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노인 보호자의 질환인식이 돌봄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석범,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guardian's illness perceptions in charge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ffects the caregiving appraisal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Methods : From december 2022 to february 2023, the SPSS WIN 21.0 program was used for 172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setting independent variables as illness perceptions, dependent variables as care evaluation, and control variables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Resutl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giving appraisal of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llness perception and caregiving appraisal of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in all areas except for the burden of awareness and illness perceptions. Third, it showed that illness perceptions of disabled elderly guardians had effect caregiving appraisal on the degree and duration of disability, age of guardians and economic level of disabled elderly guardians, cognitive illness perceptions, and emotional illness perceptions. Conclusion : The guardian’s car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and has a negative experience. However, through the illness perceptions of the guardian, basic data were provided to find ways to minimize negative experiences and maximize positive effects, and the need for hea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as found.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노인의 돌봄을 담당하고 있는 보호자의 질환인식이 돌봄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치료사의 작업치료중재에서 포괄적 전인치료로 장애노인 보호자의 질환인식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12월부터 2023년 02월까지 장애노인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노인 보호자 172명을 대상으로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변수는 질환인식, 종속변수는 돌봄평가, 그리고 통제변수는 장애노인과 장애노인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 첫째, 장애노인 보호자의 돌봄평가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인식의 부담감이 긍정적 인식의 만족감과 숙련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 보호자의 질환인식과 돌봄평가의 상관분석에서는 질환인식과 인식의 부담감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상관성이 있었다. 셋째, 장애노인 보호자의 질환인식이 돌봄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장애노인의 장애정도와 손상기간, 장애노인 보호자의 연령과 경제적 수준 그리고 인지적 질환인식, 감정적 질환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장애노인 보호자의 돌봄은 많은 여러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부정적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돌봄 대상자의 질환인식을 통하여 부정적 경험은 최소화시키고 긍정적 영향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에 준하는 장애노인 보호자의 치유와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인식 변화: 2007년과 2017년의 비교 분석

        전제휘,조은영,손준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8

        Purpose: With regard to the process by which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choose medical care,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heir perceptions changed after the department name was changed to oculoplasty. The study involv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a 10-year period from 2007–2017, to assess whether the name change led to better medical service. Methods: Questionnaires, which were the same as those distributed in 2007, were distributed to the guardians of pediatric oculoplast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surgery for epiblepharon and ptosis. The results from 100 guardian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collected in 2007. Results: The average age of respondents was 38.1 years, and most respondents were mothers. Most had become aware of the primary symptoms after medical examinations of infants and school eyesight tests. The ophthalmologist had the most direct effect on the decision for oculoplastic surgery. With regard to economic status, most respondents were middle-class. Most had a college degree or higher,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educational levels in 2007. Conclusions: Overall, guardians’ perceptions had improved due to continuous education about oculoplasty, including notification of the name change to the Department of Oculoplasty,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fforts, such as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medical consultations, to encourage patient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when selecting medical care. 목적: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의 의료 선택 과정에 대한 10년 만의 인식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성형안과로의 명칭 변경 이후의 인식 개선 여부를 평가하고,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덧눈꺼풀 및 눈꺼풀처짐 수술을 위해 입원한 소아 성형안과 환자 보호자에게 2007년 연구와 동일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완벽하게 설문조사를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과거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보호자의 평균연령은 38.1세였고 대부분은 어머니였다. 영유아 검진 및 학교 시력 검사를 통하여 주 증상이 처음 발견된 경우, 안과의사가 수술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경우, 그리고 성형안과의 존재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경우가 과거 연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경제적인 상태는 중, 최종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2007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 지난 10년 동안 안과의사를 비롯한 1차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한 성형안과적 진단, 치료 및 수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안성형에서 성형안과로 개명하는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가 비교적 잘 이루어져 성형안과 분야에 대한 생소함을 해소하고 적절한 인식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의료서비스 이용에서 보호자의 서비스품질인식이 환자의 서비스품질인식 및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학진 ( Hak Gene Shin ),오항록 ( Hang Rok Oh ),전상남 ( Sang Nam Jeon ),이은용 ( Eun Yong Lee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1 병원경영학회지 Vol.16 No.2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guardians` service quality perception(G-SQP) on patients` service quality perception(P-SQP) leading to patients` behavioral intention(P-BI) and the effects of G-SQP on guardians` behavioral intention(G-BI). To investigate the causalities of the variables, we collected national wide samples of 144 hospitals, 1456 patients and 1455 guardians of the patients and analyzed 1146 guardian-patient coupled cases refined with prerequisites such as missing value, outliers, normality and covariance conditions. Followed were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study. First, G-SQP was a predictor of P-SQP. Second, in the first contribution stat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group. Third, proven was that G-SQP was a predictor of G-BI. Fourth, verified was that P-SQP was a predictor of P-BI. Fifth, G-SQP was a predictor of P-SQP being led to P-BI that meant P-SQP had a mediating role between G-SQP and P-BI. Since the guardians` perception affected patients` buying decision, the present study implied service managers of hospital settings should pay attention to guardian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s well as patients`. With such strategy, hospitals coul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in long-term.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G광역시의 보호자와 후견인을 중심으로

        이재호(Lee Jae-ho),박영근(Park Yung-keun),차재경(Cha Jae-k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G광역시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하여 보호자와 후견인들의 교육실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수정, 개발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하여 구성한 설문지 중 208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하위 분석 내용은 크게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G광역시 평생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그리고 G광역시 발달장애 평생교육의 발전방안이었다. 그 결과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조사 결과 평생교육 참여경험을 물어본 질문에 가장 이용경험이 많은 기관으로는 복지관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G광역시 평생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광역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전문 강사의 선호도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고유 업무 외에 발달장애인 성인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여부에 대해서 많은 응답자가 수행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이외 다양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guardi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questionnaires and 208 responses from a total of 500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etailed analysis includes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mation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G metropolitan city, and developmental strategy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erceptions on their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itution for lifelong education was a welfare center.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a new separate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rough the perceptions on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st preferred as professional instructor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pport should provide lifelong education servi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own tasks. The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불교적 염원의 시각화 - 통일신라 불탑의 상징성과 신장 이미지 -

        심영신 ( Shim Yeoung-sh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62 No.0

        이글은 통일신라시대의 불탑과 신장 이미지 그리고 불교의 지향에 대한 관련성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통일신라 불교사회의 이념이 불탑의 공간 인식과 신장상 배치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주를 중심으로 건립된 불탑을 주 대상으로 하며, 초층탑신의 금강역사와 사천왕상, 그리고 기단부 상층의 팔부중상 배치의 일관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불탑에 대한 당대의 공간 인식 속에서 신장 이미지가 불탑에 등장하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통일기 신라의 불탑은 금당을 중심으로 한 가람의 축소판으로 이해되었고, 불탑 부조 신장상 배치의 일관성은 이러한 인식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좀 더 근본적으로는 신라의 사리 신앙이 당시 신라 불교사회에서 공유되었던 붓다 상주의 염원과 불국토에 대한 믿음의 연장선에 있고 불탑 부조 신장상은 이러한 의식의 시각적 발현으로 이해하였다. 결국 불국토에 대한 지향이 신장상의 배치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 것이다. 신라의 불탑 인식은 신라 불교도의 지향인 붓다의 상주 염원과 불국토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되었고, 불탑 부조 신장상은 이러한 지향을 시각화하고, 불탑으로 공간화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붓다 상주에 대한 염원과 이를 보증하는 신장 이미지의 역할 인식은 통일신라 불교 신행의 일반적 경향으로 추정하였다. 이글은 불탑 부조 신장상의 기능을 밝히는 과정에서 호국불교의 관점을 벗어남으로써 통일기 신라 불교의 불국토 지향이라는 특징적인 양상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대 한국 불교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미술작품을 통한 불교의 이해라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ism of Buddhist Pagodas the imagery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and the orientation of Buddhism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t analyzes how the ideology of the Unified Silla Buddhist society shapes the spatial perception of Pagodas and the arrangement of Guardian Deities imagery. The focus is primarily on the Pagodas erected around Gyeongju,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nsistency in placement, such as the presence of Vajrapani and the Four Heavenly King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tory of the Pagoda and the positioning of the Eight Great Devas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The aim is to illuminate the context in which the imagery of the deities emerges on Pagodas within the contemporary Buddhist spatial perception. This paper interprets Pagoda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s a reflection of the layout of temples centered around a Geumdang (“golden hall”). It speculates that the arrangement of the Deities imagery is consistent based on this perception. Fundamentally, Silla's perception of Buddha’s relics extends to the aspirations for the living presence of Buddha and Buddha Land shared within Silla's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The arrangement of deities imagery on Pagodas visually manifests this sentiment. Therefore, the aspiration for Buddha's living presence and the role of the imagery in affirming these aspirations were common trends in Unified Silla Buddhism. Additionally, the paper proposes that the aspiration for Buddha's living pres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Guardian Deities images, which guarantee it, represent a general tendency in the religious practices of Unified Silla Buddhism. The paper takes an essential approach by moving beyond the perspective of hoguk bulgyo (“nation protecting Buddhism”) in elucidating the function of Guardian Deities images on the surface of Buddhist pagodas. Thus it capture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Unified Silla Buddhism’s orientation towards the Pure Land, or Buddhist paradise. The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n Buddhism and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 through artworks as well.

      • KCI등재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오은순(Oh Eun-soon),전진영(Chun Jin-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영유아 학부모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원아들의 보호자를 말한다.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를 살펴보면 학부모는 그림책 선택을 영유아에게 주고 있으나 영유아에게 읽어주기 적었으며, 그림책 선택을 어려워하고 있다. 학부모는 그림책의 글을 읽기 전이나 읽는 중에 영유아에게 그림 볼 시간을 주고 있으며, 책 내용이 어려울 경우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며 읽어 주고 있다. 또 영유아의 느낌이나 의문을 자유롭게 허용하며 그림책을 읽어주고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대해서는 중간 수준 이상이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는 ‘표지 읽어주기’, ‘책 중심 읽어주기’, ‘관계 중심 읽어주기’로 3가지가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인식 수준이 높으면 표지 읽어주기 방식. 책 중심 읽어주기 방식, 관계 중심 읽어주기 방식이 높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전체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은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책 읽어주기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모들에게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인식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읽어주기 방식을 소개하였다. 학부모들은 ‘표지 읽어주기’에서는 영유아에게 그림책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불러일으키며 읽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학 작품의 스토리를 잘 전달하고자 하는 ‘책 중심 읽어주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읽어주기 행위 자체는 읽어주는 이와 듣는 이 간의 관계 형성에 이바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gainst parents with their child attend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guardians of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terms of current picture book reading patterns, even though most parents have been reading a picture book to their young child, few of them have read it in advance. In addition, they have found it hard to choose decent picture books. Parents have given their young child the time to see the pictures before or during reading. When a book was difficult, they have read it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llowing their child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 and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in person based on long field experiences, and they’ve been actually applicable to parents’ reading. They revealed meaningful reliability and validity. Parents’ perception of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ively high, and a way of picture book reading was an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here are 3 different types i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In terms of the effects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s the perception level was high,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were more common. The overall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were also high. Since such perception affects the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parent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보호자가 인식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이종호,고은,류재형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mmunication capability in the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1 questionnaires in the subjects of guardians for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from 65 to 79 years old who had visited Psychiatric Clinic in J General Hospital, Y City in South Jolla Province. The detailed study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since its development by each questionnaire? Second, how much was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by each questionnaire chang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disease? Upon the analysis results,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capability in the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were the most remarkable in the areas of semantics followed by pragmatics, syntax, and phonology. With respect to the changes by the degree of the disease, all the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conversation attitude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MSE test scores in case of scaled questionnaires using Likert scale. That means little change of communication capability was found as the degree of Alzheimer’s disease was milder. In case of multiple-choice questionnaires, the probability of the intonation to be higher was increased as the degree of the disease was milder. In terms of speaking speed, the probability to be ‘no change’ was somewhat increased while the one to be ‘faster’ was decreased as the degree of the disease was milder. For the length of sentences, the probability to be shortened or no change was increased as the degree of the disease was milder.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264명을 대상으로 치매 발병 이후 의사소통 능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 Y시에 있는 J 종합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65세부터 79세의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하위범주별 의사소통 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둘째, 치매 정도에 따른 하위범주별 의사소통 점수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분석결과 치매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는 의미론적 영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화용론적 영역, 구문론적 영역 그리고 음운론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치매 정도에 따른 변화는 척도형 문항의 경우에는 대화태도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MMSE-K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형 문항의 경우, 말의 억양은 치매정도가 경미할수록 높아지는 확률이 증가하였다. 말의 속도에 있어서는 치매정도가 경미할수록 ‘변화없음’이 나타날 확률은 다소 증가하고 반대로 ‘빨라짐’의 확률은 감소하였다. 문장길이는 치매정도가 경미할수록 문장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변화가 없는 확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근거이론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일상생활지원서비스 품질인식 과정에 관한 연구

        박수지 ( Sus Ie Park ),김가희 ( Ka Hee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일상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품질인식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세 이상 중증장애인의 보호자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와 중증장애인 보호자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인터뷰의 녹취록을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여 총 138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출한 다양한 현상들의 중심범주로서 중심현상은 “기대와 현실의 괴리”로 상정하였다. 이는 중증장애인의 보호자가 일상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해 가졌던 기대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의 질 그리고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을 종합한 개념이다. 이후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조건, 맥락적조건, 상호작용과 이를 다루기 위한 전략, 결과를 논리적으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15세 이상 중증장애인 보호자의 서비스 품질인식 과정을 “기대와 현실을 조율하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수정하기”로 설정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용자 중심의 품질관리를 위해 서비스 성과 이외에 “과정에 대한 정책적 관심”, “이용자 참여의 강화”, “장애인과 보호자의 자조활동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quality of Daily Life Support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ceived by guardians of the severely disabled over the age of 15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guardians of the severely disabled over the age of 15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guardians of them as a secondary sample group. Subsequently, the recorded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nd then 138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In addition, as a central category of phenomena derived in this process, the central phenomenon was assumed as a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nd this study logically arranged human and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is central phenomenon, interactions by the central phenomenon, strategies to deal with them, and final results of service use. Furthermo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usage process as a “process of balancing expectation and reality and changing perceptions of services”. In conclus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rovided “policy interest in service delivery process”, “enhancement of user-participation”, and “need to support self-help activities” as a plan for the realization of government-led user-oriented quality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