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 중국 문화산업 ISSUE조사와 전문가 면접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정광철 ( Kwang Chul Jung ),조성룡 ( Seong Ryong Cho ),노형신 ( Hyung Shin Roh ),김경훈 ( Kyung Hoon Kim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북한에서의 한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전희락,박종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4

        This paper have regarded whether the Korean wave have diffused according to the culture diffusion theory and what effects South Korean culture content make to North Korean who have accepted South Korean culture contents. This paper have reviewed about the immanent traits of culture content and about the soft powers that culture contents make.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catharsis function, the recreation function, the self realization function, the social integration function and the humanity integration function of culture content as immanent traits have fulfilled those culture function.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more culture contents diffuse, the more culture function fulfill and that the entertainingness and the commercial viability of culture contents have determined the diffusion speed and range of culture contents. Soft power make the other nation people regard the values and belief of a nation and blindly follow these. South Korean cultures have proper the entertainingness and the commercial viability necessary to culture diffusion and North Korean have rated high the these of South Korean culture contents. The level of culture diffusion is depended on the society opened system level, audiences traits, the innovation level of culture content as an intrinsic attribute, the communication opened system level and the diffusion time. This paper discovered that South Korean culture contents have diffused according to the typical culture diffusion model in North Korea. And this paper discovered that as North Korean have imitate South Korean styles,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South Korean life styles and they like more the systems of Korean. 본 연구는 언론보도와 탈북자들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문헌들을 통해 ‘북한에서 한류가 문화확산모형의 전형에 따라 확산되고 있는지’, 그리고 ‘한류가 북한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문화확산모형에 비춰볼 때 북한에서 한류 확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에서의 한류가 야기할 잠재적 효과에 대한 언급을 위해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내재적 속성과 문화콘텐츠의 소프트 파워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콘텐츠의 내재적 속성으로 인해 문화콘텐츠는 자기정화기능, 레크리에이션기능, 자기개발기능, 자기실현기능, 사회통합기능, 인류통합기능 등 문화적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문화적 기능은 한 국가의 소프트 파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런데 문화콘텐츠 확산 정도가 문화콘텐츠의 문화적 기능을 결정하는데 문화콘텐츠 확산을 결정하는 요소는 문화콘텐츠의 오락성과 상업성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문화콘텐츠의 소프트 파워는 조지프 나이의 언급처럼 어떤 나라의 가치와 신념 체계를 존중하고 따르게 하는 위력을 지니고 있다. 한류 문화콘텐츠는 문화확산에 필요한 오락성과 상업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요소들이 북한 주민들로부터 높게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확산은 사회체제의 속성, 수용자 속성, 문화콘텐츠의 본질적 속성으로서의 혁신성, 커뮤니케이션 특성, 그리고 전파시간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북한 내에서 한류는 전형적으로 문화확산모형에 따라 확산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북한 내에서 한류확산은 북한 주민들 간에 ‘따라 하기’를 통한 모방과 유행이 야기되면서 대한민국 문화양식 동일시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한민국 체제에 대한 긍정적 태도도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그 경계를 허물다-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맹영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Recentl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With increasing exports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ocial interest regarding a wide variety of fields comprising the content business such as planning, making, and producing of content also are increa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ccompanied by this tre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academic status through the fusion work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 Today, academic boundaries are becoming meaningles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being broken. First, the trend of the fusion pattern was identified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heir f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paper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rends. One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throug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other is the study of works that mak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ctive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is. Of cours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appear in their fusion. The things that are intended to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 are focused on specific genres and works. To escape this situation, diversi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remain a simple source of cultural content.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ust understand cultural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f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cultural content.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기획, 제작, 생산 등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전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전문학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와의 융합작업을 통해 고전문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는 학문적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는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융합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논문을 확인한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고전문학을 통한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논의한 연구이다. 둘째는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화 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이 원천소스로서 문화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는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문화콘텐츠화의 대상이 특정 장르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의 다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공급처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하고,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KCI등재

        국가 간 거리가 K-Pop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미치는 영향

        박승배(Seungbae Park),홍재원(Jaewon Hong)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류 문화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산에 있어서 국가 간 문화적 차이의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한류 확산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글로벌 한류 확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졌다. 이는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산을 확인해 줄만한 실증적 자료가 부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ofstede(1980; 1991)의 문화적 가치 범주와 Ghemawat(2001)의 문화적 차이 구분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인 확산이 확인될 수 있는 K-Pop ‘강남스타일’ 온라인 한류확산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K-Pop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각국의 문화적 영향을 웹문서, 동영상, 이미지 형태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한류의 확산은 국가 간 특정한 문화적 차이와 이에 근거한 지리적 변수, 그리고 경제적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웹문서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덜 발전된 나라이고 인구가 적은 나라가 확산이 잘되었으며, 지역적으로는 미주지역과 유럽지역에서 확산이 잘되었다. 이는 K-Pop의 온라인 확산 국가의 양극화를 나타내는 내용으로서 동남아를 비롯한 국가들을 기반으로 전 세계로까지 확산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개인주의 문화일수록 자기능력함양이나 개인의 관심사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다른 상징수단에 비해 인지적 노력이 많이 요구되더라도 기꺼이 웹문서를 탐색하여 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동영상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일수록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으로 미주지역과 유럽지역에서 확산이 잘되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콘텐츠의 확산은 ICT 인프라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미주지역이나 유럽지역은 ICT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서일 것으로 생각되며, K-Pop 한류가 동남아를 넘어 미주와 유럽으로 전 세계적인 확산이 된 것은 동영상이 중심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미지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력거리가 크고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일수록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의 경우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기 때문에 온라인 한류 문화콘텐츠의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 online Korean Wave diffus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existed studies, it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Wave diffus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fluence of countries with relatively less interest in diffusion of Korean Wav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hat explain diffusion of Korean Wave using empirical data to show worldwide spread of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rying to investigate cultural effect of countries i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through empirical data of “Gangnam style” Korean Wave diffusion phenomenon in web, Youtube, image ect. Based on Hofstede (1980, 1991)’s cultural value and Ghemawat (2001)’s type of cultural distance, and on the basis of data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we investigate the cultural effect o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in online.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 some Korean Wave diffusion strategy in online to guide Korean Wave diffusion based on cultural distance for Korean Wave managers.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influenced by geographic distance, economic distance and specific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It is as follows in more detail. First, K-pop contents of web document type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and large power distance. Also these are well diffused low development country and small population country, North America and EU by geographic distanc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online diffusion of K-Pop Korean Wave reflect polarization of online diffusion and globalization based on Southeast Asia. Text contents are generally required more cognitive efforts than other contents type. Because the more it is individualism culture, the more people focus on cultivation of self-ability and personal interest, we think that people with individualism culture are willing to search web text even though it is required much cognitive efforts. Second, K-pop contents of Youtube type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and large power distance, North America and EU by geographic distance. Because ICT infrastructure of country influence online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Hong & Park, 2014), the more Korean Wave contents diffuse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EU that are well equipped ICT infrastructur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it is K-pop contents of Youtube type that take lead of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EU beyond limit of Southeast Asia. Third, K-pop contents of image type are only influenced by cultural factor and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and large power distanc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because people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positively accept new culture,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expand well.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ffort for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should focus on country of large social inequality and country to set a high value on the freedom and achievement of individual. This study is lots of limit. First, because this study only investigat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Gangnam Style, A lot of problems may occur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study. Second, limitation of data exist. we analyze data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only. Finally, although cultural nature of country is not easily change, Hofstede (1991)’s cultural distance data is old established data.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should be considered data reflected the change of times.

      • KCI등재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 and Cultural Informatics

        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한국 인문학자들의 대응 자세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인문학적 지식이 문화콘텐츠 산업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안된 새로운 학문 방법 - 인문정보학(Cultural Informatics)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인문학자들, 그 중에서도 한국의 전통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연구 성과가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의 생산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한류’(韓流, Korean Wave)라고 하는 문화 현상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의 이와 같은 생각은 한국의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많은 수의 인문계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 생산을 위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전통 문화 그 자체 또는 그것에 대한 인문학자들의 연구가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의 생산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문화 상품 시장에서 성공한 문화콘텐츠는 대중 문화의 트랜드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미디어 제작자의 창작물이며, ‘인문학적 지식’은 그러한 창작물을 만들어 내기 위한 소재의 일부일 뿐이다. 인문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그들의 역할은 문화콘텐츠의 창작에 있다기보다 문화콘텐츠의 제작자가 인문학적 지식에 쉽게 접근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문정보학은 인문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인문학자의 도움 없이 그 지식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 기술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인문학과 정보 기술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인문지식의 사회적 공유체계를 구축하고 그것의 활발한 응용을 촉진함으로써, 인문학이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실용적인 학문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려 하는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scholarship to the country’s culture content industry and issues that may exi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nd finally cultural informatics, a new approach that may help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Many Korean scholars, especially in traditional culture-related fields, believe that their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 and help broaden and step up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is conviction is partly responsible for the rapid increase observed in recent years in the number of culture content-related programs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hould not, however, be assumed that traditional culture or research in traditional culture alone can have a direct effect of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e content production. Culture contents are, after all, creative products, whose success in the cultural market depends mainly on media developers’ ability to correctly grasp changing trends in popular culture. The role of the human scientists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hould be to make content developers’ access to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easier so that they may make a more meaningful use of it. The goal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make knowledge from humanities fields accessible for all, without needing the help of specialized scholars.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ndispensable enabler in achieving this goal. The role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support the practical use of humanities knowledge, by creating a knowledge-sharing system capable of accelerating its creative and industrial application.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서은숙(Eu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의 다문화, 다가치 사회로의 변화에 대처하고, 최근에 제기된 인문학 위기와 관련하여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된다. 그 하나는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다가치 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화의 기저에 있는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전통 사상을 재정립하고 그것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그것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핵심 내용을 한국 전통 사상으로 부터 대략, 仁(사랑), 和(萬物一體), 풍류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영화, 음악, 만화, 에니메이션, 게임, 케릭터 개발,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그리고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Our Korean society goes on to value-pl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In this point, we ne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nd we mee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is the core of our culture. It is the key point to mak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s cultural universality and to apply it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for the revival of Humanities. The core contents of Korean culture lies in the ancient myth, the thought of Hwarang,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e practical thought, thought of Yangmyeong study and the thought of East stud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re humanity, harmony, the spirit of Punglyu, thought of life- esteem, ethics of environment etc. I suggest that we can apply our cultural core ideas those I analyzed above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e fields of cinema, music, cartoon, animation, game, character, digitalization, cultivation of experience programs of Korean culture etc. In addition, I suggest their commercial application like e-learning and culture contents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서은숙(Seo Eun-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현대 다문화, 다 가치 사회에서 한류의 정체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여 년 전 시작되었고, 한류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한류는 주로 경제적 가치로 이해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한류의 실태와 그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였고, 한류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문제이며, 한국 문화 정체성의 기반에는 다시 인문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한류를 현재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안과 인문학 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 아시아 문화공동체 네트워크 형성 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류의 전개, 한류의 정체성-유교 문화, 풍류정신, 한류의 발전 방향-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류의 정체성에는 仁과 和 그리고 風流精神(대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현대 사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발전의 방향에는, 첫째, 인문학이 한국 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 윤리, 문학, 역사 등을 다루며,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는 이러한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것을 발전시키는데 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인문학 부흥의 필요성, 둘째,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 연구, 셋째, 열려있는 한국문화콘텐츠의 개발, 넷째, 문화콘텐츠 교과목의 개설, 다섯째, 문화 원형으로서의 다양한 한류 콘텐츠 개발 - 유교 사상, 학자 및 선비의 일대기, 향교, 서원 등의 유교문화재, 복식, 건축, 음식 등의 생활 문화, 음악,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등의 디지털 복원- 등이다. I studied on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in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Wave arose about 10 years ago and researches interpreted it as a economic value. Based o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f Korean-Wave, I summarized thoroughly about actual condition and concrete contents of Korean-Wave. And I discusse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 understood Korean-Wave as a altern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 solution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Korean culture's identity and Asian community. Based on my understanding, I discussed about Korean-Wave's development, identity(Confucian culture, and Pungnew), and direction, as well as cul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a cultural universality, Korean-Wave's identity includes benevolence(仁), harmony(和) and elegance(風流精神, the great harmony) and these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Firstly,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lise in development of Humanities. Relating to the crisis of Humanities since 2006, I think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also problems to the Korean culture's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Because the base of Korean culture is Humanities which studies philosophy, ethics, literature and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culture's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s needed. Secondly, to develop Hallu, we cultivate Hallu as a Korean cultual archetype. Korean-Wave should be not only understood as a economic value but also interpreted as a cultural concept. As one of cultural archetypes, Korean culture, especially Confucian thoughts and Pungnew,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uch more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 외국인 대상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 - 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

        어혜선 ( Eo Hyes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3 지역문화연구 Vol.22 No.1

        현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 효 문화 교육은 예절 위주의 교육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한국 효 문화는 한국인의 삶에서 뗄 수 없는 요소로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교육이다. 또한, 많은 학습자가 케이팝, 한국 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만큼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효 문화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흥미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보다 쉽게 한국 효 문화의 폭넓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한 국의 문화 이해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더욱 접근하기 쉽고, 한국 효 문화 특징이 드러나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mos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cuses on etiquette. However, Korean filial piety culture is an inseparable element in the lives of Koreans and is a necessary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emotions and culture. In addition, as many learners are beginning to become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cultural content such as К-pop and Korean dramas,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 can stimulate interes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among foreign learners. It can be a good educational material. If you use cultural content, you can more easily acquir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which can help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skill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method for educating foreigners on Korean filial piety culture using cultural content that is more accessible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culture.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정광철(Jung, Kwang Chul),조성룡(Cho, Seong Ryong),노형신(Roh, Hyung Shi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K-pop 콘텐츠’를 活用한 韓國文化敎育의 實際와 그 意味 -臺灣 內 韓國 文化 關聯 專攻 授業 事例를 中心으로-

        이하나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4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ey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constantly been discussed in oversea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his situation is no different in Taiwan where 60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In Taiwa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helped rais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spread of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Korean Wave. It is widely known that Taiwan led Korean Wave and still continues its popularity. However, only a very small number of universities in Taiwan offer major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cluding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Chinese Culture University, a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Kaohsiung. Although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s divid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Korean politics, economy, and literature), it mostly focuses on the functional training of Korean language, raising the need for various culture education. Despite such discussions, there have been no practical studies on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aiwan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scholars and teachers who can carry out Korean cultur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means, lack of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aiwan, and the lack of appropriate textbooks for Korean culture class. In response,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aiwan and proposed an actual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class using K-pop contents to find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K-pop contents in Taiwan. Above all, this paper aimed to carry out Korean culture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aiwan, since planning and designing lessons that consider their needs motivate their learning and make lessons meaningful. Through such attempts, this study could carry out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K-pop contents and find meanings to improve the curriculum. Despite the continuous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aiwan, it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This attempt is still not well-known due to the lack of detailed, practical plans. Nonetheless, it is hop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arried out in more various methods and contents. 최근 해외의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 분야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넘어 한국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이 시작된 지 이미 60년이 넘은 대만의 상황도 이와 다르지 않다. 대만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한류(韓流)를 통한 한국 대중문화의 전파를 꼽을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대만은 한류를 주도한 국가이며 현재까지도 한류 열풍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대만에서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중국문화대학(中國文化大學), 국립가오슝대학[國立高雄大學]으로 현실적으로는 그 숫자가 매우 적다. 실제로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은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한국의 정치, 경제, 문학 등 포함)으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은 대체로 한국어의 기능 교육에 치우쳐 있으며 더욱 다양한 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대만 내에서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시도는 미약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다양한 방법과 관점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수자의 부재, 대만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수 방안의 부재, 한국 문화 수업을 진행할 적절한 교재의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 내에서 한국 문화 교육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새로운 시도는 필연적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본고는 대만 내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 현황을 살피고, K-pop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문화 수업의 실제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대만에서 K-pop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대만이라는 지역의 학습자들이 가지는 특성을 반영한 한국 문화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았고,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학습의 내용을 설계하는 것이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의미한 학습으로 이어진다는 점에 무게를 두었다. 대만에서 다양한 관점과 방법의 한국 문화 교육이 아직 시작 단계에 있다. 무엇보다도 실제 활용이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했기에 이런 시도가 조금은 생소하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 대만 내에서 앞으로 더욱 다양한 방법과 내용의 한국 문화 교육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