통속의 시간을 가늠하고자 했다. 이는 독자-대중과 관객-대중의 비대칭성을 뚜렷이 보여준 사례로서, 독자-대중보다 더욱 견고하고 지속적인 그 어떤 공통감각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흥행시장의 반응은 주로 『마의태자』와 『단종애사』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이 소설들이 피식민의 본질적 조건과 조우하게 된 정치적 상황 속에서, 하나의 알레고리로 맥락화되었던 수용양상과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두 ‘애사’가 알레고리로서의 유효기간이 끝나는 시점에서 그 운명은 달라지고 있었다. <마의태자>는 ‘사랑’ 혹은 ‘마의태자의 번뇌’로 맥락화되면서 무대에서 살아남았지만, <단종애사>는 ‘슬픔’이라는 주제로 해석 방향을 잡았어도 이 애사의 정치성으로 말미암아 무대에서 추방되어야 했다. 일제 말에 이광수의 현대물이 흥행물로 제작될 수 있었던 것도 그와 연관되어 있었다. 춘원문학의 무대화는 ‘신체제연극’과 ‘신파의 티’를 동시에 빗겨갈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길이 되었으며, 이는 ‘이광수적인 것’으로써 과거 계몽주의시대의 향수를 느껴야 했던 시간이기도 했다. 그러나 해방 이후 현대물의 무대화는 다시 자취를 감추었던 반면, <마의태자>는 지속되었고 <단종애사>는 김춘광에 의해 복권되었다. 춘원문학과의 교섭이 주로 역사물에 집중된 것은, 그곳이 바로 흥행시장의 제도적 한계와 관객-대중의 기대수준이 합치되는 지점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흥행시장에서 오랫동안 신파성이 서식할 수 있었던 이유인 동시에, 춘원의 현대물이 흥행시장에서 대중적 소구력을 갖추지 못한 이유이기도 했다. 요컨대 이광수가 지향했던 도덕적 자기완성이나 민족 계몽주의는 흥행시장의 통속 기준을 초과하는 순간 회피의 대상이 되었지만, “이광수의 증상”이 야기된 원초적 장면을 상기시키는 통속적 감정은 접속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전쟁이 끝나고 춘원문학의 영화화가 재개되어 1960년대에 그 절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현대물도 대거 포함되었다. 이 변화는 불연속적인 전환을 함축하고 있었다. 과거 관객-대중이 느꼈을 종족적 연대감이나 윤리적 불편함 대신, 이제 춘원소설은 대중문화 콘텐츠의 하나로써 너끈히 수용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전쟁 이후 활발히 진행된 이광수 소설의 영화화는, 식민지시대~해방~전쟁에 이르는 동안의 이광수적인 유산이 결산되는 과정이자 종국에 이르렀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이광수의 언어공동체 인식과 『조선문단』의 에크리튀르

        조은애(Cho Eun-ae) 韓國批評文學會 2009 批評文學 Vol.- No.34

        Gwang-Su Lee assumed language community as a place where transl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medium of modern literature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n the process, the image of Chosu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I will address the logic by which literary circle's intention to exclusively possess 'Chosun Language' in the privileged literary discourse of 1920s was concluded. The absence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was caused by his yearning for japanese literature during his studying years in japan. Japanese language was the pre-condition for japanese literature at the time and, more importantly, japanese was a language that can translate modern literature. For the intelligentsia including Gwang-su Lee who studied modernity and modern literature by studying in japan in the early 1920s,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depended upon the possibility of equal replacement with japanese language. The reality of national representation that Gwang-su Lee asked to new writers in 『Chosunmunda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language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which was recognized by Gwang-su Lee. The first novel of 『Chosunmundan』, Gwang-su Lee's short story, Writing in Blood[Hyeol-seo] is very symbolic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as literary language in Writing in Blood is deduc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main character, a foreign student should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hip through language journey and from the problem of how to represent this new relationship. The possibility that Chosun language is literary language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was also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e and colony, to the relationship of class, gender or something else. Chosun language that he thought as an ideal language was a language that can capture the natural conversation with japanese person in japanese. The reality that he asked to 『Chosunmundan』 started from his own ecriture but the status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as requisite for the reality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implies contradicted intention from the ideal of 'national representation'.

      • KCI등재

        이광수의 언어공동체 인식과 『조선문단』의 에크리튀르

        조은애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4

        Gwang-Su Lee assumed language community as a place where transl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medium of modern literature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n the process, the image of Chosu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I will address the logic by which literary circle’s intention to exclusively possess ‘Chosun Language’ in the privileged literary discourse of 1920s was concluded. The absence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was caused by his yearning for japanese literature during his studying years in japan. Japanese language was the pre-condition for japanese literature at the time and, more importantly, japanese was a language that can translate modern literature. For the intelligentsia including Gwang-su Lee who studied modernity and modern literature by studying in japan in the early 1920s,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depended upon the possibility of equal replacement with japanese language. The reality of national representation that Gwang-su Lee asked to new writers in 『Chosunmunda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language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which was recognized by Gwang-su Lee. The first novel of 『Chosunmundan』, Gwang-su Lee’s short story, Writing in Blood[Hyeol-seo] is very symbolic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as literary language in Writing in Blood is deduc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main character, a foreign student should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hip through language journey and from the problem of how to represent this new relationship. The possibility that Chosun language is literary language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was also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e and colony, to the relationship of class, gender or something else. Chosun language that he thought as an ideal language was a language that can capture the natural conversation with japanese person in japanese. The reality that he asked to 『Chosunmundan』 started from his own ecriture but the status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as requisite for the reality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implies contradicted intention from the ideal of ‘national representation’.

      • KCI등재

        지봉 이수광의 베트남 이해

        김문식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Lee Su-gwang’s understanding of Vietnam. Regard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Vietnam, Lee said that although the new Re(黎) Dynasty was in power, the Ming Dynasty did not recognize its legitimacy. Lee was aware that even after the Re Dynasty took power, Vietnam was divided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s for the geography of Vietnam, Lee looked at the route from China to Vietnam and the route from Japan to Vietnam. He did not consider the route from Vietnam to Joseon via sea routes. Lee had an overview of Vietnam’s crops, livestock products, and specialty product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Vietnamese water buffaloes and elephants. Most of the information on Vietnam’s specialties came from Cho Wan-byeog. On the characters and clothing system in Vietnam, Lee wrote with deep interest. Looking at the clothes of Vietnam, Yugu(Ryukyu Kingdom), and Thai envoys, he thought that no East Asian country had Chinese institutions like Joseon. Lee Su-gwang saw that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test system of Vietnam were highly developed. He tried to solve the curiosity of Vietnamese people and culture with a sense of cultural identity that Joseon and Vietnam belong to the same civilization. Lee Su-gwang understood Vietnam mainly through books from Beijing, and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coming from Japan, which was in direct trade with Vietnam. He had open eyes to understand the new world, but the information he could gather was biased in China. This wa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이 논문은 이수광의 베트남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베트남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이수광은 레씨(黎氏) 왕조가 새로 집권하였지만 명나라에서는 그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이수광은 레씨 왕조가 집권한 이후에도 베트남은 남과 북으로 갈려서 대립하는 상황임을 파악하고있었다. 베트남의 지리에 대해, 이수광은 중국에서 베트남에 이르는 길과 일본에서 베트남에 이르는 길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베트남에서 바닷길을 통해 조선에이르는 길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수광은 베트남의 농작물과 축산물, 특산물에대해 개략적으로 이해했으며, 특히 베트남의 물소와 코끼리에 주목하였다. 베트남의 특산물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조완벽에게서 나왔다. 베트남의 인물과 의복 제도에 대해, 이수광은 깊은 관심을 가지고 기록하였다. 그는 베트남, 유구(류큐), 섬라(타이) 사신의 의복을 보면서, 동아시아 국가에서 조선만큼 중국의 제도를 갖춘 나라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수광은 베트남의교육 제도와 과거 제도가 매우 발달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조선과 베트남이 같은 문명권에 속한다는 문화적 동질감을 가지고, 베트남의 인물과 문화에 대한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수광은 주로 북경에서 들어오는 서적을 통해 베트남을 이해하였고, 베트남과 직접 무역을 하던 일본에서 들어오는 정보는 충분하지 않았다. 그는 새롭게열리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열린 눈을 가졌지만 그가 수합할 수 있는 정보는중국에 편향되어 있었다. 이는 17세기의 조선 지식인이 가진 가능성이자 한계였다.

      • KCI등재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보는 기후와 기상에 대한 생각

        이면우(Lee, Myon U)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수광은 총 20권의 <지봉유설>을 남겼다. <지봉유설>은 182개의 범주에서 총 3,435개의 하위 조목을 일종의 백과사전적인 저서였다. 이 연구는 <지봉유설>에서 이수광이 언급한 기후와 기상에 대한 기록을 확인하여 그의 생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수광은 중국 고전이나 명의 저서로부터 기후나 기상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나름대로 해석을 덧붙였다. 특이한 기상 현상을 목격하고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외국의 기후는 우리나라와 다름을 지적했다. 이수광의 기후나 기상에 대해서 해석은 전통적인 유교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현상에 대해서는 근거를 제시하여 독특한 자신의 해석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수광은 기후와 기상에 대해 나름대로 기사를 수집하고 해석을 덧붙인 선구적인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Lee Su-Gwang, who was a scholar on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written Jibongyuseol. These books (20 volumes) were a kind of encyclopedic book with a total of 3,435 items in 182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is thoughts by checking records of climate and weather mentioned by Lee Su-Gwang in Jibongyuseol. He acquired knowledge about weather and climate from Chinese classics and books of currently Ming-China and added his own interpretations. He witnessed unusual weather events and had made a detail records. He pointed out the climate of foreign countries is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Lee Su-Gwang’s interpretation of weather and climate showed a tendency not to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However, for some phenomena of climate and weather, he added his own unique interpretation that provided evidence. Lee Su-Gwang c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ing scholar who collected articles and added interpretations on weather and climate.

      • KCI등재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시선의 문제 -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

        양윤의 ( Yang Yun Eui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시선의 문제를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선은 이중적으로 주체를 규정한다. 먼저 장면이 주체를 응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수동적인 주체), 그 다음으로는 그 장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자율화된 것으로(능동적인 주체) 다시 나타난다. 이광수 소설의 주체는 계몽적 주체라고 평가되는데 이 계몽에는 대부분 관음 증적 장면이 선(先)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계몽적 주체가 관음증적 장면에서 그 주체성의 동력을 얻어내고 있음을 암시한다. 주체는 부인이나 정인(情人)의 부정 (不貞)을 막는 데 실패하고 그 현장에 뒤늦게 도착한다. 이러한 후행성이야말로 관음증적 시선의 선행성(이 주체가 그러한 장면에 의해서만 계몽된다는 것)을 증 명하는 것이다. 여성의 자책은 이 주체의 매혹이 다른 모습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광수 소설에서는, 외설적 인물이 외설적 장면을 연출하는 게 아니라, 외설적 장 면을 목격하는 인물이 외설적인 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빛을 비추는 것 이 바로 계몽이다. 그렇게 본다면, 이광수에게는 매커니즘상, 관음증자만이 계몽 적 주체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 소설의 주체는 병적 주체다. 이 주체에게 병든 몸은 `장애물`(주체의 의미 부여를 가로막는 몸)이자 `신비`(주체에게 허락되지 않은 특별한 지식을 현시하는 몸)다. 몸이 의미화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기능하는 상태가 `병적 주체`의 상태이 다. 이상의 주체가 정인의 부정에 대해 아무런 매혹도 고통도 느끼지 않는 것은 그 장면의 응시가 주체의 분열을 수습하고 주체의 몸/정신을 통일시켜 주는 큰 타자의 응시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녀(큰 타자)가 자신을 보살피고 먹여주고 재워주는 한에서, 그 자신이 어린아이가 되는 한에서만 주체가 된다. 아내가 늘 남편을 책망하고 꾸짖은 것은 바로이 때문이다. 병적 주체는 이러한 큰 타자의 시선 아래서 자신의 병적 상태를 잊는 환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김승옥 소설의 주체 역시 어린아이와 같지만 그에게는 큰 타자의 시선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 주체는 세계를 의미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 것은 그에게 주어진 장면이 그에게는 트라우마로 체험되기 때문이다. 강간, 화간, 해부대 위에서의 해부 등과 같은 참혹하고 끔찍한 장면들은 주체에게 어떤 식으로든 의미화되지 않는다. 주체는 이 장면 앞에서 경련, 마비, 실어증, 판단 불능, 공포 등을 느낄 뿐이다. 그가 사소한 디테일에 탐닉하는 것도 고장난 의미화 기제의 폭주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소하고 무의미한 디테일에서 의미의 고정점을 찾으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perspective in modern Korean novels focusing on the works of Gwangsu Lee, Sang Lee, and Seungok Kim. The perspective of these novels is defined as a duality. Initially, the scene exposes the subject of the story to be observed by the world around him (passive subject), but later, the subject reappears as an autonomous entity (active subject).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novels are viewed as those who need to realize the truth. Ingeneral, voyeuristic scenes are provided in advance for realization, implying that the subjects of these novels gain subjecthood from voyeuristic scenes.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works fail to prevent the misconduct of their wife or lover and arrive late at the scene of infidelity (Mujeong, Heuk). These outcomes indicate that the voyeuristic perspective is a prerequisite of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s of novels. The subjects of Lee Sang`s novels are unhealthy ones. The sick body of these subjects is an “obstacle” or a “mystery.”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Lee Sang`s works do not feel any fascination or pain for their lover`s infidelity is because the scene is seen by a larger third person, who unifies the body and spirit of the subject (Nalgae, Bongbyeolgi). He becomes the subject only when his lover takes care of him, that is, when he becomes a child. The subjects of Kim Seung Ok`s novels are also like children, but the perspective of a larger third person is not provided in these works. Thes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finding significance in the world because the given scenes are experienced as trauma. Dreadful incidents, such as rape or fornication, fail to be meaningful for the subjects (Life Practice, Winter 1964 in Seoul). The subjects cannot but tremble with fear and suffer from aphasia. Indulgence in trivial details also reveals the trial of finding significance from meaningless detail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정 담론의 변천과 함의 ― 이광수와 김동인을 중심으로 ―

        최창근 ( Choi Chang-ge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7

        감정은 근대의 중요한 유산중 하나이다. 이성과 과학의 시대를 연 근대는 자연스럽게 주체의 감정도 해방시켰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감정 특히 동정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우리 사회는 국가가 아니라 개인의 동정심에 호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국가의 책임보다는 개인의 사적인 희생을 요구하는 시대착오적 모습임에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감정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기원을 밝히는 것은 한국의 근대화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일제 강점기 동정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당대의 대표적인 두 소설가 이광수와 김동인은 동정에 대해서도 상당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광수에게 중요한 것은 국가와 민족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식민지배하에서 정상적인 국가 건설은 불가능했다. 자연스럽게 민족주의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던 이광수는 동정의 감정으로 민족을 한데 묶고자 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와는 반대로 철저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동정을 해석했다. 그에게 동정은 두 주체간의 내밀한 상호작용과 공감속에서 작동한다. 이광수는 민족을 형성하기 위해 ‘타인을 사랑하라’라고 외치고 있다. 김동인은 반대로 근대적 주체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철저한 자기애를 주장한다. 두 사람이 보여주는 동정은 각각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광수의 경우 동정을 통한 민족주의의 형성과 강화는 계몽의 폭력적이고 위계적인 시각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동정이 생산되고 유통되기 위한 야만적 현실이 계속되어야 하는 모순과 불합리를 내포하고 있다. 김동인의 경우에는 철저하게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김동인의 작품이나 창작론은 대부분 유아기적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이는 자신만의 상상의 세계에 살면서 이를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한다. 김동인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개성이 누군가에게 인정받기를 원한다. 이는 또 다른 방식의 폭력이자 독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광수와 김동인이 보여주는 양상은 한국적 근대화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성과 감정이 균형 있게 발전하지 못한 사회가 보여주는 한계인 것이다. 여기에는 외세에 의한 근대화와 일본의 식민지배를 겪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도 반영되어 있다. Sympathy is a heritage of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liberation of reason and science after modernism arose, emotion of each individual was also freed. However, emotions, especially ‘sympathy’, hold spe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When a disaster or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 tendency to appeal to sympathy rather than to the government. Though which is an anachronistic aspect that requires sacrifice of an individual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it still remains. This attempt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dependency on emotion shall be the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it seems to be an effective work to look into the discourse on ‘sympathy’ that star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two prominent writers of the day, Kim Dong-in and Lee Gwang-su,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bout ‘sympathy’. Lee Gwang-su regarded national development as important, but building a nation in a proper way was not possible under Japanese rule. Hence, he tried to use sympathy to bind the whole nation together as he concentrated on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Kim Dong-in dealt with sympathy on an individual scale. His idea was that sympathy works in the midst of intimate interactions and empathy between two subjects. Whereas Lee Gwang-su exclaimed to love others for the construction of a nation, Kim Dong-in suggested complete self-love for the perfection of the modern subject. Both of their ideas of ‘sympathy’ also have limitations too. In case of Lee Gwang-su, his idea of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by means of sympathy, wa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vision of violent and hierarchical enlightenment. Additionally, it involved contradiction and absurdity that harsh realities should go on to produce and distribute sympathy. Meanwhile, Kim Dong-in was completely confined in his own world. His works and his creation methodology are possibly understood as a perspective of one in its early childhood period. A child who lives in his imaginary world wants to be approved of the world. Similarly, Kim Dong-in desired to be approved of his individuality by others. It also signifies violence and dogmatism in a different way. The aspects that the two writers displayed represent the peculiariti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other words, those are the limitations of the society that developed with imbalance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re are also the unique situations that Korean society had gone through, the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by the power of Japan.

      • KCI등재

        이광수의 일본어 텍스트에 나타난 내선일체론 연구

        김개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0

        This paper study ambivalence of ‘Naeseonilche(內鮮一體)’, focusing on Lee Gwang-Su's essays in Japanese. By Homi Bhabha, possibility of overthrow is revealed both ends, following a process of coherence by Colonists and mimicry from Colonized People. Once again, desire of identification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settler and korean. Ironically, It strengthens the identity of korean but somewhat weaken the colonial disorder. Of these, Lee Gwang-Su's Naeseonilche in his essays is related to Mimicry. We, however, are able to find out the word ‘Naeseonilche’ is contradicted. Because one of the colonism attribute is resemble closely, not same. Moreover, Contradictoriness will be amplified if colonial disorder points out to settler themselves. Illocutionary act in Lee's japanese prose heads toward colonial power not colonized people tells something. Colonial disorder which went through inside of colony intellectual reverts to colonists twisted.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the mimicry of colonials that has shaken the power of colonial authority and further become a metonymy of the threatening code. 본고는 이광수의 일본어 언표행위에 주목하여 그 속에 담긴 내선일체담론의 양가성을 살폈다. 호미바바(Homi Bhabha)에 의하면, 식민 지배자에 의한 정합화의 과정과 피식민인에 의한 흉내(Mimicry)의 과정 양단에서 ‘전복’의 가능성이 나타난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동일화의 욕망이 식민/피식민 간의 차이를 부각시켜 오히려 피식민인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식민담론의 약화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 중에서 이광수의 내선일체론은 모방의 과정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지배자를 닮되, 지배자와 같아서는 안 된다는 식민담론의 속성상, 조선인의 완전한 일본인화를 내세우는 내선일체론은 그 자체가 모순적이라고 볼 수 있다. 더구나 피식민지식인의 식민담론이 지배자에게 향하고 있다면 그 모순성은 보다 증폭될 것이다. 이광수의 일본어 언표행위는 피식민지 조선인이 아니라 식민권력에게 향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을 투과한 식민담론이 굴절된 채로 식민지지배자에게 되돌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피식민자의 흉내(Mimicry)가 오히려 지배담론의 주체를 전도시켜 식민권력에게 위협의 코드로 전유되는 양상을 다루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