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 恭愍王 代 燕邸隨從功臣에 대한 一 考察 -柳淑의 動向 및 人的 關係網을 중심으로 -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에서는 江陵大君(후일의 공민왕)을 시종했던 燕邸隨從功臣들에 대해서, 대표적인 공신이었던 柳淑의 動向 및 공신들 간의 상호 人的 關係網에 중심을 두어 고찰하였다. 高麗忠肅王의 차남인 강릉대군은 어린 시절 入元宿衛하여 10여년간 원에 머물렀다. 당시 다양한 성향을 지닌 인물들이 그를 시종하였다. 1351년 귀국하여 즉위한 공민왕은 자신을 시종했던 인물들을 연저수종공신으로 책봉하여 포상했다. 이들 공신들은 상호 인아 관계를 통해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서로 다른 다양한 면모를 지닌 공신들은 다양한 정치적 노선을 지향했고 여러 차례의 정변을 거치며 점 차 도태되는 양상을 보였다. 곧 1352년 趙日新의 난, 1356년 反元改革, 1363년 興王寺의 난, 1365년 辛旽 집권 등을 거치며 여러 공신들이 살해되거나 유배되었다. 수종공신 가운데 당대의 개혁․신진세력과도 연계된 獨步적인 존재였던 柳淑이 신돈에 의 해 실각한 이후 살해되었다. 이는 신돈이 집권하면서,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수종공신 세력이 결정적으로 정계에서 퇴장하였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Yeonjeo(Beijing residence)-sujong meritorious retainers(燕邸隨從功臣) who served Gang-reung-dae-gun(江陵大君), with a main focus on the trend of representative meritorious retainer-Yu-Sook(柳淑 ; 1316∼1368) and mutual Human network(人的關係網). Gang-reung-dae-gun, the second son of the King Chung-Suk(忠肅王), entered the Yuan(元) Royal court as a kind of hostage. He resided in Yuan for ten years. At that time, people of various inclination attended and served him. In 1351, Gang-reung-dae-gun returned to Koryo and ascend the throne. He is the King Kong-Min(恭愍王). King Kong-Min rewarded people who served him as the Yeonjeo-sujong meritorious retainers. Some meritorious retainers(功臣) constituted Human network(人的 關係網) through mutual marital relations. But meritorious retainers of diverse features aimed at different political lines. And they were gradually weed out through many political convulsions. Throughout the rebellion of Cho il-sin(趙日新 ; ?∼ 1352) in 1352․the anti-Yuan reformation policies(反元 改革 政策) in 1356․the revolt of Heung-Wang temple(興王寺) led by Kim yong(金鏞 ; ?∼1363) in 1363․the centralization of Shin-don(辛旽 ; ?∼1371 ;priest), some of meritorious retainers were removed or exiled. Yu-Sook(柳淑), the unique retainer who was related to contemporary rising reformers, was overthrown and murdered by Shin-don. It symbolizes the political decline of Yeonjeo-sujong meritorious retainers. Decisively, As Shin-don took the helm of state affairs after the revolt of Heung-Wang temple was suppressd, Yeonjeo-sujong retainers meritorious left political circles.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자본이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안관수,황재연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이 연구는 콜맨(Coleman)의 사회자본을 근거로 대학생의 사회자본(부모-자녀관계, 인적 네트워크, SNS활용)이 진로포부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자본의 하위변인 부모의 직업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은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사회자본인 부모와 자녀의 관계, 사회활동을 통해 얻은 인적네트워크, 사회관계망 서비스의 활용 및 정보의 도움 정도는 직업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계층 이동에 대학생의 사회자본의 소유 및 획득 과정이 중요한 성취지향가치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Occupational Aspi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parent-child relationship, human network, and SNS use) on the occupational aspiration level i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Coleman’s Social Capital Concept. To achieve this,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Other variables, except for parent’s occupational of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vocational aspiration. Also.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human network obtained from social activities,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 social capital factors -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aspira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cess of possessing and acquiring social capital among university students served as an important achievement-oriented value in terms of social mobility.

      • KCI등재

        『文化柳氏 嘉靖譜』와『安東權氏 成化譜』에 나타난 貞顯王后의 人的 關係網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정현왕후의 坡平 尹氏 家門은 고려 전기 이래 門閥貴族家門으로서 忠宣王이 宣布한,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宰相之宗」가문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도 國婚과 기타 功臣․鉅族 家門들과의 통혼을 통해 가세를 신장시켰다. 본고에서는, 親孫 및 外孫 계열 후손에 이르기까지 대를 한정하지 않고 수록한 족보인 가정보와 성화보를 통해 당대 지배층 가문들간의 중첩된 혼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현왕후가 자신의 시어머니(姑)인 昭惠王后까지 포함하여, 鄭昌孫, 韓明澮 등을 비롯한 고려 후기 및 당대 여러 유명 인물들과 혈연 관계로 맺어진 人的 關係網을 발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Ssi Jiajingbo(文化柳氏嘉靖譜: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安東權氏成化譜: Andong Gwon Genealogy of Chenghua Era). By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 of ru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dynasty(朝鮮王朝) period at the point of 「marriage ties」, especially 「range of entangled marriage」. Jung-Hyoun Wang Hwoo’s clan, Pa-Pyoung Yun Ssi(Pa Pyoung Yun Clan: 坡平尹氏) belonged to the aristocracy sinc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高麗王朝). Moreover this clan was declared as one of the 「Families of the State Councilors(Chaesang-chijong: Families that the court could intermarry with: 宰相之宗)」by the Goryeo dynasty 26th King Ch'ung-son(忠宣王: 1275∼1325) And Pa-Pyoung Yun clan enhanced political influence through reiterated marriages with the Royal family(王室), meritorious retainers(功臣) and distinguished family(mighty clan: 鉅族)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 two representative genealogies of Korea, Munhwa Liu Ssi Gajungbo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 contain every descendants including agnate and cognate since ancestor(progenitor). And many historical high-ranking officials throughout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14~16th century) are listed on the genealogies. By examining this genealogies, we can see many cases of the chain marriages between powerful families. Also we can discover consanguinity(blood relationship) and human network between Jung-Hyoun Wang Hwoo and many influential vassal(powerful courtier)-for example Jeong Chang-Son(鄭昌孫: 1402~1487) and Han Myoung-Hwoi(韓明澮; 1415~1487)-and even her mother-in-law, So-Hye Wang Hwoo(1437~1504).

      • KCI등재

        고려 후기 權守平 家門의 성장과 그 시대적 의미

        최기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논총 Vol.61 No.-

        본 논문은 고려 후기 安東權氏 權守平 가문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권수평 가문은 시조 권수평(?~1250)이 최씨 집권기에 하급 무신으로 중앙에 진출한 이후 성장을 거듭해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중앙의 주요 가문을 형성했다. 이 가문의 성장 과정은 고려 후기 지방 출신의 무반 가문이 중앙의 유력한 문반 가문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시에 한 가문의 성장이라는 미시적 사례를 통해 고려 후기 사회 변화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 권수평은 출신이 분명하지 않은 인물로, 하급 무관에서 시작해 정3품 추밀원부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는 신분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으며, 경제적 여건도 좋지 못해 출세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도 권수평이 출세할 수 있었던 것은 최씨 집권기라는 시대적 특수성 덕분이었다. 권수평은 유능한 무반으로서 최씨 정권의 안녕을 위하여 아들 權韙(?~?)와 함께 대를 이어 봉사하였다. 그 결과 권수평은 여러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에 가문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최씨 정권이 무너진 이후 권수평 가문은 무신 집정자의 측근 세력이라는 정체성을 탈피하고 기존 문신 관료를 중심으로 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일대 전환을 맞았다. 권수평의 손자 權㫜(1228~1311)은 가문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권단은 고려 후기 중앙의 실력자였던 柳璥(1211~1289)을 중심으로 과거제와 천거제에 기반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상당한 정치적 편의를 보았으며, 그 자신도 문생을 배출함으로써 독자적인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때에 이르러 권수평 가문은 유경의 집안과 혼맥까지 구축함으로써 명실상부 중앙 문신 가문의 주요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권수평의 증손자인 權溥(1262~1346)는 정치적으로 성공한 부친의 후광과 더불어 처조부인 유경과 좌주 朴恒(1227~1281)의 후원 아래 수월한 관직 생활을 했다. 권부는 자신과 가문의 정치적 경제적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권부는 고고한 학자의 얼굴을 지니면서 동시에 벼슬을 사고팔아 재물을 축적하는 탐욕스러운 관리의 얼굴을 지녀야 했다. 한편, 권부는 새로운 사상적 조류로서 성리학의 파급력을 인지하고 새로운 선진 사상의 유행을 선도하고 나아가 중앙 문신 사회 전반의 변화를 주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관학을 기반으로 권부를 비롯한 초기 성리학 수용자들의 학맥을 계승한 지식 관료들이 고려 말 개혁 담론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으로 발전하는 데에 있어 기반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나타난 貞顯王后의 人的 關係網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수록된 朝鮮 初期 妃嬪들 가운데 한 명인 貞顯王后 尹氏의 선대를 遡及·考察하면서 重疊된 通婚圈에 중점을 두어 조선 초기 지배층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정현왕후의 坡平 尹氏 家門은 고려 전기 이래 門閥貴族家門으로서 忠宣王이 宣布한,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宰相之宗』가문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도 國婚과 기타 功臣·鉅族·家門들과의 통혼을 통해 가세를 신장시켰다. 본고에서는, 親孫 및 外孫 계열 후손에 이르기까지 대를 한정하지 않고 수록한 족보인 『가정보』와 『성화부』를 통해 당대 지배층 가문들간의 중첩된 혼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현왕후가 자신의 시어머니(姑)인 昭惠王后까지 포함하여, 鄭昌孫, 韓明澮 등을 비롯한 고려 후기 및 당대 여러 유명 인물들과 혈연 관계로 맺어진 人的 關係網을 발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ancestors and lineage of the Jung-Hyoun Wang Hwoo(貞顯王后: 1462~1530; empress named Jung-Hyoun)-the empress of the Chosun dynasty 9th King Sung-Jong(成宗: 1457~1494), listed on the two famous genealogy, 『Munhwa Liu Ssi Jiajingbo(文化柳氏嘉靖譜: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安東權氏成化譜: Andong Gwon Genealogy of Chenghua Era)』. By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 of ru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dynasty(朝鮮王朝) period at the point of 「marriage ties」, especially 「range of entangled marriage」. Jung-Hyoun Wang Hwoo's clan, Pa-Pyoung Yun Ssi(Pa Pyoung Yun Clan: 坡平尹氏) belonged to the aristocracy sinc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高麗王朝). Moreover this clan was declared as one of the 「Families of the State Councilors(Chaesang-chijong: Families that the court could intermarry with: 宰相之宗)」by the Goryeo dynasty 26th King Ch′ung-son(忠宣王: 1275~1325). And Pa-Pyoung Yun clan enhanced political influence through reiterated marriages with the Royal family(王室), meritorious retainers(功臣) and distinguished family(mighty clan: 鉅族)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 two representative genealogies of Korea, 『Munhwa Liu Ssi Gajungbo』 and 『Andong Gwon Ssi Chenghuabo』contain every descendants including agnate and cognate since ancestor(progenitor). And many historical high-ranking officials throughout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14~16th century) are listed on the genealogies. By examining this genealogies, we can see many cases of the chain marriages between powerful families. Also we can discover consanguinity(blood relationship) and human network between Jung-Hyoun Wang Hwoo and many influential vassal(powerful courtier)-for example Jeong Chang-Son(鄭昌孫: 1402~1487) and Han Myoung-Hwoi(韓明澮: 1415~1487)-and even her mother-in-law, So-Hye Wang Hwoo(1437~1504).

      • KCI등재

        초국적 쉬아파 공동체 내의 인적 이동과 이란의 영향력 확대

        황의현(Yuihyun Hwang) 한국이슬람학회 2023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33 No.1

        This research analyzes the expansion of Iranian influence in the Middle East after the 2000s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e history of movements in the transnational Shia community. Throughout the history, there has been movements of people among Shias in the Middle East, particularly in Iraq, Iran, and the Gulf region. In the 20th century, the mobility and connectivity of this transnational Shia community enabled Shia Islamism to be spread,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pro-Iran factions following the leadership of the Iranian regime among Arab Shias. Iran uses the network of Arab Shia allies for expanding its influence in geopolitical competitions.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movements of people in the transnational community, which have disseminated Iran’s ideologies and worldviews to Arab Shias, are related with the expansion of Iranian influence. The Shia identity, which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mobility and connectivity of people in the transnational community, is one of key factors explaining Iranian influence in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 KCI등재
      • 모자보호시설 모자가구주의 취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남희수(Nam Hee Soo)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09 한국한부모가정학 Vol.2 No.1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모자가구주를 대상으로 취업여부에 대해서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모자가구주 중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활동 및 사회적 관계망 정도, 취업자와 미취업자 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측정 개념에 대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전반응에 대하여 반응확률과 설명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취여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격증 유무로서 저소득 모자가구주가 자격증을 소지 할 경우에 있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건강상태 변인으로서, 즉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취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연령에 관한 변인으로 모자가구주의 연령의 높을수록 취업의 가능성이 높음이 밝혀졌다. 한편 연구대상자의 자녀 취학의 여부, 학력, 사별, 미혼모, 별거, 모자가정형태, 건강상태, 자격증 유무, 친척들과 접촉빈도, 친척모임 참석 유무, 사전 이전소득 등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저소득 모자가정의 취업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취업 여부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격증, 건강상태, 연령”으로서 이들에 대한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할 때, 앞으로 모자보호시설 모자가구주의 다양성이 존중되기 위해서 좀 더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에 있어서 사전 예방적 차원 및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status of single mother households living in a mother and child protection facility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employmen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cluded 113 women heading their households living in mother-child protection facilities and were analyzed by SAS 9.1 program. To find out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social activities, the degree of social networks and who were employed and who were not, I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Also, I used a correlation analysis to ascertain each measurement concept form’s relevance and exerted a logistic regressio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ction probability on the previous reaction and explanatory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utcom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employment were whether or not they had certificates: if low-income household-heading single mothers had certificates, they were more likely to get a job. As an age variable, the higher their age, the higher their likelihood to be employ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other factors of the subjects such as their child’s school attendance, level of education, bereavement, type of mother- children household, health, certificate ownership, contact frequen- cy with relatives, attendance of relative meetings, previous transfer income, etc. In other words, they did not exert a critical influence over the employment of low-income, single mother-headed households. However, as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ver employment include certificate, health, 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policy alternatives. Considering these outcomes, it requires strategic approaches in preventive context to establish more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so as to ensure and respect diversity of single mother-headed households in mother-child protection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