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문제에 대한 쟁점과 과제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5 역사와 현실 Vol.- No.98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Go-Joseon studies is the possibility that the territory of Go-Joseon could have shifted as time went on, that the feature of the Go-Joseon realm could have had different shapes in different periods. The history of Go-Joseon shows two phases: the Bronze culture era when the Go-Joseon people still used Bipa-shaped bronze daggers, and the Iron culture era when Go-Joseon achieved the status of a ‘State.’ From this, we can easily see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re should have been ‘periodic changes’ in the Go-Joseon realm, when we try to approach its history from an academic viewpoint. In the early phases of the Ancient period, borderlines were not that distinctive as they are today. Between states and political entities, incredibly large areas remained unpopulated. Go-Joseon’s western border area in particular is believed to have been more than fluid. And there were various tribes living in the vicinity. So, trying to dictate the Daedong-gang river area as the (Western) border of Go-Joseon, or arguing that Go-Joseon’s realm engulfed the entire Manchu region as well as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ntire time” from beginning to end, is simply unrealistic. Scholars and the public should refrain from considering ‘regional deployment of tribes’ or the ‘range of [their] cultural influences’ as indicators of parameters for an actual political territory. Perceiving the entire realm that shared the Bipa-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rectly as the political territory of Go-Joseon is nothing but an academically inappropriate misconception. The Daedong-gang river in the Pyeong’yang region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early-stage realm of Go-Joseon, while including not only the Liaodung(遼東) region but also the Liaoshi(遼西) region in Go-Joseon’s supposed realm of influence is simply without sufficient empirical basis.

      • KCI등재

        요령~서북한 지역 청동기(동검) 제작 기술의 전개를 통하여 본 고조선과 그 주변

        오강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7 No.-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동검 제작의 기술적 계보는 기원전9세기 대릉하 중상류역, 기원전 8~7세기 십이대영자문화권의 조양, 기원전 6~4 세기 십이대영자문화 남동구유형의 객좌와 정가와자유형의 심양, 기원전 3~2세기고산리문화의 평양이다. 이들 지역의 동검이 기술적으로 지속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선후의 연계성을 갖는 동일한 계보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과 준왕 고조선·위만조선·낙랑군 조선현의 중심이 평양이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위의 기술적 계보의 흐름과 이러한 기술적 계보의 중심을 이루는 지역을 고조선 중심 집단과 연계지을 수 있다. 동검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폭과 유물 조합 등 전반을 고려할 때, 기원전 8~7 세기 십이대영자문화권에서 대릉하 중상류역의 조양․건평 등지만이 범 고조선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6~4세기에는 요서 지역에 객좌중심의 고조선연맹체, 요동 지역에 심양 중심의 고조선연맹체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시기 전 요서 지역과 심양 주변 요동의 일부 지역이 범 고조선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다. 서북한은 기원전 3세기 초 전국연과의 전쟁에서 요서 고조선연맹체는 멸망하고 요동 고조선연맹체의 일부 중심 집단이 평양 중심 서북한으로 이주한 뒤에야 비로서 고조선의 무대가 되었다. The technological lineage of the bronze dagger manufacture technology of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 Liaoning and northwestern Korea traces back to the 9th century B.C. mid and upper reaches of the Dalinghe river, 8th-7th century B.C. Chaoyang of the Shiertaiyingzi cultural sphere, 6th-4th century B.C. Kezuo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Nandonggou type and Shenyang of the Zhengjiawozi type and the 3rd-2nd century B.C. Pyongyang of the Hosanri-Songsanri type. In consideration that the bronze daggers of these areas at the same time show technological continuity and technological sequence forming a single lineage and that the center of King Jun's Go-Joseon, Wiman Joseon and Joseon prefecture of Lelang commandery was Pyongyang, the above technological lineage sequence and the area which formed the center of this technologcial lineage can be connected to the central group of Go-Joseon.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variation of the bronze daggers and artifact assemblage, within the Shiertaiyingzi cultural sphere of the 8th-7th century B.C. only the Chaoyang and Jianping areas of the mid and upper reaches of the Dalinghe river area seems to have formed a pan Go-Joseon group. During the 6th to 4th century B.C. in the Liaoxi area the Kezuo centered Go-Joseon confederation and in the Liaodong area the Shenyang centered Go-Joseon confederation was formed and in this period pan Go-Joseon groups were in existence in the whole of Liaoxi and parts of Liaodong centered around Shenyang. Northwestern Korea became Go-Joseon's sphere of activity only after the Liaoxi Go-Joseon confederation perished as a result of war with Warring States Yan and portions of the Liaodong Go-Joseon confederation fled to Northwest Korea centered in Pyongyang during the early 3rd century B.C.

      • KCI등재

        조선 후기 바둑 유행에 따른 문학적 변모 양상

        정하정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As Go is rich in history, the literature regarding Go has been created constantly. Whilst scrutinizing the literature regarding Go, a distinctive feature can be found from the literary works in the later Jose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ad of Go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As Go had become a fad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had been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way, the literary works which reflect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began to be created. It is apparent that Han-si(漢詩) takes the dominant part of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Go. Go is usually depicted as a means of amusement enjoyed by hermits or a means of socializing among literati. However, starting from 17C, various kinds of literary genre started to appear. The first noticable attribute is that Disputatious Prose(議論 散文) regarding Go began to be created abundantly. As Go became prevalent and people started to consider Go only as a means of entertainment, diverse arguments had been posed. Some criticized the illness derived from enjoying Go, and the others argued that they conceived the utility of Go by playing Go for themselves. In addition, arguments analyzing the main cause of victory had emerged as well. As Go had became papular in the later Joseon, Guk-su(國手) referring Go players at that time started to appear. Their existence intrigued literati of Joseon. So many literati created Jeon(傳) based on Guk-su, and their anecdotes had been contained in Pil-gi(筆記) and Yadam(野談). Jeon(傳) about Guk-su usually illustrated their duantless manner, their superb skills and their courtesy and respect to the oppenent. On the other hand, Pil-gi(筆記) and Yadam(野談) usually contained the anecdotes which describe their ludicrous behavior or their defeat. This can be analyzed as the distinctive literary trend forged by a fad of Go during the later Joseon. 바둑은 그 연원이 깊은 만큼 이를 소재로 한 문학 역시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바둑 소재 문학을 일별해보면 조선 후기에 돌출된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대 바둑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말하자면, 바둑이 유행하고 그 향유 문화가 기존과 달라지면서 이 문화를 반영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바둑 관련 문학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漢詩이다. 여기에서는 대개 한적한 은일자의 향유 수단이나 교유 수단으로서 바둑이 형상된다. 그런데 17세기에 이르면 바둑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다.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바둑 관련 議論 散文이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즉 바둑이 성행하고 유희성이 강화됨에 따라 바둑 향유 문화의 폐단을 지목하고 경계하는 논의들이 제기되는 한편, 자신의 바둑 경험을 통해 그 효용을 자각했다는 논의들도 함께 대두되었다. 이 외에도 國手에 주목하여 그들이 승리하는 이유를 분석하는 논의도 출현하였다. 이와 아울러 주목되는 부분은 국수를 제재로 한 문학 작품이 다수 창작된 점이다. 조선 후기 바둑의 유행에 힘입어 등장한 국수는 오늘날의 바둑 기사와 유사한 존재였다. 그들은 조선 문인들에게 흥미로운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리하여 많은 조선 문인들은 그들을 제재로 傳을 창작하였고, 그들의 일화는 筆記․野談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그중 전에서는 승부의 세계에서 견지한 의연한 자세, 전투를 연상시킬 만큼 적을 압도하는 실력과 자부심, 상대를 인정하고 예우하는 협사의 풍모 등이 부각되어 국수를 형상하였다. 그런가 하면 필기․야담에서는 허구성이 보다 강화되면서 국수에 대한 해학적 형상과 아울러 그들의 패배담을 전하였다. 이들은 바둑 관련 의론과 함께 바둑 유행 문화가 빚어낸 조선 후기의 문학적 현상으로, 조선 전기와는 차별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조선 국가의 형성

        신용하 ( Yong-ha Shin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80

        한국의 최초의 고대국가는 古朝鮮이다. 종래 고조선은 예맥부족이 세웠다는 1부족설과 예와 맥이 세웠다는 2부족설이 제시되었었다. 필자는 3부족 개국설을 제시 하였다. 고조선은 B.C. 30세기~B.C. 24세기에, 한(Han)부족, 맥(Maek)부족, 그리고 예(Ye)부족 등 3부족(tribes)이 연맹하여 건국한 고대국가였으며, 동아시아 최초의 고대국가였다. 고조선 건국의 주요 부족인 한부족은 원래 한강 유역에서 기원하여 한반도 남북으로 이동했는데, 태양을 숭배하고, 동아시아에서 가장 일찍 벼농사를 시작하여 농경단계에 들어간 부족이었고, 부족장은 남성부족장이었다. 맥부족은 원래 대릉하(大凌河)유역에서 기원하여, 女神을 숭배하는 곰토템부족이었다. 玉장식 문화를 크게 발전시킨 부족이었고, 부족장은 여성부족장이었다. 신석기 말기 요서지방 紅山문화유적은 맥족이 만든 유적 유물이었다. 맥부족의 홍산문화는 고조선 개국에 흡수되었다. 예부족은 원래 예강(지금의 눈강)유역에서 기원하여, 범을 신으로 숭배하는 범토템부족이었다. 처음에는 목축을 주로 하여 강을 따라 동남으로 이동하였다. 위의 3부족의 주류는 더 나은 정착지를 찾아 천천히 이동하는 중에 대동강 상류 부근에서 접촉하게 되었다. 3부족은 가장 먼저 농경단계에 들어간 한부족을 중심으로 B.C. 30세기~B.C. 24세기에 부족연맹을 형성하였다. 이때 부족연맹의 방식은 한부족에서 왕을 내고, 맥부족에서 왕비를 내는 혼인동맹에 의거하였다. 한부족에서 왕을 내었기 때문에 고조선의 통치를 받은 모든 부족들은 왕을 "han" 또는 "gahan"으로 불렀다. 고조선에서는 지방장관을 "ga"로 불렀기 때문에 "ga-han"이 "ga-han"이 된 것이었다. 한부족 군장과 맥부족 군장부인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서 장성하자, 이를 "단군"이라는 이름의 제왕으로 추대하고 "조선" 이름의 국가를 건국하였다. 예부족은 고조선 국가에 연맹하되 어느 정도 자율성을 갖고 예부족 군장이 통치하는 고조선의 후국으로 연맹에 참가하였다. 단국은 고조선을 건국함과 동시에 수도를 "아사달"(Asadar)로 정했는데, 첫 "아사달"은 대동강 중류 "강동군"으로 비정된다. 고조선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후에 수도를 만주 요하 부근으로 옮겼다. 고조선은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수도 이외에도 몇 개의 부 수도를 두었다. Go-Joseon is the first ancient state of Korea. This ancient state of Go-Joseon was established between 30 BCE and 24 BCE when three tribes, Han, Ye and Maek formed a confederated alliance. It represents the first ancient state in Northeast Asia. The tribe, crucial to the formation of Go-Joseon, was Han which originated in the Han river valley, but later migrated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Han tribe worshipped the Sun, and it is remarkable that it was the first tribe in East Asia to engage in the cultivation of rice and to lead the society to an agricultural stage. Its chieftain was male. Maek tribe which originated in the estuary of Daeneung river, worshipped female deity and regarded bear as its totem. This tribe made immens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jade decoration and ornaments, and its chieftain was female. The sites associated with Hongsan(Hungshan) Cultrue are the legacy and heritage bequeathed by the Maek tribe. Ye tribe which originated in the Ye river (currently Nun river) valley, worshipped tiger. This tribe with tiger-totem, led primarily a pastoral life, and later migrated along river bank to Southeast. The mainstream of the above-noted three tribes ushered into a long and arduous process of migration in search of a better habitat and in the course of time reached the upper estuary of Daedong river where they settled down and intermingled with one another. These tribes formed a tribal confederation, based on matrimonial alliance, sometime between 30 BCE and 24 BCE. Han tribe, the first to reach an agricultural stage, served as the mainstay or dominant power of this tribal confederation, and this explains why kings were chosen from Han tribe. Maek tribe provided queens. Since kingship was monopolized by the Han tribe, all the tribes under the rule of Go-Joseon called the king "han" or "gahan". Since provincial ministers were called "ga""ga-han" became "Gahan". When a child was born out of the union between the chieftain (king), belonging to Han tribe and Lady Chieftain (queen) belonging to the Maek tribe, he was conferred with the royal title of Dangun and thus the state of Go-Joseon was formed. Ye tribe joined the confederated state of Go-Joseon, but it maintained certain degree of autonomy. When Dangun assumed kingship of Go-Joseon, he established "Asadar" as the capital. The first capital (asadar) is assumed to have been set up in Gangdong-gun, siteated in the mid-estuary of Daedong river. As the territory of Go-Joseon expanded, the capital shifted to the vicinity of Yoha (Chinese: Liaohe) in Manchuria and it established several minor capitals, in addition to the main capital.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吳炫受)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염철론』의 ‘조선’ 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 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 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 KCI등재

        고정옥의 민요 연구에 나타난 ‘조선민요(朝鮮民謠)’의 ‘암음(暗陰)’

        김영희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70

        Go-Jeong-Ok majored in Korean oral literature, especially folksongs, and he studied about ‘Joseon-literature’ in Kyeong-seo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1930s. When he graduated from university in 1939, he wrote the thesis about Joseon-folksong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inished, he re-wrote his graduation thesis and then published the book entitled, the study on Joseon-folksongs(朝鮮民謠硏究) in 1949. Then he went to North Korea, and had written the book, the study on oral literature of Joseon(朝鮮口傳文學硏究) in 1962. He had studied and had written about 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of ‘the people(民)’ presented in Korean folksongs and folktales, which made an influence to the studies of oral literature in North Korea. Go-Jeong-Ok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folksongs, divided into the brightness and the darkness, in the end of the thesis of the study on Joseon- folksongs(朝鮮民謠硏究, 1939). The mentions of the darkness of Joseon- folksongs were longer than ones of the brightness. He remarked the decadence and the primitiveness as the darkness of Joseon-folksongs. The mode of the argument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discourse field of Japanese colonialis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culture as ‘the cultural femininity’. In this context, the femininity of Joseon-culture wa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aboriginality and the uncivilized of the colony Joseon. 고정옥의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문학 강좌 졸업논문인 <조선민요에 대하여>는 1930년대 말에 등장한 ‘조선민요’에 대한 체계적 연구서로서, 식민지 제국대학에서 이루어진 근대문학 교육의 효과로 드러난 연구 성과였다. 이 저작에 나타난 고정옥의 ‘조선민요’ 인식은 식민지 시기 ‘조선민요’에 대한 ‘제국’의 왜곡된 시선을 답습하는 한편, 식민주의에 동화된 지식장에서 벗어나려는 ‘탈식민’의 단초를 드러낸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고정옥이 논문 말미에 언급한 조선민요의 ‘암음면(暗陰面)’에 관한 그의 민요 인식이다. 조선민요의 ‘어둠’을 기술하는 대목에서 그는 조선을 ‘제국’의 한 ‘로컬(local)’로 바라보며 조선민요에서 ‘토속성’과 ‘원시성’을 발견하려 했던 ‘제국’ 학문의 시선을 답습한다. 민요의 어떤 자질들을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것’으로 재발견하면서 이를 식민지 조선의 반문명성, 혹은 전근대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해석하려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조선민요의 어둠을 ‘여성적’ 자질로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여성성’을 민요를 통해 규명하려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 KCI등재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식민사상` 제기와 `고도성장체제` 비판

        장미현 ( Jang Mi-hyun ) 역사문제연구소 2012 역사문제연구 Vol.16 No.1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was a research facility established in 1961, during the time of the Korea-Japan talks and also the `Return project,` the time when the Japanese researchers` interest in Korean studies was growing higher than ever. Through the 1960s and `70s,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pursued both academic studies and reform activities, and with their activities either in the form of publications or seminars, members of the institute argued that in order to truly reform Japan, the “Colonial thinking(the Colonial philosophy)” of the Japanese public should be erased from the minds of the Japanese people.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was a place where not only researchers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but also researchers studying the history of entire Asia, all gathered together and analyzed (while also displaying themselves) all the changes that were occurring throughout the Japanese society, as well as the academic community, in the 1960s. The primary focus of the studies and activities of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was no other than the Korean peninsula, the country which had been inva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early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country the Japanese people was once again about to infiltrate with their economic advances enabled by the Korea-Japan talks in 1965. They argu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 should concentrate upon eliminating the above-mentioned “Colonial thinking(the Colonial philosophy),” which was turning out to be a constant dilemma which Japan had to face all the time when it negotiated with the Joseon people. The Institute members` intentions were not to merely assess how much of a responsibility the Japanese would have to bear for their invasion of the Joseon peninsula in the past, but to determine the process in which `Colonial thinking` was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Japanese) ruling (of Korea) in the present. It was truly a huge departure from the Japanese `Colonial attitude,` and surprisingly it came from no other than the researchers of Japan, which had been the Imperial motherland in the first place. The concentrated high development in the Japanese society during the late 1960s wa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a result of Japan`s `invasion` of the Korean economy which was made possible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talks. The Institute argued that because the Colonial thinking was never successfully eliminated or sufficiently suppressed, the Japanese people were not regarding such offenses as invasive ones. They passionately argued that in order to go beyond all the `high developments,` the Colonial `philosophy` should be resolved and be done with more thoroughly.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s argument that criticised the Japanese authorities for `forgetting the responsibility for colonizing a country and ruling it,` and that the colonial philosophy was still continuing to exist, was something that was hard to swallow for their contemporary Japanese brethren, who considered the post-war era to be an entirely different time period from the pre-war period, as seen from a `Post-war Democracy` perspective. Even the Japanese Communists blamed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for defining the victims(the people) as offenders. `Colonial philosophy` was all about Japan`s responsibility for its own past deeds, colonizing a country and ruling it with a fist. Yet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did not use the word only to analyze the past. The institute members wanted to change the world, and the future of Japan. It was a cause to reconfigure the Japanese consciousness, and the very topic the institute utilized in doing so was the history of Joseon.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defined the `researchers` as `research activists,` and established the elimination of Colonial thinking(philosophy) as their top-priority action. Their such stance was well reflecting the nature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of the time, who were more than ready to delve into the real world. They raised some issues regarding the `fashion` of the Japan society`s high development, when economic developments were in high-gear and especially based upon no other than the `colonial thinking`. They urged the Japanese people to think about the role the “Imperialist Americans(or the `Americans fighting the Cold war`)” urged them to play in the first place.

      • KCI등재

        高句麗와 唐의 箕子朝鮮 認識 檢討

        송영대(Song, Young-Da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0 No.-

        『尙書大傳』의 箕子東來說성립 직후 箕子朝鮮은 서서히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었다. 『三國志』단계에서 箕子朝鮮은 濊條와 韓條에 수록되었으며, ‘箕子朝鮮-衛滿朝鮮-漢四郡’의 변천 인식이 처음으로 정립되었다. 『三國志』와 『後漢書』 이래로 중국에서는 箕子朝鮮에 대한 관념이 강화되었고, 魏晉南北朝時代의 ‘朝鮮’은 東夷에 대한 廣義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隋唐시대에는 조선이 고구려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隋代이래로 裴矩와 唐太宗등은 고구려 정벌의 명분으로 郡縣回復論을 제기하였다. 唐代墓誌銘에서도 조선의 존재가 모두 고구려와의 전쟁에 관련된 인물들에게서 확인된다. 결국 ‘高句麗-朝鮮’ 연계인식은 고구려 정벌의 주요 명분이자, 기자조선시대로의 회귀 의식으로 귀결되었다. 그 결과 唐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寶藏王을 朝鮮王으로 封하였다. 고구려에서는 고조선을 계승하였다는 인식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고구려 건국신화나 고분벽화를 단군신화와 연계시켜 보는 견해들이 있긴 하지만, 모두 역사적 사실로 납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고구려에서는 箕子神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이는 고구려가 조선을 자국과 연관시켜 이해하였고 기자신 존재의 필요성을 긍정하였기 때문이다. 고구려 유민 중에서 朝鮮人을 일컫는 사례가 확인된다. 이는 寶藏王이 朝鮮王으로 임명되었고, 중국 내에서 고구려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조선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구려 유민들은 중국 내에서 삶을 영위하면서 중국인들의 인식, 즉 ‘고구려-조선’ 연계인식을 수용하여 자신들을 조선으로 일컫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Gija-Joseon(箕子朝鮮) was gradually accepted as a historical fact after 《Shangshu-Dazhuan(尙書大傳)》 had covered the migration of Gija(箕子) to Korean peninsula. Similarly, 《Sanguozhi(三國志)》 presented Gija-Joseon in the section of the Biography of Ye(濊) and this record firstly established a chain of perception which is ‘Gija-Joseon → Wiman Joseon (衛滿朝鮮) → Four Commanderies of Han’. The concept had been reinforced since publication of 《Sanguozhi》 and 《Houhanshu(後漢書)》. Joseon(朝鮮) became a general term of Dong-Yi(東夷) and represente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while the perception of Joseon was changed to represent it as Goguryeo (高句麗) during Sui-Tang period. Peiju(裴矩) and the emperor Taizong(唐太宗) of Tang insisted recovery of four commanderies. It is observed that all records of Joseon in the epitaph inscriptions made in Tang dynasties are attached to the figures related to Goguryeo war. A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Go-Joseon (古朝鮮) played a major basis for conquest of Goguyeo. After attacking and destroying Goguryeo, Tang designated king Bojang(寶藏王) who was the 28<SUP>th</SUP> king of Goguryeo as the king of Joseon. However, a sense of succession is not clearly identified in Goguryeo side. Although there is an opinion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Goguryeo’s birth myth or its tomb paintings and Dangun(檀君) myth, it seem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ll as historical facts. Goguryeo accepted history of Joseon making connections with their own history that resulted in cult of Gija. After the fall, drifting people of Goguryeo in China were sometimes called as Joseon people. It is because that King Bojang had become King of Joseon.

      • KCI등재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기수연(Ki, Su-Yeon)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3 No.-

        China launched Northeast Borderland History and the Chain of Events Research Pro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theast Project) in 2002,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 serial attempts towards Neo Sinocentrism. Based on the concept of United Multiethnic Nation, China claims that Chinese history includes the history of every ethnic group who resides in China as Chinese nationals. Accordingly, the Northeast project reveals China’s intention to incorporate the history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to Chinese history. This stirred Korean historian community and consequently resulted in proactive research on Korean ancient history such as Goguryeo dynasty. This paper studies on the Chinese publications on Go-Joseon and Hansa-gun and reached a finding that Chinese historians distorted Korean history in order to develop the Northeast Project. The publications distorted not only Goguryeo history but also the roots of Korean ethnicity and pre and post history of Go-Joseon, which is the first established dynasty in Korean history. Asserting Gija-Joseon and Wiman-Joseon, Chinese history academia does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Dankun-joseon and Dankun mythology. In addition, Chinese historians claim Hansa-gun Pyongyang theory denying Korean historians’ Hansa-gun Yodong theory. The paradox from my finding is that they utilize the theories from Korean history academia as the base of their claims. It is unfortunately true that some of Korean historians also have doubtful views on the existence of Dangun, Dangun-Joseon, Gija-Joseon, Wiman-Josen, and Pyeongyang theory. However, if Korean historian community fails to the substantiation of Dangun, as the founder of Go-Joseon and Dangun-Jose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will lose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nation and will be defined as a colony of China governed by the extreme influence of Chinese politics and culture as Chinese academia asserts. The Chinese historian community’s denial of existence of Dangun-Joseon paradoxically presents that we need to make the commitment to the elaborate research on the substantiation of Dangun-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