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hina-U.S. Institutional Balancing in the Asia-Pacific and Its Implications to China’s Foreign Policy Choices

        Huaigao Qi 경희대학교 국제학연구원 2019 Asi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AJIS) Vol.24 No.1

        In the context of China’s rapid rise and the U.S.’s hegemonic maintenance, one key challenge of China’s diplomacy is how China deals with its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U.S. and thus avoids the “Thucydides’s Trap”. Compared with power transition theory, balance of power theory,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ory and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the China-U.S. institutional balancing theory can better expla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curity and analyze the interactions between China and the U.S. in the Asia-Pacific after the Cold War. The China-U.S. institutional balancing suggests that th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e creates a condition under which China or the U.S. is more likely to conduct a new realist balancing strategy to counter each other and pursue security through intern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background of th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the polar 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China and the U.S., both China and the U.S. conduct institutional balancing in the Asia-Pacific. In the crucial period of China’s peaceful rise, China must avoid repeating past mistakes of the Anglo-German antagonism (1860-1914) and the Soviet Union-U.S. antagonism (1945-1991), and must be cautious to avoid confrontation and conflict with the U.S. The implications of the China-U.S. institutional balancing are as follows: China should continue to carry out institutional balancing to the U.S.; both China and the U.S. should encourage each other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the Asia-Pacific region; both China and the U.S. should deepen mutual economic interdependence.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정(Hye-Jeong Lee),유규창(Gyu-Chang Yu)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0 No.-

        심각한 저출산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여성의 일과 가정 영역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들이 기업에 도입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연 이 제도들이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극복하는데 기여하는지를 경영학적 관점에서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의 궁극적인 목적임에도 그동안 경영학에서 다루지 못했던 결과 변수인 ‘출산’에 미치는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들의 효과(개별 제도와 제도의 합의 영향력)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양립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과 일가정 양립 지각의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성인력패널조사: 여성관리자 패널조사(KWMP: Korean Women Manager Panel)]의 2008년도 자료 중 인사담당자와 근로자본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혼 여성 1,10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도입 여부는 출산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개별 제도 중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가 도입율이 미미함에도 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제도의 합의 효과는 출산율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개인이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은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이 일가정 양립을 지각하는데 있어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에는 분명하나, 제도의 영향 외에 최고경영자의 철학, 조직지원분위기, 상사의 지원, 인사관리의 투명성과 같은 사회적 맥락의 중요함이 강조되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실효성 제고 및 기업에서의 역할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업 내 제도 활용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법규정 보완과 같은 정부의 역할과, 일가정 양립에 대한 기업 인식의 변화 필요성과 개인이 일가정 양립을 지각할 수 있는 지원적 환경 조성과 관련한 기업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As part of policy efforts to resolve a serious problem of low birth rate which becomes an object of public concern in Korea, systems for supporting two areas a work and a family are introduced and operated by companies. This research aim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or not these institutions contribute to overcome the social phenomenon low birth rate from a viewpoint of business management. That is to say,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on the outcome ""childbirth"" (i.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stitu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sum of institutions) which has not been taken up by business management although it is the final aim of the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d not only the influence of female workers’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on childbirth but also influence factors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To do this, we adopted as a scope the data of 1,101 married female workers by using questionnaires of human resources manager and these workers among the 2008’s data of ""KWMP (Korean Women Panel)"" done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work-family balance perceived by the individual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birth whereas work-family balance supporting institutions introduced by companies did not influence childbirth greatly (the shorter-time working system for infant ca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birth although the rate of its introduction was small, but the influence of the sum of those institutio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birth). These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have a surely posi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s (e.g. the CEO’s philosophy, the atmosphere of organization support, the superior’s support, transparency in personnel management, etc.) were stressed in addition to the influences of institutions on childbi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this research proposed implications not only of improvement in the government’s policy effectiveness for work-family balance but also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compani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t discussed the roles of the government such as supplementation of the law for overcoming the realistic difficulty of using the institution in the company. Second, it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company’s realization about work-family balance. Finally, it discussed the role of companies regarding the creation of supporting environment.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정,유규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여성연구 Vol.82 No.-

        As part of policy efforts to resolve a serious problem of low birth rate which becomes an object of public concern in Korea,systems for supporting two areas a work and a family are introduced and operated by companies. This research aim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or not these institutions contribute to overcome the social phenomenon low birth rate from a viewpoint of business management. That is to say,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on the outcome "childbirth" (i.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stitu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sum of institutions) which has not been taken up by business management although it is the final aim of the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d not only the influence of female workers'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on childbirth but also influence factors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To do this, we adopted as a scope the data of 1,101 married female workers by using questionnaires of human resources manager and these workers among the 2008's data of "KWMP (Korean Women Panel)" done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work-family balance perceived by the individual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birth whereas work-family balance supporting institutions introduced by companies did not influence childbirth greatly (the shorter-time working system for infant ca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birth although the rate of its introduction was small, but the influence of the sum of those institutio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birth). These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s have a surely posi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s (e.g. the CEO's philosophy, the atmosphere of organization support, the superior's support, transparency in personnel management, etc.) were stressed in addition to the influences of institutions on childbi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this research proposed implications not only of improvement in the government's policy effectiveness for work-family balance but also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compani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t discussed the roles of the government such as supplementation of the law for overcoming the realistic difficulty of using the institution in the company. Second, it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company's realization about work-family balance. Finally, it discussed the role of companies regarding the creation of supporting environment. 심각한 저출산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해결하기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여성의 일과 가정 영역의 양립을 지원하기위한 제도들이 기업에 도입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연이 제도들이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극복하는데 기여하는지를 경영학적관점에서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의궁극적인 목적임에도 그동안 경영학에서 다루지 못했던 결과 변수인 ‘출산’에미치는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들의 효과(개별 제도와 제도의 합의 영향력)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양립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영향과 일가정 양립 지각의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성인력패널조사: 여성관리자 패널조사(KWMP: Korean Women Manager Panel)]의 2008년도 자료 중 인사담당자와 근로자본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혼 여성 1,10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도입 여부는출산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개별 제도 중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가도입율이 미미함에도 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제도의 합의 효과는출산율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개인이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은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이 일가정 양립을지각하는데 있어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에는분명하나, 제도의 영향 외에 최고경영자의 철학, 조직지원분위기, 상사의지원, 인사관리의 투명성과 같은 사회적 맥락의 중요함이 강조되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실효성 제고및 기업에서의 역할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업 내 제도 활용의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법규정 보완과 같은 정부의 역할과, 일가정양립에 대한 기업 인식의 변화 필요성과 개인이 일가정 양립을 지각할 수있는 지원적 환경 조성과 관련한 기업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도적 균형으로서의 중국과 BRICS: 정상회의 선언문 내용 분석

        김현규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3 국제학논총 Vol.38 No.-

        본 연구는 BRICS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선언을 내용 분석하여, 중국이 BRICS를 활용하여 제도적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신화사, 인민일보에 업로드되어있는 15개의 선언(2009년부터 2023년)이고,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 분석으로, 텍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연합/안보리 개혁, 국제금융기구 개혁, 세계무역기구 개혁,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원칙, 내정불간섭, 국제관계 민주화, 남남협력 등 제도적 균형을 보여주는 단어가 선언문에 담겨있었다. 아울러, BRICS 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나타내는 단어로는 동반자관계, 호련호통(互联互通), 한반도 비핵화, 인류운명공동체, 발전권, BRICS+ 등이 있다. 결국, BRICS 회원국은 연대를 통해, 제도적 균형으로서 해당 국제제도를 활용하고 있으며, BRICS 내 중국의 영향력은 서서히 확대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중국이 BRICS를 활용하여 제도적 균형을 이루고자 한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BRICS summit declarations to test if China is using BRICS to achieve institutional balancing. Content analysis, a text analysis technique, as well as qualitative studies, are used to investigate fifteen declarations posted on the websites of the Chi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Xinhua News Agency, and People's Daily between 2009 and 2023. I find that the declarations contain words demonstrating institutional balancing, such as UN/Security Council reform, IMF reform, World Trade Organization reform, the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principle, non-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democrat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outh-South cooperation. Furthermore, words in the BRICS include partnership, connectivity,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a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of mankind, development rights, and BRICS+, all of which demonstrate China's growing influence. In other words, BRICS members use international institutions to achieve institutional balancing through solidarity, and China's growing influence within the BRICS indicates that China is looking to leverage the BRICS to achieve institutional balancing.

      • KCI등재

        미국의 인태전략과 제도적 균형 그리고 한국에의 함의

        최영종 ( Young Jong Choi ) 대한정치학회 2022 大韓政治學會報 Vol.30 No.3

        본 연구는 미-중 사이에 공식, 비공식 제도를 활용해서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려는 시도가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제도적 균형은 내포적 균형, 배타적 균형, 그리고 제도 간 균형이란 세 가지 형태가 있으며, 미-중 간 제도적 균형은 배타적인 제도 간 경쟁과 균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국의 인태전략은 제도적 균형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으며, 이는 양국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은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IPEF에 대한 사례는 미국 연구는 미-중 간 패권경쟁이 제도적 균형의 성격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는 점을 보여준다. 미국이 인태전략과 IPEF 추진 과정에서 보여주는 무계획성은 한국에게 기회의 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한국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중추국가 실현과 자유롭고 개방된 인태지역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인태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increase in institutional balancing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s rapid rise and increasingly aggressive turn in its foreign policy, combined with the renewed emphasis on multilateralism by the Biden Administration, is intensifying institutional balancing in the Indo-Pacific region, particularly inter-institutional balancing. This article also analyzes US Indo-Pacif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balancing. The case study of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IPEF) shows that institutional balancing is intensifying between the two giants. The fact that US has no clear plan for IPEF offers a window of opportunity for South Korea. This paper suggests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designing of IPEF and also develop its own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y for the Indo-Pacific region.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 지원 제도와 분위기를 통해 본 조직 지원의 효과와 방안에 대한 연구

        이혜정(Lee, Hye Je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조직의 다양한 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가? 그리고 제도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며 제도 이외의 주요한 지원 수단인 조직의 지원 분위기를 중심으로 그 원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의 지원 제도와 지원 분위기가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지원 제도와 지원 분위기의 관계를 국내 41개 기업의 자료를 토대로 다수준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의 지원 제도는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원 분위기의 3가지 구성요소(상사의 지원, 경력우려에 대한 지원, 일정유연성 지원) 중 상사의 지원과 경력우려에 대한 지원이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는 지원 제도보다는 지원 분위기가 더욱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원 제도가 지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지원 제도가 지원 분위기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와 함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조직 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과 향후 연구 방향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Are various institutions of an organization for its work life balances of employees actually effective?" and to analyze on causes for insufficient effectiveness of the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support institution, a major support measure for the organization. For this study, influencive effects on an individual's work life balance from the organization's support institutions and clim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upport institutions and support climate are investigated based on data of 41 Korean companies using the multi leve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upport institutions of organization is not significantly influencive to an individual's work life balance. However, in the three components (the support of supervisor, the support of supervisor and the support on career concern and the support of flexible schedule), the support on career concern are prov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an individual's work life balance while the support climate is shown to be more influencive on an individual's work life balance than the support institutions. And, since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upport institutions on the support climate does not show to be significant, the support institutions is verified to be settled as the support climate,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 suggestions are made on the organization's support plan for work life balance along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 future study direction i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지역다자안보제도에서의 중국의 부상과 제도적 균형 전략 : SCO와 CICA를 중심으로

        강수정(Kang, Su-Je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3

        “중국이 자국의 이익을 수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어떻게 기존의 국제질서를 변화시키려 하는가”의 문제는 중요하지만,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질문은 중국이 기존 국제질서와 체제의 변화를 추구하면서 어떠한 논리와 전략을 활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국이 어떻게 지역다자안보제도를 활용하여 지역안보질서를 자국의 이익과 선호에 부합하도록 변화시키려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중국 다자외교에서의 제도적 균형 전략(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은 먼저 ‘경쟁적 다자주의(contested multilateralism)’와 제도균형이론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그러한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상하이협력기구(이하 SCO)와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 회의(이하 CICA)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다자안보제도에서 중국의 제도적 균형 전략의 실행과 그 논리 및 효용, 한계를 분석한다. The issue of “how China attempts to change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o protect and develop its own interests” is important, bu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This research question helps us to understand what rationales and strategies China adopts in its attempts to change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system.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China’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 in its multilateral diplomacy in order to understand how China utilizes regional multilateral security institutions to change the regional security order in line with its own interests and preferences. This paper first explores contested multilateralism and institutional balancing theory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n,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and the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Asia (CICA)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it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y and its logic,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in the regional multilateral security institutions.

      • 한부모가족시설 여성의 일-가정 양립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미숙(Kim, Mee Sook),나임순(Na, Im Soon) 한국비영리학회 2010 한국비영리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족 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따른 환경적 및 심리사회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44개 모자시설 중에 31개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한부모 여성여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지역에 관계없이 지역별로 할당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 참여한 설문지 482부 중에서 338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하고, 환경적 요인(가족, 직장, 지역사회)과 심리사회적 요인(양립갈등도, 일지향태도)을 독립변수로 하여 환경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7.0을 사용하여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여성의 건강이 좋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가족환경이 좋을수록, 지역사회환경이 좋을수록, 일-가정 양립 갈등이 적을수록, 일-가정 양립 지향일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볼 때, 한부모가족 여성의 건강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실시되고, 이와 더불어 모자자립시설 및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도 의료급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돌보아야 하는 자녀수에 따라 차등 지원하는 다자녀 지원 정책이 효과적인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여성 일자리 확대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며, 여기에 모 교육 시에 생활비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끝으로, 한부모가족을 위한 임대주택보급 확대, 장기전세자금대출 지원, 퇴소자 자립정착금 지원 등 보다 적극적인 주거안정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사회환경과 경제적인 면에서 한부모가족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the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living in institutions for single parent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m, and to provide some politic alternatives for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in the respect of social welfare. For this, three scales-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sycho-sociological factor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mong those who are living in single parent families institutions nationwide, currently working full-time or part-time, and taking care of children between 0~18 years old (up to 22 if in education); Mothers of 31 institutions out of total 44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consisted of answers from 338 questionnaire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taken statistics using the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he SPSS WIN 17.0 program.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nd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terms of personal factors, better health and less number of children enhance the quality of single mothers’ life. Second, in terms of environmental factors, better family environ ment and better community environment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rd, as for psycho-sociological factors, those who had less work-family conf lict, with work-family balance-oriented attitude (rather than work-oriented attitude), had higher quality of life.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litic alternative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single mother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expand various health promoting service programs and medical coverages for single parent famil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dditional support for single parent famil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Third, the opportunity of employment should be extended. And during vocational education, it is needed to aid living expenses for them. Fourth, the housing policy should be more supportive for them, such as increase in public rental housings and support of long-term loans for the rental housing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resettlement funds which is supported to those who leave institutions up to a reasonable amount.

      • KCI등재

        What Type of Fiscal Rule Promotes the Fiscal Soundness?

        김애진,박정수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4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9 No.1

        Empirical studies on the impact of fiscal institutions such as fiscal rule an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fiscal institutions on fiscal performance have often overlooked the endogeneity issues. This study utilizes the system GMM model in dynamic panel analysis to control for the endogeneity inherent in fiscal institutions. This study is distinctive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following aspects: ① It indices the levels of fiscal rules and independent fiscal institutions, ② Furthermore, it includes an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level of fiscal rule and the level of independent fiscal institutions, ③ It analyzes the type of fiscal rules that affects fiscal soundness effectively.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fiscal rules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fiscal balance. Second, among fiscal rule types, the level of expenditure rule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fiscal balance. Thir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level of expenditure rule and the level of independent fiscal institutions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fiscal bal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untries with strict fiscal rules tend to reduce fiscal deficits, and among various fiscal rule types, expenditure rul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iscal soundness improvement.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expenditure rule experience an increased impact on fiscal soundness when activating independent fiscal institutions.

      • KCI등재

        지방연구원 경영평가 지표설정에 관한 사례연구

        정형록,최연식,김미옥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1

        The public enterprise has a critical effect on national economy directly or indirectly. As popular interest about the public enterprise’s performance and management increased, the government decided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order to manage the public enterpris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Likewis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the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e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is a certain institute whose goal is to research several study under local government ai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yeonggi Research Institute(hereafter, GRI). The local government, Gyeonggi-do, appraises the performance of GRI us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 order to asses the institute with objectivity and fairness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notify the pla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2008 about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is paper analyzes and shows the general proces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the process of setting evaluation indicators, the setting of evaluation indicators, the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GRI consist of 3 criteria, such as responsibility management, main business, creative management. We also use the integrat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and non-quantitative perspectives. This paper contributes in that it is the first paper of researching performance measuring system in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and the foundation of follow-up research of this field. 공공부문의 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정부의 정책개발 및 정책수행 등을 지원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그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이들에 대한 체계적, 효율적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일반 공기업과 유사한 경영성과평가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일반적인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와는 달리 연구기관의 성과평가는 연구사업의 불확실성과 성과측정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내재적 한계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구기관의 수가 많지 않고, 이들 사이에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연구기관의 성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가 출연하여 설립한 지방연구원의 경영평가 사례를 통해 연구기관에 적합한 경영평가의 개념구조 및 평가지표 설정체계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예시하였다. 경기개발연구원의 경영평가는 균형성과표의 철학에 근거하여 경영평가의 개념구조를 설정하고, 공공부문 관점에서의 가치창조경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평가지표의 전략적 연계성과 균형성을 성과평가체계에 반영하고 있다. 경영평가 개념구조에서 파악된 각 단계의 핵심 관점을 책임경영, 주요사업, 창의경영의 3개의 분야로 재조합하여 여러 가지 관점의 평가지표 사이에 균형적 통합을 유도하였다. 또한 전략적 연계성의 관점에서 설정된 평가체계가 실질적인 동기부여 기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 관점에서 연구기관의 특성에 알맞은 경영평가체계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을 갖는다. 또한, 연구원 경영평가의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연구기관의 평가에 실질적인 참고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연구원에 대한 최초의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