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6세기 士林派 作家들의 事物觀과 文學精神 硏究 : 林薰·李滉·曺植의 경우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Cases of Lim Hoon, Lee Whang, Cho Sik

        정우락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은 대체로 셋으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다. 즉물적 인식, 이념적 인식, 역사적 인식이 그것이다. 이는 모두 '자아-사물-개념'이라는 사물인식의 삼각구도를 형성한다. 즉물적 인식의 경우 개념이 사물 그 자체가 되고, 이념적 인식의 경우 성리학에서 제시하는 추상적 이념이 되며, 역사적 인식의 경우 구체적 현실이 된다. 16세기 사림파 작가 가운데, 불가사상에 다소 개방적이었던 임훈은 주로 즉물적 인식을 동원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물 자체를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物'로 요약된다. 철저한 성리학적 입장을 고수했던 이황의 경우, 이념적 인식이 주도적이다. 사물을 보면서 이념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理'로 요약된다. 그리고 같은 성리학자로서 도가사상에 개방적이었던 조식은 역사적 인식이 주도적이었다. 사물을 통해 사람과 그 사람이 처한 역사적 현실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世'로 요약된다. 이들은 모두 성리학자이지만 불가나 도가를 보는 입장이 서로 다르며, 사물관 역시 이처럼 다르게 나타났던 것이다. 사물관과 문학정신은 어떠한 상관관계에 놓이는가? 임훈은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내기도 했는데, '廣奧論'이 그것이다. 사물에 대한 '넓게 보기'와 '깊게 보기'를 이렇게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해 그는 자연을 섬세하게 자각하고자 했다. 이황은 자연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이것을 興感處로 여겨 作詩活動을 전개하였다. 그는 불멸하는 진리의 본체로 理를 상정하였으므로 그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이 종국에는 理로 귀결되게 했다. 그리고 조식은 사물을 통해 역사적 현실을 중시하고자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람은 생각한다는 '睹物思人'으로 구체화하였는데, 이는 그의 문학정신이 사람과 그 사람이 거느린 역사적 현실에 더욱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물에 대한 인식의 방법은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이 활동했던 16세기를 전후로 해서 다소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즉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실적 재현이라 할 수 있는 즉물적 인식이 16세기 이전에는 강세를 띠며, 16세기에는 이념적 인식이 더욱 정치해지고, 그 이후에는 역사적 인식이 서서히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성리학의 도입과 그 발전, 그리고 실학적 사유의 요청이라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matters involving Sarim School writers' view of things and literary spirit in the sixteenth century focusing on the cases of Lim Hoon(林薰), Lee Whang(李滉) and Cho Sik(曺植), and kinds of changes developed for Sarim School's view of things o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based on methodology on Sarim's awareness of things.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usually divided awareness of things into three parts: materialistic awareness, ideological awareness, and historical awareness. This means that all of them form a triangular composition for recognizing things called 'Self-Things-Ideology.' A concept becomes a thing itself for a case of materialistic awareness an abstract ideology shown in Sung Confucianism for a case of ideological awareness, and concrete realities for a case of historical awareness. Among writers of Sarim School in the sixteenth century, Lim Hoon, who was somewhat open-minded toward Buddhist ideologies, conducted creative activities based main on materialistic awareness. Since it involves examining things themselves while looking at them,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mul(觀物察物).' As for Lee Whang who adhered to a downright viewpoint of Sung Confucianism, ideological awareness played a leading role. As it examines ideology while looking at things. it can be summarized as 'Gwanmul-Challi(觀物察理)'. In addition, Cho Sik. who was open-mined toward Taoist ideologies as the same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as involved mainly in historical awareness. Since it deals with examining people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ir situations through things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se(觀物察世) ' Although they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they have different viewpoints toward Buddhism and Taoism, and their viewing of things also appeared different as such. What kind of a correlation does view of things have with literary spirit? Lim Hoon developed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independently and is called 'Gmng-oron(廣奧論)' 'Looking Widely' and 'Looking Deeply' on things were expressed as such Lim Hoon aimed to be aware of nature delicately. Lee Whang discovered the truth through nature and he thought of it as a place of interest and started writing poems. As he introduced Yi(理) as the ieal thing of imperishable truth his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as eventually concluded as Yi In addition Cho Sik aimed to take a serious view of historical realities through things. He concretized to 'Domul-sain (睹物思人)', which depicts thinking of people while looking at things and this meant that his literary spirit is adhered more to people and their historical realities. It seems as though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ent through some changes around the sixteenth century when Lim Hoon. Lee Whang and Cho Sik were active. This means that while ideological awareness for things continued materialistic awareness, which could be said a realistic reproduction, was strong before the sixteenth century, ideological awareness became stronger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historical awareness emerged slowly after that. This may had occurr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reflection of the passage of an era with the requisition for realistic reasons.

      • KCI등재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의 역사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은지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history textbooks on people’s historical awareness. To conduct research, I developed a scale which is related to historical awareness. It is constructed based on an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historical awarenes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The two generations evaluate three questions differently: ‘the national power of Goguryeo’, ‘the value of solidarity in defeating foreign enemies’, and ‘the role of the nationalists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effect size is small. This means that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do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econdly, ther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7th generation depending on the choice of Korean history as an examination subjec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ly three questions were valid in the historical awareness scale: ‘cultural diffusion to pre-modern Japanese’, ‘role of the nationalists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nfluences of the bipolar system and the left wing on the division of Korea'. Again, the effect size is small. This implies that choice does not bring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se assessments, it was possible to extract several implications that may be useful to history education. 이 연구는 특정한 교육과정 하에서 역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성인이 되었을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그의 역사인식에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이수한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를 대상으로, 교육과정별·선택여부별 비교를 통해 그들의 현재 역사인식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 간 역사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따라 그들의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역사인식 척도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순위별 분석과 전체 빈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두 세대가 자신의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한 요인의 순위별 분석과 빈도 분석에서 언론계열은 항상 많은 지지를 받았음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역사인식 척도에 대해 두 교육과정 세대는 전체 여덟 가지 척도 항목 중, 세 가지(고구려의 국력, 외적 격퇴를 위한 단결의 가치, 항일운동에서의 민족주의 계열의 역할)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효과크기 또한 작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 세대에 따라 역사인식에 큰 차이를 보인다고 보기 어렵게 만든다. 이어서 제 7차 교육과정 세대 내 선택여부에 따라 전반적인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역사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번에도 역시 순위별 분석과 빈도 분석 모두에서 언론계열은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다음으로 역사인식 척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문항(전근대 일본에의 문화 전수, 항일운동에서의 민족주의 계열의 역할, 강대국과 좌익진영이 분단에 미친 영향)에서만 선택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효과크기는 모두 작은 편에 속하였다. 따라서 한국사 과목 선택여부에 따라 현재 역사인식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가 현재 보이는 역사인식에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차이는 그다지 반영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들의 현재 역사인식 형성에 언론이 미친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 KCI등재후보

        한일협력과 역사문제-갈등을 넘어 화해로

        정재정 ( Jae-jeong Chung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3 No.-

        한국과 일본은 식민지 지배로 야기된 역사문제를 서로 흔쾌히 동의할 만한 수준에서 해결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역사문제로 인한 한국인의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傾注하여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었다. 1965년 국교 정상화 당시만 하더라도 일본은 한국을 침략하고 지배한 것에 대해 사죄하고 반성하는 역사인식을 갖지 못하였다. 당연히 보상조치 등도 취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1990년대 이후 일본은 역사인식과 보상조치 등에서 괄목할만한 진전을 보였다. 일본은 침략과 지배에 대해 사죄와 반성의 뜻을 명확히 표시하고, 인도적이라는 명목으로 재한 피폭자, 사할린에 버려둔 한인, 일본군 ‘위안부’ 등의 피해자에게 여러 가지 지원을 했다. 일본의 이러한 태도변화는 피해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운동가 등의 끈질긴 요구에 따른 것이지만, 그것들을 외교 현안으로 수용하여 교섭을 통해 해결을 도모해온 양국 정부의 노력도 무시할 수 없다. 또 역사문제의 본질을 究明하고 해결의 방향으로 여론을 환기해온 연구자, 교육자, 언론인 등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과 일본이 역사문제를 현안으로 수용하고 해결을 위해 씨름해온 여정은 양국 관계의 전반적인 발전과정과 궤도를 같이 해온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서로 경쟁하고 협력함으로써 둘 다 이익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이웃이다. 밉고 싫다고 해서 이사 갈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 그러므로 두 나라는 역사대립을 극복하고 역사화해를 이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사화해에 이르는 과정은 서로 성찰과 양보가 수반되는 험난한 여정이다. 그렇지만 한국과 일본이 뜻을 같이 한다면 이루지 못할 일도 아니다. 인류 역사상 제국주의 침략 국가와 식민지로서 지배를 당한 국가 사이에 역사화해를 이룩한 선례가 거의 없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이 함께 노력하여 역사화해를 이룩한다면 인류역사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위대한 업적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한일 양국은 과거와 싸우기보다는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간다는 신념을 가지고 역사화해를 위한 공동의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일미래재단 혹은 한일우호신뢰재단을 설립하여 역사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역사인식을 개선하는 사업을 함께 추진해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다 보면 한국과 일본은 어느새 미래가 과거를 정리해 준 현실을 목도하게 될 것이고, 새로운 문명을 선도한 우아한 품격의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South Korea and Japan were not able to reach a willingly agreeable solution to their historical problems that stem from experience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Nonetheless, the two countries put an effort into the relief of Korean victims and succeeded in some parts. At the time of normalization of Japan-South Korea diplomatic relations in 1965, Japan lacked in apologizing and reflective historical awareness regard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occupation of Korea. However, starting from the 90s Japan demonstrated remarkable progress in enhancing historical awareness. Japan clarified its position of apologies and regrets for the past invasions and occupations, and provided diverse aids in the name of humanitarian purposes to Korean victims, such as Korean atomic bomb survivals, Sakhalin Koreans, and “comfort women.“ Such changes in attitude results from persistent demands of victims and activists who support them, but efforts of two governments to introduce their demands as a diplomatic agenda and to solve it through negoti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to account. Moreover, researchers, teachers, and journalists also played their roles throughout the process by identifying the essence of historical problems and leading public opinions toward the solution of problems. Thus, the half-century process of incorporating and solving historical problems as a diplomatic agenda between Korea and Japan could be understood along with the general developmental track of Korea-Japan relations. South Korea and Japan are neighbors that should expand their national interests through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ey are destined to such position regardless of remaining hatred or hostility. So it is desirable for the two countries to overcome historical conflicts and accomplish a reconciliation. However, the pathway toward the historial reconciliation is challenging and requires mutual reflection and concession. Nevertheless, it is a possible future with the commitment of two countries. There is almost no precedent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an imperial aggressor state and a former colonial state. Therefore, the accomplishment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through mutual efforts between Korea and Japan will present a new vision to the history of humankind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Hence, it is necessary for the two countries to believe in historical reconciliation rather than conflict by developing and executing joint projects. For insta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Japan’s Future Foundation or Korea-Japan’s Friendship and Trust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historical problems and for a business toward the improvement of historical awareness could be one of possible methods. At the end, Korea and Japan will encounter a reality in which the future already arranged the past and will discover themselves with higher dignities as those who led the world into a new horizon of civilization.

      • KCI등재

        남북 역사대화 30년의 성과와 방향 모색

        이신철(Lee, Sin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6 No.-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남북 역사대화를 1기~3기로 나누고 각각 태동기, 토대형성기, 정체기로 규정해 그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 그것을 토대로 남북 역사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남북 간의 역사대화는 1987년 한국사회의 민주화운동의 성과로 역사학 대중단체들이 등장하면서 조금씩 준비되기 시작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은 남북역사대화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활발한 역사대화가 이루어진 결과, 고대사 분야와 문화재 발굴, 대일 과거사 문제 등에서 공통의 관심을 확인하고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제 그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논의되었던 주제들을 재점검하고 역사사실에 대한 남북의 실질적인 인식차이도 차근차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남북이 공동으로 추구할 수 있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모색하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 평화와 탈식민주의의 가치를 매개로 한 역사인식통합 추구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정치적 변화에도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시급하다. 또 남북의 시민들이 서로의 역사인식을 이해하고 그 자체로 인정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역사인물과 교과서의 내용 비교, 재일 민족학교의 역사교재 등을 비교 검토하고 대안적 역사서술을 모색하는 것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체적인 상호이해야말로 가장 현실적인 역사대화재개 방안이자, 역사인식 통합의 미래를 향한 준비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ialog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980s within the Beginning, Formation of Foundation, and Stagnant periods. It also proposes suggestions, based on these periods, to resume the historical dialogue between the two Koreas. Popular groups of historical studies emerged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1987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led to gradual preparations for historical dialog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inter-Korean summit of 2000 was a decisive turning point in reviving historical dialogue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is now more active historical dialogue, which that resulted from the excavation of ancient fields and cultural assets, common interest in issues with Japan in the past, and broad consensus. Now is the time to reexamine the topics discussed so far and closely examine differences in practical perceptions of historical fac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past outcom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xplore and discuss universal values of mankind that the two Koreas can pursue together. A good example can be found in a pursuit of integrated historical awareness, based on the values of peace and postcolonialism.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two Koreas to prepare plans to minimize adverse public perception to political changes. North and South Korea must explore practical measures for their citizen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each other"s history and historical awareness. One such measure is to explore alternative descriptions of history by comparing historical figures and textboo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by teaching historical materials between the two Koreas and Korean ethnic schools in Japan. Such specific mutual understanding will be the most realistic approach to resume historical dialogue and prepare for the future of integrated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석정 중기시의 시간과 현실 의식

        강희안(Hee-Ahn Kang)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7 No.-

          The initial Seokjeong"s world of poetry started from the past-oriented lyric poems incisiv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mid of his times and shows the winding awareness of time in the late mythological world orientation. In here time is not a mere symbol or subject, but collected as a drive of actuality awareness aroused by meeting of the poet and the object in the poems. Furthermore, It is not only the principle of generating poem"s inner meaning, but also the frame of total and detail perception involved in subjects. In this paper awareness of time is a measure showing how Seokjeong integrate the ideal with reality and ontological orientation, and it also functions as a drive consisting of Seokjeong"s internal meaning system and the system of imagination.<BR>  When Seokjeong"s middle of the poems glacier(1956), take social historical reality significantly differently from those his initial poems, time is not a simple mechanism, but the implicit theory Seokjeong is oriented and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to integrate the ideals and realities and the guide to the system of the imagination as well. This paper shows that the specification of the Seokjeong"s mid poems" characteristics consist of the horizontal awareness of time. This is revealed as the two-oriented structure, reverse (←) or forward (→).<BR>  First, as a form of reverse(←) Seokjeong"s mid poems borrow the past revealing the attitudes of accepting the stream of time. Memories are the ruminating of yesterday osmosed in the present, one of the recalls scattered in the debris of the past to regain one of the creative recalls. They are also liberated from self-integration confined in the past. Second, in the form of a forward(→), the form of future-oriented present, which is the current time of the act and expressed as the attitude of consciousness in Seokjeong"s poems. The confusion and disorder of the times trying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ego and historical identities are routinely converted into the future by the time switch. This can be done on the premise that they try to get immersed in the time of universe chaos, is self-consecutive time, in here, the continuity of time becomes the parameter of equality which can be proved to be a positive force of the future and awaken the history as well.<BR>  And later verified, two structures of time in Seokjeong"s mid poems as emotion adhered closely to history are the results of his frustration and pain that he had suffered trying to improve things into a new world. But it is the factor of consciousness of history that revealed based on life basis of ego of subjective awareness of self-consciousness. Thus, Seokjeong"s mid poems are the transitional product of poet"s spirit escaping from his initial lyricism, based 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negative historical reality of repression can not succumb to pressure based on strong historical awareness.

      • KCI등재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림(Kim, Na-R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가지는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가치관과 양육 태도 및 신념은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으로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유아 역사교육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역사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가 부모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만 5세 유아의 부모 131쌍이다. 연구도구로는 Ramdhani, Naim 그리고 Sumardi(2019)와 장은경(2004)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성인용 역사의식 검사지로, 유아편에 연구도구를 배부하고, 다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8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는 모두 보통 이상의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역사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는 매우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가 높을수록 역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역사의식과 인식도 정도와 부모 역사의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역사의식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부모변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arents levels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on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arents, as well a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differences in this aforementioned consciousness in accordance to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parents. 131 pairs of parents in J City were interviewed in this study; research tools contributed by Ramdhani, Naim, and Sumardi (2019) as well as Jang Eunkyung (2004)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n distributed for us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18,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Scheffe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both parents had a generally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in regards to history, as well as greater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history. Moreover,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history in par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of parents, the higher their consciousness was in relevance to history. 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tribute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 variables in bet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est,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history in relation to the cultivation of young children’s historical awareness.

      • KCI등재

        千寬宇의 역사인식과 언론 활동

        이광표(Lee Kwangpyo)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7

        Cheon Kwanwu(1925~1991) was a journalist who had a reputation as a newspaper columnist in the 1950s and 70s, devoted himself to the defense of the press freedom and political democracy, and was a historian who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lmost all of Cheon Kwanwu’s records as a journalist is known. The important point is how to interpret it and from what point of view. This article presents three perspectives, “History”, “Writing”, and “Reader”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journalist Cheon Kwanwu. First, I looked at why Cheon Kwanwu, a well-known historian, became a reporter. Cheon Kwanwu became a reporter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There is a view that this is a coincidence, but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it is not a coincidence. Cheon Kwanwu started studying Korean History as he envied nationalist historians and journalists such as Jang Ji Yeon, Park Eun Sik, Shin Chae Ho, and An Jae Hong. Through this process, he has become aware of “newspaper is the current history.” This awareness led him directly to the reporter. It should be said that Cheon Kwanwu was a journalist because he was a historian. Based on this recognition, Cheon Kwanwu has been committed to the freedom of speech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In addition, he constantly wrote newspaper columns with knowledge of history and insights into history. Through the column, he proposed a new direction for newspaper writing. He also shared history with the readers of the newspaper and he worried about the future together. The fact that he settled in the newspaper column was possible because of the historical awareness. Having identified the history and the newspaper, Cheon Kwanwu has always contemplated communicating with contemporary people and readers. This is because it is the desirable direc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the value and usefulness of newspapers. This viewpoint was implemented in the newspapers’ editorial pages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history. Popularization of Korean history is also consistent with the column writing he has been doing continuously. Newspapers were also the most effective media in popularizing Korean history. The three aspects of History - Writing - Reader(Public) were closely linked to the journalist Cheon Kwanwu. They met in one place through the yard of the newspaper and went on to create new strength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se was history. For Cheon Kwanwu, history and newspapers were one. Whether he wrote or worked as a journalist, or studied history as a historian and wrote it, the press was history and history was also the pres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 Writing - Reader (Public), I could confirm that Cheon Kwanwu has consistently embraced his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embodied it through the medium of newspapers.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n suggesting such a point of view. 후석 천관우(後石 千寬宇, 1925~1991)는 1950~1970년대 신문 칼럼니스트로 명성을 날리고 언론자유 수호와 정치 민주화를 위해 헌신했던 언론인이자 한국사 연구에 매진했던 역사학자였다. 언론인으로서의 천관우의 행적은 거의 모두 알려져 있다. 중요한 점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볼 것인가의 문제다. 이 글은 언론인 천관우를 좀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역사ㆍ글쓰기ㆍ독자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논의를 전개했다. 우선, 촉망받는 역사학도였던 천관우가 왜 기자가 되었는지를 살폈다. 천관우는 6ㆍ25 전쟁기에 피란수도 부산에서 기자가 되었다. 이를 두고 우연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우연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천관우는 장지연ㆍ박은식ㆍ신채호ㆍ안재홍 등 민족주의 사학자 겸 언론인을 선망하면서 역사학에 입문했다. 이 과정을 통해 신문은 현재의 역사라는 인식을 갖춰 나갔다. 이런 인식이 그를 기자라는 직접으로 이끈 것이다. 천관우는 결국 역사학도였기 때문에 기자가 될 수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천관우는 언론자유 수호와 민주화 운동에 매진했다. 또한 역사에 대한 식견과 통찰로 끊임없이 신문칼럼을 집필했다. 칼럼을 통해 천관우는 신문 글쓰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신문 독자와 역사를 공유했고 미래를 함께 고민했다. 그가 신문 칼럼을 정착시킨 것도 역사인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역사와 신문을 동일시했던 천관우는 동시대의 사람들, 독자들과의 소통을 늘 고민했다. 그것이 역사학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이고 신문의 가치이자 효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천관우는 이러한 관점을 신문의 에디토리얼 지면 활성화와 한국사 대중화로 구현했다. 한국사 대중화는 그가 지속적으로 해온 칼럼 쓰기와도 상통한다. 한국사 대중화에 있어 신문은 가장 효과적인 매체이기도 했다. 언론인 천관우에게 역사-글쓰기-독자(대중)의 세 가지 측면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들은 신문이라는 마당을 통해 한 곳에서 만났고, 현실 속으로 나아가 새로운 힘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관점은 역사였다. 천관우에게 역사와 신문은 하나였다. 그가 언론인으로 글을 쓰고 활동을 하든, 역사가로서 역사를 연구하고 집필을 하던 그에게 언론은 역사였고 역사 또한 언론이었다. 역사-글쓰기-독자(대중)의 관점으로 볼 때, 천관우는 자신의 역사학적 관점을 끝까지 일관되게 지키면서 그것을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해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이 글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장용학 소설의 역사인식 연구

        LIUJINGZI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5 한국문학연구 Vol.0 No.49

        In the novels of Yonghak Chang, he engages in his criticism of reality and historical-philosophical quest. He intends to view ‘history’ from a holistic perspective and his interest in ‘reevaluation of history’ leads to ‘rewriting of history’ in his late year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awareness of Chang based on his novels. He deals with all the historical issues while he continues the criticism of reality and historical- philosophical quest in his Korean war-based novels. Chang concludes that Korean war is a ‘misjudgement in the history of mankind’ and history is the ‘repetition of excitement and cooling down’, assuming a certain world to come in the future. In his novels against the backdrop of Korea’s modernization, Chang diagnoses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mand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and concludes that the history written by the power holder is only a recor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rue or not. In the novels with the background of Japanese colonial era, he criticizes the Japanese attitude of distorting history. He also claims that the study of history should be focused on literature analysis, highlighting problems of Japanese historians’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n history remains only ‘fictional composition’ and it exists as a ‘narration’. 장용학은 현실비판과 함께 역사철학적인 탐구를 소설로 담아내었다. 그는 ‘역사’를 총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역사 다시보기’에 대한 관심이 후기에 이르러서는 ‘역사 다시쓰기’의 실제 작업으로 이어진다. 본고는 장용학 소설에 나타난 역사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6․25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에서는 현실비판과 함께 끊임없는 탐구를 지속하면서 역사의 제반 문제에 대한 성찰을 드러내었다. 이때 장용학은 한국전쟁이 ‘인류사의 오산’이라고 판정 내리며, ‘흥분과 냉각의 되풀이’가 역사라는 결론을 얻게 되고 어떤 미래의 세상을 상정하고 있다. 근대화 과정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때 집권자에 의해 쓰인 역사는 그 진실 여부를 떠나 하나의 기록임에 불과하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역사를 왜곡하는 일본의 역사서술태도에 대해 비판한다. 또한 일본 역사가들의 역사해석에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밝히면서 역사연구는 문헌분석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역사란 곧 ‘허구적 구성물’에 지나지 않으며, 하나의 ‘서사’로서 존재하게 된다.

      • KCI등재

        무라카미 하루키의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고찰

        오현진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 硏究 Vol.0 No.39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hanges in historical awareness of the author through 『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by Haruki Murakami. ‘Tsukuru’ had lived while disregarding his wound from the past. After 16 years, he realized that his wound was still traumatizing and disturbed his social relationships, and he starts a journey back to his personal history. Thus, the pilgrimage of Tsukuru was started from Nagoya, then continued to Finland. Next to Tsukuru, who took an active approach towards his personal history, was ‘Sara,’ and she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precise spokesperson of Murakami’s historical awareness, and a person who reminds of the importance of healing of wounds from human relationships through her repetitive use of the word history. In his pilgrimage, Tsukuru was able to recover from his wounds in Finland. The significance in setting of the novel in Finland, a country that had experienced historical responsibilities and recovery from it, can be considered as an author’s intention to deliver his thoughts on history to readers. After the pilgrimage, Tsukuru comes back to Nagoya, where the past event had took place in. Instead of searching for a new place, the place where it had all begun becomes a new place. Yōichi Komori has criticized that Haruki Murakami shall define his position before Japan and the world as a writer and a first generation Japanese after the war. In recent, Murakami has spoken about his thoughts on history and Japane se society through interviews with various media, and has been including more and more historical/social issues in his writings through active characters. Thus, Murakami has confronted history, which he had disregarded in his past works, in『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to demonstrate healing and recovery from pains and wounds of history.

      • KCI등재

        야담문학의 전통과 변형, 그리고 한계 - 1920∼30년대 야담운동을 중심으로 -

        강미정 ( Kang¸ Mi-jeo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글은 1920∼30년대 야담운동을 대상으로 야담의 개념과 전통 변형의 문제, 야담운동 출현의 배경과 역사문학론의 관계, 야담운동의 영향 및 한계 등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1920∼30년대 야담운동가들은 역사적 인물이나 사적에서 제재를 취하여 구연하는 방식의 야담을 창작하고자 하였다. 이 점에서 야담운동에 따라 출현한 야담은 ‘구연자(담사)’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전통을 변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야담운동이 출현할 때 다수의 운동가들은 일본의 ‘강담’과 중국의 ‘설서’ 양식을 참고했다고 했는데, 군기물을 중심으로 하는 ‘강담’과는 달리 야담은 역사적 제재를 중시하며, ‘설서’가 구연자와 반주자를 필수 요소로 하는 데 비해 ‘야담’은 구연자만 전제로 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야담운동은 ‘민중교화’와 ‘역사의식 고취’를 모토로 출현한 운동이었다. 그 영향력은 야담대회, 야담 전문 잡지의 출현, 다수의 야담집 발행 등과 같은 활동으로 이어지면서 증대되었다. 그렇지만 야담의 문학성과 관련하여 ‘교화주의’, 흥미 위주의 ‘대중오락물’로 변화한 것은 야담이 갖고 있는 한계가 될 것이다. 그럼에도 야담은 전통 계승과 역사 교육, 문학의 시대상 연구 차원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YADAM(a Kind of folklore story), the problem of transformation of tra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of the YADAM movement and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influence and limitations of the YADAM movement, targeting the YADAM movement in the 1920s and 30s. YADAM is a narrative style of folk tradition handed down from the JOSEON Dynasty, and can be defined as “a story that supplements history and provides interest, and is one of the narrative styles in which an editor compiles and compiles stories handed down from folklore.” Especially, in the 1920s and 1930s, YADAM activists tried to create tales in a narrative style by taking sanctions from historical figures or historical sites. In this respect, This style, which appear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can be seen as a transformation of tradition in that there is a ‘narrator (DAMSA, 談士)’. When the movement emerged, many activists said that they referenced the Japanese ‘Gangdam(講談)’ and the Chinese ‘Seoseo(說書)’ style. The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at ‘YADAM’ is based on only the speaker, whereas the ‘Selseo’ has the speaker and accompanist as essential elements. The YADAM movement was a movement that emerged with the mottos of ‘educating the people’ and ‘increasing historical awareness’. Nevertheless, its influence increased as activities such as gossip contests, the emergence of magazines specializing in gossip, and the publication of a number of gossip books continued. However, in relation to the literary nature of YADAM, the change to ‘educationism’ and interest-oriented ‘popular entertainment’ will be a limitation of the style.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YADAM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hat cannot be omitted from the research dimension in the era of tradition succession, historical education, an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