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한국어사 지식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학문 목적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

        권화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언어와 문화 Vol.9 No.3

        Quite some of language phenomena in modern Korean language that cannot be easily explained by formal rules or principle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facts in previous gener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significant grammar teaching methods utilizing the knowledge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for grammar learning in the deepening stage by foreign learners specializing in Korean language (Korean grammar) in universities for academic purposes by selecting those grammar items that have undergone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or remain in fossilized forms among grammatical phenomena in modern Korean language and approach them in diachronic perspectives to analyze the word forms. To utilize the knowledge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gramma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bove all, teachers should hav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f teachers prepare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ctively utilizing the knowledge and apply the methods to grammar classes, the learners will go one step further from simple memorization of grammatical phenomena in modern Korean language to systematically and macroscopically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it also seems meaningful in terms of Korean language culture learning.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정당한 자리매김을 위하여

        양영희(Yang Young-hee) 한글학회 2014 한글 Vol.- No.306

        본고는 ‘국어사 교육은 과연 필요한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국어교육에 대한 원론적인 관점과 그것의 필요성을 강조한 기존 입장들이 제시한 근거,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국어교육 목표 등을 분석하여서 국어사 교육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고, 그것의 당위성을 ‘국어 지식’적 측면에서 구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국어사를 문법 교육 영역에서 독립시켜 이 두 영역을 ‘국어 지식’으로 아우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먼저 지식 전수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국어사는 문법과 같은 영역으로 묶을 수 있으나 그것이 문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보다 훨씬 포괄적이어서 문법의 하위 범주로 포함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이렇게 국어 지식 영역 안에서 문법과 대등한 관계로 설정된 국어사는 고전에 각 시대의 국어에 대한 지식을 전수하는 방법으로 연계되며, 문법은 국어 활동을 신장시키는 기반 지식으로 관여하게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is paper, therefore, analyzes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asons suggested by existing perspectives which place an emphasis on its necessity. In addition, educational objectives set in the curriculum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reaches a conclusion tha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en searches its apporopriateness based on Korean Language Knowledge.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separate Korean Language History from the field of grammar education, and then to reconstitute two fields as Korean Language Knowledge. The reason for this is, first, Korean Language History could be integrated with the field of grammar because of its strong tendency to hand over knowledge. Its contents are, however,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grammar. It is, therefore, hard to be included as a subcategory of grammar. Korean Language History,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Knowledge as an equal relationship, is connected through the way handing over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at various periods to classics. Grammar, also, interferes as basic knowledge which enhances Korean Language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치와 문학사 서술 방향

        노철 국제한인문학회 201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12

        At presen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ers is viewed on the ground of 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which makes unclear understanding the aim of educating literary history. This happens when the general model of literary education is applied unrevised to the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It is overlooked that literary history is a writing that presents literary works and literary phenomena through a system. Literary history is different from language model as a system of knowledge. Reading literary works has to do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not with the aim of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as the model of personal growth. For for foreigners, though, reading literary works also has some value as culture model. On the other hand, literary history has the aim to let the readers appreciate the value of literary works not as something separate but in the stream of Korean literary culture. Consider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likely to be simple memorization of knowledge because of the learners’ insufficient reading of literary works. So literary history texts need be designed to check knowledge on literary history through literary works. Likewise, the amount of work need be appropr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y hours arranged i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is, while we follow the existing chronological order, it is necessary to assign the amount of work tha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period. Balance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must be accounted for by checking the excess of the classical. Finall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where although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elongs to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focus of study is mainly on language education and scarcely on theories of literature, general theories of literature need be presented through reference. Such presentation of theories on literature can also be a way to provide for foreign students an access to Korean literature with a general viewpoint. 현재 외국인을 위한 문학사 교육은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의 성장 모델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사 교육을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을 그대로 적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는 문학 작품과 문학 현상을 하나의 체계로 구성한 글쓰기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문학사은 지식의 체계로서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교육하는 언어모델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인 언어모델과 관련을 갖는 것은 한국문학 작품 강독이다. 하지만 학습자의 자국어로 된 한국문학 작품 선독은 의사소통능력보다는 개인의 성장이 학습 목표에 가깝다. 다음으로 문학교육에서 문화모델은 당대 문화와 삶의 이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적지 않다. 특히 외국인에게 한국문학 작품의 읽기는 작품에 담긴 한국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문학사는 이러한 문화를 제공하지만 역사, 정치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 현상과 관련된 문학 문화라는 범위에서 제시한다. 문학사의 목표가 하나의 문학 작품을 한국 문학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안목을 갖게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어문학과 학제에서 문학사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학습자가 한국문학사를 암기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일이다. 한국문학 작품의 독서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는 문학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 작품을 통해 문학사의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 학제에서 문학사의 시수와 문학사 학습양의 어긋남이 크다. 문학사의 학습량을 감당하기에는 시수가 부족하다. 현 단계에서 시수를 늘이기가 쉽지 않은 만큼 시수를 고려해 학습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문학사의 시기구분을 따르더라도 각 시기의 핵심적인 특성을 이해할 정도의 양만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전문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제어해 현대문학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문학과가 어문학 학제이지만 문학론의 학습이 거의 없고 언어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진 현실을 고려해 보편적 문학이론을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학이론을 통한 한국문학의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가 보편적인 관점에서 한국문학을 접근하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사 지식의 유용성

        장윤희 ( Jang Yoon-hee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2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KLH) is not only ‘inert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of past period but also ‘active knowledge’ which contributes full understanding the present-day Korean language and is valu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LH is very helpful in teaching letters, phonics,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Especially KLH serves to reduce foreign student’s difficulties caused by preconceptions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many exceptional and irregular linguistic phenomena. KLH makes many learning materials understanding that seem to require simple memorials. Furthermore KLH helps foreign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well. Hen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is role of KL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손다정,정경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orean History items of the TOTKA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etermine whether they met the test's objectives, and, based on that, offer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the items on Korean history.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first sixteen tests were used to extract all the Korean history items, which were then assessed for content, item style, difficulty level,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The scope and importance of the Korean history knowledge covered in the test were confirm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rough item-typ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with only a few "knowledge utilization type" ques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items' difficulty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area had higher difficulty and a lower degree of discrimination than other areas of Korean studies. Based on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urrent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as limited in its assessment of a candidat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refore,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on how to improv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in a way that fulfills the requirements of this test while enabl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ffectively teach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ir knowledge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아요’는 왜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가

        이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In this paper, we examin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the reason why ayo doesn't appear after -ass-. This problem is brought from experience in the education field up. I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prefinal ending marker -ass/əss- was formed by grammaticalization of combination of ending marker -a/ə and existence verb iss-. Because -ass- has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iss- even after grammaticalization, -ass- needs -əyo, when it combines with ayo/əyo. In addition to these explanation, the reason why nappayo appears, not nappəyo,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vowel harmony and vowel system. Then we deal with th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we arranged the existing study and the case for grammar in Thonbury(1999), and then try to connect it with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basic probl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scussed. 이 글에서는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이 有用할 수 있는지를 ‘-아요’가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 理由를 中心으로 살펴보았다. 이 問題는 現場에서의 經驗을 土臺로 提起된 것으로 한국어교육의 현장에서 效率的 說明을 위해서는 때로 韓國語史에 대한 知識을 필요로 한다. 韓國語史에서 보면 ‘-았/었-’은 語尾 ‘-아/어’와 存在詞 ‘잇-’의 결합이 文法化하여 형성된 것이다. 文法化된 이후에도 ‘-았-’은 ‘잇-’의 素性을 가지기 때문에 ‘-았-’ 뒤에서도 ‘-어요’가 結合하는 것이다. 또한 ‘나뻐요, 바뻐요’가 아니라 ‘나빠요, 바빠요’로 나타나는 것을 母音造化와 母音體系의 變化를 中心으로 說明해 보았다. 그런 다음에 이러한 記述을 토대로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을 다루어 보았다. 이를 위해 旣存에 論議된 것과 더불어 Thonbury(1999)의 文法敎育의 必要性을 정리하고 이것을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과 連結해 보았다.

      • KCI등재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

        박형우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6

        본고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둔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한글 관련 내용만 공통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으며, ‘국어Ⅱ’와 ‘독서와 문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그 위계성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 내용이 다양화되기는 했지만 대부분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몇몇 교육 내용이 중복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국어사 내용의 선정 기준은 국어과 내용 체계인 ‘지식, 탐구와 적용, 태도’에 따라 제시하였다. ‘지식’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명확성, 학습 난이도, 시기별 대표성, 고전문학 해석과 관련한 실용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탐구와 적용’과 관련한 기준에는 학습자의 탐구 가능성, 현대국어와의 연관성,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 우리말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국어사 지식 자체의 흥미, 국어사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 국어문화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the criterion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there is no conten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xcept ‘Hangeul’ in common curriculum, and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Ⅱ’ and ‘reading & grammar’, the hierarchy of educational contents is unclear. Secondly,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contents are very various in textbooks. But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some of them is repeated in lessons of each textbook. Thirdly,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criterion can present according to ‘knowledge’, ‘inquiry & application’, ‘affectivity’. academic definiteness, learning possibility, typicality of periods, and practicalit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 literature are important criterions in ‘knowledge’. In ‘inquiry & application’, the inquiry possibility for learner, the link of present Korean language, the extension of ability for using language, the possibility of new recognition for language and culture are major criterions. And in ‘affectivity’, the interest in knowledge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possibility of leading interest i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an be consider.

      • KCI등재

        국어사 지식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추론 유형 탐색 -음운과 표기 영역에 관한 질문 분석을 바탕으로-

        강지영,김정은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learner’s knowledge construction’ and aims to analyze questions generated by students in the process of Korean history lectures at a teacher’s college, based on Korean historical themes and cognitive inference types. To achieve this, we first review prior discussions on grammar knowledge and questions, relating the nature of Korean historical knowledge to personal and general grammar knowledge and then examine the prominence of question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grammar inquiry. Subsequently, questions generated by learners in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classes at the teacher's college are analyzed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to categorize them into conceptual clarification, comparative analysis, example exploration, critical inference, and inductive inference questions.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aspects of investigating Korean as a changing entity based on the multilayered nature of grammar knowledge.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지식 구성’이라는 현상에 주목하여, 사범대학에서 진행되는 국어사 강의의 과정에서 생성된 수강생들의 질문을 국어사적 주제 및 인지적 추론 유형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법 지식과 질문에 관한 선행 논의를 검토하여 국어사 지식의 성격을 개인적 문법 지식과 일반적 문법 지식과 관련지어 고찰하고, 문법 탐구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질문의 위상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국어사 지식에 관한 학습자의 질문을 수집하여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 코딩은 국어사 지식과 학습자 질문 유형이라는 두 축에 근거하여 진행하였으며, 초점 코딩 단계에서 학습자 질문을 ‘개념 확인, 비교 분석, 예시 탐색, 비판적 추론, 귀추적 추론’ 질문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문법 지식의 다층성을 바탕으로 모어 화자가 변화하는 실체로서의 국어를 탐구하는 양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국어사 교육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고 탐구 활동을 위계화하는 데 실증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국어사 지식 및 자료 텍스트에 대한 분석

        양정호 ( Jeongho Ya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5 텍스트언어학 Vol.38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n <Reading & Grammar>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KLAC) of 2011, and to analyze six textbooks for <Reading & Grammar>. The analysis confirms followings: first, the efforts to integrate reading and grammar resulted in a layer-cake style of ‘merger’ of the two fields, ending up with another failure in integra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econd, the criteria of selecting the materials in the textbooks should be refin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This study suggests the fields of reading and grammar should be separate,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 material text. Another effort should also be made to attain the parsimony byexcluding irrelevant or abundant material tex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