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풀이>의 서사적 지향과 제의적 의미

        신호림 ( Shin Ho-rim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본고에서는 <장자풀이>의 서사가 지향하는 바를 살피고 이를 통해 그 제의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먼저, 사마장자를 일개 악인으로 보지 않고, 천상계와 배타적 관계를 맺고 있는 지상계의 집단으로 보았다. 사마장자는 天/地로 분절된 이분법적 공간구조 속에서 天의 영역 또는 그와 관련된 인물과의 `소통 불가능성`을 상징하는 지상계의 집단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죽음은 지상계와 천상계의 관계를 재구성한다. 사마장자에서 며느리, 소강절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지상계와 천상계의 거리가 좁혀지며, `사자굿`을 통해 두 공간은 교통된다. <장자풀이>의 전반부는 이처럼 지상계와 천상계로 표상되는 이승과 저승이 `죽음`이라는 파격적인사건에 부딪쳤을 때 배타적 관계를 허물고 소통해야 한다는 당위를 보여준다. 이는 현세적 가치를 중시하기보다는 현실 너머의 영역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와 연결된다. 후반부 서사는 연명담으로서, <장자풀이>에서는 희생대체의 과정을 통해 백마라는 동물의 희생으로 나아간다. 백마는 1차적으로는 희생대체물이지만, 2차적으로는 `죄를 지은 사마장자`라는 상징을 얻는다. 이런 과정은 죽음에 서려있는 부정의 기운이 이승에 있는 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 기운을 없애야만 액운을 면한다는 의식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씻김굿`이 등장함으로써 망자의 한을 풀어야 생자가 액을 막을 수 있다는 인과적인 논리를 보여준다. <장자풀이>는 `고풀이`라고도 불리고, `액막이`라고도 불린다. 고풀이는 망자의 한을 푼다는 뜻이고, 액막이는 생자의 삶에 위협을 가하는 부정한 기운을 물리친다는 뜻이다. 개별적으로 보이는 두 측면은 <장자풀이>에서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곧 <장자풀이>가 죽음을 맞이했을 때 인간이 갖춰야할 당위적 태도를 강조함을 알려준다. 즉, <장자풀이>는 이승과 단절된 저승의 벽을 허물고, 망자의 고를 풂으로써 생자의 액을 막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서사화시킨 무가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vestigating the aim of narrative and ritual meaning of < Jangja-Puri >. First, Jangja is not the ordinary character that is regulated as an evil being, but some symbol of specific group that rules the ground space. Jangja shows an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ground, thereby he puts the certain meaning out of the text `incommensuration`. With the flow of narrative, Jangja gradually steps forward to the heaven space through the characters like daughter-in-law and fortune-teller. Finally Jangja throws gut, Korean traditional ritual form, when he confronts the `death`. So we can say that < Jangja-Puri > means some duty that people on the ground have to communicate with `the next world` when they meet their own death. < Jangja-Puri > also shows a surrogate victim for sacrifice substitution by using the white horse as a scapegoat. Jangja should throw another gut named `Sitgim` which means `washing`. This is the metaphor that people on the ground are required to exterminate the grudge of the death.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grudge and misfortune is found here, so we can see the ritual meaning of < Jangja-Puri >. < Jangja-Puri > emphasizes not only on secular values, but also on the duty of people on the ground when the death comes to them. < Jangja-Puri > is a specific metaphoric narrative that we have to resolve the grudge of the death, thereby we can prevent ourselves from the misfortune by demolishing the wall between this life and the next life.

      • KCI등재

        擬話本小說 「莊子休鼓盆成大道」 연구 ‒ 남성 인물을 중심으로 ‒

        신은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6

        This work is a uihwabon novel by Pung Mongnyong who was active in Myung Period. Uihwabon novels, a new style narative form which remodelled existing hwabon-a kind of storytelling performance-based texts-as something for reading, comprise prologue, body and epilogue. This work is notable in the two aspects as follows: one is that in this work the figure of Jangja as a husband is more empathized than as a taoist, the other i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one to describe Jangja between the parts of prologue and epilogue and body part. Unlike in the body part the third-person narrator describes Jangja’s character, in the parts of prologue and epilogue the storyteller leads the story and describes Jangja with first-person narrator’s point of view, to the extent that the writer becomes easily involved in the story and the description of Jangja. As a result in the body part the character of Jangja tends to be “shown” by his dialogues and actions, in the rest two parts that tends to be “told” by the writer who disguises as storyteller. I would focus on Jangja’s figure that is “shown” in chapterⅡ and on Jangja’s figure that is “told” in chapter Ⅲ, thereby exploring Jangja’s character as a husband who is possessed with ‘infidelity delusion’ in chapter Ⅱ and that as a great person who achieved “awakening.” In chaper Ⅳ I would consider writer Pung Mongnyong’s way of thinking as a background to cause such a difference. 「장자휴고분성대도」는 명나라 때 문인 풍몽룡이 지은 의화본 소설이다. 의화본은 기존의 話本을 읽기 위한용도로 윤색하거나, 화본의 체제를 모방하여 讀物의 형태로 창작한 것을 가리키는데 화본처럼 입화 ‒ 정화 ‒ 결미로 구성된다. 이 작품은 여러모로 흥미를 유발하는데 이 글에서 특히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한다. 첫째 이작품에는 道家 사상가로서의 장자의 公的인 모습보다는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의 私的인 면모가 집중적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것과 둘째 장자에 대한 시각이 입화·결미 부분과 정화 부분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정화는 서술자가 3인칭 시점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가는 것에 비해 입화와 결미 부분은 설화인이 1인칭 시점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에 작자의 개입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장자의 모습이 정화에서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보여지는’ 양상을 띠고 입화와 결미에서는 설화인의 목소리를 빌린 작자에 의해 ‘말해지는’ 양상을 띤다. 그리하여 Ⅱ장에서는 ‘보여지는’ 장자의 모습에 Ⅲ장에서는 ‘말해지는’ 장자의 모습에 중점을 두고논의했다. ‘보여지는’ 장자는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는 부정망상을 지닌 남편의 모습이고 ‘말해지는’ 장자는 대도를 성취한 인물의 모습이다. Ⅳ장에서는 이같은 차이가 유발되는 동인으로서 작자 풍몽룡의 가치관, 사고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지명전설의 공간 콘텐츠화 양상 연구 - 태백 황지 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윤인선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1 No.-

        This paper studies how the legend of Jangja-Pond in Hwangji, Taebaek, Gangwon-do is communicated through spatialized content. To this end, we look at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ence world in which the legend of Jangja-Pond of the Hwangji, which is passed down orally and forms the meaning of the story world, is communicated through the spatialized content of the park. Oral transmission and the legend of Hwangji Jangja-Pond,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spatial content, have in common that they consist of a story or visualization of the narrative of Hwang-rich and his daughter-in-law through the medium of a place called Hwangji Pond. Nevertheless, the legend of Jangja-Pond of Hwangji, which is communicated through the story world, emphasizes the fictionality of <Daughter-in-law’s Rock> and the tragic nature based on this content. However, the legend of Jangja-Pond of Hwangji, which is communicated in experience world through spatialized contents, shows the reality that <Hwangji Pond> is a medium and the historical and functionality of Hwangji based on this are emphasized. This difference ultimately appears in the context of how the legend of Jangja-Pond of Hwangji, which is communicated in story world, was reconstructed into spatial content. As can be seen from <Hwangji Pond> and <Daughter-in-law Park> that were parke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turning the fictionality of the legend of Jangja-Pond of Hwangji into content focusing on the reality through the functionality and historicity of the place is ultimately the legend of place name. Only a part of the humanity geographical information it possesses is embodied. Therefore, in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of tthe legend of nomin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rection in which not only humanity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facts can be communicated, but also humanity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the legend of place name itself, even if it is based on fictionality. 본고는 강원도 태백 황지 장자못 전설이 공간화된 콘텐츠로 소통되는 양상에 대해연구한다. 이를 위해 이야기 세계에서 의미를 형성하며 구비전승되는 황지 장자못 전설이 공간화된 콘텐츠인 공원으로 소통되는 경험 세계의 구성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구비전승 그리고 공간 콘텐츠화된 황지 장자못 전설 모두 <황지 연못>을 매개로 황부자와 며느리의 서사를 이야기로 혹은 가시화하여 구성하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구비전승되는 황지 장자못 전설은 <며느리 바위>를 매개로 하는 허구성에바탕을 둔 비극적 성격이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공간화된 콘텐츠로 소통되는 황지 장자못 전설은 <황지 연못>을 매개로 하는 사실성에 바탕을 둔 황지의 역사성과 기능성이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궁극적으로 구비전승되는 황지장자못 전설을 어떻게 공간 콘텐츠로 재구성했는가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공원화된 <황지 연못>과 <며느리 공원>에서 알 수 있듯이, 황지 장자못 전설이 지닌 허구성을 장소가 지닌 기능성과 역사성을 매개로 하는 사실성에 초점을 두고 콘텐츠화하는 과정은 궁극적으로 지명전설이 지니고 있는 인문지리적 정보의 일부분만을 형상화한다. 따라서 지명전설의 콘텐츠화 과정에서는 사실성에 바탕을 둔 인문지리적정보뿐만 아니라, 비록 허구성에 바탕을 두고 있을지라도 지명전설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의 의미에 바탕을 둔 인문지리적 정보 역시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장자 사상을 통한 한국교육의 대안 모색

        허수선(Huh, Su-Seu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이 글은 ‘外馳’를 간과해서 일어난 한국 교육의 현실을 정리·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방안을 장자 철학에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장자 철학의 교육 사상적 강조가 현 교육계에 유의미함을 제시함과 동시에 현 교육 현실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는 대략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현 한국사회 및 교육은 생명을 방치한 채 ‘外馳’로 치닫는 물질 중심의 도구주의 사회로 전락하였다. 그 결과, 교육이 교육 그 자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 채 외물적 시대 이념에 구속당하였다. 이에 교육은 철저하게 시대 문제를 진단해야 하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철학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현대 한국 교육의 양상과 문제점을 장자사상을 통해 분석해 보면, 逆物之敎 :경쟁과 결과만을 중시하는 교육, 曲士之敎 : 지식만 강요하는 교육, 亡身之敎 : 생명을 경시하는 교육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대사회의 인간존엄성 상실과 도덕적 해이현상 등의 전도된 가치관을 바로 세우려는 총체적인 노력의 과정 즉, ‘外物’의 수단으로 전락한 교육을 바로 세워야 한다. 이에 外馳’ 중심의 사회에 대한 비판정신 및 인간 본래성 회복을 강조한 장자사상을 통해 인간 내면을 바로 세우려는 교육철학이 필요한 것이다. 장자사상을 통해 본 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 방안은 兩行之敎 : 개별성의 교육, 任自然之敎 : 자발성의 교육, 逍遙之敎 : 생명 존중의 교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모색은 획일적 강제성을 띤 집단주의 교육에서 개개의 자유와 평등이 기반 되는 자발성 및 개별성 교육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또한, 장자의 생명존중사상 및 자연주의 사상은 인간과 관련된 각종 생태환경 및 의료윤리교육 등에 이념적 토대를 제공함과 동시에 현대의 인간중심주의 내지는 자기중심주의적인 교육관에 대한 비판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제 우리의 교육을 되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心齋”의 자세를 가지고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아야 하며, 참사람 구현을 바탕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This study mainly analyzed Korean education system that ignored the ‘Oechi(外馳)’ and tried to find the problems and their countermeasures from Jangja’s idea. Through this, the study suggests not only the importance of Jangja’s idea in today’s education system, but also the new directions toward today’s problematic education system.. Below are the studies about suggested topic above. Today’s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has been degenerated into instrumentalism centering on material, which does not care about the life but heading to ‘Oechi(外馳)’. Consequently, education did not function well and it was captured in instrumentalism ideology. The education should diagnosis today’s problems and should be able to suggest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s. Analyzing modern Korean educational aspects and problems through Jangja’s idea,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Yeogmuljigyo(逆物之敎): education that only pose importance on competitions and consequences, Gogsajigyo(曲士之敎): education that only emphasizes knowledge, Mangsinjigyo(亡身之敎): education that disvalue the life. In order to deal with today’s problems, overall effort, which tries to correct the lost of human’s dignity and a laxity of sense of morality, is needed. That is, the society should be stood straight from the education which became the means of ‘Oechi(外馳)’. This is the reason why we need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tries to correct human’s inner side via Jangja’s idea that criticized ‘Oechi(外馳)’ centered society and emphasized recovery of originally of human. Alternatives about today’s educational problems through Jangja’s idea are Yanghaengjigyo(兩行之敎): education on individualism, Imjayeonjigyo(任自然之敎) : education on spontaneity, Soyojigyo(逍遙之敎) : education on life respect. Searching solutions process means the change from collectivism education, which has the one way forcing aspect to spontaneity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hich forms the base of freedom and equality of person. Jangja’s idea on life respect and naturalism offers the infrastructure on ideology about ecological system and medical ethical education related to human being. It also can be critical alternative about modern anthropocentricism or self-centeredness educational perspective. Now we should search the new educational way that can reflect our education by having ‘Simjae(心齋)’ perspective and als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actualize a true man.

      • KCI등재

        申維翰 산문의 擬古性과 『莊子』 패러디

        이현호(Lee Hyun-H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This paper"s purpose lies in the study of Sin Yo-Han"s prose. The theory of literature in Sin Yo-Han attended in recent year, but the characters of his literature don"t studied yet. The study about theory and characters in the literature of Sin Yo-Han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se history of cho-sun dynasty in the latter period.   Sin Yo-Han likes JinHan-gomun(秦漢古文) better than DangSong-gomun(唐宋古文) from childhood. He perceives that JinHan-gomun is very different from DangSong-gomun, represented as gomumjinbo(?古文眞寶??)?munjangguebum(??文章軌範??). also he considers to the heresy of yukre(六藝). But he regards the difference of two prose style through a syllable. the characters of DangSong-gomun is refinement and construction of sentence, but the characters of JinHan-gomun is simplicity and vividness practiced from the ellipses of a postpositional word. The express, encouraged after read a Joagunyung(左丘明) and Samachun(司馬遷), say that he intersts about application of word and sentence. It appeared to pashtiche of ancient style and parody. The case of quote is various. Change only some word, change classical sentence, change the meaning, etc.   Also Sin Yo-Han evaluates Myung period(明代) eogomunpa(擬古文派). In this, he says that eogomunpa only imitated classic. Sin Yo-Han recognized that the defect of eogomunpa is imitation and piracy. Soon after, Sin Yo-Han criticizes eogomunpa and intended to classics himself.   In the inclination of JinHan-gomun, he likes works of Seohan(西漢) period more than anything else. But in the works of Seonjin(先秦) period, he only interested to Jangja. In this, we surely know that he regards Jangja as a classics of JinHan-gomun.   He thinks the point of Jangja as that emptiness exist in the practice and practice exist in the emptiness. This appoints the fantasy of Jangja. Sin Yo-Han parodies Jangja, and writes bechudanggi(比鰍堂記). This work parodies the logic and phrase in Jangja?Sagi(史記)? choachun(左傳), but the character of original works realized in he"s work more than other JinHan-gomun writers.   본고는 신유한의 산문을 고찰하고자 한다. 신유한의 연구에서 그의 문학론조차 최근에 들어서야 주목받기 시작했을 뿐, 그의 산문작품까지는 언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유한의 문학론과 그의 작품 검토는 조선 후기 진한고문가의 사적인 전개 맥락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신유한은 어려서부터 당송고문보다 진한고문을 더 선호하고 지향하였다. 신유한은 자신이 선호해서 익혀온 진한고문이 ??고문진보?????문장궤범??으로 대표되는 당송고문의 문장과 크게 다름을 파악하고, 당송고문을 六藝(곧, 육경)의 이단으로까지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신유한은 양자 사이의 차이를 音節을 매개로 하여 인식하고 있다. 진한고문은 당송고문에서 나타나는 허사의 사용을 통한 유려한 문장이나 단락의 구성과 같은 측면보다 허사를 배제한 간략한 字句의 운용을 통해 생동감과 문기 추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신유한이 ‘좌구명, 사마천의 몇 행의 구법을 듣고 문득 고무되어 읽었다’고 한 것도 바로 이 자구의 운용에 특히 관심이 있었음을 말한다. 이러한 신유한의 의고성은 고투의 표현을 쓰거나 고전 에서 字句를 가져다 쓴 것으로 나타난다. 고전에서 字句를 가져다 쓸 경우 문장의 통사구조는 그대로 둔 채 몇 글자를 바꾸어 썼고, 다른 부분은 그대로 둔 채 특정한 句에서만 통사구조를 바꾸어 고전에서의 의미와는 다른 의미로의 변전을 꾀한 경우가 있다. 진한고문가의 산문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까닭은 이처럼 원문을 변개하거나 출처에 대한 아무런 단서도 없이 특정 부분만을 가져다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신유한은 명대의 의고문파인 이몽양ㆍ이반룡ㆍ왕세정ㆍ왕도곤을 평가하면서 이들이 作氣가 고동하여 천고를 당겼지만 결국 당송의 궁실에 누운 채 진한의 의관을 빌린 격이 되어 그 眞에 이르지 못할까 두렵다고 하였다. 당송의 궁실에 누워 진한의 의관을 빌렸다는 말은 당송고문의 문투를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진한고문을 흉내냈다는 말이다. 의고문파 의 결함인 모의와 표절을 신유한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眞’이다. 신유한이 말하는 ‘眞’은 문맥상 ‘天機’라는 측면보다 ‘古’ 그 자체, 곧 眞古를 가리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요컨대 신유한은 명대 의고문파의 글이 옛 글을 흉내만 냈을 뿐, 진정한 옛 글을 쓰지는 못했다고 평하였다. 곧 신유한은 명대 의고문파의 글조차 옛 글을 흉내만 낸 것이 라 비난하면서 자신은 진정한 고투의 글을 지향했던 것이다.   신유한이 진한고문을 지향한 면모를 짚어보면 신유한은 진한고문 중에서 西漢의 글들에 보다 더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신유한은서한의 글이 아닌 선진의 글 중에서 제자백가의 글로는 유일하게 ??장자??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니 ??장자??도 역시 진한고문의 전범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신유한은 ‘實 중에 虛가 있고, 虛 중에 實이 있다’는 말로써 장자의 문장을 높이 사고 있다. 이 實과 虛가 분명한 경계를 갖고 있지 않고 서로 넘나들며 소통하고 있기에 이는 다름 아닌 ??장자??의 虛幻性을 지적한 것이다. 이처럼 ??장자?의 문장을 높이 간주했던 신유한의 작품 중에 ??장자??를 패러디한 ?比鰍堂記?가 있어서 주목를 받고 있다. 신유한이 ??장자??라는 원텍스트를 패러디하여 창작한 패러申維翰 산문의 擬古性과 ??莊子?? 패러디 디텍스트인이 ?비추당기?는 비록 ??장자?????사기?????좌전??과 같은 여러 고전을 원텍스트로 삼아 논리와 문구를 패러디하였으나, 패러디텍스트가 지나치게 원텍스트에 매몰되어 결국에는 표절과 모의에 그치고 마는 결함을 일정 정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패러디텍스트가 원텍스트의 특징인 虛實의 변전이라는 허환성을 잘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신유한의 진한 고문 지향과 眞古의 추구가 비교적 효과적으로 발휘된 작품이라 하겠다.

      • KCI등재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선야설(宣夜說)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은석민 ( Seok Min Eu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구 대한원전의사학회 )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2 No.1

        Seonya theory(宣夜說)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agalaxy model in the ancient times. Unlike the other important metagalaxy model, it had the concept that the sky is not in the solid state but is just the infinite space which is full of gi(氣). But Seonya theory, though it had partially the superb academic thought, it had gradually become the forgotten thing among scholars in the ancient times. Since then, once forgotten Seonya theory was reconstructed again in Song(宋) dynasty, and Jangjae(張載) did the main role at that time. In the historical sequence like this, we need to take notice of one thing that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had worked on Jangjae as the origin of his sunya theory. So we also need to take notice of one thing that 『Hwangjenaegyeong』 is just a rare document that comprises the academic thought of Seonya theory which had once been forgotten in ancient times. Based on the historical situation like thi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dea that the discuss on the Jangjae`s Seonya theory would be a good way to think of the cosmic theory of 『Hwangjenaegyeong』 and the theoretical thought derived from them. So this study will first look into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onya theory of ancient times and of 『Hwangjenaegyeong』 and through the study on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Jangjae(張載)`s Seonya theory, will also think of the significance of the thought of Jangjae`s Seonya theory that would be some help to the research on 『Hwangjenaegyeong』.

      • KCI등재

        절망의 개념을 통해 본 <장자못 전설> 속 ‘돌이 된 며느리’의 존재적 의미

        김혜미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71

        This study viewed the notion of “daughter-in-law turning into stone” as the process of becoming oneself. Accordingly, it was newly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 of “despair” in Kierkegaard’s “Sickness unto Death.” In “The Legend of Jangja Pond,” the daughter-in-law's encounter with Go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ntering a new world. However, she becomes the stone of despair between Jangja's space and the world. The daughter-in-law was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of her freedom. When she looked behind her, she turned into a stone, and the stone symbolized that situation of despair. However, in “The Legend of Jangja Pond,” the daughter-in-law does not just express herself as a “stone” for being unable to live as herself. It was also hoped that she could become herself. The symbol expressed as “Maitreya” or “Buddha” ultimately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Legend of Jangja Pond” to find its own identity. The story is about not giving up on the hope of successfully finding yourself. The daughter-in-law is lost in her despair. She loses direction in her life in the midst of an alien world. However, this means that she must despair to reach the moment wherein she can explore her identity. Accordingly, through the content of being embodied as a Buddha rather than just a stone, the subjects of the transmission can experience a fleeting moment of despair, and the daughter-in-law in stone reveals the meaning of her existence at that moment. The story does not tell us “what” the self is. It does not specify the type of life one should live. It merely mentions that despair is necessary, and it is important for each person to reveal the meaning of their own identity. No one can tell anyone how to live. All we can do is despair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ourselves in the meantime. “The Legend of Jangja Pond” can be seen as not only showing itself as something that stands still and thinking on its own but also as an invitation to live as a being of self-becoming in the subsequent process.

      • KCI등재

        연기 장재리 출토 철겸의 제작방법 연구

        조현경,조남철,이선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4

        철겸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도구이다. 농기구는 물론 무기로 사용된 경우도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농기구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형태적 변화에 대해 이루어졌다. 과학적 분석 사례는 많지 않으므로이 논문에서는 철겸의 금속학적 분석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연기 장재리의 철겸 2점을 분석하고 인근 유적인 연기송원리에서 출토된 철겸의 금속학적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3점 모두 단조 성형, 열처리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연기장재리의 No.1 철겸은 담금질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확인되었다. 연기 장재리의 No.2 철겸은 다른 2점에 비해 고온의제작환경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연기 송원리의 철겸보다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Iron sickle is tool us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 It has agricultural feature as well as is used in weapon.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features of farming tools. In this study, metallurgical analysis of iron sickles are introduced because examples of analysis for iron sickles is rare. Two sickles form Yeongi Jangjae-ri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one sickle of Yeongi Songwon-ri. Three sickles have forging molding process and heat treatment process. No.1 sickle of Jangjae-ri have martensite of quenching. No.2 sickle of Jangjae-ri was undergone high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others. This show manufacturing technology of sickles from Jangjae-ri in over the Songwon-ri's.

      • KCI등재

        무속신화에 나타난 장자형 인물의 존재양상과 성격

        권태효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ere are various groups of characters in shamanism mythology. The person who pays particular attention in this article is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is a villain who does evil on the basis of wealth and ends up in conflict with God, and appears in many different forms in the mythology. The 'punishment of millionaire' tale of Shamanism mythology is closely related to <legend of Jangja-pond>. There are two related aspects. The <legend of Jangja-pond> is a form of Shamanism mythology that appears as a part of the myth of shamanism, the same evil figure character as the millionaire of legend of Jangja-pond. A character type of millionaire in shamanism mythology has a wide variety of data and forms, and various processes according to punishment. Therefore, the punishment of millionaire appearing in <legend of Jangja-pond> was recognized as a specialization of a certain part of 'punishment of millionaire' tale of shamanism mythology. Based on this review of the data, I understood that there were three stages of variation when I grasped the first generation of myth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of world creation myth. The first stage is a form in which a creator, who appeared together with a god or a creator who assisted creation and ordination, was punished by the creator while providing the source of evil while deceiving or interfering with the creator. The next step is to challenge the gods as the human world becomes prosperous and the evil floods while the human world takes its place, and eventually the gods are destroyed by certain wicked people or mankind. Going one step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early established, and it is the stage in which the wicked is devoted to the appearance of God by fearing that he will be punished by disease or death by God. 무속신화에는 다양한 인물군이 등장한다. 이 글에서 특히 주목하는 인물형은 장자형 인물이다. 장자형 인물은 부를 바탕으로 악한 행위를 일삼고 신과 대립하다가 결국 신에게 징치당하게 되는 악인형 인물로, 여러 무속신화에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천지왕본풀이>의 수명장자, <이공본풀이>의 자인장자, <셍굿>의 천년두레천년장자, <성주굿>의 장재아비, <성인노리푸념>의 당주애비, <손님굿>의 김정승네 내외, <장자풀이>의 사마장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무속신화에 나타난 장자형 인물의 특징으로는 <장자못전설>의 장자와도 친연성이 뚜렷한 점, 일정 지역을 기반으로 악행으로 부를 축적해온 악인의 전형성을 보인다는 점, 표면적으로는 악행 때문으로 징치되나 그 이면에는 원초적인 신의 갈등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 불, 물, 꽃, 죽음 등 다양한 징치 양상이 나타나는 것 등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런 무속신화의 장자 징치담은 <장자못전설>과 연계성이 뚜렷하다. 그 형태는 두 가지로, <장자못전설>이 무속신화에 한 부분으로 이입된 형과 <장자못전설>의 장자와는 차이를 보이나 악인형 인물 성격은 그대로 부합되는 자료형이다. 그 관계성에 있어서는 무속신화의 ‘장자 징치담’은 전체 서사 중 일부에 해당하는데 반해 <장자못전설>의 장자징치담은 서사의 전체에 해당하여 ‘장자 징치담’의 특정 부분이 특화되어 전설화된 것이 <장자못전설>일 것으로 파악했다. 아울러 무속신화의 장자형 인물은 형태도 다양하고 징치에 따른 여러 과정이 폭넓게 나타나 <장자못전설>의 장자 징치가 ‘장자 징치담’에 거꾸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없다고 보았다. 무속신화의 장자형 인물에 대한 자료 검토를 바탕으로 장자 징치담이 세 단계 변이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이해했다. 첫 단계는 창조신을 돕던 부신(副神) 또는 창조신과 함께 창조작업을 하던 존재가 창조신을 속이고 악의 근원을 제공하다가 창조신에게 징벌을 받는 형태, 그 다음 단계로는 인간세상에 악이 범람하고 신에게 도전하다가 신에게 특정 악인 또는 인류가 징치를 당하는 단계, 한 단계 더 나아가 신과 인간의 관계가 정립되면서 악인이 신에 의해 징벌을 받을까 두려워 신을 위무하는 단계 등으로 전개되는 양상으로 파악했다. 우리 자료는 첫 단계의 것은 창세신화에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자료가 중심이 된다고 하였다.

      • KCI등재

        사령형(使令型) 인물의 형상화 양상 및 전형성

        송미경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2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aspect of Saryeong(使令) character's imagery in Korean classical works and its typicality. Saryeong who transports a prisoner is an extra but highly individual character seen widely in various Korean classical narration like novel, fable, pansori, shaman song, shaman play, prose-poetry, etc. This character group is composed of the Gunnosaryeong (軍奴使令), the lower serva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Jeoseungchasa(-差使), the messenger of death. The three types of Saryeong charact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type who serves faithfully, second, the type who is shaken with bribe, third, the type who is in two extremes of sacred and profane. The first type in Janghwa Hongnyeon-jeon, Lee Chunpoong-jeon, and Hoesimgok is characterized as violent and cold hearted person transports a prisoner in a hurry. This temperament stems from his position need to obey the order of the superior. And, this type has little personality because his own narration is too short to express his personality. Next, the second type in Pansori Chunhyang-jeon, Fable Seodongji-jeon, Hwaraengi’s shaman song about The Record of a Journey Gunung-nojeonggi, shaman song in epic about the life extension Maenggam-bonpuri·Hwangcheonhonsi ·Jangja-puri, folktale about same theme The Grandfather Saved His Grandchild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Dongbangsak Extended His Life Span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 and shaman play about sending on the spirits Sajaesamseong·Saja-gut features a shake-up with bribe and a disloyal. This type can show his tendency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criminal-detective by money or food makes new scenes. Most of Saryeong characters are included in this second type and they have their own colors by their genres or works. The third type in comedy song Gullosaryeong Suljujeong and shaman song in epic Chasa-bonpuri place the extremes sacred and profane respectively. One is too ridiculous and funny character and the other is deified man with his sacred myth. The most typical Saryeong character among three types is the second has the majority. They have a military spirit and are wild. Because of poor conditions, they get an undue desire for bribe and is easy to fall into temptation of money or food. And, they are capricious, expecially if they are just people not gods. Saryeong characters as gods have faith that offers reword bribes. 본고에서는 고전 서사에 두루 포착되는 개성적인 군소 인물형으로서의 사령형 인물이 개별 작품에 형상화된 양상을 고찰하고 그 전형성을 규정하여 보았다. 우선 사령이라는 인물 유형이 성립될 수 있었던 근거에 대해서는 군로사령과 저승차사의 두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역사문헌으로부터는 군로사령의 성격과 복색, 그리고 포권 악용의 행태 및 불안정한 경제적 처지 등을 확인하였다. 종교경전에는 저승차사가 망자를 저승으로 데려가기 전에 반드시 생전의 공덕을 살펴 저승행의 방식을 정하였고, 그를 융숭하게 잘 대접하면 죽음에 문턱에서도 생사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사령형 인물은 첫째, 직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유형, 둘째,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는 유형, 셋째, 통속과 신성 양극단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에는 <장화홍련전>, <이춘풍전>, <선심가(회심곡)>의 사령이 포함되며, 이들은 사납고 몰인정한 태도로 주어진 직무를 급히 서둘러 수행한다. 이러한 성향은 하급 관졸이라는 현실적인 처지에 기인하는 측면이 크다. 또한 첫째 유형은 여타 유형에 비해 등장인물로서의 개성 표출이 상당히 제한적인데, 이것은 죄인의 호송 이후에는 사령의 역할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다음 서사로 장면이 급전환되기 때문이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의 특징은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여, 죄인을 즉시 호송하라는 상관의 명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 중에 뇌물을 매개로 한 죄인-사령 간의 관계가 새로운 이야기 대목을 파생시키면서 사령형 인물의 개성이 보다 확실히 부각된다. 판소리·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우화소설 <서동지전>, 노정기형 화랭이 무가 <군웅노정기>, 연명설화형 서사무가 <맹감본풀이>·<황천혼시(혼쉬굿)>·<장자풀이>, 연명형 민담 <저승사자 대접하여 손자 구한 조부>·<저승차사 대접하여 명 이은 동방삭>, 망자천도형 무극 <사재삼성>·<사자굿> 등 대부분의 사령형 인물이 이 둘째 유형에 포함되며, 이들은 장르적 성격 및 작품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색을 드러낸다. 마지막 셋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형 인물은 통속성과 신성성의 양극단에 위치하는 만곡 <군로사령 술주정>의 김번수·박번수, 그리고 서사무가 <차사본풀이>의 강림이다. 전자의 인물 형상화는 지나치게 희극적이고 해학적인 데로 치우친 통속성의 극단에 해당하며, 후자의 사례에서는 독립적인 신격의 좌정담에 내재하는 신성성의 극치를 엿볼 수 있다. 이중 이른바 ‘전형적인’ 사령형 인물에 해당하는 것은 가장 많은 인물군이 포착되는 둘째 유형이다. 호기롭고 우악스러우며, 평소의 열악한 처지 때문에 뇌물에 대한 탐심이 크고 그 유혹도 쉽게 이기지 못한다. 또 환대와 뇌물에 태도가 급변하는 다소 변덕스러운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인간격의 사령일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신격의 사령은 받은 뇌물에 대한 보상을 확실히 하여주는, 신의 두터운 인물인 경우가 많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