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1: 문학,문화콘텐츠의 지역성과 세계화-제주를 중심으로 : 제주의 교방 문화와 기생 활동에 대한 문헌 검토 - 제주 교방,기생 문화의 문화원형 탐색을 위하여

        강경호 ( Kyung Ho Ka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본 연구는 제주의 교방 문화와 기생 활동의 문화콘텐츠화 기반 마련을 위해, 관련 문헌 자료를 검토하고 그 문화원형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 제주의 전통문화 연구에서 교방과 기생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은 대상이었다. 그러나 제주 교방은 지방 관아의 부속 기관으로 오랜 기간 존재해 왔고, 관련된 교방 문화와 예술은 그 담당층들 -기생, 악공 등- 에 의해 꾸준히 연행·전승되어 왔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제주에는 17세기 중반에 교방의 역할을 하고 있던 ‘장춘원’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17세기 이전에 이미 교방이 설치되어 지방 관아의 행사와 연희를 관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주 교방은 장춘원이라는 명칭으로 통칭되다가 18세기전후한 시기에 장춘원과 교방이라는 명칭으로 함께 존재하였다. 17~19세기 제주 교방의 기생 수는 시기에 따라 적게는 40여 명에서 많게는 80여명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제주의 교방 풍류 및 기생들의 활동을 잘 보여주는 자료는 우선 이형상의 『탐라순력도』를 들 수 있다. <제주양로(濟州養老)>, <정의양로(旌義養老)>, <대정양로(大靜養老)> 등의 양로연에서는 <포구락> 등 당대 대표적 정재 종목 및 가곡 공연이 이루어졌다. <정방탐승(正方探勝)>, <병담범주(屛潭泛舟)>에서는 제주 뱃놀이의 실제적인 연희 양상이 담겨졌고, 가장 특색있는 모습이라 할수 있는 <귤림풍악(橘林風樂)>과 <고원방고(羔園訪古)>에는 감귤 과수원 속에서의 풍류악 장면이 상세히 그려져 있다. 제주 기생들의 활동상은 이형상의 『남환박물』, 임제의 『남명소승』, 신광수의 『석북집』, 김정의 『제주풍토록』, 김상헌의 『남사록』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기록들 중 눈에 띄는 부분은 제주 기생이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에 대한 기록들이다. 임제의 『남명소승』, 신광수 『석북집』의 한시, 이능화는 『조선해어화사』(1927)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제주 기생들의 말 달리는 재예가 오랜 시간의 연습을 거쳐 쌓은 제주 기생만의 특색 있는 재예임을 알게 한다. 또한 제주 기생들이 가사(歌詞)를 불렀다는 기록들이 남아있어 흥미를 끈다. 먼저 김춘택이 제주에서 유배 시 지은 <별사미인곡>이 확인되며, 이 외 미인 곡류, 상사곡류의 가사를 제주 기생들이 불렀음이 여러 문헌에서 확인된다. 특히 <별사미인곡>은 차후 김춘택의 정인이었던 제주 기생 석례에게 불려지며 상사의 가사로 전승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며 제주 교방과 기생 문화의 문화콘텐츠화 방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교방 정재의 공연 문화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 교방·기생만의 특색 있는 공연 및 연희를 기획하여 문화콘텐츠화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제주 기생들의 가창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문화콘텐츠화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that illuminates the Cultural Archetype which is for content of the Gyobang culture and Gisaeng activity of Jeju. Meanwhile, it was Gyobang and Gisaeng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are not covered important subject. However it Gyobang of Jeju came in existence a subsidiary agency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for such a long time. In this context culture and art of gyobang, By the Class in charge-Gisaeng, a court musician etc.-, steady performance and was handed down.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depending on the time of Jeju gyobang Gisaeng were 40-80 people. First, a good resource that can be seen Gyobang elegance and Gisaeng activity of Jeju can be given Tamrasunryeokdo of Lee-hyeongsang. The Yang-ro Yun such as Jeju Yang-ro, Jeongyui Yang-ro, Daejung Yang-ro played contemporary Jungjae, Gagok. Jeongbang Tamseung, Byeongdam Bumju was contained in a practical aspect of Jeju boating. Which can be called the most distinctive aspect Gyulrim Pungak and Gowon Bango There are elegance scene is depicted in detail in the a tangerine orchard. The Gisaeng activities of Jeju is confirmed through multiple literature. The Gisaeng is running record on horseback is the most prominent being recorded. The feat of riding a horse through literature Jeju Giaseng recorded content can be seen that the distinctive talents of Jeju only virgin gain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time. In addition, Sang Gasa Jeju Giaseng attracts interest remains were recorded. First, Kim Chun-taek built during exile in Jeju Byulsamiingok. In addition confirmed in the literature which is called by Jeju Giaseng on Gasa of Miingok and Sangsagok. In particular, Byulsamiingok the lyrics were handed down by affection. cause of sang Jeju Giaseng Seokrye who is lover of Kim Chun-taek Briefly summarized this discussion and comment on the cultural content and direction of the Jeju Gyobang, Giaseng culture as follows. First, you need to activate the performance culture of Jeju Gyobang JungJae. Second, planning a distinctive performances in Jeju Gyobang, Giaseng the need for cultural content are required. Third, the singing culture of Jeju Giaseng can be reinterpreted by contemporary culture to the conten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재우(Park, Jae Woo) 한국사연구회 2013 한국사연구 Vol.162 No.-

        This study researches critically to arguments about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he latter Koryo.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was consist of the processes of the selection of Jeongbang, the decision of King, the proclamation of personnel document, the issue of appointment certificate, the enforcement of Seogyeong, the issue of Sacheop. In the latter Koryo, Jeongbang selected the officials, and the object of selection was all of civil branch and military branch. The personnel document was written by the selection proclaimed through the decision of King. The regular personnel administration carried out on June and December, then this was based on length of their service and assessment of merits and demerits. The regular personnel administration represented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he latter Koryo too. The officials received the appointment certificates, which were called Gwangyo or Gyocheop. The officials who were above fifth rank received Gwangyo, and the ones who were below sixth rank got Gyocheop. The personnel document was also called Bi-Pan, which means the decision of King about the personnel appointment. The division of Bi and Pan was different from civil branch and military branch. The civil branch was separated between Chamsanggwan and Chamhagwan, and the military branch was separated between third rank and fourth rank. Bi-Pan didn’t mean direct appointment of King, and also didn’t show the procedure of appointment. Every officials which from first rank to ninth rank received Seogyeong in the former and latter Koryo. Therefore the issue of Sacheop was not a newly established system in the latter Koryo.

      • KCI등재

        고려 최씨정권의 政房 운영과 성격

        박재우 한국중세사학회 201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0

        The military generals who seized power as well as control over the government with armed forces did not abandon the civil system of administration entirely, and instead decided to use it to their favor in order to wield more power. This kind of trend was reinforced during the Choi regime. Choi Chung-heon gained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was appointed to many illustrious posts, including the prime minister seats, heads of the Ibu and Byeongbu offices, head of the monitors office and also that of the supreme commander. Choi Ih and Choi Hang also walked the same path, while Choi Eui was assassinated before he was able to secure such posts. Leaders of the Choi house intended to exclude the Ibu and Byeongbu offices from the governmental appointment process, and wanted to monopolize the authority to select and appoint governmental officials. They used another location other than the palace for the process, such as private civilian residences or the Jeongbang hall. It should be noted that all the appointments authorized them were not illegally processed ones based upon unjustified and unwarranted use of authority. At the time the people behind such processes, the Choi house leaders, were already assigned to the head posts of Ibu and Byeongbu, and were legally authorized to intervene in the appointment processes. The appointment orders were issued from private places, but they were issued by entities who were entitled to do so. The process too was not to select private servants for the Choi house, so it was recognized and acknowledged as official functions of the government. The Choi regime leaders who had stronger power than the king, used their own authority and power as heads of the Ibu and Byeongbu offices. This shows us that even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Goryeo’s administrative system was still functioning. The Choi regime did not abandon it or replace it with yet other ruling system, but wielded its power by seizing control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tself. The installation of the Jeongbang(政房) office was also intended to do just that, monopolizing the official appointment process in order to get control over the entire administrative system.

      • KCI등재

        고려 무신정권기 敎定都監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박재우(Park, Jae-Woo)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교정도감은 최충헌 부자를 죽이려 하였던 청교역리 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충헌이 희종 5년 4월에 영은관에 설치한 관료기구였다. 교정도감의 구성으로는 장관인 교정별감과 수취를 담당한 교정수획원이 있었는데 이들은 국가나 국왕이 임명하는 관료였다. 특히 교정별감은 집권무신에게 임명하는 관직이어서 교정도감의 정치적 위상은 무신정권의 다른 지배기구보다 훨씬 높았다. 그리고 문서 행정을 담당한 문신도 있었다고 추정된다. 교정도감은 정치적 반대자나 모반자의 색출과 처벌, 정보 수집과 규찰, 그리고 죄인의 재산 몰수와 분배를 담당하였다. 또 관료기구라는 점을 이용하여 공문서를 보내 인재의 천거를 요구하거나 청탁을 받아 지방 수령에게 행정 조치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庶事를 관장하였고, 재정원을 과도하게 확보하고 교정수획원을 보내 수취와 수탈을 자행하였다. 이로써 교정도감은 무신정권의 政廳이 되었다. 다만 교정도감이 庶事를 담당한 것은 무신정권이 권력을 남용한 결과이며, 3성 6부의 관료제도를 제도적으로 통솔하면서 국정 전반을 장악한 것은 아니었다. 교정도감이 국정 전반을 장악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집권무신의 권력행사의 통로가 다양하였기 때문이었다. 우선 집권무신의 권력의 출처는 그들이 보유한 군사력이고 정규 관직이나 교정별감이 아니었다. 그렇다고 해서 관료제도가 완전히 무력하였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집권무신들은 재추, 이부와 병부, 어사대, 승선 그리고 상장군 등의 정규 관직을 얻어 정치적 지위와 권위를 높이고 국정운영의 중심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관료제도는 교정도감과 기능이 달라 서로 별개로 운영되었는데, 고려 국정운영의 최고 회의체로서 재추가 국가 중대사를 회의하던 재추회의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므로 교정도감이 국정 전반을 장악하였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정방, 도방, 정방 등도 교정도감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교정도감의 지휘를 받지 않았다. 교정도감은 무신정권이 자의적으로 庶事를 관장하는 政廳이었으나 3성 6부의 관료제도나 정방, 도방, 서방 등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이들을 관할하거나 통솔하지 않았다. 군사력을 바탕으로 권력을 잡은 집권무신은 기능과 역할이 서로 다른 교정도감, 정규 관직 그리고 정방, 도방, 서방 등의 다양한 기구를 각각 장악하고 권력을 행사하였다.

      • KCI등재

        고려 최씨정권의 권력행사와 왕권의 위상

        박재우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6

        Examined in this study is in what kind of fashion the Choi military regime used its power, and unlike previous studies, instead of viewing the situation with relation to the king’s own withering leadership, I would like to analyze it in terms of how the official system was maintained, and established procedure was utilized by the military regime leaders. Even during the miliary regime period, the Three Secretariats and Six Ministries(“3S-6M”) remained as players in the primary power structure, as they had been ever since their establishment in the early days of Goryeo. But when it came to the issue of dealing with their political enemies, the Choi regime did not adhere to principles or procedures, and used its power mercilessly. And it also placed new ruling mechanisms like Dobang(都房), Seobang(書房), Jeongbang(政房) and Gyojeong Dogam(敎定都監) outside the aforementioned power system(“3S-6M”). However, interestingly enough, it was not an attempt to create another ruling structure outside the previous one. It was rather to take control of the governmental officials in general. Members of the Choi regime also assigned themselves to traditionally crucial seats inside the government, such as the Jaeshin(宰臣) and Chumil(樞密) seats, seats inside the ministries of governmental personnel and the military(吏兵部), and also the Monitor office(御史臺), and controlled the government from there. The king retained the entitlement to approve and authorize important dynastic matters, but was not able to reflect his will or opinion in such process. But even when the king was not allowed to use his power properly, the military officers were never provided with such power either. The Choi regime members understood themselves as vassals. But they also justified their usage of power which suppressed that of the king, with the notion that they were ‘assisting’ the king(“輔相”), and received treatment that greatly exceeded those of other ordinary officials. The kings were still granted with the authority as leaders of the dynasty, as they were the descendants of the founder king, but only when their interests did not collide with those of the military regime members. The kings were utlimately oppressed in their usage of power.

      • KCI등재

        고려 후기 權守平 家門의 성장과 그 시대적 의미

        최기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논총 Vol.61 No.-

        본 논문은 고려 후기 安東權氏 權守平 가문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권수평 가문은 시조 권수평(?~1250)이 최씨 집권기에 하급 무신으로 중앙에 진출한 이후 성장을 거듭해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중앙의 주요 가문을 형성했다. 이 가문의 성장 과정은 고려 후기 지방 출신의 무반 가문이 중앙의 유력한 문반 가문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시에 한 가문의 성장이라는 미시적 사례를 통해 고려 후기 사회 변화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 권수평은 출신이 분명하지 않은 인물로, 하급 무관에서 시작해 정3품 추밀원부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는 신분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으며, 경제적 여건도 좋지 못해 출세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도 권수평이 출세할 수 있었던 것은 최씨 집권기라는 시대적 특수성 덕분이었다. 권수평은 유능한 무반으로서 최씨 정권의 안녕을 위하여 아들 權韙(?~?)와 함께 대를 이어 봉사하였다. 그 결과 권수평은 여러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에 가문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최씨 정권이 무너진 이후 권수평 가문은 무신 집정자의 측근 세력이라는 정체성을 탈피하고 기존 문신 관료를 중심으로 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일대 전환을 맞았다. 권수평의 손자 權㫜(1228~1311)은 가문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권단은 고려 후기 중앙의 실력자였던 柳璥(1211~1289)을 중심으로 과거제와 천거제에 기반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상당한 정치적 편의를 보았으며, 그 자신도 문생을 배출함으로써 독자적인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때에 이르러 권수평 가문은 유경의 집안과 혼맥까지 구축함으로써 명실상부 중앙 문신 가문의 주요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권수평의 증손자인 權溥(1262~1346)는 정치적으로 성공한 부친의 후광과 더불어 처조부인 유경과 좌주 朴恒(1227~1281)의 후원 아래 수월한 관직 생활을 했다. 권부는 자신과 가문의 정치적 경제적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권부는 고고한 학자의 얼굴을 지니면서 동시에 벼슬을 사고팔아 재물을 축적하는 탐욕스러운 관리의 얼굴을 지녀야 했다. 한편, 권부는 새로운 사상적 조류로서 성리학의 파급력을 인지하고 새로운 선진 사상의 유행을 선도하고 나아가 중앙 문신 사회 전반의 변화를 주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관학을 기반으로 권부를 비롯한 초기 성리학 수용자들의 학맥을 계승한 지식 관료들이 고려 말 개혁 담론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으로 발전하는 데에 있어 기반을 제공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