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李在鎰(Jae-Il L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이황은 매화를 소재로 한 75題 106首의 시를 남겼으며, 그 중 62제 91수를 選拔하여 「梅花詩帖」이라는 단행본 시집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이황의 행위는 일관된 의미망 형성을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결코 예사롭게 여길 바가 아니라고 하겠다. 매화는 분명 이황의 意識의 指向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일 터인데, 그 의식지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BR>  그 해답의 모색에 있어서 우선 매화에 대한 이황의 特異한 態度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 태도는 한 마디로 酷愛라고 하겠다. 이황 스스로 자신이 매화를 혹애한다고 明言했거니와, 예컨대 매화의 寒傷에 대해 절절히 가슴 아파하며, 매화와 오랜 知己인 것처럼 서로의 胸襟을 贈答하는 등 그의 매화에 대한 行爲는 혹애라 아니할 수 없을 터이다.<BR>  이황의 그와 같은 매화에 대한 혹애의 이유는 매화가 자신과 同一視되었기 때문이고, 그 동일시의 媒介는 淸淨이라고 생각된다. 벼슬살이에서 무수히 엿보이는 이황의 고뇌의 바탕으로 여겨지는 그의 廉直性 내지 介潔性은 청정성에 다름 아니라 하겠으며, 由來上 매화는 청정의 表象이고 이황의 매화시들 역시 맑고 차가운 이미지 내지 배경, 仙界의 詩想, 隱士의 삶, 節槪 등으로 보아 그 모티브는 청정이라고 해야 할 터이다.<BR>  청정을 매개로 하는 이황의 매화 同一視는 贈答詩, 寒傷詩, 物我一體的交融의 詩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가 가능할 듯하다. 증답시는 말 그대로 이황과 매화 간에 주고받은 形式의 시인데, 그 形式은 이황의 매화 동일시의 극한적 內容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한상시는 이황이 매화가 추위로 인해 손상된 모습을 마치 자신의 손상인양 애달파하면서 지은 시들에 붙이는 이름인데, 이 역시 이황의 극한적인 매화 동일시가 만들어낸, 매화시의 특이한 內容的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황의 매화시는 주로 자아와 매화 간의 個我的 경계가 허물어진, 물아일체적 교융을 詩化한 것이라고 할 터이다.<BR>  결론적으로,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은 內面的 淸淨이다. 내면적 청정은 人慾이 蕩滌된 상태이므로 天人合一의 境界이며, 精神의 絶對自由의 境地라고도 표현되는 意識의 自由이다. 따라서 매화시에 나타나는 이황의 의식지향이란 종국적으로는 自由에의 指向이라고 할 것이다.   Lee Hwang left 106 poems under 75 subjects on a theme of Ume blossom and among these, he selected 91 poems under 62 subjects to produce the independent volume of poetry titled 「Maehwasicheob」. It is expected that this Lee Hwang"s behavior was intended to form the consistent semantic network,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is point. Ume blossom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hat can judge his aim for consciousness. If so, what is the aim for consciousness?<BR>  To explore the answer, we need to make sure of Lee Hwang"s unique attitude towards Ume blossom. The attitude might be called ‘tremendous love" in brief. Lee Hwang claimed himself that he possessed the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And for example, he expressed a deep pain on damage of Ume blossom due to a cold weather and he spoke his bosom as if he and Ume blossom were old friends. Nobody would deny that these behaviors originated from hi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BR>  The reason for Lee Hwang"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was because Ume blossom was identified with himself and the medium of this identification was considered to be cleanness. His integrity and pure character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basis of Lee Hwang"s agony during his official life did not much differ from cleanness. According to history, Ume blossom was a representative of cleanness and in consideration of its pure/cold image or background, poetical imagination of God"s world, hermit"s life, fidelity, motive of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y be cleanness.<BR>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by the medium of cleanness can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poem of exchange talks,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and poem of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Poem of exchange talks means type of poetry in which Lee Hwang and Ume blossom exchanged the talks and the type is the most adequate to get an extreme content of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oems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means that Lee Hwang produced this sort of poems when he confessed a heartrending sorrow to see the damaged Ume blossom due to cold weather as if he had been damaged. This also could be unique contents trend on poems of Ume blossom that Lee Hwang"s extreme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roduced. Poem of exchange talks and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were the representative types,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inly could be said that addressed the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without individual barrier.<BR>  In conclusion,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is internal cleanness. Internal cleanness means the completely cleared off state of human greediness. Therefore this is a state of union between God and man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can be demonstrated as absolute freedom state of mentality. Therefore,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can ultimately mean the aim for freedom.

      • KCI등재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이재일 동양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Lee Hwang left 106 poems under 75 subjects on a theme of Ume blossom and among these, he selected 91 poems under 62 subjects to produce the independent volume of poetry titled 「Maehwasicheob」. It is expected that this Lee Hwang's behavior was intended to form the consistent semantic network,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is point. Ume blossom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hat can judge his aim for consciousness. If so, what is the aim for consciousness? To explore the answer, we need to make sure of Lee Hwang's unique attitude towards Ume blossom. The attitude might be called ‘tremendous love' in brief. Lee Hwang claimed himself that he possessed the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And for example, he expressed a deep pain on damage of Ume blossom due to a cold weather and he spoke his bosom as if he and Ume blossom were old friends. Nobody would deny that these behaviors originated from hi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The reason for Lee Hwang'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was because Ume blossom was identified with himself and the medium of this identification was considered to be cleanness. His integrity and pure character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basis of Lee Hwang's agony during his official life did not much differ from cleanness. According to history, Ume blossom was a representative of cleanness and in consideration of its pure/cold image or background, poetical imagination of God's world, hermit's life, fidelity, motive of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y be cleanness.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by the medium of cleanness can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poem of exchange talks,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and poem of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Poem of exchange talks means type of poetry in which Lee Hwang and Ume blossom exchanged the talks and the type is the most adequate to get an extreme content of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oems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means that Lee Hwang produced this sort of poems when he confessed a heartrending sorrow to see the damaged Ume blossom due to cold weather as if he had been damaged. This also could be unique contents trend on poems of Ume blossom that Lee Hwang's extreme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roduced. Poem of exchange talks and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were the representative types,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inly could be said that addressed the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without individual barrier. In conclusion,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is internal cleanness. Internal cleanness means the completely cleared off state of human greediness. Therefore this is a state of union between God and man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can be demonstrated as absolute freedom state of mentality. Therefore,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can ultimately mean the aim for freedom. 이황은 매화를 소재로 한 75題 106首의 시를 남겼으며, 그 중 62제 91수를 選拔하여 「梅花詩帖」이라는 단행본 시집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이황의 행위는 일관된 의미망 형성을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결코 예사롭게 여길 바가 아니라고 하겠다. 매화는 분명 이황의 意識의 指向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일 터인데, 그 의식지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 그 해답의 모색에 있어서 우선 매화에 대한 이황의 特異한 態度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 태도는 한 마디로 酷愛라고 하겠다. 이황 스스로 자신이 매화를 혹애한다고 明言했거니와, 예컨대 매화의 寒傷에 대해 절절히 가슴 아파하며, 매화와 오랜 知己인 것처럼 서로의 胸襟을 贈答하는 등 그의 매화에 대한 行爲는 혹애라 아니할 수 없을 터이다. 이황의 그와 같은 매화에 대한 혹애의 이유는 매화가 자신과 同一視되었기 때문이고, 그 동일시의 媒介는 淸淨이라고 생각된다. 벼슬살이에서 무수히 엿보이는 이황의 고뇌의 바탕으로 여겨지는 그의 廉直性 내지 介潔性은 청정성에 다름 아니라 하겠으며, 由來上 매화는 청정의 表象이고 이황의 매화시들 역시 맑고 차가운 이미지 내지 배경, 仙界의 詩想, 隱士의 삶, 節槪 등으로 보아 그 모티브는 청정이라고 해야 할 터이다. 청정을 매개로 하는 이황의 매화 同一視는 贈答詩, 寒傷詩, 物我一體的 交融의 詩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가 가능할 듯하다. 증답시는 말 그대로 이황과 매화 간에 주고받은 形式의 시인데, 그 形式은 이황의 매화 동일시의 극한적 內容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한상시는 이황이 매화가 추위로 인해 손상된 모습을 마치 자신의 손상인양 애달파하면서 지은 시들에 붙이는 이름인데, 이 역시 이황의 극한적인 매화 동일시가 만들어낸, 매화시의 특이한 內容的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황의 매화시는 주로 자아와 매화 간의 個我的 경계가 허물어진, 물아일체적 교융을 詩化한 것이라고 할 터이다. 결론적으로,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은 內面的 淸淨이다. 내면적 청정은 人慾이 蕩滌된 상태이므로 天人合一의 境界이며, 精神의 絶對自由의 境地라고도 표현되는 意識의 自由이다. 따라서 매화시에 나타나는 이황의 의식지향이란 종국적으로는 自由에의 指向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퇴계 이황 설화의 담론화 양상과 의미의 분기

        한정훈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gence of discoursalization aspect and meaning targeting Lee Hwang's character legendry. Lee Hwang, a great authority on Confucianism in Joseon, has been noticed by all class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 if reflecting this, Lee Hwang's character legendry has been handed down in a total of 343 literary narratives and oral narratives. Narratives are a medium that creates meaning about objects and events that people care about. So, a narrative plays a media role before it is literature. Character legendry can be said to be a discourse of understanding composition rather than a hitale of the realism of the target character. Lee Hwang's character legendry also clearly shows the divergence of meaning for each tale type depending on the literature, oral tradition, and subject of transmission. In Lee Hwang's birth tale, the use of the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in the literary narrative, and securing the realism of fictional elements were foun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le, and in the oral narrative,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tale of acquiring a propitious site using eggs and the tale of a dream of forthcoming conception were used. Lee Hwang's tale of growth and activities showed a big difference in tale composition and transmission according to how Lee Hwang's descendants and ordinary people utilize the meaning of Lee Hwang's figure image. As descendants of Lee Hwang passed on a tale of a social nature using anecdotes, they emphasized Lee Hwang's point of admonition and consolidated his historic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from the folk classes used various tales they enjoyed to transform the Confucian scholar Lee Hwang into another Lee Hwang. Another Lee Hwang was the result of appropriating Lee Hwang's name symbol by the subject of oral narrative transmission. However, another Lee Hwang has certain limitations in constructing/transmitting discourse. So the people of the folk classes began to compose another tale based on the factuality, and it was used as a discourse to criticize the social system. The people involved here are the women within Lee Hwang's family. The married second daughter‐in‐law and the second marriage wife Mrs. Kwon are an important figure image who composes the feminine discourse in Lee Hwang's character legendry. However, the subject of the oral narrative is used only to reinforce Lee Hwang's figure image while avoiding the essential problems of the two women. This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the feminine discourse, which plays an important part in Lee Hwang's character legendry. 본 연구는 이황의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담론화 양상과 의미의 분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황은 조선 유학의 태두로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층을 막론하고 주목받은 인물이다. 이를 반영하듯 이황의 인물전설은 문헌설화와 구비설화로 총 343편이 전승되고 있다. 설화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대상과 사건에 대해 의미를 만들어 내는 매체이다. 그래서 설화는 문학이기 이전에 미디어 역할을 수행한다. 인물전설은 대상 인물이 지닌 사실성의 역사라기보다는 이해 구성의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이황의 인물전설도 문헌과 구비, 전승 주체에 따라 이야기 유형별로 의미의 분기가 명확히 나타난다. 이황의 출생담은 문헌설화에서 적강 모티프 사용, 허구의 요소의 사실성 확보 등이 이야기를 구성하는 특징으로 나타났으며, 구비설화는 전승 주체에 따라 달걀을 이용한 명당획득담과 태몽담이 활용되었다. 이황의 성장담과 활약담은 이황의 후손과 일반 사람들이 이황의 인물상을 어떤 의미로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이야기 구성과 전승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황의 후손들은 일화를 이용한 사화적 성격의 이야기를 전승하면서 이황의 권계성을 부각하고 역사적 위치를 공고히 하였다. 반면 기층 사람들은 자신들이 향유하는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해서 유학자 이황을 이인 이황으로 탈바꿈시켰다. 이인 이황은 구비설화 전승 주체가 이황의 이름 기호를 전유한 결과였다. 하지만 이인 이황은 담론을 구성·전승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기층 사람들은 사실성을 토대로 하는 또 다른 이야기를 구성하기 시작했고, 이를 이용해서 사회 체제를 비판하는 담론으로 활용한다. 여기에 관여한 인물이 이황의 가정 내 여성들이다. 재가한 둘째 며느리와 재취 권씨부인은 이황의 인물전설에서 여성담론을 구성하는 중요 인물들이다. 하지만 구비설화의 전승 주체는 두 여성이 지닌 본질적 문제를 회피한 채, 이황의 인물상을 강화하는 데만 활용하고 있다. 이는 이황의 인물전설에서 중요 부분을 담당하는 여성담론의 한계로 지적된다.

      • KCI등재

        退溪 李滉 서예미학의 한국서예사적 위상에 관한 고찰

        조민환(Min-hwan Jo) 한국서예학회 2022 서예학연구 Vol.41 No.-

        조선조 서예사에서 16세기는 晉體[王羲之 서체]와 촉체蜀體[趙孟頫 서체] 이외에 다양한 서풍이 존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退溪 李滉이 생존하고 있을 전후에 金絿, 成守琛, 黃耆老, 楊士彦, 韓濩 등은 각기 자신들이 지향하는 예술성 근거한 다양한 서풍을 펼치는데, 서예미학 측면에서 본다면 退溪의 서예미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조에서 주자학에 입각한 서예미학을 규명할 때 가장 상징적인 인물은 ‘心畵’ 및 ‘書以載道’ 차원에서 서예를 이해한 退溪이기 때문이다. 퇴계는 기교 차원에서 논의할 때 유명서예가로 평가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퇴계 사후에 서예미학 측면에서 서예를 논할 때는 퇴계가 설파한 서예미학은 전범에 해당한 정도로 영향력을 발휘한다. 퇴계가 서예가로서 자리 매김되는 이유는 퇴계가 자신의 학식과 인품이 함께 어우러진 서예 창작 세계를 펼쳤기 때문이다. 퇴계에 대한 이같은 평가에는 서예를 기교 차원에서 이해한 예술보다는 윤리론 측면에서 사유가 담겨 있고, 이것은 퇴계의 학문과 예술이 하나라는 이른바 ‘學藝一致’를 말해준다. 퇴계의 서체를 “굳세고 강건하며, 반듯하고 엄숙함을 위주로 하였다”라고 평가한 것을 퇴계가 설파한 철학에 적용하면 ‘理發而氣隨之’ 사유가 예술화된 결과물이다. 이런 퇴계의 서예창적 정신은 퇴계가 지향한 ‘持敬’에 근간한 서예 정신의 결과에 해당한다. 이처럼 모든 예술은 理發의 예술이어야 한다는 퇴계의 예술에 대한 인식은 魏晉시대 왕희지 등이 펼친 서풍을 강조하면서 趙孟頫와 張弼을 비판하는 사유로 전개되었다. 퇴계가 조맹부와 장필을 평가한 핵심은 그들은 理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예술창작에 임했다는 것이다. 퇴계는 해서와 관련된 정법과 고법을 기준으로 하여 趙孟頫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광초’를 잘 쓴 張弼을 비판한 것은 초서를 쓸 때 범할 수 있는 狂氣와 放逸함에 대한 것이다. 조맹부와 장필은 모두 유가의 심법과 敬이 갖는 서예적 의미 및 正法과 古法을 무시하고 멋대로 운용했다는 것이다. 한국서예사를 미학적 차원에서 규명한다면, 퇴계가 이처럼 持敬와 심화 차원에서 제기한 서예미학은 이후 조선조 유학자들이 지향하고자 한 서예미학의 한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 한국서예사적 의의가 있다.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 the 16th century is meaningful in that there were various calligraphy styles besides Wang Xizhi’s calligraphy style and Zhaomengfu’s calligraphy style. Before and after Lee Hwang was alive, there were calligraphers such as Kim Gu, Seongsuchim, Hwang Gi-ro, Yang Sa-eon, and Han Ho. Each of them unfolds a variety of calligraphy styles based on their artistr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calligraphy aesthetic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Lee Hwang’s calligraphy aesthetics. This is because Lee Hwang understood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painting of the heart’ and ‘painting with calligraphy works’ based on the new Confucianism. Lee Hwang is not considered a famous calligrapher when discussing at a technical level. Lee Hwang is not considered a famous calligrapher when discussing at a technical level. The reason why Lee Hwang was established as a calligrapher is that he unfolded a world of calligraphy creation in which his knowledge and character were combined. Lee Hwang’s evaluation of calligraphy was based on ethics rather than art understood at the technical level. This tells us that Lee Hwang’s studies and art are one. The results of Lee Hwang’s calligraphy creation are evaluated as ‘stiff, robust, upright, and solemn’. Applying this to the philosophy raised by Lee Hwang, the idea that ‘when reason works, energy follows’ is a result of art. In addition, it is the result of Lee Hwang’s philosophy of ‘catch respect’. As such, Lee Hwang’s perception of art that all art should be art on which reason worked emphasizes the calligraphy trend developed by Wangxizi and others. In addition, it develops as a reason for criticizing Zhaomengfu and Zhangbi. The key to Lee Hwang’s evaluation of Zhaomengfu and Zhangbi was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reason properly and worked on art creation. Both Zhaomengfu and Zhangbi. belong to the failure to properly operate the calligraphic meaning of ‘the right law of the heart’ and ‘respect’ in New Confucianism. In addition, it belongs to ignoring the right law and the old law and operating it arbitrarily. If the Korean calligraphy history is identified at an aesthetic level, the calligraphy aesthetics raised at the level of ‘catch respect’ and ‘picture of the mind’ presented a typical example of calligraphy aesthetics that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later sought. In this regard, there i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Korean calligraphy.

      • KCI등재

        퇴계 이황의`감성철학` ― `청량산`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윤천근 ( Youn Chun-guen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1 No.-

        청량산은 이황의 삶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황은 고향의식을 상당히 강하게 갖추고 있는 인격이다. 이황의 존재성은 그 고향인 온혜의 산천과 장소론적 합일을 이루고 있다. 청량산은 그 중 초월성을 대표하는 구체적 기표이다. 청량산은 이황 고향영역의 한 장소를 점유하고 있으면서 이황의 삶을 현실성에 완전히 매몰되지 않을수 있게 이끌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학적 도리는 본래 현실성속에 초월성이 내재되는 이중적 구조를 갖는다. 그것은 이황의 내적존재성이 갖추어 내야 하는 양상이기도 하다. 이황의 존재성은 그 삶터인 온혜영역과 실제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온혜 일원은 이황 존재성이 흘러나와 펼쳐져 있는 장소이다. 온혜 영역이 갖추고 있는 장소성은 온혜 쪽에는 현실성의 측면이 강하게 펼쳐지고, 온혜의 변경인 청량산 쪽에는 초월성의 측면이 강하게 펼쳐져 있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렇게 두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이루고 있는 장소성에서 이황의 존재성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이황 내면에서는 존재성의 모습을 갖추고, 이황 외면에서는 장소성의 양상을 갖춘다. 이황만큼 그 내적 존재성과 외적 장소성이 합일을 이루고 있는 인격은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황은 무엇보다도 그 고향영역의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황은 특히 주세붕의 「청량유산록」에 「발문」을 쓰던 시기의 서울생활 속에서 청량산인 이라는 칭호를 내건다. 그리고 그가 서울 생활로부터 놓여났을 때 마음먹고 청량산을 찾아 들어간다. 이황의 의식속에서 청량산의 장소성은 고명한 사람, 평생의 벗으로 상징된다. 청량산에 들어가 이황은 평생의 벗이 거기 풀어놓은 빼어난 산수 앞에서 자신의 존재성이 아직 완벽하게 갖추어내지 못한 것, 현실성의 변경에 까지 나아간 초월성, 딱 그만큼의 오묘한 도리의 구현을 본다. 청량산의 빼어남은 현묘한 초월성이 아니라 딱 그만큼의 초월성이다. 인간영역과 겹쳐지는 초월성, 인간적 현실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초월성, 그것이 청량산이 이황 삶 속에서 갖는 장소성이다. 이황은 청량산을 오르며 그런 장소성을 거기 만들어 놓고, 그것을 자신의 마음속에 받아들여 스스로의 존재성으로 환원시켜 낸다. 청량산을 중심으로 하여 구축된 이황의 존재성과 장소성은 이미 어린 시절에 무의식적 반복을 통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이미 어느 정도 합일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 존재성의 합일적 구조를 보다 빈틈없이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것이 이황의 공부이다. 이황은 자기존재성 속에 청량산을 들여 놓고, 그것이 약화될 경우에는 우정 실제의 청량산을 찾아 들어가 거기 놓여 져 있는 청량산의 장소성을 자기속에 환기, 또는 복원하는 노력을 수행한다. 그러한 평생의 노력 속에서 청량산은 이황의 산으로 받아들여지는 역사적, 문화적 토대를 갖추어 내게 되는 것이다. Cheongryang Mountain ha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Lee Hwang`s life. Lee Hwang is a personality who have the strong consciousness about his own hometown. In terms of place, the nature of existence of Lee Hwang have a unified state with On-Hye`s nature of his birthplace. Home area of Lee Hwang include everything in that point, especially two part, that is, On-Hye and Cheongryang Mountain. Cheongryang Mountain is a special semantic code of represents the transcendence. Cheongryang do faithful to that`s role in Lee Hwang`s life, make to can not arrested absolutelly in his real and cling to life entirely. The reason of Confucianism have a dual structure, that is, transcendence indwell in practicality. It is some aspect that Lee Hwang`s inner being should have, also. The existence of Lee Hwang are continuous with his home area which named On-Hye, practically and concretely. On-Hye area is the place that spread out of Lee Hwang`s existence. We will divide up this area with two part, that is, one is On-Hye and the other is Cheongryang, and then we will attach it, like this, the former is the home area which having a realistic sense, while the latter is the home area which having a transcendent meaning. Lee Hwang wrote a travel essay about Sobaek Mountain when he was the governor of Punggi. At that time, he lived in her breast, therefore he take an active interest in it, go up that mountain, to write about it. In that time, the area of Sobaek Mountain is home of a moment of Lee Hwang, but after that time he left the place, and then the sense of unity between the place with him are splitting up. Therefore, in the case of Sobaek Mountain, can not qualify to configure the existence of him. Cheongnyang Mountain is different from this, because it is the mountain of his hometown, and the mountain of his mind. Lee Hwang c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mountain. The mountain is in his mind, and he is in the mountain. So, of existence between the two and a sense of that place is equipped with a complicated structure.

      • KCI등재후보

        畿湖學派の退溪觀

        가와하라히데키 ( Hideki Kawahara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9 No.-

        본고는 김장생(1548-1631).송시열(1607-1689)을 중심으로 기호학파의 퇴계관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김장생은 주희의 정론과 이이의 해석에 근거하여 학술적 명제를 정립했는데, 이를 통해 이이를 현창하신 대신 이황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것은 본체론에 기운 학문적 진리탐구와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이이는 장수하지 못하여 주자학 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에 송시열은 그 부족함을 보충하기 이황의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계승했으며, ‘퇴계의 학문은 가장 폐단이 없다’라고 언급했다. 김장생과 송시열의 주장을 언뜻 보면, 전자는 이이를 현창하고, 후자는 이이와 더불어 이황도 함께 높이고자 하여 마치 이황에 대한 평가가 상반되는 것 같이 느껴진다. 그러나 단순히 상반된다고 결론지을 수 없다. 김장생과 송시열은 조선의 도통을 정몽주 → 조광조 → 이황 → 이이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하여, 자신들은 이이뿐만 아니라, 이황을 이었다고 사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호학파에서 학술적·정치적 측면에서 이황 비판을 전개했지만, 이러한 비판을 근거로 안이하게 그들이 이황을 낮게 평가했다고 결론지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Kim Jangsaeng(1548-1631) and Song Siyeol(1607-1689) centering around Kiho school’s Understanding of Toegye Lee Hwang(1501-1570). Kim founded a academic thesis based on Zhuxi’s theory and Lee Yi(1536-1584)’s interpretation, so he admired Lee Yi but criticized Lee Hwang. On the other hand Song not only admired Lee Yi but also respected Lee Hwang, because Lee Yi didn’t live a long life, Song thought his theory and interpretation of Zhuxi’s philosophy was not enough and made up for the lack by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and mentioned that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didn’t have a evil. It is seems liked that Kim and Song’s understanding of Lee Hwang were contrary to each other, but it is concluded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Because Kim and Song’s succession to Confucian legitimacy were Jeong mongju→Jo guangjo→Lee Hwang→Lee Yi, both acknowledged succession to Lee Hwang as well as Lee Yi. In addition, Kim’s criticizing Lee Hwang was related of ontology. Thus It simply don’t conclude low evaluation of Lee Hwang’s theory and interpretation in Kiho school.

      • KCI등재

        19세기 시인 이황중(李黃中) 연구

        한영규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Lee Hwang-jung was high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famous poets of the 19th century. But after modern times, they became completely forgotten. This paper reaffirmed the poetical reputation and poetic achievement of Lee Hwang-jung, and examined the features of his poems. The writers who highly value Lee Hwang-jung’s po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layers. First, the writers who were active in the mid-19th century and the late 19th century,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ere Kim Jeong-hui, Lee Si-won, Lee Sang-su, and Jeong Man-jo. They highly appreciated the extraordinary human aspect and unusual poetry of Lee Hwang-jung. Second, the Chinese writer, Bu Bo-sam, compiled a collection of “Chukgjojeongajib” in 1857, highlighting the poetic achievements of Lee Hwang-jung. Bu Bo-sam was also regarded as one of the leading poets of the Joseon Dynasty. Third, after Lee Hwang-jung’s death, Kim Taek-young made a precise selection of his poems in exile China and made him widely known to the world. Among these three levels of criticism, Kim Taek-young’s collection of poems was the most serious reevaluation of the poet Lee Hwang-jung. It is also considered to have a certain meaning in Korea’s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Lee Hwang-jung’s status as a poet was first forgotten in modern times. As we saw earlier, Lee’s poems were considered excellent enough to match the achievements of Tang’s poems. In other words, Lee’s poems correspond to a point of diversity shown by 19th-century literature, and should therefore be reevaluated anew. Also, the feeling of sorrow and the aesthetic of pain achieved by his poems is considered one of the values to be savored by the new name today. 이황중은 이규보의 후손이자 19세기의 시인으로서 그의 생존 당시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나, 근대 이후 한시의 종언과 더불어 완전히 잊혀진 존재가 되었다. 이 글은 잊혀진 문학사의 한 지점을 새롭게 주목한다는 의도에서, 19세기 시인이황중에 대한 과거의 비평 양상을 고찰해 보고, 아울러 그의 시가 지닌 특징을탐색하였다. 이황중의 시를 비중있게 평가한 문인들은 크게 세 층위로 분류된다. 첫째, 그와 직간접으로 교유한 동시대의 문인들로 19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김정희ㆍ이시원ㆍ이상수ㆍ정만조 등이다. 이들은 이황중의 외골수의 인간 면모와 기이한시편을 높이 인정했다. 그와 동시에 이황중이 고집한 편향적인 시형식과 시적지향 및 창작 스타일에 비판적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둘째, 동시대 중국의문인 부보삼(符葆森)은 1857년 국조정아집(國朝正雅集)을 편찬하며, 이황중의 시적 성취를 특별히 부각시키고, 조선조를 대표하는 시인의 한 사람으로 평가하였다. 부보삼은 특히 이황중의 율시에서 보여준 비애의 서정과 정밀한 대우(對偶)를 높이 인정했다. 셋째, 이황중 사후, 후배시인 김택영과 이기(李琦)는시선집을 편찬을 통해 이황중을 높이 평가했다. 이기는 조야시선에서 이황중의 시를 대거 수록하여, 그의 시인적 위상을 높였다. 김택영은 1919년 망명지중국에서 이감산시선을 정선(精選)하여 출간하면서, 그의 시를 문학사적 지평에서 평가했다. 이 선집에서 김택영은 이황중 시의 ‘고고(高古)’하고 ‘침착(沉 著)’한 특성을 당시(唐詩)에 견줄 만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지나친 ‘유고(幽苦)’함에는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세 층위의 비평 가운데 김택영의 시선집 편찬이야말로 시인 이황중에 대한 가장 본격적인 재평가로서, 문학사적 의미를 띤다고 평가된다. 이황중은 생존 당시 중국은 물론 사후인 1919년 무렵까지 여러 층위에서 명가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뚜렷한 위상을 지닌 시인이었다. 그러나 근대전환기를맞이하여 그는 다른 시인에 비하여 가장 먼저 잊혀졌다. 이황중이 추구한 선(仙)과 기(奇)의 시적 지향, 시창작 스타일에서의 유(幽)와 고(苦)의 추구 등은20세기 이후 한국학의 전개에 비추어, 소구력이 가장 낮은 부면이었다고 말할수 있다. 즉 이황중 시에 그동안 현재적 의의를 부여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부보삼의 비평과 김택영의 기획 출판에서 확인되듯, 이황중의 대표작은당시(唐詩)의 성취에 비견된다고 평가된다. 즉 이황중의 시는 19세기 문학이 보여준 다양성의 한 지점이라는 면에서 재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그의 시가 성취한 비애의 정서와 ‘고(苦)’의 미감은 오늘날 새롭게 호명하여 음미할 가치의 하나라고 평가된다.

      • KCI등재

        李滉書翰을 통해본 明宗代書院의 創設과 運營

        김형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3 No.-

        This paper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eowon during the age of King Myungjong through Lee Hwang's letter. In the Choseon Dynasty, seowon was expanded as the center of confucian scholars(士林) because Lee Hwang had emphasized the seowon education. In particular, seowon had been recognized as a main 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鄕村共同體) management performing as the institution of education and moralizing since the middle of Choseon Dynasty. Thus, seowon had been the central organization of local gentry(在地士族) after 17th century, and then served important roles in politics, society, and education. As Lee Hwang had worked as a leader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that time, he put a lot of efforts for the establishment of seowon. He exchanged ideas and opinions with confucian scholars through lots of letter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eowon. Lee Hwang's effort and interest in seowon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seowon and the decision of objects for sacrificial rite(祭享). Lee Hwang set the objects for sacrificial rite by neo-confucian moral(道學). In fact, he didn't insist on placing neo-confucian moralists (道學者) into seowon from the beginning. At first, he set allegiance(忠 節) and neo-confucian morals(道學) as standards of sacrificial rite. However, Lee Hwang presented neo-confucian moral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 after the dispute over neo-confucian moral in Youngbong seowon(迎鳳 書院) of SeongJu. Because he regarded neo- confucian moral very highly, he put Lee Inbok(李仁復) into Youngbong seowon and Utag(禹倬) into Yougdong seowon(易東書院) as objects for sacrificial rite. These decisions show that Lee Hwang reevaluated scholars of Koryo Dynasty by neoconfucian moral. Therefore, the respect for sages that Lee Hwang had stressed as a role of seowon reflected the ideal of confucian scholars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Lee Hwang chose only Koreans as objects of sacrificial rite. That was why he thought that the sacrificial rite for Koreans confucian sages(東賢) rather than Chinese confucian sages(中國儒賢) was effective in moralizing gentries. Lee Hwang considered that seowon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promotion of learning but also moralize rural community which was the political goal of confucian scholars. This means that seowon had to play a key role of rural community and scholarly learning as well. For this goal,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office was to be minimized and ‘wigijihag(爲己之學)’ of confucian scholars had to be matured. Lee Hwang emphasized seminars(講學) and intensified the teaching of Chutzu(朱子) through forum(講會) to obtain the foundation for political ideals of confucian scholars. 서원은 조선중기 이래 사족의 교육․교화기관으로 기능하면서 대표적인 향촌운영기구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특히 17세기 이후 서원은 재지 사림의 중심적 기구로 되었으며, 이후 정치․사회․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원 창설기의 사림의 종장으로 활동하였던 이황은 서원의 창설에 부단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황은 서원의 창설 및 운영과 관련하여 문인들과 끊임없이 서한을 주고받으면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이러한 이황의 서원에 대한 관심은 이후조선에 있어서 서원의 운영과 제향자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황은 서원의 제향인물을 道學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물론 이황이 처음부터도학자만 서원에 제향해야 한다고 한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충절과 도덕 모두제향의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나, 성주 영봉서원의 위차 및 배향논쟁을 거친 후 道學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영봉서원에 배향될 인물로 李仁復을 거명하고, 역동서원에 禹倬을 배향하도록 결정한 것은 모두 道學을 중시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인복을 ‘名敎에 도움이 된’ 인물로 평가하고, 우탁의 道學者로서의면모를 부각시킨 것도 이황이 고려시대의 인물을 도학을 기준으로 재평가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황이 서원의 기능 중 하나로 주장했던 尊賢은 당시 사림들이 이상적인 모습으로 상정한 道學者를 존숭하는 것으로, 당시 사림들의 이상을 그대로반영한 것이었다. 그런 한편 이황은 東國의 인물들만을 제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존현을 하는 것은 후학들이 모범으로 삼고 따라 배우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중국의 儒賢보다는 동국의 儒賢을 배향하는 것이 좀 더 교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황은 서원이 담당해야 할 임무를 학문의 창달뿐만 아니라 ‘향촌의 교화’라는사림들의 정치적 목적까지 담당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서원은 강학과 더불어당시 사림들이 꿈꾸었던 향촌 자치공동체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사림의 ‘爲己之學’이 성숙해야만 했다. 이황이 서원에서 講學을 강조하고 講會를 열어 끊임없이 주자학의 이해를 심화시켰던 것은 사림의 정치적 이상을 학문적으로 추구하여 그 토대를 확보하는 것이기도 했다.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 KCI등재

        『雲谷陶山徽音』의 편찬 의식에 대한 고찰

        우지영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7 No.-

        This paper studied about 『Ungok Dosan Hwieum(雲谷陶山徽音)』 which was compil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 Shin Ik-hwang(申益愰). To this end, first, it considered the life of Shin Ik-hwang, focusing on his compilation business. He was taught while discussing academically with Galam(葛庵) Lee Hyeon-il(李玄逸). Through this, he was one of the successors of the Toegye academic genealogy, who has achieved many academic development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In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t contained various kinds of discussion about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lso, It was confirmed that he had continued to make efforts in various compilation business such as 『Ungok Dosan Hwieum』, 『Hoeam Toegye two teacher SeosikGangdocheob(晦庵退溪 兩先生 棲息講道帖)』, 『Gyeongjaejam Jibseol(敬齋箴集說)』 and 『Dongguk Seunggyeong Wayulok(東國勝景臥遊錄)』. Shin Ik-hwang’s 『Ungok Dosan Hwieum』 was a collection of beautiful poems which were recited by Zhū Xī(朱熹) of the Song Dynasty and Lee-Hwang(李滉) of Joseon, when they retired from the world, studied learning and fostered the younger generation. He corrected the chapter order of 『Ungok Hwieum』 compiled by Guam(龜巖) Lee-Jeong(李楨), and completed this book by adding 『Dosan Hwieum』 which he selected in pairs Toegye Lee-Hwang’s poems and commented about that. Through the compilation of this book, Shin Ik-hwang expressed the traditional literary view of moral value as ‘Literature is the implementation of morality’. He thought that at the peak of ideal literature, there was Zhūzǐ(朱子)’s literature, and that there was the Toegye Lee-Hwang’s literature right at the starting point for entering the ideal stage. Under this consciousness, he revised the existing chapter order of 『Ungok Hwieum』 in a reasonable direction, and he represented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by placing side by side Zhūzǐ of the Song Dynasty and Lee-Hwang of Joseon and editing them in pairs. Under the consciousness that the genealogy of Confucianism which started with Confucius and passed through Zhūzǐ to Toegye in Korea has continued ceaselessly through his teacher Galam Lee Hyeon-il, Shin Ik-hwang compiled this book with a sense of vocation as one of the successors of the Toegye academic genealogy. In addition, it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took a step further from simply selecting Toegye’s works and added an explan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work and the interpreting the phrase in a poem. In addition to 『Ungok Dosan Hwieum』 reviewed in this paper, Shin Ik-hwang compiled 『Hoeam Toegye two teacher SeosikGangdocheob』, a collection of poetry and prose and historical records from the period when Zhūzǐ and Toegye were living in seclusion. Also, he thought that Toegye needed books such as 『Lihaktongrok(理學通錄)』 which collected and recorded the words and deeds of the Zhūzǐ’s disciple, and 『Muyiji(武夷志)』 which collected records and poetry and prose related to Mt. Muyi(武夷山). This was an expression of the compilation consciousness to establish Toegye as the successor of Confucianism. And, the significance of 『Ungok Dosan Hwieum』 could be found in that it was a literary work in which this compilation consciousness was concretely embodied.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의 학자 申益愰이 편찬한 『雲谷陶山徽音』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신익황의 삶을 그의 편찬 사업에 주목하여 고찰해 보았다. 신익황은 葛庵 李玄逸과 학문적으로 토론하며 가르침을 받았으며, 이를 통하여 많은 학문적 발전과 이론적 정립을 이룬 퇴계 학맥의 계승자 중 한 사람이다. 그의 문집에는 각종 성리 논변이 남아 있으며, 『雲谷陶山徽音』‧『晦庵退溪 兩先生 棲息講道帖』‧『敬齋箴集說』‧『東國勝景臥遊錄』 등 각종 편찬 사업에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익황의 『운곡도산휘음』은 송나라 주희와 조선의 이황이 속세를 떠나 은거하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을 양성하는 중에 읊조린 아름다운 시편을 모아놓은 책이다. 신익황은 구암 이정이 편찬한 『운곡휘음』의 편차를 수정하고, 여기에 퇴계 이황의 시를 짝을 맞추어 선집하고 논해를 가한 『도산휘음』을 덧붙여서 완성하였다. 신익황은 이 책의 편찬을 통하여 ‘문학은 도의 구현’이라고 생각하는 전통적인 재도적 문학관을 표출하였다. 그는 이상적인 문학의 정점에는 주자의 문학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이상적인 경지로 들어가기 위한 착수처에 바로 퇴계 이황의 문학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의식 하에 그는 기존에 존재했던 『운곡휘음』의 편차를 합리적인 방향으로 수정하고, 송나라의 주자와 조선의 퇴계를 나란히 위치시키고 짝을 맞추어 편집하는 주체적인 의식을 드러내었다. 공자로부터 시작되어 주자를 거쳐 우리나라의 퇴계로까지 연결된 유가의 道統이 스승인 갈암 이현일을 거쳐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는 의식 하에, 신익황은 퇴계 학맥의 계승자 중 한 사람으로서의 소명의식을 담아 이 책을 편찬하였다. 또한 퇴계의 작품을 단순히 선집하는 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작품 내용이나 시구 풀이와 관련한 논해를 추가하였다는 점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고에서 살펴본 『운곡도산휘음』 뿐만 아니라 신익황은 주자와 퇴계가 세속을 떠나 은거하던 중의 시문과 사적을 모아 집성한 『회암퇴계 양선생 서식강도첩』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주자 문인의 언행을 모아 기록한 『理學通錄』이나 무이산 관련 기록과 시문을 모은 『武夷志」와 같은 책이 퇴계에게 있어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유학 도통의 계승자로서 퇴계를 확실히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편찬 의식의 발현이며, 『운곡도산휘음』은 이러한 편찬 의식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저작물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