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 인용된 한국 현대시의 번역에 대한 오류 분석-그 분포와 특성을 중심으로-

        양소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Peter Le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overseas universities. Although Korean literature is worthy of being the only English document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classical literature to moder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has become a subject of earnest study by foreign scholars and has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quantity and quality. It is necessary to try full-scale research. In particular, Peter Le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uggests that there is no citation of Korean works at all. In this discussion, we tried to analyze all of the errors in translations in poems in the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 chapter among the poems translated into English.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errors which occur in the rhyme and the image.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는 해외의 대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한국 문학 수업의 교재로, 고전문학에서부터 현대문학까지 한국 문학사를 방대하게 서술하고 있는 유일한 영문서로서 그 가치를 갖는다. 한국 현대 문학이 해외의 학자들에게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확산되는 현실을 상기할 때, 해외의 한국 문학 연구과 교육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특히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는 현대 문학 인용에서 한글 원문이 전혀 없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본 논의에서는 영문으로 번역되어 실려 있는 시들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 장에 있는 시에서 번역의 오류를 모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발터 벤야민이 번역에 대한 전제로 제시한 시의 모험을 원문과 번역문의 비교하여 분석하여, 오류에 대한 기준으로 삼았다. 전체를 반복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의미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나누고 이러한 각각 주제와 정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전자는 모두 김소월의 시에서 나타났는데, 원문의 가정의 반복이 생략됨으로써 번역문에는 정감의 적층, 점층 그리고 비약의 애상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호명, 감탄, 부호의 반복 생략으로 인해 “나”와 님을 교차하며 점층되어 결국에는 죽음과 같은 고통으로까지 상승하는 비통의 사랑이 현격히 반감되었다. 후자는 김소월, 이육사, 임화, 최남선, 이상의 시에서 나타났는데, 시어가 의미가 다른 시어로 변형되거나, 삭제되거나, 없던 시어가 첨가되면서, 원문의 시적 모험과 번역문의 시적 모험 사이의 친화성이 감소되거나 부재하는 경우들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에 인용된 번역문에서 주요 인용문의 약 50%가 되는 6개의 시에서 시의 주요 정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중 대다수의 오류가 원문과 번역문 사이의 친화성이 현격히 소실되거나 사라지는 번역으로 시적 모험을 전달하기 어려운 오류임을 밝혔다. 즉, 한 장의 인용 중 반 이상의 번역문에서 주요한 오류가 나타났으므로,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에 인용된 번역문의 오류는 과반수에 준하는 수준으로 분포하며, 시의 주요 정감을 해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해외 한국 문학 교육의 현황과 미래를 논의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과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

        이선이(Lee, Sunyi),리샤오웨이(Li Xiaowei),양징(Yang Jing),주위주어(Zhu Yuzhu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49

        이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은 구체적인 시대구분, 체제, 서술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의 실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고전문학사와 한국근현대문학사 전반을 다룬 저술들을 개관하였으며, 여기서는 개별적인 장르사만을 다룬 경우는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5종이며,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에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1종이었다. 발간 권수만으로도 양국 간의 수교 이후 한국문학사 집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로 명칭 문제, 남북한 문학의 포함 문제, 관점에 관한 문제, 시대구분과 그 명칭 문제, 언어선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한·중 양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저술된 주요 한국현대문학사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한국문학사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를 대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는 총9종이며, 오늘날 중국의 교육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문학사 연구 성과로 평가되는 김병민(1994)의 『조선문학사: 근현대부분』, 김병민 외(2004)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 윤윤진 외(2008)의 『한국문학사』,김영금(2009)의『한국문학간사』와 『조선·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writers and published in China. Also based on the result was analysed the aspect of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o comprehend how 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s described, we examined the period division, the constitution of the literary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s. From this study was excluded the Literary History dealing with the individual genres and largely was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anging over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Until now 15 volume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and among them 11 volumes have been released since the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in 1992. The number of the volumes published proved the active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fter establishing the diplomatic ties between two countries. Among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9 volumes are dealing with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Out of nine are analysed the representative research outcomes, A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Modern and Contemporary part by Bingmin Jin(1994),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of North & South Korea by Bingmin Jin et al.(2004),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Yunzhen Yin et al.( 2008), and A Korean Literature & the brief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by Yingjin Jin(2008). 이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은 구체적인 시대구분, 체제, 서술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의 실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고전문학사와 한국근현대문학사 전반을 다룬 저술들을 개관하였으며, 여기서는 개별적인 장르사만을 다룬 경우는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5종이며,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에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1종이었다. 발간 권수만으로도 양국 간의 수교 이후 한국문학사 집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로 명칭 문제, 남북한 문학의 포함 문제, 관점에 관한 문제, 시대구분과 그 명칭 문제, 언어선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한·중 양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저술된 주요 한국현대문학사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한국문학사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를 대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는 총9종이며, 오늘날 중국의 교육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문학사 연구 성과로 평가되는 김병민(1994)의 『조선문학사: 근현대부분』, 김병민 외(2004)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 윤윤진 외(2008)의 『한국문학사』,김영금(2009)의『한국문학간사』와 『조선·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writers and published in China. Also based on the result was analysed the aspect of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o comprehend how 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s described, we examined the period division, the constitution of the literary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s. From this study was excluded the Literary History dealing with the individual genres and largely was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anging over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Until now 15 volume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and among them 11 volumes have been released since the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in 1992. The number of the volumes published proved the active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fter establishing the diplomatic ties between two countries. Among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9 volumes are dealing with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Out of nine are analysed the representative research outcomes, A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Modern and Contemporary part by Bingmin Jin(1994),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of North & South Korea by Bingmin Jin et al.(2004),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Yunzhen Yin et al.( 2008), and A Korean Literature & the brief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by Yingjin Jin(2008).

      • KCI등재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의 문화횡단적 실천 - 남한문학사ㆍ북한문학사ㆍ자국문학사라는 세 겹의 프리즘 -

        이선이 ( Lee Sun-y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를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자국문학사와 비교하여 서술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들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횡단적 실천을 살피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는 약 25종이며, 이 가운데 한국근현대문학사는 약 16종이다. 저술 목적으로 볼 때, 연구용 문학사보다는 교재용 문학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각과 서술내용으로 볼 때, 남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와 북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 그리고 남북문학사를 함께 수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 인식과 서술 양상을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중국문학사와 비교한 후, 의미의 이동과 생성의 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문학사 인식과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의미 있는 전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의 근현대문학사는 서양문학의 영향만을 강조함으로써 중국문학의 영향을 간과했다는 점에 대한 반성적 시각 둘째, 북한문학사를 주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통일문학사 기술의 한 가능성을 제시한 점 셋째, 순수문학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문학의 대중성에 대한 강조와 다양한 매체와 연관된 작품을 수용하는 시각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이 그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with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explores aspects of narrative and therefore examines transcultural practice presented in such texts. There have hitherto been approximately 25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16 of 25 works are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garding their purpose, the number of pedagogical works outstandingly exceeds the number of research works. In terms of perspective and contents,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ne that only embraces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an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ly and the 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has selected representative texts from each category and compared recognition and narrative aspects to that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t further examines loci of definitions` transfer and formation as well.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valuable understanding of recognition and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offers an introspective attitude, a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ccentuates influence of only Western literature, overlooking influence of Chinese literature. Second, this study proposes a new narrative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Unified Korean literature through independent and objective identification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Last, it emphasizes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 aside from pure literary-centrism - and expands possibilities of embracing distinct works relevant to multimedia.

      • KCI등재

        한국한문학 연구의 문명사적 검토

        沈浩澤(Shim Ho tae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의 역사를 문명사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개략적인 글이다. 한국 한문학의 역사를 창작의 시대와 연구의 시대로 양대분했을 때 이는 문명사가 동아시아 중심 질서에서 서구 중심적 근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고, 여기에 근거하여 한문학 연구시대의 역사를 다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서구의 근대적 문학관에 한국적 國字 기준을 더하여 국문학의 개념을 정립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학은 본격문학이 아닌 準國文學의 지위에 있었으며, 한문학 연구는 한학에 조예가 있는 학자들에 의해 漢文學史書 형태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선정한 鄭萬朝의 朝鮮詩文變遷은 중화주의와 유교주의에 입각하였고, 金台俊의 朝鮮漢文學史 는 철저한 문학주의에 중화주의가 결합되었으며, 李家源의 韓國漢文學史 는 한 국한문학의 국문문학과의 대등의식, 중국문학과의 대등의식을 천명하였다. 제2기는 한문교육의 제도화와 한문학의 국문학 내적 위상 재인식을 토대로 하여 한문학 연구가 본격적 궤도에 오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연구를 세경향으로 정리하였다. 하나는 서구의 문학주의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던 것이요, 다음은 중국문학과 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던 경향이었으며, 세 번째로 한문학사 연구에서 한국사회 지배세력 변천과정으로서의 역사학과 결부시키던 방법이었다. 이 중에서 서구 문학주의에 의한 접근이 비평론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음을 지적하였다. 제3기는 한국한문학을 포함한 어문학 전반의 경향이 문학주의로부터 탈피했던 시기이다. 문학주의의 탈피는 서구 중심적 질서, 근대적 가치체계로 부터의 벗어남이며 그 의미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다분히 문명사의 전환을 뜻한다고 하겠다. 탈근대 이후의 동아시아적 가치는 기존에 중국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본고는 동아시아 내에서 다시 한국 민족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한문교육 제도화초기에 발의되었던 민족문화란 개념을 다시 끌어내었다. 여기서 한중 문화 관계, 民族과 文化의 관계를 중시하고 그 주어로서의 ‘民族’에 비중을 두어논함으로써 한국한문학 연구가 문명사를 넘어 정신사의 차원에 서야 함을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essay is a brief description of reviewing a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history-of-civilization’s perspective. If we divide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to two parts, the creation-oriented era and the study-oriented era, we assume that it indicates the conversion from East-Asian-centric order to Eurocentric order. Based on this assumption, we can subdivide the history of the study-oriented era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when the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became established through uniting Korean national alphabet criteria with Western modern literary views.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not considered to be in good standing at this time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but instead in a “quasi status.”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d been mainly carried on by scholars who had prof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studies, and had produced related academic history books called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 the typical examples, Jung Manjo(鄭萬朝)’s The Transition of Joseon Literature(朝鮮詩文變遷) was grounded upon Sino-centrism and Confucian-centrism; Kim Taejun(金台俊)’s The History of Joseon Classical Literature(朝鮮漢文學史) combined Sino-centrism with thorough literary-centrism; Lee Gawon(李家源)’s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韓國漢文學史) accentuated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s equal status not only with Korean literature created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with Chinese literature.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me into it s own,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s increasing internal status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related studies during this period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tends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Western literary-centric perspective; the second part has a tendency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Chinese literary and Sinological perspective ; the third part integrates historical studies as a transitional process due to ruling groups in Korean society. From among these, the Western literary-centric approach has produced outstanding study results in literary criticism.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overall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 includ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broke away from literary-centrism. This extrication from literary-centrism signifies the extrication from Western-centric order or a modern value system. It can mean quite the transition of the aforementioned history-of-Civilization. We try to acknowledge Korean national value and to seek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while existing studies tend to discuss post-modern East Asian values from a Chinese-centric perspective. We dragged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ut from the past again, which had been proposed at the early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emphasized that, in the process of Korean-Chinese cultural relations and national(民 族)-cultural relations, we need to give weight to ‘nationality (民族)’ as a subject so that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stand on its own from a spiritual historical study’s perspective, beyond the constraints of ‘history-of-Civilization.’

      • KCI등재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구상과 조선 가요 - 작품들의 고고학, 문서고로서의 문학사

        박슬기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9

        이 글은 1930년대 초 김태준의 문학사서술의 의의를 고찰하고자 했다. 김태준의 세 개의 저서인 『조선소설사』, 『조선한문학사』, 『조선가요개설』은 조선 문학을 통시적으로 개괄할 수 있는 시야를 마련함으로써 해방 후에 이어진 한국 문학의 내포와 외연을 설정한 학적 저술로 평가된다. 또한 민족주의 학자들의 민족 문학 개념과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조선 문학 개념을 동시에 지양하며, 식민지 조선학을 극복하고자 한 문학사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 때문에 오히려 그의 문학사 서술 자체가 지닌 문제는 적극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김태준의 문학사는 ‘조선 문학은 한글로 표기된 문학’임을 주장하면서도, 이를 배반하면서 서술된다. 조선 문학을 한글 문학으로 정의한다면, 한글 창제 이전의 모든 문학들은 조선 문학의 전통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고대로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조선 문학사란 저술될 수 없다. 조선 문학이 없는 조선 문학사는 어떻게 쓰일 수 있는가. 김태준은 조선 문학을 정의하지 않고, 무수한 ‘작품들’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문학사를 서술했다. 그에게 조선 문학’들’은 보편적인 문학 개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당대의 조선인의 삶과 환경이라는 담론 체계 속에서 산출된 언표들로서 간주된다. 그러므로 한문학도, 한글창제 이전의 소설들도 조선 문학의 범주에 포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그가 주장한 ‘조선 문학=한글 문학’이라는 원칙을, 다시 말해 조선 문학의 유일한 형식적 특성인 ‘조선 문자’를 포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조선 문학사 서술의 실패는 아니다. 문학사의 발전 단계를 관통할수 있는 원리로서 ‘조선말’이 ‘조선 문자’를 대신하여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조선 가요는 부재하는 조선 문학을 대리보충하는 것으로서 문학사 서술을 가능하게 한다. 조선 가요의 역사성을 발견함으로써 그는 보편 문학에 대응하는 지역 문학 으로서의 조선 문학 개념을 벗어날 수 있다. 그에게 조선 문학은 조선인의 변천하는 삶을 담아 온 언어적 양식들이며, 각각의 문학 작품들이 드러내고 있는 조선인의 역사적 삶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그의 문학사는 조선 문학이라는 이념을 증명하는 문학의 역사가 아니라, 당대의 작품들이 내포하는 삶과 언어의 네트워크 전체를 제시하는 문서고로서의 문학사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Kim Taejun’s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Kim provided an overview of Chosŏn munhak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through three books: Chosŏn Soseolsa (History of Chosŏn Prose Fiction), Chosŏn Hanmunhaksa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Chosŏn Gayo Gaeseol (Survey of Korean Traditional Songs). These academic works are applauded as setting the framework and stage for Korean literature following the country’s liberation. Their significance lies in showing how Korean literature rejected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advocated by nationalist scholars as well as Chosŏn munhak under colonial academism, and st rived t o set it self apart from colonial Chosŏnhak (Korean stud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se works led to some problems being given less consideration. While Kim claims that Chosŏn munhak is “literature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his description is on the contrary. If Chosŏn munhak is to be defined as Korean-language literature, all literary works produced before the creation of Hangul would have to be excluded. That is, the history of Chosŏn munhak cannot date back to the ancient times. Of course, the history of Chosŏn munhak cannot exist without Chosŏn munhak. Kim described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listing endless “works,” without properly defining the term “Chosŏn munhak.” For Kim, Chosŏn munhak could not be defined using general concepts of literature, and such works were seen as statements derived from discourses i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Chosŏn people. This is why Sino-Korean literature and works produced before the creation of Hangul could be included as Chosŏn munhak. The inclusion of such works goes against Kim’s principle of “Chosŏn munhak = Korean literature,” which is a renunciation of Chosŏn characters, the sole formal feature of Chosŏn munhak. Despite the above, Kim’s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was not a failure.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driven by the discovery of Chosŏn speech over characters. From this perspective, Chosŏn gayo (Korean traditional song) complements Chosŏn munhak, thus enabling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discovering the historicity of Chosŏn kayo, Kim was able to extend Chosŏn munhak beyond the realm of regional literature. Chosŏn munhak was a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the changing lives of Chosŏn people, and at the same time, their lives as revealed through each literary work. Kim’s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a history that attests to the ideal of Chosŏn munhak, but more of an archiving of the network of lives and languages embedded in literary works in those days.

      • KCI등재

        한국문학사를 가로지르는 언어ㆍ문화ㆍ역사의 계기들 - 일본 저술 한국문학사의 한국근현대문학 인식과 서술양상을 중심으로 -

        윤송아 ( Yoon Song-a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본고는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 중에서 임전혜의 『일본에서의 조선인문학의 역사-1945년까지』와 시라카와 유타카의 「조선근대문학의 발자취」, 그리고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한국문학을 맛본다』를 중심으로 각 문학사에 나타난 한국근현대문학의 인식방법 및 서술양상을 `문화횡단`이라는 관점 아래 고찰하고 있다. 먼저 임전혜는 일본유학생들의 문학 활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을 중심으로 일본에서 산출된 조선인 문학을 시기별로 고찰하면서 한ㆍ일간의 능동적인 문화교섭과 상호이해, 정치적 연대의 지점들을 짚어낸다. 시라카와 유타카는 근대문학 형성과정에서의 한중일 삼국의 동시성과 연관성에 주목하고 일본어 문학과 친일문학 등을 비중 있게 다루면서 한국과 일본의 경계에서 충돌하는 매개적 연구자로서의 중층적 위치성을 보여준다. 사에구사 도시카쓰는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비교문학적 고찰, 전통과 현대를 잇는 문학적 형식과 주제의 구현, `친일문학`을 바라보는 탈경계적 시선 등을 통해 한국문학의 내적 논리와 외연을 두루 살피는 흥미로운 문화횡단적 계기들을 제공한다. 이들 문학사에서 살펴볼 수 있는 문화횡단적 실천 양상은 첫째, `민족문학사`를 근간으로 한 기존의 한국근현대문학사를 `식민지 경험`과 `국가민족주의`라는 자장에서 이화(異化)시켜 다면적으로 고찰하고 있다는 점, 둘째, 기존 한국문학사의 서술양상을 보완하는 입체적이고 미시적인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 셋째,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비교문학적 관점의 수용을 통해 확장되고 열린 문학사 서술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 넷째, 재일조선인문학, 일본어 문학의 발견을 통해 한국근현대문학사의 외연을 넓히고 토대를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ways of recognizing and aspects of describing Korean modern literature revealed by each literary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transculturation`, focusing on Lim Jeon-Hy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Japan until 1945』, Shirakawa Yutaka`s 『Footstep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Saegusa Toshikatsu`s 『Taste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Japan. First, Lim Jeon-Hye periodically examines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Japan, focusing on literary activities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nd the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and addresses points of active cultural negotia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Shirakawa Yutaka focuses on the concurrency and connec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process of modern literary formation, covering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and pro-Japanese literature with great care, and describes the middle-layer position as a mediating researcher in the conflicting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Saegusa Toshikatsu provides interesting transcultural momentum in exploring internal logic and denotation of Korean literature via comparative literature review encompassing East Asia, implementation of literary forms and themes connecting tradition and modernity, and an out-of-boundary point of view to overlook `pro-Japanese literature`, etc. Transcultural aspects in this literary history to examine are as follow. Firs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history` is catabolized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colonial experience` and `national nationalism` and considered in multifaceted context. Second, they provide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and micro-narrative description of literature that complement the narrative aspect of existing Korean literature history. Third, they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open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through acceptance of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s encompassing East Asia. Fourth, through discovery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and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they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enriching foundations.

      • KCI등재

        중(中)·일(日) 한국현대문학사의 해방공간 서술양상과 그 의미

        이선이 ( Lee Sun-h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4 No.-

        여기에서는 중국과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현대문학사의 해방공간 서술양상을 남북한문학사 및 자국문학사와의 시각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은 해방공간에 대한 역사적 인식차로 인해 문학사 기술에 있어서도 극명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남북을 비교적 근거리에서 조망하는 中·日 한국문학사에는 남북의 시각과 다른 지점들이 있어 주목을 요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저술된 김병민(金柄民) 외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2000)와 일본에서 저술된 사에구사 도시카쓰(三枝壽勝)의 ≪韓國文學を味わう≫(1997)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들 문학사가 우리의 해방공간을 서술하는 데 있어 드러내는 시각차를 분석해 보았다. 김병민의 경우, 해방공간에서 좌우익의 작가가 공통의 관심사를 가졌다는 사실에 착목하면서 이를 문학사 서술에 담아내고자 하였지만 실제 서술에서는 이러한 시각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채 하나의 가능성으로 남고 말았다. 하지만 통합서술이 산술적 결합이 아니라 남북문학사의 접점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저술은 향후 민족문학 건설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하나의 시각으로 의미를 갖는다. 사에구사 도시카쓰는 기존의 남북문학사와는 다른 방식으로 해방공간을 사유함으로써 민족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쟁점 중심의 문학사를 서술하면서 이념과 인간, 상황과 인간, 작가의 윤리성 문제 등 보편적인 차원에서 해방공간의 문학적 주제에 접근하고 있어서 민족국가서사로서의 문학사를 넘어서는 지점을 선취하고 있다. 남북한 중 어느 하나의 시선에 포섭되거나 통합에 연연하지도 않으면서 의미 있는 주제를 포착해내는 사에구사 도시카쓰의 시각은, 한국문학사가 인간과 삶을 사유하는 성찰의 장으로서 재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남북관계가 화해분위기로 접어든 오늘날, 우리시대의 과제가 된 분단 너머의 문학사 서술은 상호적대성을 재생산하는 분단국가주의에서 벗어나 통일민족주의적 시각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는 기존 남북한문학사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할 때 가능한 시각이다. 이러한 시각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中·日 한국현대문학사의 해방공간 서술이 담고 있는 가능성과 한계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ses the narrative aspect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Japan, with viewpoints of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the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wo Koreas have had distinct differences in terms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due to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On the other hand, as China and Japan are able to overlook both Koreas in close distance,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Japan have different perspectives compared to that of two Koreas, and therefore, deserve a particular attention. Hence, this study focuses on Bing Min Jin’s “The History of Joseon-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2000) written in China, and Toshikatsu Saegusa’s “Taste of Korean Literature” (1997) written in Japan, and analyses the differences in their viewpoints when describing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Bing Min Jin concentrates on the fact that both left and right-wing writers had common interes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ttempts to include such fact when narrat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lthough Jin failed to demonstrate such perspective in the actual manuscript, his integrated narration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erms of seeking the intersecting point between the History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oshikatsu Saegusa is extending the border of the national literature by discoursing the liberation period in a unique way. Saegusa demonstrates the literary histo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troversies such as ideology and human, circumstance and human, or morality of the writer, and thereby approaches the literary topic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universal extent. Thus, Saegusa’s text is, in a sense, exceeding the literary history as the national state narrative. His perspective is not prompted nor attached to either South or North Korean point of view; however, it still succeeds to capture the meaningful topic as well 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evaluat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the discourse of human and life. As the recent historical events are amelio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Koreas,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notion of unification-centered nationalism as well, and such perspective is only possible when the critical viewpoint towards the current history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is settl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such critical stance,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which the narrative aspect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Japan possess is influential.

      • KCI등재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 고전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김준형 ( Joon Hyeong Kim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이 글은 이미 제출된 한국문학사에 드러난 문학 사관이나 지향성에 주목하여 그 들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제시되었는가를 사적으로 '보여주는' 데에 목적을 둔다. 식민지 시대, 우리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은 문학사로 표출되었고, 그 서술 방 향은 크게 세 형태로 진행되었다. 안확의 문학사로 대표되는 '정신사로서의 문학사', 김태준의 한문학사로 대표되는 '문헌학으로서의 문학사', 그리고 실증주의 학문을 학습한 경성제 대 연구자들이 쓴 장르사로 대표되는 '과학적 실증주의 문학사'가 그것이다. 해방 공간에서 이루어진 한국문학사 편찬은 일차적으로 대학교재를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문학의 범주에 대한 고민이나 한국 근대문학의 전통론 등을 제시한 문학사도 있지만, 해방 직후에 쓰인 문학사 가운데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할 문학사는 이명선의 『조선문학사』와 조윤제의 『국문학사』다. 조윤제는 민족정신의 흐름로서의 문학사를 지향했다면, 이명선은 생산관계와 생산력의 대립 구도로서의 문학사를 지향했다. 한쪽은 유물사관, 한쪽은 신민족사관이라 할 분명한 문학 사관을 제시했다. 또한 이명선은 세계 보편성 아래 한국의 특수성을 강조한 '조선'문학사를, 조윤제는 한국의 특수성을 세계 보편성에 적용하려는 '국'문학사라는 타이틀을 제시했다. 사실 우리가 이상적으로 제시하는 문학사는 조윤제와 이명선의 문학사가 지향한 요소를 균형 있게 정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 내적 아름다움과 삶의 외적 실천, 실증과 실용, 형식과 내용, 남과 북.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문학사가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 은 기실 조윤제의 문학사와 이명선의 문학사를 어떻게 아우를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그 문제제기는 이미 해방 공간에서 나왔던 셈이다. 분단 이후, 남한 학계에서는 객관 성을 강조하는 풍조가 점차 확대되어 갔고, 북한 학계에서는 그와 달리 주관적인 해석을 강조하는 풍조가 강해졌다. 전자는 학문적 엄격성이라는 이름으로 주관적인 해석에 대해 비판을 가했고, 후자는 편의에 따라 없는 사실도 조작하였다. 해방 공간에서 이루어진 실용과 실증의 논의는 둘 다 현재적 삶에서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한 논쟁이었지만, 분단 이후에는 그런 물음이 '이념' 이라는 외적 요소에 의해 사라졌다. 1980~90년대에 남북한에서는 공히 문학을 집대성하는 문학사가 등장했다. 남한에서는 1950~70년대에 객관적 실증주의의 틀이 여전히 강한 힘으로 작동했지만, 그래도 그 한계를 극복한 조동일의 문학사가 등장하였다. 객관적 사실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문학사가 지향할 방향성은 분명히 인식했다. 그렇지만 문학사를 관통하는 문학사관의 부재는 한계로 남는다. 북한에서도 문학을 집대성한 문학사가 등장했다. 그렇지만 북한의 문학사는 오히려 1970년 문학사보다도 퇴보하였다고 할 만큼 왜곡이 심하다. 정치적인 요소가 문학사에 개입함으로써 문학사의 본질이 퇴색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iew of history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imes chang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researchers expressed their critical mind on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There were three different ways of writing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ose were the writing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as the history of national spirit by An Hwak,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as the philology by Kim Tae-Jo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scientific positivism by researchers studied with KyeongSeong Empire University.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mainly compiled for the purpose of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e prominent books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re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Choson Munhaksa] by Lee Myeong Seon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KookMunhaksa] by Cho Yun Jae. Cho aim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pirit, but Lee tri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ist literary view. In fact, we ne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ith balanced attitude toward these two different views of literary history. But since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need of objectiveness studying on literature in South Korea,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North Korea. The different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gave birth to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 literature. But the critical mind toward social functions of literature are in common. There were the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 since 1980s and 1990s. It was the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HanKook Munhak Tongsa] by Cho Dong-il in South Korea, but it still was absence of view of literary history. And also, there are compilation of Choson literature in North Korea, but it also was distorting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중국 한국문학사 2종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 양상: 남북한문학사와 자국문학사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이등연 ( Lee Deung-year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중국에서 중국어로 집필된 한국문학사 가운데 조선족 학자인 李岩(외)의 『조선문학통사』(2010)와 한족 학자인 韋旭昇의 『조선문학사』(1988, 2008)의 서술시각을 남북한문학사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와 북한 15권본에서는 시대구분 방식, 장르의 개념, 개별 작품 에 대해 논의를 세밀하게 전개하면서 이를 문학사 서술에서 적극 활용한 바 있다. 그러나 韋旭昇과 李岩의 한국문학사에서는 남북한의 이러한 이론적 논의 과정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李岩의 『조선문학통사』는 2010년에 출간되었고, 韋旭昇의 『조선문학사』는 1986년 초판을, 2000년과 2008년에 개정판을 출간했다. 두 문학사의 출간 시점으로 보면, 한국쪽에서 이루어진 여러 논의들을 참조하는 것이 당연한 일일 터인데 그렇지 못하다. 자국문학사의 서술 전통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둘째, 두 텍스트는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문화 등 문학 외부적 요인을 중시하며 각 시대마다 `개술`에서 이를 따로 언급하고 있고, 본문에서도 인민성ㆍ현실성ㆍ민족성 등 `정치 표준`에 의거한 평가가 중시된다. 이는 사회주의 체제에서의 문학사 서술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이며, 북한 15권본도 비슷한 형식을 보인다. 셋째, 두 문학사는 중국학자가 쓴 한국문학사이기 때문에 중국문학과 한국문학의 연관성에 주목하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小品ㆍ樂府ㆍ寓言ㆍ說唱ㆍ史傳 등 장르 용어는 중국문학 용어를 많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장르 용어로 한국문학을 설명할 때, 본래의 의미와 변화된 의미 사이의 차이를 세밀하게 검토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향후 작업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wo specific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the outline of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2010) by Li Yan and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88, 2008) by Wei Xu-sheng; it was conducted to compare narrative viewpoints to the history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refore identify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following was concluded. Firs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Cho Dong-il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North Korea (15 volumes) include thorough discussions on division of historical eras, concept of genres as well as individual literary works and applied such discussions on writing literary history. However, Wei Xu-sheng and Li Yan`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id not illuminate theoretical discus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Li Yan`s outline of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was published in 2010 and the first edition of Wei Xu-sheng`s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was published in 1986 and later was published as revised editions in 2000 and 2008. Regarding published dates, it is a matter of course to reference Cho Dong-il`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1980s, 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North Korea (15 volumes), published in the 1990s; nevertheless, neither Wei Xu-sheng nor Li Yan used those texts in their works. Their works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narrative tradition of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therefore, entailed unsophisticated discussion on the division of historical eras or the concept of genres. Second, those two texts also emphasized external factors such as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and explicitly mention these factors in historical overview of each chapter. Such an approach is commonly used in narratives of literary history under socialist regimes, includ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North Korea (15 volumes). Accordingly, evaluations based on `political standards` - stress of people, nationality, practicality and so forth - in main texts are particularly accentuated, akin to narratives of literary history under socialist regimes. Finally, since those two Korean literature history works are written by Chinese scholars, they focus on correlation between Chinese literature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However, several genre-related terminologies such as Xiaopin (a kind of essay), Yuefu (a kind of popular song/poem), Yuyan (fable), Shuochang (telling of popular stories with the interspersal songs), Shizhuan (biography or/and memoirs in history) were adopted directly from Chinese literature. In analyzing Korean literature using terminologies introduced from Chinese literature,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and alternative definitions were not examined in detail. While some terminologies and concepts were adopted directly without further consideration as to state of the two nations,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dichotomy, mainly used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used to discuss the genre of Cheonki (romance tale), relevant to Suyichon and Keumosinhua, rather than follow traditions of Chinese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한민족 문학사의 통시적 연구와 기술의 방향성

        김종회(Kim, Jong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남북한 문학과 함께 중국 조선족 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일본 조선인 문학, 미국 한인 문학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바라보고 그 작가와 작품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문학사를 새롭게 기술해 보자는 것이 한민족 문학사의 창의적 의도이며 도전적 의욕이다. 이를테면 북한문학과 재외동포 문학을 포함한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를 작성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이 시도는 남북한 문학사의 성과를 이어 받으면서 지금까지 없던 문학사의 새로운 길을 내는 일이므로, 향후의 후속 연구와 자료 활용에도 초석이 되어야 한다. 크게 구분하여 남북한과 재외 4개 지역 등 모두 6개 지역이 세항을 이룰 한민족 문학사는, 하나의 일관된 문학사로서 통합적 기술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각기 세항의 실상에 있어 상이한 대목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상이점들을 어떻게 전체적인 범주 안에 조합할 것인가가 과제가 된다. 한민족 문학사는 궁극적으로 지역별로 독립적 지위와 전개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되, 그 개별성이 수렴되고 통합되어 하나의 문학사론을 이루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각기 지역의 연구에 있어서는 각기의 역사성과 문학의 미학적 가치가 결부되는 문학사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개별적 가치들이 통합적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공통분모가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로 인도되어야 한다. 부분과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 관계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부분은 부분대로 의의를 갖고 전체는 그 의의들의 연합에 의해 공동체적 의미를 발양하는 문학사의 범례가 새롭게 시도되는 한민족 문학사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국경과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고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분산에서 통합으로 이끄는 ‘도전적인 문학운동’으로 규정될 수 있어야 제 값어치를 다할 것으로 본다. Along with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onding Chinese literature with Korean background, Central-Asia Koryo literature, Japanese Korean literature, Korean American literature as one cultural idiom, and newly writing literature history about these writers and their works are creative intention and challenge in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of presenting the histor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including North Korean and the Koreans living abroad. This is a new trial of continuing the outcome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creating a fresh pathway; therefore, it should be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The Korean literature, divided in South, North, and 4 other areas outside of the country which is a total of 6 areas, should be integrated and in cohesion. However, each area is differ respectively; how the differences could come together in one circle is left to study. Korean literature history ultimately researches on each area which comes with independent position and development. Yet it should build one ideology of historical literature acknowledging individual traits. Studying on each area accompanies with independent criticism and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aesthetical aspects. A common denominator is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history. Each part and the whole body is intimately connected but each is meaningful on its own way while the whole body prepares a common based as one communit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rder and area, and moving towards integration of diaspora from divergence can be together defined as “challenges in literature movement.” 남북한 문학과 함께 중국 조선족 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일본 조선인 문학, 미국 한인 문학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바라보고 그 작가와 작품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문학사를 새롭게 기술해 보자는 것이 한민족 문학사의 창의적 의도이며 도전적 의욕이다. 이를테면 북한문학과 재외동포 문학을 포함한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를 작성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이 시도는 남북한 문학사의 성과를 이어 받으면서 지금까지 없던 문학사의 새로운 길을 내는 일이므로, 향후의 후속 연구와 자료 활용에도 초석이 되어야 한다. 크게 구분하여 남북한과 재외 4개 지역 등 모두 6개 지역이 세항을 이룰 한민족 문학사는, 하나의 일관된 문학사로서 통합적 기술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각기 세항의 실상에 있어 상이한 대목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상이점들을 어떻게 전체적인 범주 안에 조합할 것인가가 과제가 된다. 한민족 문학사는 궁극적으로 지역별로 독립적 지위와 전개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되, 그 개별성이 수렴되고 통합되어 하나의 문학사론을 이루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각기 지역의 연구에 있어서는 각기의 역사성과 문학의 미학적 가치가 결부되는 문학사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개별적 가치들이 통합적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공통분모가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로 인도되어야 한다. 부분과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 관계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부분은 부분대로 의의를 갖고 전체는 그 의의들의 연합에 의해 공동체적 의미를 발양하는 문학사의 범례가 새롭게 시도되는 한민족 문학사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국경과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고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분산에서 통합으로 이끄는 ‘도전적인 문학운동’으로 규정될 수 있어야 제 값어치를 다할 것으로 본다. Along with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onding Chinese literature with Korean background, Central-Asia Koryo literature, Japanese Korean literature, Korean American literature as one cultural idiom, and newly writing literature history about these writers and their works are creative intention and challenge in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of presenting the histor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including North Korean and the Koreans living abroad. This is a new trial of continuing the outcome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creating a fresh pathway; therefore, it should be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The Korean literature, divided in South, North, and 4 other areas outside of the country which is a total of 6 areas, should be integrated and in cohesion. However, each area is differ respectively; how the differences could come together in one circle is left to study. Korean literature history ultimately researches on each area which comes with independent position and development. Yet it should build one ideology of historical literature acknowledging individual traits. Studying on each area accompanies with independent criticism and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aesthetical aspects. A common denominator is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history. Each part and the whole body is intimately connected but each is meaningful on its own way while the whole body prepares a common based as one communit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rder and area, and moving towards integration of diaspora from divergence can be together defined as “challenges in literatur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