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문제에 대한 쟁점과 과제 = Colliding Opinions over the issue of Go-Joseon’s “Central Region,”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4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Go-Joseon studies is the possibility that the territory of Go-Joseon could have shifted as time went on, that the feature of the Go-Joseon realm could have had different shapes in different period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Go-Joseon studies is the possibility that the territory of Go-Joseon could have shifted as time went on, that the feature of the Go-Joseon realm could have had different shapes in different periods. The history of Go-Joseon shows two phases: the Bronze culture era when the Go-Joseon people still used Bipa-shaped bronze daggers, and the Iron culture era when Go-Joseon achieved the status of a ‘State.’ From this, we can easily see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re should have been ‘periodic changes’ in the Go-Joseon realm, when we try to approach its history from an academic viewpoint.
      In the early phases of the Ancient period, borderlines were not that distinctive as they are today. Between states and political entities, incredibly large areas remained unpopulated. Go-Joseon’s western border area in particular is believed to have been more than fluid. And there were various tribes living in the vicinity. So, trying to dictate the Daedong-gang river area as the (Western) border of Go-Joseon, or arguing that Go-Joseon’s realm engulfed the entire Manchu region as well as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ntire time” from beginning to end, is simply unrealistic.
      Scholars and the public should refrain from considering ‘regional deployment of tribes’ or the ‘range of [their] cultural influences’ as indicators of parameters for an actual political territory. Perceiving the entire realm that shared the Bipa-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rectly as the political territory of Go-Joseon is nothing but an academically inappropriate misconception. The Daedong-gang river in the Pyeong’yang region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early-stage realm of Go-Joseon, while including not only the Liaodung(遼東) region but also the Liaoshi(遼西) region in Go-Joseon’s supposed realm of influence is simply without sufficient empirical ba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
      • 2. 고조선의 세력 범위와 중심지 논의
      • 맺음말
      • 참고문헌
      • 머리말
      • 1.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
      • 2. 고조선의 세력 범위와 중심지 논의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배, "한국사 4 초기국가 -고조선・부여・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오영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3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4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5 송호정, "중국 동북지역 고고학 연구현황과 문제점" 동북아역사재단 2008

      6 김영심, "조선 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2 : 2000

      7 이덕일, "우리 안의 식민사관" 만권당 2014

      8 조진선,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윤용구,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한국고대사학회 (46) : 241-264, 2007

      10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1 김정배, "한국사 4 초기국가 -고조선・부여・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오영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3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4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5 송호정, "중국 동북지역 고고학 연구현황과 문제점" 동북아역사재단 2008

      6 김영심, "조선 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2 : 2000

      7 이덕일, "우리 안의 식민사관" 만권당 2014

      8 조진선,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윤용구,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한국고대사학회 (46) : 241-264, 2007

      10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11 박선미, "근대사학 이후 고조선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고려사학회 (23) : 9-57, 2006

      12 이청규, "고조선의 역사를 찾아서(청동기를 통해서 본 고조선과 주변사회)" 학연문화사 2007

      13 이덕일,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의 아침 2006

      14 김정배,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2010

      15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16 이청규, "고조선과 요하문명" 49 : 2011

      17 송호정, "고조선 중심지 성격과 그 과제" 10 : 2000

      18 김정배, "고조선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9 : 5-30, 2003

      19 윤내현, "고조선 연구" 일지사 1994

      20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동아일보사 2014

      21 송호정, "고고학으로 본 고조선" 49 : 2011

      22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23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24 佟柱臣, "考古學上漢代及漢代以前的東北疆域" 56 (56): 1959

      25 배진영, "燕國의 五郡 설치와 그 의미 -戰國時代 東北아시아의 勢力關係-" 중국사학회 (36) : 1-44, 2005

      26 靳楓毅, "夏家店上層文化及其族屬問題" 87 (87): 1987

      27 서영수, "古朝鮮의 위치와 강역" 2 : 1988

      28 한영우, "18세기 중엽 소론학인 이종휘의 역사의식" 1 :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
      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